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531B1 -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 Google Patents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531B1
KR100715531B1 KR20060018273A KR20060018273A KR100715531B1 KR 100715531 B1 KR100715531 B1 KR 100715531B1 KR 20060018273 A KR20060018273 A KR 20060018273A KR 20060018273 A KR20060018273 A KR 20060018273A KR 100715531 B1 KR100715531 B1 KR 100715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aerobic
anaerobic
functional
carri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18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우
명규남
정순목
김익서
정호영
신영준
Original Assignee
유덕환경(주)
(주)그린하이테코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정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덕환경(주), (주)그린하이테코,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정순우 filed Critical 유덕환경(주)
Priority to KR20060018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6Carbonace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7Inorganic materials, e.g. sand,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류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는 호기성 담체부와 상기 호기성 담체부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수류의 접촉이 적은 혐기성 담체부로 이루어진 기능성 담체 및 상기 혐기성 담체부에 결합되는 담체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담체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담체유닛에서 호기성 미생물과 혐기성 미생물이 공존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조에서 수중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호기성 기능, 혐기성 기능, 기능성 담체유닛

Description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FUNCTIONAL MEDIA UNIT HAVING AEROBIC AND ANAEROBIC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유닛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도로서, 도 1a는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단면도이며, 도 1c는 사시도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의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평면도(A)와 그 측면단면도(B)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상부의 입체사시도(A)와 하부의 입체사시도(B)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의 다양한 구성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를 구성하는 날개판의 다양한 구성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체결수단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정면도이고, 도 5b는 입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체결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6a는 십자형, 도 6b는 일자형을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체결수단과 혐기성 담체부의 체결홈의 다양한 결합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의 또 다른 구성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8a는 다각형의 다공성 비중조절여재를 사용한 것이고, 도 8b는 원통형의 다공성 비중조절여재를 사용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캡을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그 사시도(A)와 측면단면도(B)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유닛의 또 다른 활용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유닛의 기능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호기성 담체부 110 : 날개판
120 : 날개판 지지대 200 : 혐기성 담체부
210 : 통공관 220 : 수류 유통구
230 : 체결홈 240 : 흐름제어대
300 : 기능성 담체 400 : 담체체결수단
410 : 체결구 420 : 연결관
430 : 담체캡 500 : 다공성 비중조절 여재
600 : 오염수
본 발명은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류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는 호기성 담체부와 상기 호기성 담체부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수류의 접촉이 적은 혐기성 담체부로 이루어진 기능성 담체 및 상기 혐기성 담체부에 결합되는 담체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담체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처리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수질정화장치의 포기조 내에 다양한 형태의 미생물여재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미생물여재의 가장 큰 장점은 1차적으로 표면적을 증가시켜 미생물의 번식효과를 개선시키는 것이다. 국내외에 사용되고 있는 고정상 또는 유동상의 미생물여재를 보면 제올라이트, 분말활성탄, 나일론사, 폴리우레탄, 페비닐수지, 다공성 세라믹 등 여러 가지 재질로 이루어진 미생물여재가 다양한 방법으로 포기조 내의 미생물 번식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생물막 미생물 여재는 고정상과 유동상으로 구분되며, 고정상 생물막담체는 시설비 소요가 크고, 설치에 장시간이 소요되며, 담체가 포기장치의 보수작업에 장애가 될 수 있고, 추가 증설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반면에 유동상은 포기조 내에 생물막 미생물 여재를 투입하는 것으로 설치가 완료되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 투입 또는 제거가 용이하므로 충진량을 임으로 조절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 이용이 증가되고 있으나, 포기조 내에서 질소(N)나 인(P)같은 영양물질의 농도가 떨어지면 미생물번식이 낮아져 유동상 여재의 밀도가 낮아져 부상하는 현상이 빈번히 일어나게 되어 안정적으로 수질 규제를 하기에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유동상 담체의 경우 호기성의 포기조에 한정되어 사용된다는 제한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96-9384호에 제시된 유동상 담체는 새장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비중 조절 물체를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어 비중 조절이 가능하며 미생물 번식처를 증가시키기 위해 수세미상 미생물 접촉재를 내부에 삽입하였다. 그러나 상기 유동성 담체의 경우 반구형케이스에 미생물 접촉재 및 비중 조절 물체를 삽입한 뒤에 반구형케이스를 상호 열융착시켜 제작하는 등 제작과정이 어렵고, 앞서 언급되었던 것처럼 호기성의 포기조 내에 사용한다는 제한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97-26944호는 내부 중심에 발포 스티렌을 충진하여 부유시킨 유동상 담체로 그물형 외부표면에 동결건조 시킨 균주가 부착된 다공성 유리담체를 충진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물형으로 되어있어 유체가 내부까지 원활하게 흐르지 않으며 효율이 떨어진다.
