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059B1 - Apparatus for assistanting training and walk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ssistanting training and wal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059B1
KR100718059B1 KR1020060086547A KR20060086547A KR100718059B1 KR 100718059 B1 KR100718059 B1 KR 100718059B1 KR 1020060086547 A KR1020060086547 A KR 1020060086547A KR 20060086547 A KR20060086547 A KR 20060086547A KR 100718059 B1 KR100718059 B1 KR 100718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ser
supporting
exerci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홍재
Original Assignee
박홍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재 filed Critical 박홍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059B1/en
Priority to PCT/KR2007/00337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00790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지지유닛(supporting unit)을 통하여 거동이 어려운 노인 및 재활환자 또는 애견 등의 몸통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사람 또는 애견 등이 런닝머신이나 보행운동기에서 안전하고 편안하게 보행운동하는 것을 보조하는 운동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assis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running a person or a dog or the like by firmly and stably supporting a torso such as an elderly person, a rehabilitation patient, or a dog, which are difficult to move through a suppor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assist device that assists in walking safely and comfortably in a machine or a walking exercise machine.

본 발명에 의한 운동보조장치는 복수의 수직지주를 구비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수평지주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수직지주를 구비한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에 장착되어 몸체를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An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An upp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detachably mounted on the horizontal supports of the lower frame; And a support unit mounted to the upper frame to support and fix the body.

지지유닛, 보행운동장치, 노인, 재활환자, 직립보행, 장애인 Support unit, walking exercise device, elderly, rehabilitation patient, upright walking, disabled

Description

운동보조장치{APPARATUS FOR ASSISTANTING TRAINING AND WALKING}Exercise aids {APPARATUS FOR ASSISTANTING TRAINING AND WALK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tion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장치의 상부 프레임에 장착된 지지유닛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unit mounted to the upper frame of the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장치의 사용상태도.3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장치의 펼침 및 접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4 and 5 is a front view showing an unfolded and folded state of the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지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지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지지유닛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은 본 발명의 제3실시에 의한 몸통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dy suppor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는 도 10 및 도 11의 C-C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측면지지부 및 완충유닛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Figure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side support and the buffer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ures 10 and 11.

도 14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측면지지부를 도시한 예시도.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ide suppor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측면지지부에 대한 제1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 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side suppor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측면지지부에 대한 제2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 1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side suppor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도 9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18은 도 9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9;

도 19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의한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상대적인 이동구조를 도시한 사시도.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lative movement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장치의 사용상태도. 20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의한 운동보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21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하부 프레임 111 : 수직지주110: lower frame 111: vertical support

112 : 수평지주 140 : 상부 프레임112: horizontal support 140: upper frame

142 : 수직지주 145 : 팔고정밴드142: vertical holding 145: arm fixing band

170 : 지지유닛 174 : 장착돌기170: support unit 174: mounting projection

본 발명은 운동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지지유닛을 통하여 거동이 어려운 노인 및 재활환자 또는 애견 등의 몸통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사람 또는 애견 등이 런닝머신이나 보행운동기에서 안전하고 편안하게 보행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운동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assis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elderly or rehabilitated patients or dogs, such as dogs, which are difficult to move through the suppor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irmly and stably supporting a running machine or a walking exercise machi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aid that assists walking in a safe and comfortable way.

본 발명은 고령이거나 질환을 가져 거동이 불편한 노인, 직립보행운동이 필요한 재활환자 또는 애견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 특히 노인 및 재활환자에게 있어 직립한 상태에서의 전신보행운동은 하체의 근력을 강화시켜줄 뿐 아니라 욕창을 방지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며 내장기관을 튼튼하게 하고, 소화기능 및 배변기능을 촉진시켜 주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인간적인 삶을 영위하게 하는 운동이다. 또한 최근에는 언론을 통하여 지속적인 보행운동이 관절염과 골다공증 및 암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도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직립보행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로봇형 보행운동기구가 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로봇형 보행운동기구는 그 가격이 고가이다보니 일반인이 구입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노인 및 재활환자가 쉽게 착용하고 운동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elderly or people with discomfort in mobility, rehabilitation patients or dogs needing an upright walking exercise, especially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the whole body walking exercise in the upright state only strengthens the strength of the lower body In addition, it prevents bedsores, facilitates blood circulation, strengthens internal organs, and promotes digestive and bowel movements. In recent years, the media has reported that continuous walking exercise can prevent arthritis, osteoporosis and cancer. Currently, robotic walking exercise equipment has been released to enable such walking movements. However, the robotic walking exercise equipment is not only expensive for the general public but also difficult to wear and exercis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It has a disadvantage.

아울러, 운동을 하지 못해 비만, 관절염 등 각종 질병으로 고통받고 있는 애견의 건강 문제도 있다. 싱글족 및 독거노인의 증가, 자녀를 가지지 않는 가정이 늘어나면서 인간의 외로운 삶을 위로해주는 애견은 현재 가족 구성원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여태까지는 애견의 건강을 위해 애견주가 애견을 야외에서 운동시켜왔지만, 현재에는 애견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염이 사회 문제화되면서 애견의 야외활동에 관한 규제가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 이에 애견주는 애견의 건강을 위해 가정에서라도 애견을 운동시켜야 하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lso a health problem for dogs suffering from various diseases such as obesity and arthritis due to inability to exercis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singles and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families without children, dogs that comfort human life are becoming one of the family members. So far, dog owners have exercised their dogs outdoors for the health of their dogs, but now, as the pollution caused by dogs becomes a social problem, regulations on dogs' outdoor activities are being tightened. The dog owner is faced with the reality of exercising the dog even at home for the health of the dog.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가정에 쉽게 비치해 놓고 운동할 수 있는 런닝머신 등과 같은 보행운동기구를 통해, 가정에서도 노인 및 재활환자나, 애견 등이 전동런닝머신 벨트트랙 위에서 안전하고 쉽게 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각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 Accordingly,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dogs, and the like on the treadmill belt track can be safely and easily at home through a walking exercise device, such as a treadmill that can be easily placed and exercise at home. By being able to exercise, it is urgently needed to maintain a healthy life for eac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노인, 재활환자, 애견 등의 몸체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사람 또는 애견 등이 런닝머신에서 보행운동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운동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oints, to support the body of the elderly, rehabilitation patients, dogs, etc. firmly and stably to assist people or dogs walking and running in the treadmill safe and comfortable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xercise aid.

또한, 본 발명은 접힘 및 펼침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그 보관 및 운반이 매우 용이한 운동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ercise assisting device made of a collapsible and unfoldable structure is very easy to store and transport.

그리고, 본 발명은 노인, 재활환자, 애견 등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의 높낮이 등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과 같이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운동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ercise assisting device that improves the convenience of use, such as easi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elderly, rehabilitation patients, dogs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장치 는, 복수의 수직지주를 구비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수평지주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수직지주를 구비한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에 장착되어 몸체를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Exercise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low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An upp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detachably mounted on the horizontal supports of the lower frame; And a support unit mounted to the upper frame to support and fix the body.

