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033B1 - 영상 부호화기의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부호화기의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033B1
KR100717033B1 KR1020050092663A KR20050092663A KR100717033B1 KR 100717033 B1 KR100717033 B1 KR 100717033B1 KR 1020050092663 A KR1020050092663 A KR 1020050092663A KR 20050092663 A KR20050092663 A KR 20050092663A KR 100717033 B1 KR100717033 B1 KR 100717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efficients
equal
motion vector
predetermined
predi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7534A (ko
Inventor
이남숙
심우성
박찬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2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033B1/ko
Publication of KR20070037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9Scanning of coding units, e.g. zig-zag scan of transform coefficients or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F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부호화시에 움직임이 적은 변환 블록의 AC 계수를 스킵함으로써 영상의 잡음을 제거하는 영상 부호화시의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잡음 제거 방법은 인터 모드로 예측된 변환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소정 범위 이내이거나 예측 움직임 벡터와 동일한 경우 AC 계수들이 스캐닝 순서상 n 번째(n은 정수) 이전의 AC 계수들은 0, 상기 n번째부터의 AC 계수들은 소정 크기 이하의 값 및 0으로 구성되며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값을 갖는 AC 계수의 개수가 소정 기준값 이하인 경우, AC 계수들을 모두 0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사람의 눈에 민감한 움직임이 적은 영역의 잡음을 제거함으로써 영상의 주관적 화질을 향상시키고, 발생되는 비트량을 감소시켜 부호화기의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부호화기의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noise in image encoder}
도 1은 H.264의 매크로블록 및 서브 매크로블록의 분할에 따른 예측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시의 잡음 제거 장치가 적용되는 영상 부호화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잡음 제거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도 3의 스캔부에서 변환 계수를 스캔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시의 잡음 제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단계 550의 구체적인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은 영상 부호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부호화시에 움직임이 적은 변환 블록의 AC 계수를 스킵함으로써 영상의 잡음을 제거하는 영상 부호화시의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H.264/MPEG-4 AVC(Advanced Video Coding) 비디오 코덱(codec)에서는 블록 단위의 샘플 데이터에 대하여 예측(prediction process)을 수행하여 예측 샘플로 이루어진 예측 블록(prediction block)을 구하고, 이를 변환 및 양자화(transform & quantize)하는 방식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한다.
예측(prediction)의 방식으로는 인트라 예측(intra prediction)과 인터 예측(inter prediction)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인터 예측의 경우, 인코딩/디코딩 과정과 디블로킹 필터링 과정을 거친 참조 픽처(reference picture)를 참고하여 움직임 보상/추정(motion compensation/estimation)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예측이 이루어진다. 인트라 예측의 경우, 현재 픽처 내에서 이미 인코딩된 주변 블록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측을 수행한다. 예측과, 변환 및 양자화 과정을 거쳐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는, 엔트로피 인코딩(entropy coding) 과정을 통하여 다시 한번 압축되어 H.264 표준에 따른 비트스트림이 된다.
도 1은 H.264의 매크로블록 및 서브 매크로블록의 분할에 따른 예측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터 예측을 수행하는 경우, 가능한 블록의 모양 및 크기를 나타내는 예측 모드가 도시되어 있다. 가능한 예측 모드는 매크로블록에 대하여 16x16 예측 모드, 8x16 예측 모드, 16x8 예측 모드, 8x8 예측 모드가 존재한다. 또한, 8x8의 서브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4x8 예측 모드, 8x4 예측 모드, 4x4 예측 모드가 존재한다.
인터 예측 경우에는 이상의 7가지 예측 모드 단위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x8 예측 모드의 경우, 매크로 블록 내의 4개의 8x8 블록이 각각의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8x8 블록들은 그 내부에서 다시 작은 블록 단위로 나뉘어 예측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어진 픽처의 특성에 따라 효율적인 예측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압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각 예측 모드의 인터 예측의 경우에는, 정화소 움직임 예측(integer pel motion estimation)을 수행한 후에, 가장 코스트가 작은 픽셀을 중심으로 부화소 움직임 예측(sub pel motion estimation)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정화소 움직임 예측과 부화소 움직임 예측을 수행한 후에 각각의 코스트(cost) 값들을 비교하여 최소의 코스트를 갖는 예측모드로 최종 예측 모드를 정한다.
