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985B1 -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 - Google Patents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985B1
KR100715985B1 KR1020060060196A KR20060060196A KR100715985B1 KR 100715985 B1 KR100715985 B1 KR 100715985B1 KR 1020060060196 A KR1020060060196 A KR 1020060060196A KR 20060060196 A KR20060060196 A KR 20060060196A KR 100715985 B1 KR100715985 B1 KR 100715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or
hydraulic
arm
mower
hydraul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익주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60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A01D34/736Flail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or pushing means arranged on the front par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01D34/80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flui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8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sloping ground, e.g. on embankments or in dit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05Non electric hybrid systems, e.g. comprising mechanical and/or hydraulic and/or pneumatic dr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의 팔과 같은 메뉴퍼레이터(manipulator)를 트랙터에 부착하여 경사진 곳이나 도랑, 가파른 경사지, 울타리의 옆쪽, 수로 주위의 둑과 같은 도달하기 어렵고 작업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평지에서의 제초작업과 마찬가지로 용이하게 제초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트랙터의 전방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선회대와, 상기 선회대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선회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붐과, 상기 붐 끝단에 링크결합되고 붐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아암, 상기 아암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링크부재에 링크 결합되고 상기 링크부재에 설치된 유압부재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모워와, 상기 각 구성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를 제공한다.
선회대, 붐, 아암, 모워, 프레일, 디스크, 보호캡

Description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ARM TYPE DISK MOWER ATTACHED TRAC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가 트랙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디스크가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위치된 상태에서의 구성도이고,
b)는 디스크가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모워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모워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 20 : 선회대
21 : 유압모터 22 : 웜
23 : 웜기어 24,25 : 스프로켓휠
26 : 체인 27 : 회전축
30 : 붐 31,41,42,72 : 유압실린더
40 : 제1아암 60 : 프레일 모워
61 : 모터 지지대 62 : 프레일날
63 : 유압모터 64 : 디스크
65 : 보호캡 73 : 상부 연결바
80 : 펌프라인 81 : 탱크라인
82 : 오일콘트롤밸브 83 : 솔레노이드밸브
84 : 유량제어밸브 85 : 릴리프밸브
90 : 컨트롤박스 91 : 스위치
본 발명은 제초작업을 위한 모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트랙터 등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디스크 모워에 관한 것이다.
예전부터 농사는 잡초와의 전쟁이라고 일컬어 왔으며, 지금도 해마다 잡초에 대한 새로운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제초작업을 위해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비되고 있으며 1980년대부터 보편화된 제초제는 환경오염까지 일으키고 있다. 이것은 논농사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밭이나 과수원 등지에서의 실정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경사지 또는 수로 및 작업기가 들어갈 수 없는 곳의 제초작업은 소요비용이나 인력 면에서 많은 손실을 가져오고 있으며, 제초작업을 포기하는 경우까지 생길 수도 있다.