상기 지지유닛은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끼우는 측면지지부, 사용자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지지부, 사용자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지지부를 포함한다. The support unit is installed to be height-adjustable, and includes a side support for fitting the user's armpit, a front support for supporting the front of the user, and a rear support for supporting the rear of the user.

상기 측면지지부는 좌우 양측의 수직지주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봉이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각 측면지지부의 전방단에는 장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전면지지부는 좌우 양측의 측면지지부를 가로질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되는 연결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지지부는 그 양단부에 구비된 끼움부가 각 측면지지부의 장착돌기에 끼움결합되는 지지벨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side support portion is formed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rods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vertical support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a pair of left and right to be detachably coupled, the front end of each sid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rojection; The front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connecting rods that are detachably coupled and connected across the left and right side support portions; The rear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support belt that is fitted to the mounting projections provided on both ends of each side support portion.

상기 지지유닛은 상부 프레임 측에 복수의 지지끈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하네스를 포함한다. The support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harnesse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side by a plurality of support straps.

상기 하부프레임은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좌우 베이스 전방부에는 접힘 및 펼침가능하게 연결 및 설치되는 접힘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접힘유닛은 좌측의 베이스 및 우측의 베이스에 개별적으로 접힘 및 펼침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제1 및 제2 크로스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크로스부재는 상호 접힘 및 펼침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The lower frame further includes a base, the base is arrang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the left and right base further includes a folding unit that is folded and expandably connected and installed, the folding unit is a base on the left and And first and second cross members individually hinged to the base on the right side to be folded and unfoldable, the first and second cross members being hinged to each other.

상기 지지유닛은 자동 및 수동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조에 의해 높이조 절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support unit is installed to be height-adjustable by any one of automatic and manual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운동보조장치는, 복수의 수직지주를 구비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수직지주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수직지주 및 수평지주를 구비한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에 연결브라켓을 매개로 장착되고, 사용자의 상체 부분을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Mot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An upp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and horizontal supports movably connected to the vertical supports of the lower frame; And a support unit mounted to the upper frame through a connection bracket and supporting and fixing the upper body part of the user.

상기 지지유닛은 사용자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 사용자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지지부, 및 사용자의 몸통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몸통지지부를 포함한다. The support unit includes a side support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user, a front support for supporting the front of the user, and a body support for surrounding the body of the user.

상기 측면지지부는 수평부 및 이 수평부에 직각으로 벤딩된 한 쌍의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의 각 단부는 완충유닛에 의해 연결브라켓에 완충적으로 지지된다. The side support portion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and a pair of bending portions bent at right angles to the horizontal portion, and each end of the bending portion is buffered to the connecting bracket by a buffer unit.

상기 전면지지부는 좌우 한 쌍의 연결브라켓의 전방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손잡이프레임, 좌우 한 쌍의 손잡이프레임을 가로질러 설치된 2개 이상의 크로스부재, 및 2개 이상의 크로스부재에 감겨지는 쿠션재를 포함한다. The front support part is a cushioning material wound on the left and right pair of handle frames individual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left and right pair of connecting brackets, two or more cross members provided across the left and right pair of handle frames, and two or more cross members. It includes.

상기 전면지지부는 상기 측면지지부의 전방측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봉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front support portion is formed of a connecting ro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side support portion.

상기 몸통지지부는 그 양단에 부착수단을 구비한 펼침가능한 구조의 척추밴드, 상기 척추밴드의 양측면 상부 및 하부에 개별적으로 구비된 상부 걸이벨트 및 하부 걸이벨트를 포함한다. The torso support includes an expandable spine band having attachment means at both ends thereof, an upper hanger belt and a lower hanger belt separately provided at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pinal band.

상기 상부 걸이벨트 및 하부 걸이벨트는 척추밴드의 양측면 상하부에 개별적 으로 적어도 4개씩 구비될 수 있고, 각 걸이벨트의 단부들은 연결브라켓 측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upper hook belt and the lower hook belt may be provided separately at least four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pine band, the ends of each hook bel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racket si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1 to 5 are views showing the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립보행운동장치는 하부 프레임(110), 상부 프레임(140), 및 지지유닛(170, supporting unit)을 포함한다. As shown, the upright walking exercis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frame 110, an upper frame 140, and a supporting unit 170.

하부 프레임(110)은 좌우 한 쌍의 베이스(114) 및 상기 베이스(114)들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지주(111)에 의해 지지되는 수평지주(112)를 포함한다. 수평지주(112)는 소정 위치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구비하고, 이 관통공에 후술하는 상부 프레임(140)의 수직지주(142)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The lower frame 110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bases 114 and horizontal supports 112 supported by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111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bases 114. The horizontal support 112 includes one or more through holes at predetermined positions, and the vertical supports 142 of the upper frame 140 described later are detachably mounted to the through holes.

한 쌍의 베이스(114)는 그 하부면에 복수개의 바퀴(114a)를 구비하고, 이 베이스(114)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수직지주(111)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The pair of bases 114 includes a plurality of wheels 114a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111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4.

그리고, 좌우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베이스(114)는 그 전방부에 접힘 및 펼침가능하게 설치되는 접힘유닛(1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114 disposed in a pai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may further include a folding unit 130 that is installed to be folded and unfolded at the front portion thereof.

이 접힘유닛(130)은 좌측의 베이스(114) 및 우측의 베이스(114)에 개별적으로 접힘 및 펼침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제1 및 제2 크로스부재(131, 132)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크로스부재(131, 132)는 중앙 단부에서 접힘 및 펼침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The folding unit 130 includes first and second cross members 131 and 132 which are individually folded and hingedly hinged to the base 114 on the left side and the base 114 on the right side. The second cross members 131 and 132 are hinged to be folded and unfoldable at the central end thereof.

제1 및 제2 크로스부재(131, 132)는 좌ㆍ우측의 베이스(114)에 경첩 또는 힌지축 등과 같은 제1 및 제2 힌지부(133, 134)를 통해 힌지결합되고, 제1 및 제2 크로스부재(131, 132)가 중앙 부분은 제3힌지부(135)를 통해 힌지결합된다.The first and second cross members 131 and 132 are hinged to the base 114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rough first and second hinge portions 133 and 134 such as hinges or hinge shafts, and the first and second cross members 131 and 132. 2 cross member (131, 132) the central portion is hinged through the third hinge portion (135).