한편, 최근 사용빈도가 증가하는 다양한 형태의 그물형 담체의 경우 표면적이 적어 미생물 활착공간 제공이 작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 혹은 외부에 또 다른 미생물접촉재를 부착시키는 경우 유체가 내부까지 원활하게 흐르지 않아 효율이 떨어지며, 호기성의 포기조 내에 사용한다는 제한적 요소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조에서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를 이용하여 오염수를 정화하는 장치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성 담체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은, 수류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는 호기성 담체부와 상기 호기성 담체부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수류의 접촉이 적은 혐기성 담체부로 이루어진 기능성 담체 및 상기 혐기성 담체부에 결합되는 담체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는 다수개의 날개판 및 상기 날개판과 날개판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는 날개판 지지대로 이루어진 호기성 담체부; 및 상기 호기성 담체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통공관, 통공관의 일단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구멍이 구비된 수류 유통구, 통공관의 타단에 위치하고 담체체결수단과 대응하는 체결홈 및 통공관의 내부를 따라 돌출되어 있는 다수개의 흐름제어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혐기성 담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호기성 담체부는 다수개의 날개판이 이루는 전체적인 형상이 구형, 원통형, 절구통형 또는 다면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날개판과 날개판 사이의 간격이 3~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날개판과 날개판 사이의 간격이 3㎜ 이하일 경우에는 막힘현상으로 인하여 수질정화 기능이 저하되고, 10㎜가 넘을 경우에는 접촉 표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수질정화 기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혐기성 담체부는 통공관 내부에 다수개의 다공성 비중조절 여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기능성 담체의 비중을 조절하여 고정상 또는 유동상으로도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좀 더 많은 미생물 번식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다공성 비중조절 여재는 500 ~ 1,000㎛의 다수개의 공극으로 이루어진 다면체 구조이고,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활성탄, 제올라이트, 모데나이트, 옥분말 또는 황토분말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원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담체체결수단은 상기 혐기성 담체부의 체결홈에 대응하는 나사형 또는 클립형의 체결구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담체체결수단은 2개 이상의 기능성 담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방상형, 십자형 또는 일자형의 관형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내부에 직선형, 나선형 또는 사선형의 흐름제어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담체체결수단은 수류유통구가 구비된 담체캡이 형성되어 1개의 기능성 담체 유닛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유닛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도로서, 도 1a는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단면도이며, 도 1c는 사시도를 개괄 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유닛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부에 다수개의 날개판(110)과 날개판(110)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는 날개판 지지대(120)로 이루어진 호기성 담채부(100)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호기성 담체부(100)의 중심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통공관(210), 통공관(210)의 일단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구멍이 구비된 수류유통구(220)와, 통공관(210)의 타단에 위치하고 담체체결수단(400)과 대응하는 체결홈(230) 및 통공관(210)의 내부를 따라 돌출되어 있는 다수개의 흐름제어대(240)로 이루어진 혐기성 담체부(200)가 있는 기능성 담체(300)와, 말단부에 상기 혐기성 담체부(200)의 체결홈(230)에 결합되는 체결구(410)와 다수개의 기능성 담체(300)들을 상호 수직형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관형태로 이어진 연결관(420)이 구비된 담체체결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유닛의 일실시예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담체체결수단(400)에 의해 6개의 기능성 담체(300)들이 상호 수직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300)의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평면도(A)와 그 측면단면도(B)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상부의 입체사시도(A)와 하부의 입체사시도(B)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능성 담체(300)는 외곽부에 호기성 미생물의 번식처를 제공하는 날개판(110)과 상기 날개판(110)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고 담체표면적을 증가시키는 날개판 지지대(120)로 이루어진 호기성 담체부(100)와, 상기 호기성 담 체부(100)의 중심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통공관(210), 통공관(210)의 일단에 위치하고 4개의 구멍이 형성된 수류 유통구(220), 통공관(210)의 타단에 위치하여 담체체결수단(400)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홈(230) 및 통공관(210)의 내부를 따라 돌출되어 있으면서 혐기성 미생물의 번식체를 증가시키고 유속의 흐름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흐름제어대(240)로 이루어진 혐기성 담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담체로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모두 갖출 수 있다. 