이에 종래에는 아암 타입의 붐 모워가 개발되어 제초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상기 아암 타입의 붐 모워는 유럽이나 미국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계로, 수도작이나 평지의 밭농사 기계를 중점으로 개발하고 있는 일본이나 한국 등 아시아 지역에서는 사용이 어려우며, 현재 과수원 등은 경사지로 옮겨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제초작업이 불가능한 곳은 여전히 제초제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65%가 임야로 산지가 많은 데, 산지 개발이 가능한 경사도 15% 이하의 임야 약 261,000ha와 15~30% 경사도의 임야 약 571,000ha가 있고, 15~30% 경사도의 임야 중 230,000 ha의 임야는 과수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임야의 이용도는 아주 미약한데, 그 이유는 수입이 적다는 단점 이외에도 경사면에서 행해지는 제조 작업 등의 일련의 작업들이 어렵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이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의 작업시간을 과다하게 만들고 비용대비 생산량 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과수원뿐만 아니라 농로나 수로 주위의 도달하기 어렵고 작업이 어려운 가파른 경사지 또는 주행장치가 접근하기 어려운 나무 밑의 제초 또는 수로 등의 제초작업에 적합한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의 팔과 같은 메뉴퍼레이터(manipulator)를 트랙터에 부착하여 주행장치가 접근하기 어려운 곳의 제초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리깨식 제초기와 동일한 작업이 가능하고, 경사진 곳이나 도랑, 가파른 경사지, 울타리의 옆쪽, 수로 주위의 둑과 같은 도달하기 어렵고 작업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평지에서의 제초작업과 마찬가지로 용이하게 제초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스크 모워는 트랙터 일측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선회대, 이 선회대에 연결되는 붐, 이 붐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 이 아암 끝단에 설치되는 모워 및 상기 각 구성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선회대와 붐 및 아암이 사람의 팔과 같은 메뉴퍼레이터역할을 수행하여 모워를 트랙터에 대해 전후 좌우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는 트랙터의 일측에 부착되고 붐과 아암을 트랙터에 부착하는 구 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선회대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로, 베이스와 붐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붐과 아암을 축방향에 대해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와 선회대는 트랙터의 앞쪽에 부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붐은 상기 베이스의 선회대 위에 설치되어 작업기의 수직위치와 수평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붐의 높이는 트랙터가 주행하고 있는 수평위치로부터 작업기의 높이와 경사를 고려하여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암은 상기 붐 선단에 연결설치되며, 작업영역에 따라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이 직렬로 연결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워는 상기 아암의 선단에 설치되며 프레일(flail, 도리깨)날을 구비하여 잡초와 나뭇가지 등을 절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유압부는 상기 트랙터의 유압을 이용하여 각 구성부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압부를 제어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는 각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트랙터의 운전실 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가 트랙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부 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디스크가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위치된 상태에서의 구성도이고, b)는 디스크가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모워의 상세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모워의 저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는 트랙터(100)의 전방에 설치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선회대(20)와, 상기 선회대(20)에 설치되는 붐(30), 상기 붐(30) 끝단에 링크결합되어 회동되는 아암(40), 상기 아암(40)의 끝단에 설치되어 실질적인 잡초 등의 제거작업이 이루어지는 디스크 모워(60) 및, 상기 각 구성부에 연결설치되어 각 구성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부와, 상기 트랙터(100)의 운전석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부를 제어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 및 선회대]
상기 베이스(10)는 트랙터(100)의 앞쪽에 설치되며, 붐(30)과 아암(40) 및 디스크 모워(60)를 트랙터(100)에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붐(30)과 아암(40) 및 디스크 모워(60)의 중량 토크, 모멘트 등을 고려하여 견고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회대(20)는 하단에 설치된 회전축(27)이 상기 베이스(10) 상에 수직방향으로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 구조물로 구동수단인 유압모 터(21)와 웜(22) 및 웜기어(23)를 매개로 작동하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트랙터(100)의 전방을 중심으로 좌우로 각각 90ㅀ의 선회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을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 일측에는 유압모터(21)와 이 유압모터(21)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웜(22)이 설치되고, 상기 선회대(20)의 회전축(27) 상에는 상기 웜(22)과 치합되는 웜기어(23)가 고정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압모터(21)와 웜(22)의 연결은 유압모터(21)의 회전축과 상기 웜(22)의 회전축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로켓휠(24,25)과 이 스프로켓휠(24,25) 간에 연결된 체인(26)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유압모터(21)가 구동하게 되면 스프로켓휠(24,25)과 체인(26)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웜(2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웜(22)에 치합되어 있는 웜기어(23)가 움직이면서 웜기어(23)가 설치된 선회대(20)가 베이스(10)에 대해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0)와 선회대(20)는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선회대(20)에 설치되는 붐(30)을 상기 유압모터(21)를 통해 회전시켜 작업기인 디스크 모워(60)의 작업방향과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붐]
상기 붐(30)은 베이스(10)의 선회대(20) 상단에 회동축을 매개로 링크결합되고 볼트를 매개로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재로 작업기의 수직위치와 수 평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붐(30)은 선회대(20) 상단에 축결합되고 상기 선회대(20) 측면과 상기 붐(30)의 측면 사이에는 유압실린더(31)가 연결설치되어 상기 붐(30)을 선회대(20)에 대해 회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31)를 신축작동시키게 되면 선회대(20)에 대해 붐(30)이 상하로 회동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붐(30)의 길이 및 자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트랙터(100)가 주행하고 있는 수평위치로부터 작업영역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즉, 상기 붐(30)은 트랙터(100)의 경사정도에 관계없이 자체적으로 선회대(20)에서 회동되어 작업기의 수직 위치와 수평위치를 결정하게 되므로 붐(30)의 길이 및 그 무게는 트랙터(100)의 자중을 고려하여 트랙터(100)가 전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모워의 작업이 용이한 범위 내에서 결정되도록 한다.