그리고, 제3힌지부(135)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크로스부재(131, 132)의 펼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136)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이 고정부(136)는 상호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 힌지판(136a, 136b) 및 이 제1 및 제2 힌지판(136a, 136b)의 각 삽입공에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및 제2 다월펜(dowell pin, 136c, 136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hinge part 135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art 136 that maintains the unfold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cross members 131 and 132, as shown in FIG. 4. The first and second hinge plates 136a and 136b rotatably hing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hinge plates 136a and 136b are individually detachably inserted into respective insertion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plates 136a and 136b. It may be made of first and second dowel pens (dowell pins 136c, 136d).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및 제2 크로스부재(131, 132)는 제1 내지 제3 힌지부(133, 134, 135)에 의해 회동되어 접힘(도 5 참조) 및 펼침(도 4 참조) 작동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and second cross members 131 and 132 are pivoted by the first to third hinge portions 133, 134 and 135 to be folded (see FIG. 5) and unfolded (see FIG. 4) to operate. do.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크로스부재(131, 132)가 펼쳐진 경우, 제1 및 제2 힌지판(136a, 136b)의 삽입공에 제1 및 제2 다웰핀(136c, 136d)이 개별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제1 및 제2 크로스부재(131, 132)의 펼쳐진 상태를 고정적으로 유지한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first and second cross members 131 and 132 are unfolded, the first and second dowel pins 136c and the insertion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plates 136a and 136b are formed. By separately inserting 136d, the unfold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cross members 131, 132 is fixedly maintained.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크로스부재(131, 132)를 접고자 할 경우, 제1 및 제2 힌지판(136a, 136b)의 삽입공으로부터 제1 및 제2 다웰핀(136c, 136d) 중에서 어느 하나를 분리한 후에 제1 및 제2 힌지판(136a, 136b)을 상호 회동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크로스부재(131, 132)를 접는다. And, as shown in Figure 5, when folding the first and second cross member (131, 132), the first and second from the insertion hole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plates (136a, 136b) After removing any one of the well pins 136c and 136d, the first and second hinge plates 136a and 136b are rotated with each other to fold the first and second cross members 131 and 132.

한편,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수직지주(111) 중에서 전방 좌우 양측 수직지주(111)들은 연결체(117)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 the front left and right both vertical supports 111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111 may be detachabl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117.

상부 프레임(140)은 좌우측에 복수개의 수직지주(142)를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전ㆍ후ㆍ좌ㆍ우 4개의 수직지주(142)를 구비하며, 각 수직지주(142)는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공(142a)을 구비하고, 이 복수의 관통공(142a)에 후술하는 지지유닛(170)의 측면지지부(173)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upper frame 140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142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preferably includes four vertical supports 142 before, after, left, and right, and each vertical support 142 has its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2a may be provided, and the side support parts 173 of the support unit 17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2a.

각 수직지주(142)는 그 하단부가 하부 프레임(110)의 수평지주(112)측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상단부에는 상부지지체(150)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Each vertical support 142 has a lower end detachably fixed to the horizontal support 112 side of the lower frame 110, and an upper support 15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upper end.

수직지주(142)의 상단부에는 수용홈부(142b)를 구비하고, 이 수용홈부(142b)에 상부 지지체(150)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상부지지체(150)는 좌우로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142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142b, the upper support 15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receiving groove 142b, the upper support 150 may be arranged in a pair left and right. have.

상부지지체(150)는 좌우 양측의 수직지주(142)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절곡되어 수직부(151) 및 수평부(152)를 가진다. The upper support 150 is bent to connect the left and right vertical supports 142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has a vertical portion 151 and a horizontal portion 152.

그리고, 상부지지체(150)의 수직부(151)는 그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키높이에 따라 적절히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vertical portion 151 of the upper support 15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different lengths, an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electively moun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그리고, 수직지주(142)의 관통공(142a)에는 사용자의 키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후술하는 지지유닛(170)의 측면지지부(173)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지지유닛(170)은 그 높이 조절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de support portion 173 of the support unit 1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electively attached to the through hole 142a of the vertical support 142 so that the support unit 170 adjusts its height. Can be adjusted manually.

지지유닛(170)은 상부 프레임(14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운동보조장 치 측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양측면(예컨대, 겨드랑이부분 등)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173), 사용자의 전면(예컨대, 가슴 부분 등)을 지지하는 전면지지부(171), 사용자의 후면(예컨대, 등부분 등)을 지지하는 후면지지부(175)를 포함한다. The support unit 170 is coupled to the upper frame 140 and configured to firmly and stably support the user's body to the exercise assisting device side, and as shown in FIGS. 1 and 2, both sides of the user (eg, Side support 173 supporting the armpit portion, front support 171 supporting the front of the user (for example, the chest, etc.), rear support 175 supporting the rear (for example, the back, etc.) of the user It includes.

측면지지부는(173) 좌우 양측의 수직지주(142)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봉 형태가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이 측면지지부(173)의 양단부는 수직지주(142)의 관통공(142a)들 중에서 어느 일측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그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다(즉, 수동방식으로 지지유닛(170)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짐). The side support portion 173 is formed by connecting the form of connecting rods connecting the vertical supports 142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a pair of left and right to be detachably coupled, and both ends of the side supports 173 are vertical supports 142. The height adjustment is made as it is selectively inserted and fixed to any one side of the through holes 142a of () (that is, the height of the support unit 170 is adjusted in a manual manner).

각 측면지지부(173)의 전방단에는 장착돌기(174)가 구비되며, 각 측면지지부(173)의 전방에는 팔고정밴드(145)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각 측면지지부(173)의 후방에는 외주면에 쿠션재(172)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팔고정밴드(145)는 탄성재질의 중공형 원통 모양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팔 부분을 기밀하게 삽입할 수 있는 구조, 또는 펼침가능한 구조로 그 양단부에 벨크로파스너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팔 부분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벨크로파스너를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팔 부분을 기밀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 등과 같이 다양한 실시형태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A mounting protrusion 174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each side support part 173, and an arm fixing band 145 is detachably mounted at the front of each side support part 173, and at the rear of each side support part 173. The cushioning material 172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ere, the arm fixing band 145 is made of a hollow cylindrical shap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can securely insert the user's arm portion, or expandable structure with a Velcro fastener at both ends thereof to raise the user's arm portion. Modification of various embodiments may be possible, such as a structure that can securely secure an arm of a user by engaging a Velcro fastener in a laid state.

전면지지부(171)는 좌우 양측의 측면지지부(173)를 가로질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되는 연결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는 쿠션재(172)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The front support portion 171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nnecting rod that is detachably coupled across the side support portions 173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cushion member 172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후면지지부(175)는 그 양단부에 구비된 끼움부(175a)가 각 측면지지부(173)의 장착돌기(174)에 끼움결합되는 지지벨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지지벨트 형태의 후면지지부(175)는 그 길이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트라이 글라이드(176) 및 연결고리(177)를 더 구비한다. The rear support portion 175 is formed of a support belt in which the fitting portions 175a provided at both ends thereof are fitted to the mounting protrusions 174 of the respective side support portions 173, and the rear support portion 175 in the form of such a support belt is supported. The triglide 176 and the connecting ring 177 is further provided to facilitate the length adjustment.

또한, 후면지지부(175)에는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쿠션재(178)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쿠션재(178)에 의해 사용자의 후면을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rear support 175 may further include a cushion material 178 that is detachably mounted, and the cushion member 178 may support the rear of the user more comfortably and stably.