상기 결정된 최종 예측 모드에 따라 생성된 예측 블록과 원 영상의 대응되는 블록 사이의 차이인 오차(residue) 블록은 DCT 변환 및 양자화를 거치고, 양자화된 변환 계수로 구성되는 변환 블록이 출력된다.
상기 변환 블록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좌상측에 위치한 DC 계수와 상기 DC 계수를 제외한 AC계수들로 구성되며, 상기 AC 계수는 0이 아닌 계수를 적게 포함하고 0값을 갖는 계수를 많이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움직임이 적은 영역에 대해서도 상기 AC 계수 성분에 대한 별다른 처리과정 없이 엔트로피 부호화함으로써 비트 레이트(bit rate)가 높아진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움직임이 적은 영역에서 양자화의 영향으로 인해서 잡음을 느끼게 되는 깜박임 현상(blinking effect)이 발생하여 주관적 화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영상에서 사람의 눈에 민감한 움직임이 적은 영역의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부호화된 영상의 주관적 화질을 개선하는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호화된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동시에, 발생되는 비트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영상 압축 효율을 향상시키는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잡음 제거 방법은, 인터 모드로 예측된 변환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소정 범위 이내이거나 예측 움직임 벡터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벡터가 소정 범위 이내이거나 예측 움직임 벡터와 동일한 경우, 상기 변환 블록의 AC 계수들을 스캐닝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 순서상 n 번째(n은 정수) 이전의 AC 계수들은 0, 상기 n번째부터의 AC 계수들은 소정 크기 이하의 값 및 0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값을 갖는 AC 계수의 개수가 소정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AC 계수들을 모두 0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잡음 제거 장치는, 영상 부호화기의 잡음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인터 모드로 예측된 변환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소정 범위 이내이거나 예측 움직임 벡터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 기 움직임 벡터가 소정 범위 이내이거나 예측 움직임 벡터와 동일한 경우, 상기 변환 블록의 AC 계수들을 스캐닝하는 스캔부; 상기 스캔부에서 스캔된 AC 계수들의 스캐닝 순서상 n 번째(n은 정수) 이전의 AC 계수들은 0, 상기 n번째부터의 AC 계수들은 소정 크기 이하의 값 및 0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값을 갖는 AC 계수의 개수가 소정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AC 계수들을 모두 0으로 변환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시의 잡음 제거 장치가 적용되는 영상 부호화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부호화되는 영상에서 움직임이 적은 영역이 사람의 눈에 민감하기 때문에, 상기 움직임이 적은 영역이 어떻게 부호화되는지에 따라서 주관적 화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움직임이 적은 영역에 대응되는 변환 블록의 AC 계수를 0으로 변환한 다음 엔트로피 부호화를 통해 압축함으로써 비트 레이트를 감소시키면서도 주관적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는 예측부(110), 변환 및 양자화부(120), 잡음 제거부(130) 및 엔트로피 코딩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잡음 제거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잡음 제거 장치에 대응된다.
예측부(110)는, 인터 예측과 인트라 예측을 수행한다. 인터 예측은, 이미 디코딩된 후 디블로킹 필터링이 수행되어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픽처(reference picture)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을 예측하는 것을 말한다. 즉, 픽처들간의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예측부(110)는 움직임 추정부(111) 및 움직임 보상부(112)를 구비한다. 인트라 예측은, 이미 부호화 및 복호화된 픽처 내에서, 예측하고자 하는 블록에 인접한 블록의 픽셀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 예측을 수행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위하여 인트라 예측 수행부(116)를 구비한다. H.264 표준안에서는 각 픽쳐내의 매크로블록들을 슬라이스에 배열하며, I 슬라이스는 I 매크로블록만을 포함할 수 있고, P 슬라이스는 P 매크로블록과 I 매크로블록을 포함할 수 있으며, B 슬라이스는 B 매크로블록과 I 매크로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 매크로블록은 현재 슬라이스 내의 복호화된 샘플로부터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되며, P 및 B 매크로블록은 참조 픽쳐로부터 인터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된다.
