KR100719158B1 -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 - Google Patents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158B1
KR100719158B1 KR1020060050048A KR20060050048A KR100719158B1 KR 100719158 B1 KR100719158 B1 KR 100719158B1 KR 1020060050048 A KR1020060050048 A KR 1020060050048A KR 20060050048 A KR20060050048 A KR 20060050048A KR 100719158 B1 KR100719158 B1 KR 100719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ound
sound source
sound absorbing
absorb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Priority to KR1020060050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3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undulated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76Cellular, e.g. as wall fa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14Sound-absorbing elements with non-planar face, e.g. curved, egg-crate 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2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28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containing specially shaped acoustical bodies, e.g. funnels, egg-crates, fan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76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8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the cavities opening onto the face of the element
    • E04B2001/8485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the cavities opening onto the face of the element the opening being restricted, e.g. forming Helmoltz reson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이나 철도, 차량의 내/외장에 사용될 수 있으며, 기존과는 달리 금속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불연성, 호환성 및 조립성이 뛰어난 구조의 흡음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에 제 1공기층이 마련되도록 격실이 제공되는 제 1프레임; 및 상기 제 1프레임의 상부에는 제 2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프레임과 조립되는 제 2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은 조립시 수평면을 이루며, 상기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의 사이에는 음원이 유입될 있는 갭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에 관한 것이다.
철도, 흡음판, 음원, 공명, 음원유도날개, 격실

Description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A sound-absorbing material having a met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발췌된 제 1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서 발췌된 제 2프레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와 다른 흡음재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1의 단면도에 따른 음원 상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 1프레임 110: 흡음판
111: 흡입공 120: 격실돌기
121: 격실 130: 끼움돌기
131: 하부끼움홈 132: 하부끼움부
140: 제 1음원유도날개 141: 지지부
200: 제 2프레임 210: 제 2음원유도날개
220: 홈부 221: 가이드부
300: 갭 400: 흡음재
500: 볼트
본 발명은 복층 구조의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음원이 완전히 상쇄될 수 있게 구성되어 건축물이나 철도, 차량의 내/외장에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기존과는 달리 금속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불연성, 호환성 및 조립성이 뛰어난 구조의 흡음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에 제 1공기층이 마련되도록 격실이 제공되는 제 1프레임; 및 상기 제 1프레임의 상부에는 제 2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프레임과 조립되는 제 2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은 조립시 수평면을 이루며, 상기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의 사이에는 음원이 유입될 있는 갭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읍재란 소리를 흡수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로써, 재료 표면에 부딪히는 소리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여 반사음을 줄이므로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장소에 사용하면 방음 및 흡음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흡음재의 원리는 매질에 입사되는 음향에너지의 일부가 흡음재료 내부에서 점성마찰에 의해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소실되는 원리이다.
상기 흡음재의 종류는 크게 다공질 흡음재와, 판상형 흡음재와, 공명형 흡음재로 분류된다.
여기서 다공질 흡음재는 표면과 내부에 작은 기포 또는 가는 관 모양의 구멍을 형성하여 이 구멍 속의 공기가 음파에 의해 진동하고 이 때 상긴 마찰로 소리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뀌어 흡수되어 흡음 되지만 불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다공질 흡음재는 재료는 글라스울, 락울, 발포플라스틱, 식물 섬유류, 관물면 등이 있다.
아울러 판상형 흡음재는 음파가 판을 진동시키면서 소리에너지를 소모하게 하여 흡음 효과를 얻는 구조이다. 저음 부분의 흡음 성능은 우수한 반면, 중, 고음 부분의 흡음 성능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주 재료로는 베니어판, 석고판, 섬유판, 석면판이 있다.