한편, 도 1 내지 도 5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장치는, 지지유닛(170)의 높이 조절이 측면지지부(173)의 양단부가 수직지주(142)의 관통공(142a)들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수동방식의 높이조절구조로 구성된 실시형태가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Meanwhile, in the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FIGS. 1 to 5,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support unit 170 is selective at both ends of the side support 173 to the through holes 142a of the vertical support 142. Although the embodiment consists of a manual height adjustment structure coupled to the illustra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지지유닛(170)은 상부 및/하부 프레임(140, 110)에 대해 자동방식으로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support unit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to be adjustable height in an automatic manner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frames 140, 110.

즉, 도면상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지유닛(170)의 측면지지부(173)는 그 양단부에 내부가 빈 중공관체(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이 측면지지부(173)의 중공관체가 수직지주(142)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중공관체의 상하 방향 이동은 유압기구, 공압기구, 또는 전동기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That i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ide support portion 173 of the support unit 170 may have a hollow tube (not shown) having an empty inside at both ends thereof, and the hollow tube of the side support portion 173 is vertically supported. 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142,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ollow tube may be implemented by a hydraulic mechanism, a pneumatic mechanism, or an electric driv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유닛(170)이 자동방식으로 그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채택할 경우,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지지유닛(170)의 높이 조절이 매우 용이해질 수 있을 것이다. As such, when the support unit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adjustment is made in an automatic manner,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support unit 170 may be very easy to fit the user's body shape.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작동관계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노인 또는 재활환자 등과 같은 사용자가 상부 프레임(140)의 수직지주(142)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한 다음, 몸체의 전방면은 전면지지부(171)측에 위치시키고, 몸체의 양측면 겨드랑이를 측면지지부(173)에 끼움과 더불어 후면지지부(175)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끼움부(175a)를 사용자의 몸체에 맞추어 후면지지부(175)의 길이를 조절하고 양측면지지부(173)의 장착돌기(174)측에 끼움결합하면 사용자는 보행운동장치 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위치하게 되고, 양측면 지지부의 전방 외측부에 장착된 팔고정밴드(145)에 양팔을 고정하고 장착돌기(174)를 잡음으로써 상체가 고정되어 보행운동장치에서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몸체를 지지, 신체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며 운동하게 된다. First, a user such as an elderly person or a rehabilitation patient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vertical supports 142 of the upper frame 140, and the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is located on the front support portion 171 side, both sides of the body side sides In addition to fitting to the support 173, the fitting portions 175a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rear support 175 are adjusted to the user's body to adjust the length of the rear support 175 and the mounting protrusions 174 of both side support 173. When fitted to the side, the user is stably supported and positioned in the walking motion device, and both arms are fixed to the arm fixing band 145 mounted on the front outer side of both side support parts, and the upper body is fixed by the mounting protrusion 174. In the walking exercise device, the body is stably and firmly supported, and the body is maintained while standing upright.

또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유닛(130)이 펼치진 상태에서 그 원래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그런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170), 연결체(117) 등을 분리시킨 후에 고정부(136)의 다웰핀(136c, 136d)을 분리하고, 그런 다음에 접힘유닛(130)의 제1 및 제2 크로스부재(131, 132)를 접어 줌으로써 그 운반 및 보관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he original fun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unit 130 is expanded as shown in Figure 4, and then as shown in Figure 5, the support unit 170, the connecting body 117 After removing the dowel pins 136c and 136d of the fixing part 136, and then folding the first and second cross members 131 and 132 of the folding unit 130, Storage can be made easier.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하부 프레임(110)은 좌우 한 쌍의 베이스(114) 및 상기 베이스(114)들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지주(113)를 포함하고, 이 수직지주(113)는 상부 프레임(140) 의 수직지주(14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is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frame 110 is a plurality of vertical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pair of base 11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4 It includes a strut 113, the vertical support 113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structur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support 142 of the upper frame 140.

한편, 도 6에서는, 상부 프레임(140)의 수직지주(142)가 하부 프레임(110)의 수직지주(113)의 내경으로 이동된 후에 수직지주(113)의 관통공(113a)에 체결되는 체결구(117)를 통해 그 이동된 위치가 고정되는 수동방식의 높이조절구조가 예시되어 있지만, 유압기구, 공압기구, 또는 전동기구 등에 의해 상부 프레임(140)의 상하 이동이 구현되는 자동방식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Meanwhile, in FIG. 6, the vertical support 142 of the upper frame 140 is mov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vertical support 113 of the lower frame 110 and then fastened to the through hole 113a of the vertical support 113. Although the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the manual method in which the moved position is fixed through the sphere 117 is illustrated, the automatic type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upper frame 140 is realized by a hydraulic mechanism, a pneumatic mechanism, or an electric mechanism. It may be made of.

이와 같이, 하부 프레임(110)의 수직지주(113)가 상부 프레임(140)의 수직지주(14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됨에 따라, 지지유닛(170)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As such, as the vertical support 113 of the lower frame 110 is moved relative to the vertical support 142 of the upper frame 140, the height of the support unit 170 is adjusted.

그외에 나머지 구성 및 작동관계는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lationship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제2실시예의 운동보조장치는 애견의 체형에 맞추도록 그 사이즈를 변형한 예이다. 7 and 8 are views showing the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n example in which the size is modified to fit the body of the dog.

이러한 제2실시예의 운동보조장치는, 애견의 몸통을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유닛(310)이 상부 프레임(140)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xercise assisting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unit 310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body of the dog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frame 140 side.

상부 프레임(140)의 수직지주(142) 측에는 걸림구(301)가 개별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유닛(310)은 상부 프레임(140) 측에 복수의 지지끈(314)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애견 등과 같은 애완동물을 지지하는 복수의 하네스(311, 312, 313)을 포함한다. A fastener 301 is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142 side of the upper frame 140, and the support unit 31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140 by a plurality of support straps 314. And a plurality of harnesses 311, 312, 313 for supporting a pet such as a dog.

이러한 복수의 하네스(311, 312, 313)는 애완동물의 앞다리를 끼우는 앞다리끼움하네스(311), 애견의 가슴 및 복부를 감싸고 지지하는 복부하네스(312), 상기 앞다리끼움하네스(311) 및 복부하네스(312)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애견의 몸체 하복부를 지지하는 하복부지지하네스(313)로 구성되어 애견의 몸체 전방 및 후방을 지지 내지는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네스(311, 312, 313)에 연결된 복수의 지지끈(314)을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harnesses (311, 312, 313) is the front leg fitting harness (311) for fitting the front leg of the pet, the abdomen harness 312 surrounding and supporting the dog's chest and abdomen, the front leg harness (311) and abdomen harness The lower abdomen support harness 313 for supporting the lower body of the dog while the detachable connection (312) is characterized in that to support or fix the front and rear of the body of the dog, the harness (311, 312, 313) I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straps 314 connected to.

