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789B1 -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789B1
KR100715789B1 KR1020060047666A KR20060047666A KR100715789B1 KR 100715789 B1 KR100715789 B1 KR 100715789B1 KR 1020060047666 A KR1020060047666 A KR 1020060047666A KR 20060047666 A KR20060047666 A KR 20060047666A KR 100715789 B1 KR100715789 B1 KR 100715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웅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7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이동통신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특정주파수대역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메인안테나와, 무선신호에 대한 수신다이버시티기능을 하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슬레이브안테나와, 슬레이브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방송신호와 분리하여 출력하는 디플렉서(Diplexer)와, 디플렉서 및 메인안테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수신부를 포함한다.
휴대폰, DMB, 다이버시티, 위성, 안테나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다이버시티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와 다이버시티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단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안테나단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시스템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설명>
110 : 이동통신망 120 : IWF
130 : 위성 140 : 기지국
150 : DMB방송센터 200 : 이동통신단말기
본 발명은 DMB수신용 안테나가 다이버시티기능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통신망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가 구비 된다. 그런데 이러한 송수신을 위하여 안테나가 복수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기본적인 안테나 이외에 다이버시티를 위한 안테나가 구성된다. 이외에도 만일 이동통신단말기가 DMB용 일 경우에는 DMB신호를 위한 수신용 안테나가 별도로 구비된다.
따라서, 종래의 안테나단 구성에 따를 경우 각기 별도의 안테나가 3개 이상 필요하므로 단말기의 소형화에 적당하지 못하다. 즉 단말기의 디지털기능이 융합화(MP3, DMB 등)와 슬림(Slim), 소형화되는 상황에서 다이버시티기능을 위한 회로와 안테나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종래의 안테나단 구성에 의한 경우 공간확보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DMB신호를 수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속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주파수대역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메인안테나와, 무선신호에 대한 수신다이버시티기능을 하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슬레이브안테나와, 슬레이브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방송신호와 분리하여 출력하는 디플렉서(Diplexer)와, 디플렉서 및 메인안테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수신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때, 디플렉서는, 방송신호의 수신을 위한 하이패스필터와, 무선신호의 수 신을 위한 로패스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메인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신호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RF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RF송신부와 RF수신부를 분기하는 듀플렉서(Duplexe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슬레이브안테나는 수신 다이버시티가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안테나와 소정의 이득차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무선신호는 주파수대역이 800㎒, 1800㎒, 1900㎒ 내지 2100㎒의 신호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방송신호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H-S, 미디어플로우(Media Flo)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DMB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외에도 수신다이버시티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일정한 수신신호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속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신호와 다이버시티(Diversity)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구성도는, DMB신호 또는 일반신호를 수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200)와, 이 이동통신단말기(2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일반신호를 중 계하는 이동통신망(110)과, DMB신호를 송출하는 DMB방송센터(150) 등으로 구성된다.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이동통신망(110)을 통하여 일반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일반신호는 음성통화, 메시지 등이 된다. 물론 이를 위해 이동통신망(110)은 기지국(Base station), 기지국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BSC), 홈위치등록레지스터(Home Location Register:HLR), 방문위치등록레지스터(Visit Location Register:VLR), 이동통신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MSC)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이미 익히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이동통신망(110)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망이나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망,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 등과 같은 통신망도 가능하며, 무선LAN망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이동통신망(110)을 통하여 메시지 또는 음성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다른 상대방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인공위성(130)으로부터 위성DMB신호를 수신 받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인공위성(130)을 통하여 DMB신호를 수신받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지상파DMB신호를 수신 받는 것도 가능하다.
위성DMB신호가 이동통신단말기(200)에 발송되기 위해서는 위성DMB신호를 송 출하는 인공위성(130)과, 위공위성(130)에 위성DMB신호를 송출하는 기지국전송기(BTS : Base Transceiver Station; 140)와, DMB방송신호를 송출하는 DMB방송센터(150)와, DMB방송센터(150)와 이동통신망(110)을 연결하는 망연동장치라고 불리는 IWF( Inter-Working Function;120)가 구성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가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망연동장치(IWF), WAP게이트웨이 등의 인터넷망이 이동통신망(110)에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DMB신호와 다이버시티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단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망(110)을 통하여 수신된 일반신호를 처리하는 모뎀부(205)와, 인공위성(130)을 통하여 수신된 DMB신호를 처리하는 DMB부(260)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신호와 DMB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메인안테나(231)와 슬레이브안테나(241)가 구성된다. 여기서 슬레이브안테나(241)는 DMB용 안테나이면서 동시에 다이버시티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가 된다.
메인안테나(231)는 모뎀부(205)에 일반신호를 전달하고, 슬레이브안테나(241)는 DMB부(260) 또는 모뎀부(205)에 DMB신호와 일반신호를 전달한다.
물론 이를 위해서, 메인안테나(231)와 모뎀부(205) 사이에는 듀플렉서(Duplexer;230), RF수신부(210)가 구성된다. 듀플렉서(230)는 일반신호를 메인안테나(231)로부터 수신하여 RF수신부(210)에 전달한다. 이와 함께, RF송신부(220)는 모뎀부(205)에서 생성한 일반신호를 듀플렉서(230)에 전달하게 된다. 즉 듀플렉 서(210)는 RF송신부(220)와 RF수신부(210)를 분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는 RF송신부(220)의 주파수만을 통시키는 대역통과필터와 RF수신부(210)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대역통과필터를 구성하고 이 중간에 메인안테나(231)가 매칭시켜 구성하면 듀플렉서(210)가 구성된다.
한편으로 슬레이브안테나(241)와 DMB부(260)사이에는 디플렉서(Diplexer;240)가 구성된다. 디플렉서(240)는 DMB신호 또는 일반신호가 수신될 경우, 이를 분리하여 DMB신호는 DMB부(260)에, 일반신호는 RF수신부(21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이 가능한 이유는 DMB신호의 경우 주파수대역이 26000㎒가 되고 , 일반신호의 경우 800㎒, 1800㎒, 1900㎒ 내지 2100㎒ 등이 된다.
따라서 디플렉서(240)에 DMB신호의 주파수경로를 위한 하이패스필터(High-Pass Filter)와 일반적인 일반신호의 주파수경로를 위한 로우패스필터(Low-Pass Filter)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우패스필터는 일반신호의 수신 다이버시티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망(110)을 통한 일반적인 일반신호는 메인안테나(231)와 슬레이브안테나(241)에 동시에 전송된다. 즉 이동통신망(110)으로부터 수신되는 일반신호의 수신강도가 약할 경우 일반신호가 일정한 수신강도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이버시티가 이용된다.
메인안테나(231)와 슬레이브안테나(241)의 이득차이가 6㏈이하이면 슬레이브안테나(241)가 수신다이버시티용 안테나가 될 수 있다. 부연하면 슬레이브안테 나(241)는 메인안테나(231)보다 이득이 최대 6㏈까지 적어도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메인안테나(231)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와 슬레이브안테나(241)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합하여 일정한 수신강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디플렉서(240)는 슬레이브안테나(241)로부터 수신된 신호 중에서 DMB신호로부터 일반신호를 분리하여 RF수신부(210)에 전송하게 된다.
동시에 메인안테나(231)로부터 수신된 일반신호도 듀플렉서(230)를 거쳐 RF수신부(210)로 전송된다. 이 전송된 일반신호를 합하게 되면 일정한 수신강도가 유지된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200)가 1x-EVDO(EVolution Data Only), HSDPA(High Speed Data Packet Access)를 이용할 경우 높은 데이터 다운로드 속도가 가능하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안테나단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시스템구성도이다. 즉 도 2에서 기술한 안테나단 구성을 적용가능한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시스템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테나단 구성에 대하여는 도 2에서 이미 기술하였으므로, 이를 생략한다.
모뎀부(205), DMB부(260)가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면 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280)가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28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모뎀부(205) 또는 DMB부(260)가 처리하는 화면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DMB부(260)로부터는 방송화면이 표시되고, 모뎀부(205)로부터는 무선인터넷 접속을 위한 화면,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물론 모뎀부(205)와 DMB부(260)로부터 처리된 화면은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를 위해 멀티플렉서(Multiplexer;270)가 구성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200)에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201)과 RAM(202)이 구성된다.
이외에도 이동통신단말기(200)에는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변환부(미도시),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거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부(미도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는 DMB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DVB-H, 미디어플로우(Media Flo) 등에서도 적용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DMB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외에도 수신다이버시티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일정한 수신신호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속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7)