참조 픽처나 재구성 픽처는 메모리(113)에 저장된 다음 인터 모드에서 참조 픽쳐로서 이용된다. 변환 및 양자화부(120)는, 예측부(110)에서 예측을 수행하여 얻은 예측 샘플과 원 영상 데이터를 감산한 레지듀(residue)를 변환 및 양자화하여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록 구성된 변환 블록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잡음 제거부(130)는 상기 양자화부(120)에서 출력되는 양자화된 변환 블록이 인터 모드 및 인트라 모드 중 어떠한 모드로 예측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인터 모드로 예측된 변환 블록의 움직임이 적은 경우, 상기 변환 블록을 구 성하는 AC 계수들의 분포에 따라서 상기 AC 계수를 0으로 변환하여 절단된(truncated) 변환 계수를 출력한다.
엔트로피 코딩부(140)는 상기 잡음 제거부(130)에서 출력되는 절단된 변환 계수를 엔트로피 인코딩 모드에 따라 가변길이 코드(Variable Length Coding) 또는 컨텍스트 적응형 산술 코딩(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CABAC)을 사용하여 부호화를 수행하고 H.264 표준에 따르는 비트스트림을 출력한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잡음 제거부(13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잡음 제거부(130)는 판단부(131), 스캔부(132), 절단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부(131)는 상기 양자화부(120)에서 출력되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로 구성된 변환 블록을 입력받고, 상기 변환 블록이 인터 모드 및 인트라 모드 중 어떠한 모드로 예측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131)는 상기 변환 블록이 인터 모드로 예측된 블록인 경우에는 상기 변환 블록이 갖는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MV)가 소정 범위 이내, 즉 MV<(m,n) 이거나 또는 상기 움직임 벡터(MV)가 먼저 부호화된 주변 블록으로부터 예측된 예측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 Predicted:MVP)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인터 모드로 예측된 블록은 다른 블록의 참조 데이터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비트를 할당하여 부호화할 필요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잡음 제거 방법은 인터 모드로 예측된 블록에 대해서 적용된다. 특히, 상기 인터 모드로 예측된 블록의 경우에 있어서 사람의 시각에 민감한 움직임이 적은 블록에 대해서 적용하기 위하여 움직임 벡터가 소정 범 위 이내이거나 또는 예측 움직임 벡터(MVP)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스캔부(132)는 상기 판단부(131)의 판단 결과 상기 변환 블록이 갖는 움직임 벡터(MV)가 소정 범위 이내이거나 예측 움직임 벡터(MVP)와 동일한 경우에 소정의 스캔 순서에 따라 상기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1차원 배열 형태로 스캐닝한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도 3의 스캔부(132)에서 변환 계수를 스캔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4a는 지그재그(zigzag) 스캐닝 순서, 도 4b는 필드(field) 스캐닝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 부호화기에서 0이 아닌 계수들을 한 곳으로 모으기 위해 블록에 대한 DCT 계수들은 양자화가 끝난 후 재배치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0값을 갖는 나머지 양자화된 계수들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부호화기에서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의 4×4 블록은 16개의 요소를 갖는 배열에 지그재그 순서로 배치된다. 16×16 인트라 모드로 인코딩된 매크로블록에서 4×4 휘도 블록의 DC(top-left) 계수들이 먼저 스캔되고, DC 계수들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스캔된 4×4 배열을 형성한다. 이 과정을 거치면 각 휘도 블록에 15개의 AC 계수들이 남게 되며, 도 4a에서 두 번째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스캔된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각 색차 성분의 2×2 DC 계수들이 먼저 스캔되고, 각 4×4 색차 블록의 15개의 AC 계수들이 두 번째 위치부터 시작하여 스캔된다. 필드 블록은 대칭적이지 않은 계수의 분포 때문에 지그재그 스캔이 적합하지 않고, 도 4b와 같이 블록의 왼쪽 면에 존재하는 계수들이 오른쪽에 존재하는 계수들보다 먼저 스캔되는 변형된 필드(field) 스캐닝 순서가 보다 효과적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캔부(132)에서 지그재그 스캔 또는 필드 스캔 순서 중 어느 하나의 순서에 따라 스캐닝된 변환 계수들은 상기 절단부(truncation unit)(133)로 입력된다.