이러한 제2실시예의 운동보조장치는, 애견의 몸체 전방 및 후방을 지지, 고정하는 지지유닛(310)을 착용시킨 후에 각 지지끈(314)을 걸림구(301)측에 개별적으로 걸어줌으로써 그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하네스(311, 312, 313)에 적응하여 운동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하네스(311, 312, 313)에 익숙해진 애견은 복부하네스(312)와 하부지지하네스(313)를 분리하고 앞다리끼움하네스(311)만을 착용하면서도 안전하고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런닝머신 등과 같은 운동기구에 적용함으로써 애견이 보다 쉽게 런닝머신에서 보행 및 주행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In the exercise assisting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after the support unit 310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body of the dog is worn, the support straps 314 are individually hooked to the latching hole 301 side. By maintaining the support state, it is possible to adapt and exercise the harnesses 311, 312, and 313, and the dogs familiar with the harnesses 311, 312 and 313 may use the abdomen harness 312 and the lower support harness 313. Remove and wear only the front leg harness (311) can be safe and free to exercise. Through this process, the dog can more easily walk and run on the treadmill by applying it to an exercise machine such as a treadmill.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9 and 10 are views showing the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립보행운동장치는 하부 프레임(210), 상부 프레임(240), 및 지지유닛(270)을 포함한다. As shown, the upright walking exercis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frame 210, an upper frame 240, and a support unit 270.

하부 프레임(210)은 상호 연결된 복수의 수직지주(211) 및 수평지주(212)를 포함한다. The lower frame 210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211 and horizontal supports 212 connected to each other.

수직지주(211)는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중공부에 후술하는 상부 프레임(240)의 수직지주(241)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The vertical support 211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having a hollow portion therein, and the vertical support 241 of the upper frame 24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to be movable.

수평지주(212)는 한 쌍의 수직지주(211)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연결봉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horizontal support 212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nnecting rod connecting across a pair of vertical support 211.

상부 프레임(240)은 상호 연결된 복수의 수직지주(241) 및 수평지주(242)를 포함한다. The upper frame 240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241 and horizontal supports 242 connected to each other.

수직지주(241)는 하부 프레임(210)의 수직지주(211)의 중공부를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vertical column 241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hollow portion of the vertical column 211 of the lower frame 210.

수평지주(242)는 한 쌍의 수직지주(241)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연결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orizontal support 24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nnecting rod connecting across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241.

지지유닛(270)은 상부 프레임(240)의 수직지주(241)측에 연결브라켓(277)을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보행운동장치 측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도 9 및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양측면(예컨대, 겨드랑이부분 등)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273), 사용자의 전면(예컨대, 가슴 부분 등)을 지지하는 전면지지부(271), 사용자의 몸통(예컨대, 가슴 및 허리 일부분 등)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몸통지지부(275)를 포함한다. The support unit 27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vertical support 241 side of the upper frame 240 through the connection bracket 277 so that the user's body can be firmly and stably supported on the walking exercise device side. 9 and 10, the side support 273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user (eg, the armpit), the front support 271 supporting the front of the user (eg, the breast), and the like. And a torso support 275 that surrounds and supports the user's torso (eg, a portion of the chest and waist).

연결브라켓(277)은 상부 프레임(240)측에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수직지주(241)측에 체결구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연결브라켓(277) 상에 측면지지부(273), 전면지지부(271) 및 몸통지지부(275)가 연결된다. The connecting brackets 277 are arrang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on the upper frame 240 side, and both ends thereof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a fastener or the like on the vertical support 241 side. The support part 273, the front support part 271, and the trunk support part 275 are connected.

측면지지부(273)는 수평부(273a) 및 이 수평부(273b)에 직각으로 벤딩된 한 쌍의 벤딩부(273b)를 포함하며, 벤딩부(273b)의 각 단부는 완충유닛(278)에 의해 연결브라켓(277)에 완충적으로 지지된다. The side support portion 273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273a and a pair of bending portions 273b bent at right angles to the horizontal portion 273b, and each end of the bending portion 273b is connected to the buffer unit 278. It is buffered by the connecting bracket (277) by.

한편, 벤딩부(272b)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유닛(278)측 에 수직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방향(도 15)으로 절곡되거나 내측방향(도 16)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적절히 맞출 수도 있을 것이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13 and 14, the bending part 272b may be formed in a vertical state on the buffer unit 278 side, and as shown in FIGS. 15 and 16, in an outward direction (FIG. 15). ) Or bent inwardly (FIG. 16) to suit the user's body shape.

그리고, 측면지지부(273)의 수평부(273a)에는 쿠션재(272)가 구비될 수 있고, 이 쿠션재(272)는 지퍼 또는 벨크로파스너 등과 같은 부착수단(272a)을 구비하여 그 교체 및/또는 탈부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A cushion member 272 may be provided at the horizontal portion 273a of the side support portion 273, and the cushion member 272 may be provided with an attachment means 272a such as a zipper or a Velcro fastener to replace and / or detach it. May be made easier.

완충유닛(278)은 그 내부에 중공부(278a)를 구비하고, 이 중공부(278a) 내에는 측면지지부(273)의 벤딩부(273b)의 각 단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이 중공부(278a)의 상부 내경면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피복캡(278c)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중공부(278a)의 하부에는 판재스프링, 압축스프링, 판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278b)가 설치된다. The shock absorbing unit 278 has a hollow portion 278a therein, and each end of the bending portion 273b of the side support portion 273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278a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 covering cap 278c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hollow part 278a, and an elastic member 278b such as a plate spring, a compression spring, a leaf spring, etc. may be disposed below the hollow part 278a. Is installed.

그리고, 이 완충유닛(278)의 중공부(278a) 내로 삽입되는 벤딩부(273b)의 각 단부에는 마감캡(279)이 구비될 수 있고, 이 마감캡(279)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마감캡(279)의 외주면에는 금속재질의 피복캡(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And, each end of the bending portion 273b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278a of the buffer unit 278 may be provided with a closing cap 279, the closing cap 279 is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nishing cap 279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metal coating cap (not shown).

한편, 본 발명의 완충유닛은 도 13에 도시된 형태의 완충유닛에만 한정되지 않고, 그외에도 가스스프링, 스테이댐퍼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완충유닛이 적용가능할 것이다. Meanwhile, the shock absorb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ock absorbing unit of the type shown in FIG.

전면지지부(271)는 좌우 한 쌍의 연결브라켓(277)의 전방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손잡이프레임(274), 좌우 한 쌍의 손잡이프레임(274)을 가로질 러 설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크로스부재(276), 및 2개 이상의 크로스부재(276)에 감겨지는 쿠션재(277)를 포함한다. The front support part 271 includes at least two left and right pairs of handle frames 274 separate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left and right pairs of connecting brackets 277 and at least two pairs of handle frames 274 intersected with each other. A cross member 276, and a cushioning material 277 wound around two or more cross members 276.

손잡이프레임(274)의 측면에는 팔고정밴드(245)가 구비될 수 있고, 이 팔고정밴드(245)는 탄성재질의 중공형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팔부분을 기밀하게 삽입할 수 있는 구조, 또는 양단부에 벨크로파스너등과 같은 부착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팔부분을 기밀하게 조여주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실시가능할 것이다. The side of the handle frame 274 may be provided with an arm fixing band 245, the arm fixing band 245 is made of a hollow cylindrical shape of the elastic material structur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user's arm tightly, Or i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forms, such as a structure that can be fixed while tightening the user's arm tightly with an attachment means such as Velcro fasteners at both ends.