그리고 공명형 흡음재는 석고보드 및 합판 등의 보드류로 구성되어 배후에 공기층을 둔 흡음 구조체이다. 이러한 구조는 중, 고음역에 흡음이 뛰어난 장점이 있지만, 이러한 구조 역시 불에 약한 단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된 흡음재는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화재시 유독가스가 발생되는 단점과, 공기 중에 장시간 노출되면 풍화작용에 의해 노후되고, 물을 흡수할 시 배수시간이 오래 걸려 흡음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불에 강하고 구조설계가 용이하고, 무독성으로 인체에 무해하며, 불연성이고, 세척이 용이하고, 외형이 거의 불변하며, 풍화에 의한 비산이 거의 없어 대기 오염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흡음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복층 구조의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음원이 대부분 상쇄될 수 있게 구성되어 건축물이나 철도, 차량의 내/외장에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기존과는 달리 금속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불연성, 호환성 및 조립성이 뛰어난 구조의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불에 강하고 구조설계가 용이하고, 무독성으로 인체에 무해하며, 불연성이고, 세척이 용이하고, 외형이 거의 불변하며, 풍화에 의한 비산이 거의 없어 대기 오염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하부에 제 1공기층이 마련되도록 격실이 제공되는 제 1프레임; 및 상기 제 1프레임의 상부에는 제 2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프레임과 조립되는 제 2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은 조립시 수평면을 이루며, 상기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의 사이에는 음원이 유입될 있는 갭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은, 하부에 제 1공기층이 마련되도록 격실이 제공되는 제 1프레임; 및 상기 제 1프레임의 상부에는 제 2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프레임과 조립되는 제 2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은 조립시 수평 면을 이루며, 상기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의 사이에는 음원이 유입될 있는 갭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에서 제 1프레임은 음원이 내부로 유도될 수 있도록 전면에 다수의 흡입공이 타공된 흡음판과, 상기 흡음판의 하부에 다수의 격실이 형성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격실돌기와, 상기 격실돌기와 동일 선상으로 상기 흡음판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샹향 연장된 끼움돌기와, 상기 흡음판의 끼움돌기 사이에 배치되어 음원을 흡음판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로 상향 연장된 제 1음원유도날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제 2프레임은 상기 제 1프레임의 끼움돌기에 끼움 결합되되, 상기 제 2음원유도날개와의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음원유도날개와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배치되는 제 2음원유도날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은 알류미늄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제 1음원유도날개 및 제 2음원유도날개는 음원을 내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양측 날개가 하향 만곡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제 2프레임은 끼움돌기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끼움돌기를 홈부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갭은 상기 제 2음원유도날개와 상기 제 1음원유도날개의 높이 차로 인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제 2프레임의 제 2음원유도날개는 상기 제 1음원유도날개의 양측면을 일부 포함 또는 상기 음원유도날개의 수직선상에 정확히 일치하는 구성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제 1프레임의 양측에는 인접하는 다른 제 1프레임와 결합되어 연속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가 반분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반분된 끼움돌기의 선택되는 어느 하나는 하부끼움홈이 형성된 "
Figure 112006039342124-pat00001
"의 형상을 취하고, 선택되는 다른 하나는 상기 하부끼움홈에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삽입되는 하부끼움부가 형성된 "
Figure 112006039342124-pat00002
"의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발췌된 제 1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서 발췌된 제 2프레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층 구조의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음원이 완전히 상쇄될 수 있게 구성되어 건축물이나 철도, 차량의 내/외장에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기존과는 달리 금속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불연성, 호환성 및 조립성이 뛰어난 특징을 갖는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흡음재(400)는 크게 벽면에 조립되는 제 1프레임(100)과, 상기 제 1프레임(100)의 상부에 끼움결합되는 제 2프레임(2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1프레임(100)은 하부에 제 1공기층이 마련되도록 격실(121)이 제공되며, 이러한 제 1프레임(100)은 흡음판(110)과, 상기 흡음판(110)의 상/하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격실돌기(120)와, 끼움돌기(130)와, 제 1음원유도날개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 1프레임(100) 중 음원이 내부로 유도될 수 있도록 전면에 다수의 흡입공(111)이 타공된 것이 흡음판(110)이다. 이러한 흡음판(110)의 하부에 다수의 격실(121)이 형성되도록 하향 연장된 것이 격실돌기(120)이다. 이러한 격실돌기(120)를 통해 흡음판(110)의 하부에 다수의 제 1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아울러 상기 격실돌기(120)와 동일 수직 선상으로 상기 흡음판(110)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샹향 연장된 것이 끼움돌기(130)이다. 이러한 상기 끼움돌기(130)를 통해 제 2프레임(200)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그리고 상기 끼움돌기(130) 사이에 배치되어 일정높이로 상향 연장된 것이 지지부(141)이고, 상기 지지부(141)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펼쳐져 음원을 흡음판(110)으로 유도하는 것이 제 1음원유도날개(140)이다.