이때, 상기 흐름제어대(240)는 통공관(210)을 따라서 직선형, 나선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300)의 다양한 구성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300)는 다수개의 날개판(110)과 날개판 지지대(120)로 구성된 호기성 담체부(100) 및 그 내부에 관통되어 위치하는 혐기성 담체부(200)로 구성되어 있으나,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날개판(110a 및 110b)의 모양에 따라 전체적인 외관이 구형(A)이 될 수 있고, 원통형(B)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성담체(300)의 날개판 지지대(120b)가 일정간격으로 서로 이어져 수류의 흐름의 변화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 날개판(110a 및 110b)의 모양에 따라 전체적인 외관을 원통형(A) 또는 구형(B)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300)를 구성하는 날개판(110)의 다양한 구성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판(110)에 다수개의 구멍(111)을 구비하여 수류의 흐름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111)과 함께 다수개의 돌기(112)를 구비하여 비표면적을 증가시켜 더 많은 호기성 미생물의 번식처를 제공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날개판(110)은 원형, 타원형, 다면체형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체결수단(400)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정면도이고, 도 5b는 입체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체체결수단(400)은 각각의 말단부에 혐기성 담체부(200)의 체결홈(230)과 결합되는 체결구(410)와, 각각 수직으로 이루어져 다수개의 기능성 담체(300)를 방상형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관(420)과, 연결관 내부에 비표면적을 넓혀주고 유속흐름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흐름제어대(411)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체결수단(4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6a는 십자형이고, 도 6b는 일자형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담체체결수단(400)은 연결관(420)의 형태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은 방상형의 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6a에서와 같이 4개의 기능성 담체를 연결하는 십자형의 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고, 도 6b에서와 같이 2개의 기능성 담체를 연결하는 일자형의 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체결수단(400)과 혐기성 담체부(200)의 체결홈(230)의 다양한 결합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7a는 체결홈(230)이 암나사 형상으로 구현되고, 담체체결수단(400)의 체결구(410a)가 수나사 형상으로 구현되는 나사형이고, 도 7b는 체결홈(230)에 걸림홈이 있어서 담체체결수단(400)의 체결구(410b)의 돌출부가 결합될 수 있는 클립형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300)의 또 다른 구성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8a는 다각형의 다공성 비중조절여재를 사용한 것이고, 도 8b는 원통형의 다공성 비중조절여재를 사용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300)는 혐기성 담체부(200)의 체결홈(230)에 결합하는 체결구(410)와 다수개의 구멍이 구비된 수류 유통구(431)를 지닌 담체캡(430)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기능성 담체유닛이 단독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능성담체(300)의 혐기성 담체부(200) 내부에는 다양한 형태의 다공성 비중조절 여재(500a, 500b)를 첨가하여 기능성 담체의 비중을 조절하고, 좀 더 많은 혐기성 미생물의 번식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성 비중조절 여재는 500~1,000㎛ 크기의 다수의 공극으로 이루어진 정육면체, 직육면체 다면체, 구형, 원통형 등의 모양으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등과, 활성탄, 제올라이트, 모데나이트, 옥분발, 황토분말 등을 단독 혹은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캡(430)을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그 사시도(A)와 측면단면도(B)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담체캡(430)은 상부에 다수개의 구멍이 구비된 수류유통구(431)가 있고, 하부 말단부에는 기능성담체(300)의 체결홈(230)과 결합할 수 있는 체결구(410)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상기 체결구(410)는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사형 뿐만 아니라, 클립형 등 다양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유닛의 또 다른 활용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 9에 도시한 담체캡(430)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형(A) 및 원통형(B)의 기능성 담체(300)에 적용하여 한 개의 기능성 담체유닛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유닛의 기능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수(600)가 유입되면 기능성 담체유닛의 형태로 인해 다양한 유속변화가 생기게 되고, 기능성담체(300)의 외부로는 수류와 기포가 자유롭게 흐를 수 있지만 기능성담체(300)의 내부는 현저한 유속 감소로 인해 수류와 기포가 잘 흐를 수 없게 된다. 이때, 수류와 기포가 잘 흐르면서 투과되는 외곽부는 호기성 기능을 하게 되고, 수류와 기포가 잘 흐르지 않는 내부는 혐기성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담체유닛은 하나의 조에서 혐기기능과 호기기능이 동시에 이루도록 하여 다른 공법과 비교하여 부지소요면적이 작고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와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이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이 아니라 청구범위와 함께 균등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능성 담체유닛은, 하나의 조에서 호기기능과 혐기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질정화 시스템이 간소화되고, 기존 수질정화 시설보다 설비 부지면적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며, 유지관리적인 측면에서도 보다 수월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혐기기능과 호기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능성 담체유닛은 고정상 및 유동상 담체로 모두 활용이 가능하여 기존 처리시설에도 적용하여 처리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2)

  1. 수류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는 호기성 담체부와 상기 호기성 담체부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수류의 접촉이 적은 혐기성 담체부로 이루어진 기능성 담체; 및
    상기 혐기성 담체부에 결합되는 담체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담체는,
    다수개의 날개판 및 상기 날개판과 날개판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는 날개판 지지대로 이루어진 호기성 담체부; 및