[아암]
본 실시예에서는 붐(30)의 선단에 하나의 아암(40)이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아암이 구비되어 짧은 거리 및 먼 거리, 수로 및 경사지 밑까지 트랙터(100)의 이동을 최대한 줄이면서 제초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아암(40)은 상기 붐(30)의 선단에 회동축(39)을 매개로 축결합되고 상기 아암(40)의 측면과 상기 붐(30)의 측면 사이에 복동 유압실린더(41)가 연결설치 되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붐(30)에 대해 회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아암(40)의 길이와 자중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붐(30)과 마찬가지로 트랙터(100)의 자중을 고려하여 트랙터(100)가 전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모워의 작업이 용이한 범위 내에서 결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각 복동유압실린더(41)의 신축작동에 따라 아암(40)이 붐(30)에 대해 상하로 이동되어 작업반경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디스크 모워]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크 모워(60)는 로터리 모워와 달리 프레일(flail, 도리깨)날이 고속으로 회전하여 잡초와 나뭇가지 등을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모워(60)는 모터 지지대(61)와, 상기 모터 지지대(61)에 위치고정되는 유압모터(63)와, 상기 유압모터(63)의 회전구동력에 의해서 회전구동되어 잡초나 나뭇가지 등을 절단하기 위하여 유압모터(63)의 회전축(63a)에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일날(62) 및 상기 모터 지지대(61)의 하부단에 결합되어 프레일날(62)과 유압모터(63)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크(64)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64)는 상기 프레일날(62)의 길이보다 큰 크기를 갖는 직경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유압모터(63)의 회전구동력에 의한 상기 프레일날(62)의 회전시 그 끝단이 상기 디스크(64)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제초작업시 불 필요한 제초부위에 상기 프레일날(62)이 디스크보다 먼저 접촉함으로서 상기 프레일날(62)이 손상되거나 프레일날(62)에 사람이 다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프레일날(62)이 결합되는 유압모터(63)의 회전축(63a)의 하부단에는 제초작업시 상기 프레일날(62)보다 바닥면에 먼저 접촉하기 위한 보호캡(63)을 추가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초작업시 바닥면에 상기 프레일날(62)이 접촉하여 프레일날(62)이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압모터(63)와 상기 프레일날(62) 사이에는 증속수단이 구비되어 프레일날(62)의 회전수를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증속수단은 유압모터(63)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원동기어와, 상기 프레일날(62)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피동기어 및 이들 기어를 연결하는 동력전달수단(67)을 포함하여 유압모터의 구동력을 증속시켜 프레일날(62)로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원동기어와 피동풀리의 회전비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는 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 모워(60)용 유압모터는 올 오픈 블록 방식을 사용하여 프레일날(62)을 회전하고 정지할 때의 멈춤 기능을 배제하고 서서히 동작을 멈추도록 한다.
상기한 구조의 디스크 모워(60)는 상기 아암(40)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링크부재(68)를 매개로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재(68)와 상기 아암(40) 사 이에는 복동 유압실린더(42)가 연결설치되어 아암(40)에 대해 상기 링크부재(68)를 회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링크부재(68)의 하단에 설치된 디스크 모워(60)가 아암(40)에 대해 회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 모워(60)는 상기 모터지지대(61)가 상기 링크부재(68)의 하단에 회동축(68a)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링크부재(68)와 상기 모터 지지대(61)사이에는 모터 지지대(61)를 링크부재(68)에 대해 회동시키기 위한 또다른 복동유압실린더(72)가 더욱 설치된다.
