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319B1 - 7방향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7방향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319B1
KR100715319B1 KR1020050102539A KR20050102539A KR100715319B1 KR 100715319 B1 KR100715319 B1 KR 100715319B1 KR 1020050102539 A KR1020050102539 A KR 1020050102539A KR 20050102539 A KR20050102539 A KR 20050102539A KR 100715319 B1 KR100715319 B1 KR 100715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er
blower
hou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5821A (ko
Inventor
김재성
Original Assignee
김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성 filed Critical 김재성
Priority to KR1020050102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319B1/ko
Publication of KR20070045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여러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함으로서 실내 전반적 기류 분포가 고르게 분포할 수 있게 하여 천장이 높은 공간에서도 최상의 온도 분포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방 및 난방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게 한 7 방향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7 방향 공기조화기는, 송풍 구멍(12)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공기배출구(70)는, 단면이 육각을 이루는 통체 형성으로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송풍 구멍(11a)과 대향되는 면은 개방되고, 반대면과 6개의 측 벽면을 갖는 몸체(71)의 각 벽에 형성된 구멍에는 각각 회동 가능한 반구형의 노즐(72)이 설치되며, 상기 공기배출구(70)에 형성된 6개의 측 벽면은 상광하협(上廣下峽)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 구멍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공기의 공급 방향이 다양하게 하였다.
7웨이, 공기조화기, 고른 기류 분포

Description

7방향 공기조화기{A 7way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7 방향 공기조화기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7 방향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공기 가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7 방향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공기배출구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7 방향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공기배출구의 노즐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7 방향 공기조화기를 소정의 공간 내에 설치하여 구동한 상태에서의 기류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7 방향 공기조화기를 소정의 공간 내에 설치하여 구동한 상태에서의 높이에 따른 온도분포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소정의 공간 내에 설치하여 구동한 상태에서의 기류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8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소정의 공간 내에 설치하여 구동한 상태에서의 높이에 따른 온도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하우징 11 : 송풍로
12 : 송풍 구멍 20 : 댐퍼
30 : 공기필터 31 : 1차필터
32 : 2차필터 40 : 쿨링 코일
50 : 히터 코일 60 : 송풍기
70 : 공기배출구 71 : 몸체
72 : 노즐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측방은 물론 하방으로 공기를 송풍함으로서 실내 전반적 기류 분포가 고르게 분포할 수 있게 하여 천장이 높은 공간에서도 최상의 온도분포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방 및 난방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게 한 7웨이 방식의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저온 창고나 고온 창고 또는 소정의 공간을 냉난방하기 위한 장치로 공기조화기가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냉방장치와 난방장치가 하나의 몸체에 구성되어 있으며, 소정 공간의 일측 벽에 설치되어 냉풍 또는 온풍을 공간의 내부에 공급함으로서 실내 공기를 덮히거나 식히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통상적으로 어느 한 방향 즉, 벽의 반대 방향으로만 공기를 송풍함으로서 실내 공간이 넓을 때에서 냉기나 온기가 반대측 벽까지 도달하지 못하여 실내 전체의 냉난방을 이룰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저온 창고나 고온 창고 등 천장의 높이가 높은 공간에서는 천장의 일부에 이러한 공기조화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렇게 어느 한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할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의 흐름 즉, 기류가 공간의 구석까지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공간 전체의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거나 높아지지 못하여 오히려 그 내부에 저장된 식료품이 손상되거나 인체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공기조화기만을 설치할 경우 전체적으로 충분한 냉방 또는 난방을 이룰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기 조화기에 공급되는 공기의 방향을 7웨이 방식으로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켜 송풍함으로써, 송풍된 공기가 서로 간섭하여 실내 전체에 고르게 기류가 분포되게 하여, 실내 공간의 전체가 고르게 냉난방 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히 공기 조화기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될 경우, 측방은 물론 하방으로 공기를 송풍함으로서, 실내 전반적 기류 분포가 고르게 분포할 수 있게 하여, 천장이 높은 공간에서도 최상의 온도분포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방 및 난방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7방향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하우징 일측에 송풍로가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 송풍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송풍로 반대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댐퍼가 설치되고, 상기 댐퍼와 송풍로 사이에는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댐퍼와 송풍기 사이에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쿨링 코일과,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 코일이 각각 