크로스부재(276)는 쿠션재(277)가 감겨지는 부분에 롤(276a)을 구비할 수 있고, 이 롤(276a)에 의해 쿠션재(277)가 사용자의 신체에 보다 부드럽게 접촉할 수 있게 한다. The cross member 276 may include a roll 276a at a portion where the cushion member 277 is wound, and the roll member 276a allows the cushion member 277 to contact the user's body more smoothly.

이러한 쿠션재(276)는 크로스부재(276)의 롤(276a)에 감겨져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의 가슴, 배 등과 같은 전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As the cushion member 276 is wound and installed on the roll 276a of the cross member 276, the cushion member 276 may stably support the front surface such as the user's chest and stomach.

한편, 도 11은 도 10의 전면지지부(271)에 대한 대안적인 변형실시예로서, 전면지지부(271)는 측면지지부(273)의 전방측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봉(278)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전면지지부(271)의 연결봉(278)는 도 11에서 벤딩된 형태로 예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Meanwhile, FIG. 11 is an alternative modified embodiment of the front support part 271 of FIG. 10, and the front support part 27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nnecting rod 278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side support part 273. Although the connecting rod 278 of the front support portion 271 is illustrated in the bent form in Figure 11,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연결봉(278)의 외면에는 쿠션재(279)가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도 있다. The cushioning material 279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278.

몸통지지부(275)는 사용자의 몸통 예컨대 가슴 일부, 허리 등을 완전히 감싸안으면서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척추를 압박, 보호하고, 사용자의 몸통을 견고하 고 안정되게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한다.Torso support 275 is to completely support the user's torso, such as a part of the chest, waist, etc. while supporting, thereby compressing and protecting the user's spine, to maintain the user's torso firmly and stably upright.

몸통지지부(275)는 그 양단에 벨크로파스너 등과 같은 부착수단(275d)을 구비한 펼침가능한 구조의 척추밴드(275a), 이 척추밴드(275a)의 상부 및 하부에 개별적으로 구비된 상부 걸이벨트(275b) 및 하부 걸이벨트(275c)를 포함한다. The trunk support portion 275 has an expandable spine band 275a having an attachment means 275d such as a velcro fastener at both ends thereof, and an upper hanger belt separately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pine band 275a. 275b) and a lower hanger belt 275c.

척추밴드(275a)는 사용자의 허리 및 가슴 일부분에 착용된 후에 그 양단을 벨크로파스너 등과 같은 부착수단(275d)에 의해 부착시켜 사용자의 몸통에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척추를 압박, 보호한다.The spine band 275a is worn on a part of the user's waist and chest, and both ends thereof are attached to the user's torso by pressing the attachment means 275d such as Velcro fasteners, thereby compressing and protecting the user's spine.

척추밴드(275a)는 사용자의 척추를 압박, 보호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면 및 외측면에는 쿠션재 등이 부착될 수도 있다. The spine band 275a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sufficient rigidity to compress and protect the user's spine, and cushioning materials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thereof.

상부 및 하부 걸이벨트(275b, 275c)는 척추밴드(275a)의 상하부에 개별적으로 적어도 4개씩 구비될 수 있고, 각 걸이벨트(275b, 275c)들은 트라이 글라이드(275e) 및 연결고리(275f) 등에 의해 그 길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각 단부(275g)는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브라켓(277)의 각 단부에는 끼움돌기(280)가 개별적으로 돌출되고, 이 끼움돌기(280)의 소정위치에는 환형의 테두리(281)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upper and lower hook belts 275b and 275c may be provided at least four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pinal band 275a, respectively, and the hook belts 275b and 275c may be tri-glides 275e and connecting rings 275f, and the like. By means of which the length can be freely adjusted, each end 275g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ing. Then, the fitting protrusions 280 are individually projected at each end of the connecting bracket 277, and the annular edge 281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tting protrusions 280.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부 및 하부 걸이벤트(275b, 275c)의 각 단부는 연결브라켓(277)의 끼움돌기(280)에 끼워져, 척추밴드(275a)를 연결브라켓(277)측에 지지시킨다. 예컨대, 각 상부 걸이벨트(275b)의 단부는 끼움돌기(280)의 테두리(281) 상부측에 끼워지고, 각 하부 걸이벨트(275c)의 단부는 끼움돌기(280)의 테두리(281) 하부측에 끼워질 수 있을 것이다. By this configuration, each end of the upper and lower hook events 275b and 275c is fitted into the fitting protrusion 280 of the connecting bracket 277 to support the spinal band 275a to the connecting bracket 277 side. For example, an end of each upper hanger belt 275b is fitted to the upper side of the edge 281 of the fitting protrusion 280, and an end of each lower hanger belt 275c is a lower side of the edge 281 of the fitting protrusion 280. Will be able to fit in.

이와 같이, 각각 4개 이상의 상부 및 하부 지지벨트(275b, 275c)를 연결브라켓(277)에 설치된 끼움돌기(280)측에 개별적으로 끼워줌으로써, 사용자의 몸통은 상부 및 하부에서 개별적으로 4점 이상으로 지지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몸통은 상부 및 하부가 4점 이상으로 지지되어 견고하고 안정되게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such, by separately fitting four or more upper and lower support belts 275b and 275c to the fitting protrusion 280 installed on the connecting bracket 277, the user's body is individually four or more points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s a result, the user's torso is supported at four or more points at the top and the bottom thereof to maintain a firm and stable upright state.

한편, 도 17 및 도 18은 상부 및 하부 프레임(240, 210)이 수동식으로 상호 이동가능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Meanwhile, FIGS. 17 and 18 illustrate structures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frames 240 and 210 are manually moved to each other.

하부 프레임(210)의 수직지주(211)는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중공부에 상부 프레임(240)의 수직지주(241)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240)의 수직지주(241)의 하단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마감캡(291)이 구비되고, 하부 프레임(210)의 수직지주(211)의 중공부 상부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피복캡(29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마감캡(291) 및 피복캡(292)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부 프레임(240)의 수직지주(241) 및 하부 프레임(210)의 수직지주(211)가 상대적으로 이동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소음 등이 방지될 수 있다. The vertical support 211 of the lower frame 2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having a hollow portion therein, and the vertical support 241 of the upper frame 240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241 of the upper frame 240 is provided with a closing cap 291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top of the hollow portion of the vertical support 211 of the lower frame 210 coated cap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292 may be provided. As the finishing cap 291 and the coating cap 292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t may occur when the vertical support 241 of the upper frame 240 and the vertical support 211 of the lower frame 210 relatively move. Various noises can be prevented.