상기 복동 유압실린더(72)는 로드 선단이 상기 링크부재(68)의 외부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부 연결바(7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동 유압실린더(72)의 몸체후단은 상기 모터 지지대(61)의 상부면에 수평하게 구비되는 하부 연결바(7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복동 유압실린더(72)를 신축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링크부재(8)의 하단에 회동축(68a)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모터 지지대(61)가 좌우로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모터 지지대(61)의 하단에 결합된 디스크(64)도 좌우로 회동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바닥면이 편평한 곳에서 바닥면이 경사진 곳으로 제초작업 영역이 전환되는 경우, 상기 링크부재(68)와 모터 지지대(74)사이에 구비된 복동 유압실린더(72)의 신축작동에 의해 경사지의 작업면과 프레일날(62)을 갖는 디스크(64)를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경사지에서의 제초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모워의 유압회로도로서 이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유압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각 구성부의 유압실린더(31,41,42,72) 및 유압모터(21,63)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부는 상기 트랙터(100)에서 나오는 유압을 이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압유를 공급 또는 드레인시키기 위한 펌프라인(80)과 탱크라인(81)은 상기 선회대(20)와 붐(30) 및 아암(40)의 측단을 따라 연장되어 디스크 모워(60)의 유압모터(63)를 포함한 각 구성부의 유압실린더(31,41,42,72)와 유압모터(21)에 연결되고, 상기 펌프라인(80) 상에는 오일 콘트롤 밸브(Priority valve)(82)가 설치되어 각 구성부로 유압을 배분하여 동시작업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유압실린더(31,41,42,72)나 유압모터(21,63)로 연결되는 펌프라인(80)과 탱크라인(81) 일측에는 기계식 밸브 혹은 레버가 아닌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83)가 설치되어 압유의 공급을 제어하게 되며 전체적인 유압회로는 미터 아웃 회로를 기본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미터 아웃 회로는 액추에이터 출구 측에 유량제어밸브(84)를 직렬로 설치하여 유량을 제어하는 회로로서, 피스톤 로드의 움직임에 대해서 동일 방향의 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회로는 실린더의 선주를 방지하고 급격한 부하변동에 대해서도 정속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미터 아웃 회로는 부하변동이 심한 기계에 주로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이미 많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장치는 각 유압실린더(31,41,42,72)와 유압모터(21,63)로 연결 되는 펌프라인(80)과 탱크라인(81) 상에 체크밸브가 연결된 유량제어밸브(84)가 설치되어 솔레노이드밸브(83)의 작동을 안정적으로 제어하고 압력보상에 의해 붐(30) 및 아암(40)의 작업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유압부는 트랙터(100)로부터 발생된 압유를 오일 콘트롤 밸브(82)에 연결된 펌프라인(80)과 탱크라인(81)을 통해 각 유압실린더(31,41,42,72) 및 유압모터(21,63)로 공급/드레인시키게 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와 유압모터로 연결되는 라인 상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83)와 상기 유압실린더 및 유압펌프의 출측에 설치되는 유량제어밸브(84)의 제어작동을 통해 상기 각 유압실린더와 유압모터로 인가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구성부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압부는 언급한 바와 같이 트랙터(100)에서 나오는 펌프라인(80)에 오일 콘트롤 밸브(priority valve)(82)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트랙터(100)로 압유를 드레인시키기 위한 탱크라인(81) 상에는 릴리프 밸브(85)가 더욱 설치된다. 따라서 제초작업과 기타작업으로 분류되어 한정된 유압을 분배하여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며, 작은 유압동력을 최대로 할 수 있어 이용효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된 도면 부호 (86)은 상기 탱크라인(81) 상에 설치되는 언로딩밸브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압부의 각 밸브를 제어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랙터(100)의 운전석에 설치되는 컨트롤박스(90)와, 이 컨트롤박스(90) 전면에 설치되어 트랙터(100)의 배터리 전원을 상기 각 밸 브로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91)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박스는 운전석 내부에 착석한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최대한 고려함이 바람직하며, 각 밸브로 연결되는 전원선은 붐(30) 및 아암 내부로 삽입하고 커넥터를 통해 연결함으로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시험예]
본 시험에서는 트랙터(100)의 엔진 회전수와 붐(30) 및 아암(40)의 동작에 따른 디스크 모워(60)의 회전수를 측정하기 위한 휴대용 타코메터로 Prova instrument사의 Digital photo tachometer RM-1500을 이용하였다.