상기 절단부(133)는 상기 스캔된 AC 계수들의 스캐닝 순서상 n번째(n은 정수) 이전의 AC 계수들은 0, 상기 n번째부터의 AC 계수들은 소정 크기 이하의 값 및 0으로 구성되며,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값을 갖는 AC 계수의 개수가 소정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AC 계수들을 모두 0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n을 5,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값을 1, 상기 소정 기준값을 3, 4×4 변환 블록에서 DC 계수를 제외한 AC 계수들이 "00001000000000"와 같이 5번째 AC 계수만 1이고 나머지 AC 계수들은 모두 0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상기 절단부(133)는 상기 AC 계수들을 모두 0으로 변환하여 "000000000000000"으로 구성된 절단된 변환 계수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스캔된 AC 계수들이 "000000000110010"와 같은 1차원 배열을 갖는 경우, 5번째 이후의 AC 계수는 0 또는 1로만 구성되고, 1 값을 갖는 AC 계수의 개수가 상기 소정 기준값 3 이하이므로, 상기 스캔된 AC 계수들도 모두 "000000000000000"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잡음 제거부(130)는 움직임이 적은 변환 블록의 AC 계수를 모두 0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AC 계수 부분에 대한 부호화를 스킵하여 비트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값을 갖는 AC 계수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값의 기준은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주파수 영역에 존재하는 변환 계수 1은 공간 영역으로 역 변환되는 경우 상당히 큰 값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절단부(133)는 상기 스캔된 AC 계수들의 스캐닝 순서상 n번째(n은 정수) 이전의 AC 계수들이 0이 아니거나, 상기 n번째부터의 AC 계수들이 소정 크기 이상의 값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n번째부터의 AC 계수들이 소정 크기 이하으 값 및 0으로만 구성되더라고 소정 크기 이하의 값을 갖는 AC 계수의 개수가 소정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AC 계수를 0으로 변환하지 않는다.
상기 절단부(133)에서 절단된 AC 계수는 상기 엔트로피 부호화부(140)로 입력되어 CABAC 또는 CAVLC를 이용하여 부호화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시의 잡음 제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단계 550의 구체적인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입력 블록에 대한 인터 예측 및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최소 코스트를 갖는 하나의 예측 모드를 결정한다.
단계 520에서, 상기 결정된 예측 모드에 따라 예측된 예측 데이터와 원 영상 데이터를 감산한 레지듀 블록을 계산하여 출력한다.
단계 530에서, 상기 레지듀 블록에 대해서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여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로 구성된 변환 블록을 출력한다.
단계 540에서, 양자화된 변환 계수로 구성된 변환 블록이 인터 모드 및 인트라 모드 중 어떠한 모드로 예측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변환 블록이 인터 모드로 예측된 블록인 경우에는 상기 변환 블록이 갖는 움직임 벡터가 소정 범위 이내거나 또는 상기 움직임 벡터(MV)가 먼저 부호화된 주변 블록으로부터 예측 된 예측 움직임 벡터(MVP)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550에서, 상기 변환 블록이 갖는 움직임 벡터(MV)가 소정 범위 이내이거나 예측 움직임 벡터(MVP)와 동일한 경우에 변환 블록 단위로 AC 계수를 모두 0으로 변경함으로써 절단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551에서 상기 변환 블록이 갖는 움직임 벡터(MV)가 소정 범위 이내이거나 예측 움직임 벡터(MVP)와 동일한 경우에 지그재그 스캔 또는 필드 스캔 순서 중 어느 하나의 스캔 순서에 따라 상기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1차원 배열 형태로 스캐닝한다. 다음 단계 552에서, 상기 스캔된 AC 계수들의 스캐닝 순서상 n번째 이전의 AC 계수들은 0, 상기 n번째부터의 AC 계수들은 소정 크기 이하의 값 및 0으로 구성되며,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값을 갖는 AC 계수의 개수가 소정 기준값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조건들을 만족하는 경우 단계 553에서 상기 AC 계수들을 모두 0으로 변환한다.
단계 560에서, 상기 절단된 AC 계수 또는 절단 과정을 거치지 않고 원 변환 계수값을 유지하고 있는 AC 계수들을 엔트로피 부호화하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 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의 눈에 민감한 움직임이 적은 영역의 잡음을 제거함으로써 영상의 주관적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호화시 발생되는 비트량을 감소시켜 부호화기의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영상 부호화기의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터 모드로 예측된 변환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소정 범위 이내이거나 예측 움직임 벡터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벡터가 소정 범위 이내이거나 예측 움직임 벡터와 동일한 경우, 상기 변환 블록의 AC 계수들을 스캐닝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 순서상 n 번째(n은 정수) 이전의 AC 계수들은 0, 상기 n번째부터의 AC 계수들은 소정 크기 이하의 값 및 0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값을 갖는 AC 계수의 개수가 소정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AC 계수들을 모두 0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제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순서는 지그재그 스캔 또는 필드 스캔 순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제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값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제거 방법.