한편 상기 제 2프레임(200)은 상기 제 1프레임(100)의 끼움돌기(130)에 끼움 결합되는 제 2음원유도날개(210)로 구성되며, 이러한 제 2음원유도날개(210)는 끼 움돌기와 결합되는 홈부(220)와, 상기 홈부(220)에 연장되어 끼움돌기(130)를 홈부(220)로 유도하는 가이드부(221)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1프레임(100)은 끼움돌기(130)의 상부에 제 2프레임(200)이 끼움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 1프레임(100)의 상부로 제 2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이는 상기 제 2프레임(200)이 제 1프레임(100)의 끼움돌기(130)와 결합되면, 제 2음원유도날개(210)로 인해 상기 제 1프레임(100)의 제 1음원유도날개(140)와 굴곡진 수평면을 이루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제 2음원유도날개(210)는 상기 제 1음원유도날개(140)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끼움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 2음원유도날개(210)와 제 2음원유도날개(210)의 사이에는 갭(300)이 형성된다.
상기 갭(300)은 제 1음원유도날개(140)와 제 2음원유도날개(210)로 부딛치는 음원을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제 1음원유도날개(140)와 제 2음원유도날개(210)는 하향으로 만곡된 구성이다.
따라서 제 1프레임(100)에 제 2프레임(200)을 결합시켜 전면에서 보았을 경우, 굴곡진 수평면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로 제 2프레임(200)을 제 1프레임(100)에 결합시킬 경우, 제 2음원유도날개(210)는 상기 제 1음원유도날개(140)의 양측면을 일부 포함되도록 크기를 크게 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제 2프레임(200)의 제 2음원유도날개(210)는 상기 제 1 음원유도날개(140)의 수직선상에 정확히 일치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중요한 건 상기 갭(300)의 폭이 약 0.1mm 내지 2mm 정도 나올 수 있도록 높이차를 두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상기 갭(300)으로 음원이 통과하면서 마찰저항을 일으켜 음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음 에너지가 감소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 1프레임(100)과 제 2프레임(200)은 압출성형을 통해 제작되는데, 이 때 상기 제 1프레임(100) 및 제 2프레임(200)은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식성이 뛰어나고 가벼운 알류미늄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와 다른 흡음재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프레임(100)의 양측에는 인접하는 다른 제 1프레임(100)와 결합되어 연속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130)가 반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반분된 끼움돌기(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는 하부끼움홈(131)이 형성된 "
Figure 112006039342124-pat00003
"의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선택되는 다른 하나는 상기 하부끼움홈(131)에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삽입되는 하부끼움부(132)가 형성된 "
Figure 112006039342124-pat00004
"의 형상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 1프레임(100)은 상호 대응되는 반분된 끼움돌기(130)를 결합시키고, 그 상부로 제 2프레임(200)을 결합시켜 연속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도 7은 도 1의 단면도에 따른 음원 상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프레임(100)의 흡음판(110)은 결합수단인 볼트(500), 시멘트 못 등으로 벽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후 제 2프레임(200)을 제 1프레임(100)의 상부에 결합시켜, 2개의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음원이 발생되면, 음원은 먼저 제 1프레임(100)과 제 2프레임(200)의 사이에 형성된 갭(300)을 통해 제 1공기층을 유입된다.