그리고, 하부 프레임(210)의 수직지주(211)는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211a)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211a)에는 고정나사(293)의 나사부(293a)가 관통된다. 마감캡(291)은 그 하부면에 반원형의 홈(291a)이 형성되고, 이 반원형의 홈(291a)은 고정나사(293)의 나사부(293a)에 지지되며, 고정나사(293)는 고정너트(294)에 의해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vertical support 211 of the lower frame 210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1a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e screw portion 293a of the fixing screw 293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holes 211a. The closing cap 291 has a semicircular groove 291a formed at a lower surface thereof, and the semicircular groove 291a is supported by the screw portion 293a of the set screw 293, and the set screw 293 is a set nut. 294 is fixed.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부 프레임(240)의 수직지주(241)는 하부 프레임(210)의 수직지주(211) 중공부에서 이동된 후에 고정나사(293) 및 마감캡(291) 등에 의해 그 이동된 위치가 고정된다. By this configuration, the vertical support 241 of the upper frame 240 is moved in the hollow of the vertical support 211 of the lower frame 210, and then moved by the fixing screw 293 and the closing cap 291, or the like. The position is fixed.

대안적으로, 본 실시예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240, 210)은 유압, 공압 또는 전동기구 등에 의해 상대적인 이동이 구현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upper and lower frames 240 and 21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by relative movement by hydraulic, pneumatic or power mechanism.

도 19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상부 및 하부 프레임(240, 210)의 상대적인 이동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Figure 19 illustrates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alternative upper and lower frames 240,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상부 프레임(240)의 수직지주(241) 및 하부 프레임(210)의 수직지주(211) 사이에는 가스스프링(295)이 설치되고, 이 가스스프링(295)은 그 일측에 이동가능한 피스톤로드(295a)를 구비하고, 이 피스톤로드(295a)의 자유단부에는 와이어 케이블 또는 플렉시블 호스 등과 같은 플렉시블 부재(295b)를 통해 푸쉬버튼(295c)이 연결된다. 여기서, 플레시블 부재(295b)는 상부 프레임(240) 또는 하부 프레임(210) 내부에 은폐되어 설치될 수 있다. A gas spring 295 is installed between the vertical supports 241 of the upper frame 240 and the vertical supports 211 of the lower frame 210, and the gas springs 295 are movable piston rods 295a on one side thereof. The pushbutton 295c is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piston rod 295a via a flexible member 295b such as a wire cable or a flexible hose. Here, the flexible member 295b may be concealed and installed inside the upper frame 240 or the lower frame 210.

이러한 구성에 의해, 푸쉬버튼(295c)의 누름 작동에 의해 피스톤로드(295a)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푸쉬버튼(295c)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피스톤로드(295a)의 이동이 정지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With this structure, the piston rod 295a can be moved up and down by the push operation of the pushbutton 295c, and when the pushbutton 295c is released, the piston rod 295a is stopped and its position is stopped. Is fix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240, 210)의 상대적인 이동이 자동방식에 의해 구현될 경우,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지지유닛(270)의 높이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As such, when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240 and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the automatic method, height adjustment of the support unit 270 may be more easi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몸통지지부(275)의 척추밴 드(275a)에 의해 사용자의 척추를 압박하여 보호하고, 척추밴드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상,하부 걸이벨트에 의해 사용자의 몸통이 직립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상부 및 하부 프레임(240, 210)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그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함과 더불어 그 조절된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 및 유지시킴으로써, 사용자는 그 척추가 직립된 상태에서 전신 보행운동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o protect the user's spine by the spine band (275a) of the body support 275, the user by the upper and lower hook belt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spine band The torso of the body can be maintained firmly upright,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240, 210 are relatively movable structure to easily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and the adjusted position firmly By firmly fixing and maintaining the user, the user can perform the whole body walking exercise and the like more effectively in the state where the spine is uprigh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노인 및 재활환자의 상체 부분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뿐만 아니라 노인 및 재활환자의 체중을 지탱하여 노인 및 재활환자가 직립된 상태에서 전신 보행운동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not only firmly and stably fix the upper body portion of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to perform the whole-body walking exercise and the like in the upright state It has a subsidiary effect.

또한, 본 발명은 노인 및 재활환자가 보행운동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지지유닛의 착용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어 그 사용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ery easy to wear the support unit in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using the walking exercise device can improve its ease of use.

그리고, 본 발명은 몸통지지부의 척추밴드로 사용자의 척추를 압박, 보호하고 척추밴드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상,하부 걸이벨트로 사용자의 몸통을 직립상태로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그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함과 더불어 그 조절된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 및 유지시킴으로써, 사용자는 그 척추가 직립된 상태에서 전신 보행운동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s and protect the user's spine with the spine band of the body support and to maintain the user's torso in an upright state with the upper and lower hook belt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spine band, the user's height By adjusting the height easily and firmly fixing and maintaining the adjusted position, the user can more effectively perform the whole body walking motion and the like while the spine is upright.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 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Implementation will be possible.

Claims (13)