  4. 영상 부호화기의 잡음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인터 모드로 예측된 변환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소정 범위 이내이거나 예측 움직임 벡터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움직임 벡터가 소정 범위 이내이거나 예측 움직임 벡터와 동일한 경우, 상기 변환 블록의 AC 계수들을 스캐닝하는 스캔부;
    상기 스캔부에서 스캔된 AC 계수들의 스캐닝 순서상 n 번째(n은 정수) 이전의 AC 계수들은 0, 상기 n번째부터의 AC 계수들은 소정 크기 이하의 값 및 0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정 크기 이하의 값을 갖는 AC 계수의 개수가 소정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AC 계수들을 모두 0으로 변환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제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는,
    지그재그 스캔 또는 필드 스캔 순서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변환 블록의 AC 계수들을 스캐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제거 장치.
KR1020050092663A 2005-10-01 2005-10-01 영상 부호화기의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0717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663A KR100717033B1 (ko) 2005-10-01 2005-10-01 영상 부호화기의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663A KR100717033B1 (ko) 2005-10-01 2005-10-01 영상 부호화기의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534A KR20070037534A (ko) 2007-04-05
KR100717033B1 true KR100717033B1 (ko) 2007-05-10

Family

ID=3815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663A KR100717033B1 (ko) 2005-10-01 2005-10-01 영상 부호화기의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0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5403A (ko) * 1994-05-17 1995-12-30 배순훈 전처리 필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기
KR19980079003A (ko) * 1997-04-30 1998-11-25 배순훈 영상기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
KR19990060793A (ko) * 1997-12-31 1999-07-26 구자홍 동영상 부호화기의 노이즈 제거를 위한 이득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5403A (ko) * 1994-05-17 1995-12-30 배순훈 전처리 필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기
KR19980079003A (ko) * 1997-04-30 1998-11-25 배순훈 영상기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
KR19990060793A (ko) * 1997-12-31 1999-07-26 구자홍 동영상 부호화기의 노이즈 제거를 위한 이득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534A (ko) 200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1646B2 (ja) ビデオ符号化での分割ブロック符号化方法、ビデオ復号化での分割ブロック復号化方法及びこれを実現する記録媒体
JP5049009B2 (ja) マクロブロックフィールド/フレームコード化タイプ情報のためのビットプレーンコーディングおよびデコーディング
KR20190016982A (ko) 인트라 예측 정보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138828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96324B1 (ko)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30045151A (ko) 복원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50608B1 (ko) 비디오 부호화에서의 분할 블록 부호화 방법
KR102398385B1 (ko) 비디오 코딩에서 분할 블록의 부호화 방법
KR101644969B1 (ko) 비디오 복호화에서의 분할 블록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기록매체
KR102062894B1 (ko) 비디오 복호화에서의 분할 블록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기록매체
KR101924959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717033B1 (ko) 영상 부호화기의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1644967B1 (ko) 비디오 복호화에서의 분할 블록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기록매체
KR101644970B1 (ko) 비디오 복호화에서의 분할 블록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기록매체
KR102258057B1 (ko) 비디오 복호화에서의 분할 블록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기록매체
KR101648123B1 (ko) 비디오 부호화에서의 분할 블록 부호화 방법, 비디오 복호화에서의 분할 블록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기록매체
KR20110067648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1857591B1 (ko) 비디오 복호화에서의 분할 블록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기록매체
KR101857583B1 (ko) 비디오 복호화에서의 분할 블록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기록매체
KR101857598B1 (ko) 비디오 복호화에서의 분할 블록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기록매체
KR101857585B1 (ko) 비디오 복호화에서의 분할 블록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기록매체
KR101857600B1 (ko) 비디오 복호화에서의 분할 블록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기록매체
KR101785431B1 (ko) 비디오 복호화에서의 분할 블록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기록매체
KR20140129420A (ko) 잔차 변환을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