이 때 음원은 갭(300)을 지나면서 마찰저항을 일으켜 음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됨으로 제 1공기층에서 음원이 1차로 상쇄되고, 이 후 흡음판(110)의 흡입공(111)에 통해 격실(121)로 음원이 유입되어 제 2공기층이 강하게 진동함으로서 음원이 완전히 흡수되여 2차로 완전히 상쇄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에 따르면, 공기층이 2개가 형성되도록 2층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공기층이 3개가 형성될 수 있도록 3층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는 흡음판의 하부에 형성된 격실을 2층 구조로 하여 흡음판의 하부로 공기 층을 2개 형성하고, 흡음판의 상부로 공기층을 1개 형성하여 총 3개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음원의 흡음 효과를 최대한 증대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에 따르면, 복층 구조의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음원이 완전히 상쇄될 수 있게 구성되어 건축물이나 철도, 차량의 내/외장에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기존과는 달리 금속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불연성, 호환성 및 조립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아울러 2개의 금속프레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에 강하고 구조설계가 용이하고, 무독성으로 인체에 무해하며, 불연성이고, 세척이 용이하고, 외형이 거의 불변하며, 풍화에 의한 비산이 거의 없어 대기 오염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10)

  1. 하부에 제 1공기층이 마련되도록 격실이 제공되는 제 1프레임; 및
    상기 제 1프레임의 상부에는 제 2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프레임과 조립되는 제 2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은 조립시 수평면을 이루며, 상기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의 사이에는 음원이 유입될 있는 갭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레임은,
    음원이 내부로 유도될 수 있도록 전면에 다수의 흡입공이 타공된 흡음판과, 상기 흡음판의 하부에 다수의 격실이 형성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격실돌기와, 상기 격실돌기와 동일 선상으로 상기 흡음판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샹향 연장된 끼움돌기와, 상기 흡음판의 끼움돌기 사이에 배치되어 음원을 흡음판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로 상향 연장된 제 1음원유도날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프레임은 상기 제 1프레임의 끼움돌기에 끼움 결합되되, 상기 제 2 음원유도날개와의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음원유도날개와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배치되는 제 2음원유도날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은 알류미늄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음원유도날개 및 제 2음원유도날개는 음원을 내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양측 날개가 하향 만곡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프레임은 끼움돌기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끼움돌기를 홈부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상기 제 2음원유도날개와 상기 제 1음원유도날개의 높이 차로 인 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프레임의 제 2음원유도날개는 상기 제 1음원유도날개의 양측면을 일부 포함 또는 상기 제 1음원유도날개의 수직선상에 정확히 일치하는 구성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레임의 양측에는 인접하는 다른 제 1프레임와 결합되어 연속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가 반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반분된 끼움돌기의 선택되는 어느 하나는 하부끼움홈이 형성된 "
    Figure 112006039342124-pat00005
    "의 형상을 취하고, 선택되는 다른 하나는 상기 하부끼움홈에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삽입되는 하부끼움부가 형성된 "
    Figure 112006039342124-pat00006
    "의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
KR1020060050048A 2006-06-02 2006-06-02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 KR100719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048A KR100719158B1 (ko) 2006-06-02 2006-06-02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048A KR100719158B1 (ko) 2006-06-02 2006-06-02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923U Division KR200424185Y1 (ko) 2006-06-02 2006-06-02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158B1 true KR100719158B1 (ko) 2007-05-18

Family

ID=3827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048A KR100719158B1 (ko) 2006-06-02 2006-06-02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1555A (ko) 2022-05-18 2023-11-2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복합 흡음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787Y1 (ko) 2003-04-08 2003-07-22 주식회사 케이.알 공명형 부재가 부착된 방음판
KR200337820Y1 (ko) 2003-06-12 2004-01-07 노재권 흡음판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787Y1 (ko) 2003-04-08 2003-07-22 주식회사 케이.알 공명형 부재가 부착된 방음판
KR200337820Y1 (ko) 2003-06-12 2004-01-07 노재권 흡음판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1555A (ko) 2022-05-18 2023-11-2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복합 흡음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492C (zh) 吊顶
RU2495500C2 (ru)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US9534385B2 (en) Room delimitation element
US8136630B2 (en) Architectural acoustic device
EP3839940B1 (en) Silencing system
KR100719158B1 (ko)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
KR200424185Y1 (ko) 금속재질을 갖는 흡음재
CN111636587B (zh) 用于琴房的吸音墙体
KR20090116262A (ko) 건축물의 천장용 마감판
CN201268893Y (zh) 泡沫铝吸声墙
CN210597694U (zh) 一种隔音型材
KR101066919B1 (ko) 공명부재 및 이를 구비한 방음패널
JP2007255098A (ja) 吸音パネル及び防音壁
JP6722167B2 (ja) 換気および反応的で消散的な消音のためのパネルおよびパネル構造
JP2010013847A (ja) ガラスカーテンウォールによる遮音欠損の改善構造
KR200450881Y1 (ko) 복합 방음 패널
JP2009243078A (ja) 遮音扉
CN202745228U (zh) 金属隔声低频吸声板
CN206070410U (zh) 城市轨道交通声屏障高效吸声单元板
JP2011074680A (ja) 通気防音ドア
CN210264176U (zh) 一种用于建筑规划中的隔音设施
CN107034798B (zh) 隔音屏
CN207363155U (zh) 一种竹制多孔降噪板
CN218643739U (zh) 一种多层结构的吸音板
CN218643738U (zh) 一种墙体隔音饰面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