삭제delete 삭제delete 복수의 수직지주를 구비한 하부 프레임; A low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상기 하부 프레임의 수평지주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수직지주를 구비한 상부 프레임; 및 An upp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detachably mounted on the horizontal supports of the lower frame; And 상기 상부 프레임에 장착되어 몸체를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And a support unit mounted to the upper frame to support and fix the body. 상기 지지유닛은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끼우는 측면지지부, 사용자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지지부, 및 사용자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지지부를 구비하며, The support unit is installed to be adjustable height, and has a side support portion to fit the user's armpit, the front support for supporting the front of the user, and the rear support for supporting the rear of the user, 상기 측면지지부는 좌우 양측의 수직지주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봉이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각 측면지지부의 전방단에는 장착돌기가 구비되며, The side support portion is formed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rods connecting the vertical support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a pair of left and right to be detachably coupled, the front end of each sid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rojection, 상기 전면지지부는 좌우 양측의 측면지지부를 가로질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되는 연결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The front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connecting rods that are detachably coupled across the side support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상기 후면지지부는 그 양단부에 구비된 끼움부가 각 측면지지부의 장착돌기에 끼움결합되는 지지벨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보조장치.The rear support portion of the exercise assi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portion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belt is fitted to the mounting projection of each side support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상부 프레임 측에 복수의 지지끈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하네스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하네스는 애완동물의 앞다리를 끼우는 앞다리끼움하네스, 애견의 가슴 및 복부를 감싸고 지지하는 복부하네스, 및 상기 앞다리끼움하네스 및 복부하네스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애견의 몸체 하복부를 지지하는 하복부지지하네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보조장치.The support unit has a plurality of harnesse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side by a plurality of support straps, wherein the plurality of harnesses wrap and support the front leg harness to fit the front leg of the pet, the dog's chest and abdomen And a lower abdominal support harness supporting the lower abdomen of the dog while detachably connecting the forefoot harness and the abdominal harness.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하부프레임은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The lower frame further includes a base, 상기 베이스는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좌우 베이스 전방부에는 접힘및 펼침가능하게 연결 및 설치되는 접힘유닛을 더 구비하며, The base is dispos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the left and right base further comprises a folding unit that is connected and installed to be folded and unfoldable, 상기 접힘유닛은 좌측의 베이스 및 우측의 베이스에 개별적으로 접힘 및 펼침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제1 및 제2 크로스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크로스부재는 상호 접힘 및 펼침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보조장치. The folding unit includes first and second cross members that are individually folded and hingedly coupled to the base on the left and the base of the right, and the first and second cross members are hinged to each other to be folded and unfoldable. Exercise aids,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지지유닛은 자동 및 수동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조에 의해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보조장치.The support unit is an exercise assi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adjustable by any one of the structure of the automatic and manual. 삭제delete 삭제delete 복수의 수직지주를 구비한 하부 프레임;A low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상기 하부 프레임의 수직지주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수직지주 및 수평지주를 구비한 상부 프레임; 및 An upp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and horizontal supports movably connected to the vertical supports of the lower frame; And 상기 상부 프레임에 연결브라켓을 매개로 장착되고, 사용자의 상체 부분을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And a support unit mounted to the upper frame through a connection bracket and supporting and fixing the upper body part of the user. 상기 지지유닛은 사용자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 사용자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지지부, 및 사용자의 몸통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몸통지지부를 구비하며, The support unit includes a side support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user, a front support for supporting the front of the user, and a body support for supporting the body of the user, 상기 측면지지부는 수평부 및 이 수평부에 직각으로 벤딩된 한 쌍의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의 각 단부는 완충유닛에 의해 연결브라켓에 완충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보조장치.And the side support portion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and a pair of bending portions bent at right angles to the horizontal portion, and each end portion of the bending portion is buffered to the connecting bracket by a buffer unit.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전면지지부는 좌우 한 쌍의 연결브라켓의 전방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손잡이프레임, 좌우 한 쌍의 손잡이프레임을 가로질러 설치된 2개 이상의 크로스부재, 및 2개 이상의 크로스부재에 감겨지는 쿠션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보조장치.The front support part is a cushioning material wound on the left and right pair of handle frames individual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left and right pair of connecting brackets, two or more cross members provided across the left and right pair of handle frames, and two or more cross members. Exercise aids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전면지지부는 상기 측면지지부의 전방측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봉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보조장치.The front support portion is an exercise assi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of connecting rod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side support.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몸통지지부는 그 양단에 부착수단을 구비한 펼침가능한 구조의 척추밴드, 상기 척추밴드의 양측면 상부 및 하부에 개별적으로 구비된 상부 걸이벨트 및 하부 걸이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보조장치.The torso support part includes an expandable spine band having attachment means at both ends thereof, and an upper hanger belt and a lower hanger belt respectively provided at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pine band.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상부 걸이벨트 및 하부 걸이벨트는 척추밴드의 양측면 상하부에 개별적으로 적어도 4개씩 구비될 수 있고, 각 걸이벨트의 단부들은 연결브라켓 측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보조장치.The upper hook belt and the lower hook belt may be provided separately at least four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pine band, each end of the hook bel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bracke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onnecting bracket.
KR1020060086547A 2006-07-12 2006-09-08 Apparatus for assistanting training and walking KR1007180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3375 WO2008007904A1 (en) 2006-07-12 2007-07-12 Apparatus for assistanting training and wal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412 2006-07-12
KR20060065412 2006-07-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8059B1 true KR100718059B1 (en) 2007-05-14

Family

ID=3827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547A KR100718059B1 (en) 2006-07-12 2006-09-08 Apparatus for assistanting training and wal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05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787B1 (en) 2007-09-06 2009-02-18 박홍재 Tread mill
KR100939288B1 (en) * 2008-03-10 2010-01-28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Sensor using load cell for walking practice appartus, support frame for walking practice robot and pulling apparatus for walking practice robot using the same
KR101093209B1 (en) 2009-04-14 2011-12-12 정인성 Exercise Apparatus for Animal's
KR102433596B1 (en) * 2021-10-21 2022-08-18 김현성 An assistive device capable of spinal negative pressure walk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4543A (en) 1999-08-19 2001-02-27 Chuji Ogose Highly-functional caster walker for aged person
JP2001187096A (en) 1999-12-28 2001-07-10 Silk House:Kk Walk-assisting utensil
JP2003210538A (en) 2002-12-26 2003-07-29 Masato Nakayashiki Walking aid
KR100623417B1 (en) * 2006-02-21 2006-09-13 박홍재 Device for helping walking for senior and patient who need remedial exerci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4543A (en) 1999-08-19 2001-02-27 Chuji Ogose Highly-functional caster walker for aged person
JP2001187096A (en) 1999-12-28 2001-07-10 Silk House:Kk Walk-assisting utensil
JP2003210538A (en) 2002-12-26 2003-07-29 Masato Nakayashiki Walking aid
KR100623417B1 (en) * 2006-02-21 2006-09-13 박홍재 Device for helping walking for senior and patient who need remedial exercis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787B1 (en) 2007-09-06 2009-02-18 박홍재 Tread mill
WO2009031867A1 (en) * 2007-09-06 2009-03-12 Hong Jae Park Tread mill
KR100939288B1 (en) * 2008-03-10 2010-01-28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Sensor using load cell for walking practice appartus, support frame for walking practice robot and pulling apparatus for walking practice robot using the same
KR101093209B1 (en) 2009-04-14 2011-12-12 정인성 Exercise Apparatus for Animal's
KR102433596B1 (en) * 2021-10-21 2022-08-18 김현성 An assistive device capable of spinal negative pressure walk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19568A (en) Invalid walking and exercising apparatus
KR101124662B1 (en) Body rotation exercising machine
JP3180637U (en) stretcher
KR101236281B1 (en) Rowing machine for the persons who have lower body paralysis
US7632223B2 (en) Portable weight bearing postural correction device
KR20150136439A (en) Cervical vertebral self traction apparatus using muscular strength of lower limb
US201400739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knee rehabilitation
JP2007111382A (en) Walking training implement
KR100718059B1 (en) Apparatus for assistanting training and walking
US20210298980A1 (en) Spinal Alignment System and Method
JP2008546460A (en) Processing equipment for the human body
KR102022567B1 (en) Weight training device for disabled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JP2004089665A (en) Auxiliary means for inhibiting contracture
JP5124723B2 (en) Exercise equipment
CN205515398U (en) Guide tracked full angle patella ulnaris joint treatment bed with adjustable strength gesture
CN211326588U (en) Low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N212416863U (en) Auxiliary exercise chair for stretching knees in seat
KR200477537Y1 (en) Portable Manual Therapy Assister
WO2008007904A1 (en) Apparatus for assistanting training and walking
TWM549641U (en) Fitness equipment
CN206621726U (en) Nursing device for rehabilitation
KR100603746B1 (en) The device of stretching-motion, physiotherapy which same time draws the body to the both sides.up and down
JP5163976B2 (en) Fitness training machine
CN105560002B (en) A kind of adjustable guide tracked full angle patella ulnaris treatment of joint disease bed of strength attitude
CN220256748U (en) Training device for joint rehabilitation nur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