상기 타코메터는 간편하게 휴대하여 모터의 축 또는 밸트 등에 접촉하여 측정이 가능하고, 또한 비접촉식으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비접촉식의 경우 10~99,999rpm까지 측정이 가능하며, 접촉식의 경우는 10~29,999rpm까지 측정이 가능하다. 0.04% ㅁ2 dgts의 정도를 가지고 있으며 최대, 최소, 평균 회전수를 저장하여 백업도 가능하다. rpm뿐만 아니라 r/s, m/min, ft/min 등 여러 가지의 단위로 변환 가능하여 편리하게 회전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시험은 경남 거창의 과수원에서 실시하였으며 디스크 모워가 장착될 트랙터(100)로 아세아 Massey-Ferguson 85마력의 트랙터(100)가 사용되었으며 엔진 회전수는 2,000rpm을 기준으로 하였다.
상기 시험을 통해 붐(30)과 아암(40) 등이 디스크 모워(60)를 장착하고 제초작업을 할 부분까지 이동할 때 무리 없이 이동할 수 있는지 등의 여부를 확인하였 으며, 작업반경과 높이 등의 자료를 산출하고, 계산되어진 회전수를 토대로 디스크 모워(60)의 회전수를 측정하였다.
이때 트랙터(100)에서 나오는 유량은 18ℓ/min 로 압력은 175kgf/㎠으로 계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전체 가용 동력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47007187-pat00001
또한, 오일 콘트롤 밸브(priority valve)(82)에서 디스크 모워(60)의 유압모터(63)로 15ℓ/min, 기타 유압실린더(31,41,42,72) 및 선회대(20) 회전용 유압모터(21)로는 3ℓ/min의 유량을 배분하여 사용하였으며 디스크 모워용 유압모터(63)의 회전수와 토크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47007187-pat00002
Q : 제초모터용 분배유량 (ℓ/min)
q : 제초모터 용량 (cc/rev)
위 결과를 토대로 프레일날(62)의 적절한 제초 회전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프레일날(62)의 증속을 위해 유압모터와 프레일날(62) 축에 설치된 기어와 풀리의 크기를 달리하여 시험하였으며, 본 시험에서는 유압모터(63) 축에 설치된 원동기어의 크기를 변경시킴으로서 적절한 회전수를 내도록 하였다.
Figure 112006047007187-pat00003
NA : 유압모터 축의 회전수 (rpm)
NB : 증속 회전수 (rpm)
DA : 유압모터측 원동기어의 피치원 지름 (mm)
DB : 피동기어의 피치원 지름 (mm)
Figure 112006047007187-pat00004
NC : 원동기어의 회전수 (rpm)
ND : 피동기어의 회전수 (rpm)
DC : 원동기어의 지름 (mm)
DD : 피동기어의 지름 (mm)
제초용 유압모터(63)가 최대 유랑일 때의 회전수를 산출하여 피동기어의 크기를 결정함으로서 제초용 유압모터(63)에 필요한 회전수를 얻어낼 수 있었으며 이 때의 토크는 회전수가 1 : 4.8 으로 증속되었으므로 그에 반비례하여 2.27 kg/m 가 된다.