  1. 특정주파수대역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메인안테나와;
    상기 무선신호에 대한 수신다이버시티기능을 하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슬레이브안테나와;
    상기 슬레이브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상기 방송신호와 분리하여 출력하는 디플렉서(Diplexer)와;
    상기 디플렉서 및 상기 메인안테나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수신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서는,
    상기 방송신호의 수신을 위한 하이패스필터와;
    상기 무선신호의 수신을 위한 로패스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신호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RF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RF송신부와 RF수신부를 분기하는 듀플렉서(Duplexer)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안테나는 수신 다이버시티가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안테나와 소정의 이득차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는 주파수대역이 800㎒, 1800㎒, 1900㎒ 내지 2100㎒의 신호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H-S, 미디어플로우(Media Flo)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60047666A 2006-05-26 2006-05-26 이동통신단말기 KR100715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666A KR100715789B1 (ko) 2006-05-26 2006-05-26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666A KR100715789B1 (ko) 2006-05-26 2006-05-26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789B1 true KR100715789B1 (ko) 2007-05-08

Family

ID=3827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666A KR100715789B1 (ko) 2006-05-26 2006-05-26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7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914A (ko) * 2004-01-12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장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914A (ko) * 2004-01-12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장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2057B2 (en) Carrier aggregation radio system
US7155184B2 (en) Triple band receiving apparatus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024220B2 (en) GPS receiver system and method
US200802400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dio operation in umts bands i and iv utilizing a single receiving port
US200501537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GPS enabled antenna
JP2009531975A5 (ko)
KR101713930B1 (ko) 휴대 단말기의 송신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JP2003504916A (ja) 受信専用アンテナ及び送信専用アンテナを備えるデュアルバンド無線電話機
KR20040099310A (ko) Gps 가능 안테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20315950A1 (en)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5159827A (ja) 複数放送波を受信可能な携帯電話機
KR20120050618A (ko) 듀얼밴드 신호를 수신하는 이어폰 안테나 장치
EP165969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ignal receiving method thereof
JP4417343B2 (ja) 共用アンテナ連結部を備えた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受信装置
CN113922837B (zh) 射频电路、射频模块及电子设备
CN102833689B (zh) 一种移动终端及射频信号的收发方法
KR10153485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수신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938064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equipped with switchable antenna
KR100584438B1 (ko) 외장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15789B1 (ko) 이동통신단말기
US20100287594A1 (en) System for implementing mobile television in wireless terminal
US20140221041A1 (en) Dual mode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of improving data rate thereof
US20090219837A1 (en) Signal transceive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120140115A (ko) 이중 대역 수신 안테나 장치
JPWO2008038380A1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