    상기 호기성 담체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통공관, 통공관의 일단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구멍이 구비된 수류 유통구, 통공관의 타단에 위치하고 담체체결수단과 대응하는 체결홈 및 통공관의 내부를 따라 돌출되어 있는 다수개의 흐름제어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혐기성 담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성 담체부는,
    다수개의 날개판이 이루는 전체적인 형상이 구형, 원통형, 절구통형 또는 다 면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성 담체부는,
    날개판과 날개판 사이의 간격이 3~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은,
    수류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은,
    날개판의 비표면적을 증가시켜 더 많은 호기성 미생물의 번식처를 제공하게 하기 위한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혐기성 담체부는,
    통공관 내부에 다수개의 다공성 비중조절 여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비중조절 여재는,
    500 ~ 1,000㎛의 다수개의 공극으로 이루어진 다면체 구조이고,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활성탄, 제올라이트, 모데나이트, 옥분말 또는 황토분말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원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체결수단은,
    상기 혐기성 담체부의 체결홈에 대응하는 나사형 또는 클립형의 체결구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체결수단은,
    2개 이상의 기능성 담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방상형, 십자형 또는 일자형의 관형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체결수단은,
    내부에 직선형, 나선형 또는 사선형의 흐름제어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체결수단은,
    수류유통구가 구비된 담체캡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KR20060018273A 2006-02-24 2006-02-24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KR100715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8273A KR100715531B1 (ko) 2006-02-24 2006-02-24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8273A KR100715531B1 (ko) 2006-02-24 2006-02-24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748U Division KR200417037Y1 (ko) 2006-03-03 2006-03-03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531B1 true KR100715531B1 (ko) 2007-05-10

Family

ID=3826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18273A KR100715531B1 (ko) 2006-02-24 2006-02-24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5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703B1 (ko) * 2008-11-04 2012-01-05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바이오스톤저장수단을 갖는 우수통제시스템
CN110092465A (zh) * 2019-04-16 2019-08-06 无锡米尔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的绳状填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454A (ko) * 1999-07-09 1999-10-05 성기달 오.폐수처리를위한다기능성담체및이를이용한합병정화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454A (ko) * 1999-07-09 1999-10-05 성기달 오.폐수처리를위한다기능성담체및이를이용한합병정화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703B1 (ko) * 2008-11-04 2012-01-05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바이오스톤저장수단을 갖는 우수통제시스템
CN110092465A (zh) * 2019-04-16 2019-08-06 无锡米尔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的绳状填料
CN110092465B (zh) * 2019-04-16 2021-08-20 无锡米尔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的绳状填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9886A (en) Media for filtration
JP2013504415A (ja) 流体浄化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流体浄化アセンブリ
EP0761605B1 (en) Stirred tank bioreactor
KR100715531B1 (ko)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KR200417037Y1 (ko) 호기성 기능과 혐기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능성 담체유닛
CN209456149U (zh) 一种新型组合式生物填料模块
MX2008005487A (es) Medios de auto-limpieza de dos caras.
JP2004275176A (ja) 比表面積、生体親和性及び流動性が改善された生物膜担体
CN108467113A (zh) 高效反硝化滤池
CN101250003A (zh) 一种中空纤维膜组件
WO2005100266A1 (en) Micro bubble low turbulence sewage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CN213202502U (zh) 陶瓷膜曝气装置
CN1824613B (zh) 多孔管式处理水流出组件及利用该组件的处理水流出装置
CN208561841U (zh) 高效反硝化滤池
US3915862A (en) Submerged air release device particularly for sewage treatment
JPH0568992A (ja) 微生物担持体収納具
RU2700490C1 (ru) Биореактор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анаэробной обработки орган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животного и растительн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с получением органических удобрений и биогаза
JP3790795B2 (ja) 浄水用ブロック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浄水ブロックを用いた浄水装置
WO2014081126A1 (ko) 생물여과용 산기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생물여과지
CN207632590U (zh) 一种包括填料的污水处理系统
KR100887760B1 (ko) 유동상 여재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JPH04271895A (ja) 有機性汚水の生物濾過装置
KR100224118B1 (ko) 유기성 생활오수 정화장치
JP2942765B1 (ja) 嫌気性微生物を利用する有機性原水処理装置
JP7175094B2 (ja) 水浄化エレメントおよび水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