이 결과를 토대로 회전수를 측정한 결과 무부하에서 디스크 모워(60)의 프레일날(62) 회전수를 1800rpm으로 조정하였으며, 붐(30) 및 아암(40)의 이동시 회전 수는 1750rpm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돌이나 나무뿌리 등의 장애물이 있을 때 유동성이 좋은 디스크 모워(60)의 특성상 제초작업 시에도 회전수는 1700rpm 이상을 유지할 수 있어 계산되어진 결과와 비교했을 때 만족스러운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하, 본 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설명에서 도 6에 미도시된 도면부호는 앞에서 설명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도 6은 바닥면이 편평한 제초지역에서 제초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아암(40)에 설치된 복동 유압실린더(42)의 동작에 의하여 디스크 모워(60)를 편평한 바닥면과 대하여 프레일날(62)이 나란하게 마주하도록 배치할 수 있지만, 링크부재(68)와 모터 지지대(61)사이에 구비되는 유압실린더(72)의 신축작동에 의해서 상기 디스크 모워(60)를 경사진 바닥면에 대하여 프레일날(62)이 나란하게 마주하도록 상기 링크부재(68)의 하부단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모워(60)는 베이스(10)를 중심으로 최대 3.7m의 높이까지 상승되어 높은 곳에서의 제초작업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도면을 통해 유압실린더(72)에 의하여 디스크 모워(60)가 좌우로 회동됨에 따라 트랙터(100)의 이동을 줄이며 최대한의 작업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압실린더(72)의 행정은 120mm이며, 이러한 유압실린더(72)의 신축작동에 의해서 상기 디스크 모워(60)는 최대 180도 까지 회동이 가능하다.
상가 붐(30)과 링크부재(68)사이에 구비되는 아암이 2개로 구성됨으로서 최소 및 최대 작업 반경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이 때 선회대(20)와 붐(30) 사이의 복 동 유압실린더(31)는 최소거리 조절에 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효율 면에서 상당히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선회대(20)의 높이를 줄이고 유압실린더(31)의 행정을 조절하면 더 큰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장치는 사람의 팔과 같은 메뉴퍼레이터를 통해 디스크 모워(60)를 이동시킴으로써 도랑, 가파른 경사지, 울타리의 옆쪽, 수로 주위의 둑과 같은 도달하기 어렵고 작업이 어려운 지역 또는 경작지에 작업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트랙터(100)의 전면에 디스크 모워(60)가 부착됨으로써 작업자의 시야에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작업 중에도 이동이 용이함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성이 탁월한 디스크 모워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100) 부착 디스크 모워에 의하면, 사람의 팔과 같은 메뉴퍼레이터를 통해 디스크 모워(60)를 이동시킴으로써 도랑, 가파른 경사지, 울타리의 옆쪽, 수로 주위의 둑과 같은 도달하기 어렵고 작업이 어려운 지역 또는 경작지의 제초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랙터(100)의 전면에 디스크 모워(60)가 부착됨으로써 작업자의 시야 에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작업 중에도 이동이 용이한 잇점이 있다.
또한, 각종 유압장치를 전기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제조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제초를 위한 일정한 회전수를 얻을 수 있게되어 안정적이고 안전한 제초작업이 가능해진다.