설치되는 한편, 상기 댐퍼와 쿨링 코일 사이에는 공기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송풍구멍의 바깥쪽에 다수의 공기 배출 노즐을 통체 형상의 몸체에 설치한 공기배출구가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 구멍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공기배출구는, 단면이 육각을 이루는 통체 형성으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송풍 구멍과 대향되는 면은 개방되고, 반대면과 6개의 측 벽면을 갖는 몸체의 각 벽에 형성된 구멍에는 각각 회동 가능한 반구형의 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공기배출구에 형성된 6개의 측 벽면은 상광하협(上廣下峽)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 구멍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7 방향 공기조화기를 마련함에 의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7 방향 공기조화기의 일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7 방향 공기조화기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7 방향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공기 가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7 방향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공기배출구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7 방향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공기배출구의 노즐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7 방향 공기조화기를 소정의 공간 내에 설치하여 구동한 상태에서의 기류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7 방향 공기조화기를 소정의 공간 내에 설치하여 구동한 상태에서의 높이에 따른 온도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7 방향 공기조화기는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여러 방향으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구(70)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7 방향 공기조화기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수용 공간을 갖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냉난방용 가열 또는 냉각 수단인 쿨링 코일(40)과 히터 코일(50)을 설치하고, 이들로부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하우징(10)의 외부로 송풍하는 송풍 수단인 송풍기(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즉,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일측 벽에 형성된 구멍에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댐퍼(20)가 설치된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송풍기(60)에 이해 송풍되는 공기의 유로 역할을 하는 송풍 공간인 송풍로(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송풍로(11)의 일측벽에는 송풍 구멍(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송풍 구멍(11a)은 송풍기(60)에 이해 송풍되어 상기 송풍로(11) 내로 공급된 공기를 외부 즉, 실내 공간으로 배출하는 구멍으로 상기한 공기배출구(70)가 이 송풍 구멍(11a)의 바깥쪽에 설치된다.
상기 공기배출구(70)는 도 2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육각을 이루는 통체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송풍 구멍(11a)과 대향되는 면은 개방되고, 반대면과 6개의 벽면을 갖는 몸체(71)와, 상기 각각의 벽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에 각각 회동 가능한 반구형의 노즐(72)로 구성된다.
즉, 송풍기(60)에 의해 송풍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송풍로(11)를 통하여 상기 공기배출구(70)의 몸체(71)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각 노즐(72)을 통하여 배출 방향이 바뀐 상태로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공기배출구(70)의 몸체(71)는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도시하였을 때 정육각형을 이루고 각각의 측 벽면은 상광하협(上廣下峽)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바닥면은 상기 공기 구멍(11a)과 대향되는 개방된 단부보다 좁은 면적을 갖는다.
이렇게 형성된 몸체(71)의 7개의 각 벽면에 형성된 구멍에는 상기한 노즐(72)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노즐(72)은 도시한 바와 같이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몸체(71)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될 수 있어 배출 구멍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몸체(71)의 6개 벽면을 상광하협(上廣下峽)의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서 각각의 면은 경사지게 아래쪽을 향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노즐(72)을 회동시켜 바람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서 측방으로 배출되는 냉온기의 유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7 방향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댐퍼(20)는 통상적으로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댐퍼와 동일 유사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다수의 판을 서로 인접하게 설치하여 각각의 회전판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쿨링 코일(40)은 통상의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외기로부터 공급된 냉매에 의해 공기를 냉각시키는 수단이며, 상기 히터 코일(50)은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서 공기를 가열하는 수단으로서 이러한 수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는 쉽게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7 방향 공기조화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댐퍼와 쿨링 코일 사이에는 공기필터(30)를 더 설치 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필터(30)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어 냉각 또는 가열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과망이나 여과용 스펀지 등으로 구성되며, 망 눈이 큰 여과망으로 구성된 1차필터(31)와 망 눈이 작은 2차필터(32)로 구성하여 점차적으로 미세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7 방향 공기조화기를 소정의 실내 공간에 설치한 상태에서 가동시킨 후 공기의 흐름과 소정 시간 가동 후 높이에 따른 온도 분포를 측정한 경로를 도 5 및 도 6에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7 방향 공기조화기를 