Claims (10)

  1. 트랙터의 전방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선회대와, 상기 선회대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선회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붐과, 상기 붐 끝단에 링크결합되고 붐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아암, 상기 아암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링크부재에 링크 결합되고 상기 링크부재에 설치된 유압부재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모워와, 상기 각 구성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대는 하단에 설치된 회전축이 상기 베이스 상에 수직방향으로 축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일측에는 유압모터와 이 유압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웜이 설치되며, 상기 선회대의 회전축 상에는 상기 웜과 치합되는 웜기어가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워는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모터 지지대와, 상기 모터 지지대에 위치고정되는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구동력에 의해서 회전구동되어 잡초나 나뭇가지 등을 절단하기 위하여 유압모터의 회전축에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일날 및 상기 모터 지지대의 하부단에 결합되어 프레일날과 유압모터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원동기어와, 상기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원동기어에 맞물리는 피동기어 및 이들 기어를 연결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유압모터의 구동력을 증속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모터 지지대사이에 구비되는 유압실린더는 로드 선단이 상기 링크부재의 외부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부 연결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몸체후단은 상기 모터 지지대의 상부면에 수평하게 구비되는 하부 연결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상기 프레일날의 길이보다 큰 크기를 갖는 직경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
  7.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일날이 결합되는 유압모터의 회전축의 하부단에는 제초작업시 상기 프레일날보다 바닥면에 먼저 접하는 보호캡을 추가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부는 각 구성부의 유압실린더와 유압모터로 유압을 공급/드레인시키기 위한 펌프라인과 탱크라인, 상기 펌프라인 상에 설치되어 각 구성부로 유압을 배분하는 오일 콘트롤 밸브, 상기 각 유압실린더와 유압모터로 인가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각 유압실린더와 유압모터의 출측에 설치되는 유량제어밸브를 포함하는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라인 상에 설치되는 릴리프 밸브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부는 상기 각 밸브를 제어작동시키도록 트랙터의 운전석에 설치되는 컨트롤박스와, 이 컨트롤박스 전면에 설치되어 트랙터의 배터리 전원을 상기 각 밸브로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
KR1020060060196A 2006-06-30 2006-06-30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 KR100715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196A KR100715985B1 (ko) 2006-06-30 2006-06-30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196A KR100715985B1 (ko) 2006-06-30 2006-06-30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985B1 true KR100715985B1 (ko) 2007-08-10

Family

ID=3860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196A KR100715985B1 (ko) 2006-06-30 2006-06-30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9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665B1 (ko) 2013-09-13 2015-09-11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트랙터 장착형 붐 타입 예초 장치
CN104982142A (zh) * 2015-07-18 2015-10-21 怀远县路达公路养护有限公司 前置式路肩割草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3563A (en) 1983-02-23 1985-04-30 Carl A. Roser Lawn mower rotary assembly
EP1249157A1 (de) * 2001-04-10 2002-10-16 MULAG FAHRZEUGWERK Heinz Wössner GmbH & CO. KG Mähvorrichtung zum Mähen eines Bereiches neben einem Tragmitt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3563A (en) 1983-02-23 1985-04-30 Carl A. Roser Lawn mower rotary assembly
EP1249157A1 (de) * 2001-04-10 2002-10-16 MULAG FAHRZEUGWERK Heinz Wössner GmbH & CO. KG Mähvorrichtung zum Mähen eines Bereiches neben einem Tragmitte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J04-084820(1992.03.1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665B1 (ko) 2013-09-13 2015-09-11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트랙터 장착형 붐 타입 예초 장치
CN104982142A (zh) * 2015-07-18 2015-10-21 怀远县路达公路养护有限公司 前置式路肩割草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2682B1 (en) Hydraulic pruning attachment
US5430999A (en) Tree trimming and pruning machine
US5378852A (en) Tree and shrub-clearing equipment mounted on tractor
US9750198B2 (en) Cutter apparatus
JP6129961B2 (ja) 切断機械
US9049820B2 (en) Rotary plant hedger
US20130056113A1 (en) Stump Destruction Apparatus
US5174098A (en) Apparatus for cutting vegetation
JP5419274B2 (ja) 草刈り作業機
US6718661B1 (en) Boom
KR100715985B1 (ko) 트랙터 부착 아암형 디스크 모워
KR100589612B1 (ko) 트랙터 부착 붐 모워
US3319407A (en) Cutting device
KR20170035163A (ko) 360도 회전 가능한 굴절 아암을 구비한 농업용 트랙터
US20210146375A1 (en) Rotor speed control
US5718271A (en) Stump cutting or grin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814522B1 (ko) 굴삭기 장착형 로터리식 제초기
KR200376185Y1 (ko) 트랙터 부착 붐 모워
GB2050790A (en) A mower device
WO2022130263A1 (en) Forestry machine
KR101254943B1 (ko) 농용트랙터 3점히치 장착형 암식 작업장치
US7152640B1 (en) Tree cutting attachment for a skid steerloader
CN2638406Y (zh) 小型液压林业作业机械
KR200256447Y1 (ko) 차량용 다목적 예취기
CN219919637U (zh) 一种多功能果园管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