설치한 공간에서 공기의 흐름은 7 방향으로 배출되는 공기와 이들이 서로 간섭함에 의해 서로 엉켜 실내 공간 전체에 기류가 형성됨을 알 수 있고, 이러한 기류에 의해 냉각된 실내의 공기는 그 높이와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7 방향 공기조화기는 기존의 공기조화기보다 기류이 형성이 양호하고 이에 따른 냉방 난방 효과가 우수하다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7 방향 공기조화기는, 냉풍 또는 온풍이 공급되는 방향이 측방과 하방으로 이루어지고 이렇게 배출된 공기가 서로 간섭하여 실내 전체에 고르게 기류 분포되게 하여 실내 전체가 고르게 냉난방 될 수 있으며, 천장이 높은 공간에서도 최상의 온도 분포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 공간에 공급된 공기가 고르게 공급됨으로서 어느 일측의 냉각되거나 가열된 공기로부터 열을 전달하여 전체 공기가 냉각 또는 가열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더운 공기나 찬 공기가 공급되어 난방 또는 냉방이 이루어짐으로서 냉방 또는 난방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공기 조화기의 하우징(10) 일측에 송풍로(11)가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 송풍 구멍(11a)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송풍로(11) 반대측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댐퍼(20)가 설치되고, 상기 댐퍼(20)와 송풍로(11) 사이에는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60)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댐퍼(20)와 송풍기(60) 사이에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쿨링 코일(40)과,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 코일(50)이 각각 설치되는 한편, 상기 댐퍼(20)와 쿨링 코일(40) 사이에는 공기필터(30)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송풍구멍(12)의 바깥쪽에 다수의 공기 배출 노즐(72)을 통체 형상의 몸체(71)에 설치한 공기배출구(70)가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 구멍(12)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공기배출구(70)는, 단면이 육각을 이루는 통체 형성으로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송풍 구멍(11a)과 대향되는 면은 개방되고, 반대면과 6개의 측 벽면을 갖는 몸체(71)의 각 벽에 형성된 구멍에는 각각 회동 가능한 반구형의 노즐(72)이 설치되며, 상기 공기배출구(70)에 형성된 6개의 측 벽면은 상광하협(上廣下峽)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 구멍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7 방향 공기조화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50102539A 2005-10-28 2005-10-28 7방향 공기조화기 KR100715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539A KR100715319B1 (ko) 2005-10-28 2005-10-28 7방향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539A KR100715319B1 (ko) 2005-10-28 2005-10-28 7방향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821A KR20070045821A (ko) 2007-05-02
KR100715319B1 true KR100715319B1 (ko) 2007-05-08

Family

ID=3827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539A KR100715319B1 (ko) 2005-10-28 2005-10-28 7방향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3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5424A (zh) * 2014-07-22 2014-11-26 江苏兆胜空调有限公司 一种船用射流诱导送风冷却装置
CN106091184A (zh) * 2016-08-11 2016-11-09 冯晓宏 一种高效节能的全品质空调系统
SI3492824T1 (sl) * 2017-11-29 2021-03-31 Tom Ascough Postopek za kondicioniranje zraka
CN112212399A (zh) * 2019-07-09 2021-01-1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利用管道导风的空调室内机
CN110296517A (zh) * 2019-08-01 2019-10-01 成都纺织高等专科学校 一种中央空调用分区域智能控温送风装置及送风方法
CN112682875B (zh) * 2020-12-21 2022-03-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的控制方法、装置、空调、存储介质及处理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624Y1 (ko) * 2003-03-25 2003-06-25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실내 온도조절 및 공기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624Y1 (ko) * 2003-03-25 2003-06-25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실내 온도조절 및 공기정화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4022513NU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821A (ko)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319B1 (ko) 7방향 공기조화기
KR100628205B1 (ko)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6152282B (zh) 空调器
US20110290454A1 (en) Air Cooling And Air Dehumidifying Module Comprising Capillary Tube Mats And Method of Using It
CN108006822A (zh) 壁挂式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KR102296837B1 (ko)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US20110124279A1 (en) Supply air unit
CN106091322A (zh) 出风面板结构、空调器、空调器出风的控制方法
CN107763743A (zh) 壁挂式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KR100943859B1 (ko) 풍량조절구가 구비된 바닥 공조용 취출구
KR101518553B1 (ko) 전자동 시스템 냉풍기
WO2021036415A1 (zh) 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205860419U (zh) 出风面板结构、空调器
CN106225077B (zh) 一种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KR101204305B1 (ko) 바닥용 디퓨저
CN106288275B (zh) 空调器
CA2967088C (en) Air curtain apparatus
US20180328610A1 (en) Air curtain apparatus
CN109099510A (zh) 空调器
KR101264200B1 (ko) 무인국사의 외기공급장치
US20120088445A1 (en) Air distribution unit
CN113932293A (zh) 室内机、空调器及室内机控制的方法
KR101645962B1 (ko) 냉각탑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1372B1 (ko) 상황별 공조가 가능한 에너지 절약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95693Y1 (ko)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