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504B1 -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서버/호제어 프로그램 재기동시기존 통화 유지 방법 - Google Patents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서버/호제어 프로그램 재기동시기존 통화 유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504B1
KR100713504B1 KR1020000043788A KR20000043788A KR100713504B1 KR 100713504 B1 KR100713504 B1 KR 100713504B1 KR 1020000043788 A KR1020000043788 A KR 1020000043788A KR 20000043788 A KR20000043788 A KR 20000043788A KR 100713504 B1 KR100713504 B1 KR 100713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hannel
wireless network
network system
priv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0026A (ko
Inventor
함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3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504B1/ko
Publication of KR20020010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50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서버 프로그램 재기동시 기존 통화 유지 방법에 있어서, 서버 프로그램의 재기동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재기동 신호에 따라 채널 카드의 상태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 카드의 상태로부터 통화중 호에 대한 상태표를 작성하는 과정과, 상기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서버 프로그램이 재기동한 후, 상기 상태표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중 호의 채널을 제외한 채널에 호할당을 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보코더, 호 관리부, 서버/호제어 프로그램

Description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서버/호제어 프로그램 재기동시 기존 통화 유지 방법{METHOD FOR MAINTAINING CURRENT CALL WHEN SERVER/CALL-CONTROL PROGRAM RESTARTS IN PRIVATE WIRELESS NETWORK SYSTEM}
도 1은 통상적인 공중 무선망 시스템에서의 호제어 프로세서 재기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서버/호제어 프로그램 재기동시 기존 통화 유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구내 무선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공중 무선망은 일정한 영역내의 이동국에게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개의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tation: BTS)과 다수개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 상기 다수개의 기지국 제어기를 다른 가입자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 및 상기 이동 교환국에게 가입자 정보를 제공하는 방문자 위치등록 시스템(Visitor Location Register: VLR)과 홈 위치 등록 시스템(Home Location Register: HLR)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가입자의 발신호 요구에 대해 보코더를 할당하여 다른 가입자에게 통화 채널을 제공하고, 착신호의 요구에 대해서도 보코더를 할당하여 착신호를 처리한다. 기지국 제어기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드웨어적으로 호제어 프로세서와 채널 카드를 구비한다. 호제어 프로세서는 공중망 기지국 제어기 시스템의 카드에 실장된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공중 무선망의 호제어를 행한다. 채널 카드는 호제어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하위단의 보코더와 기지국 채널간의 호를 유지한다.
이러한 통상적인 공중 무선망 시스템에서, 기지국 제어기의 호제어 프로세서가 재기동되는 경우에는 하위단의 모든 프로세서를 재기동시킨다. 도 1은 통상적인 공중 무선망 시스템에서의 호제어 프로세서 재기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100에서 기지국 제어기의 호제어 프로세서가 재기동 신호를 받으면, 채널 카드에 대해 재기동을 요구한다. 그에 따라 채널 카드는 재기동한다(단계 102). 이어서 단계 104에서 호제어 프로세서가 상위단 예컨대, MSC(Mobile Switching Center)로부터 프로그램을 요구하고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다. 이후, 단계 106에서 호제어 프로세서가 동작을 개시한다. 그러면 단계 108에서 채널 카드가 그 상위단인 호제어 프로세서에 프로그램을 요구하고 프로그램을 공급받으면 단계 110에서 정상 동작을 개시한다. 이러한 호제어 프로세서의 재기동시, 호제어 프로세서 하위단의 보코더와 기지국 채널간에 유지되었던 호는 종료하게 된다. 이는 무선망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며, 가입자에게 불편함을 주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기존 공중망의 기지국단 제어기에서는 시스템이 리셋된 경우 통화중인 호를 유지시켜줄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내 무선망 시스템에서 호제어를 위한 서버 프로그램이 재기동된 경우에도 기존 통화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통화 유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내 무선망 시스템에서 호제어를 위한 서버 프로그램이 재기동된 경우에도 기존 통화로를 주기적으로 감시하여 재기동 이전 호의 채널에 대해 통화 종료시 정상적으로 호를 할당할 수 있는 통화 유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서버 프로그램의 재기동시 기존 통화 유지 방법에 있어서, 서버 프로그램의 재기동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재기동 신호에 따라 채널 카드의 상태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 카드의 상태로부터 통화중 호에 대한 상태표를 작성하는 과정과, 상기 구 내 무선망 시스템의 서버 프로그램이 재기동한 후, 상기 상태표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중 호의 채널을 제외한 채널에 호할당을 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참조번호 내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은 구내 무선망 시스템(20)은 사설교환기(PBX: Private Branched eXchange)(28)와, 사설 기지국 제어기(pBSC:private BSC)(26)와, 호 관리부(CM: Call Manager)(50)를 구비한다.
사설 교환기(28)는 호 관리부(50)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 이동 단말기들의 구내 사설 무선 호(PBX Mobile Switching Call)에 따른 스위칭 제어 명령 신호를 발생하여 그에 따른 스위칭을 하며, 기존의 음성통신을 위하여 PSTN/PSDN 및 SLC, DLI와 연결되어 국선 착, 발신 및 내선 통신을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MAP를 이용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인포링크 메시지(Info link Message)를 이용한 호 메시지와의 메시지통신을 하며, LAN케이블(LAN)을 통한 ITU-T권고안 H.323인터페이스에 의하여 VoIP(VoiceoverIP)를 이용한 게이트웨이(Gateway), 게이트키퍼(GateKeeper)기능으로 IP단말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사설 기지국 제어기(26)는 사설 교환기(28)에 연결되어 이동국에서 시작한 발신호의 요구에 대해 보코더를 할당하여 이동가입자에게 완전한 통로를 제공하고, 착신호의 요구에 대해 보코더를 할당하여 착신호를 처리하며, 운영자의 요구에 대해 시험호를 처리하고 음성호 외에 G3 FAX 모뎀과 같은 회선모드 데이터 호와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패킷모드 데이터 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사설 기지국(24)은 사설 기지국 제어기(26)와 연결되고 사설 BTS 메인부(PMU)와 사설 BTS 무선부(PRU)로 구분되어 IS-95-B Air I/F규격에 의한 고속 데이터 서비스, 각종 핸드오프 PUF(Power Up Function), 3개로 세분화된 역링크 폐쇄루프 파워 제어, 우선 액세스 채널 지정, CDMA V.2시스템과 연동된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 제어와 호처리 제어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운용제어와 CDMA V.2시스템의 상태관리, 시험, 경보 등의 유지보수를 위한 사설 BTS 메인부(PMU)와 사설 BTS 메인부(PMU)와 연결되고 구내의 각부의 안테나들을 연결한 중계기에 연결되어 송신신호의 업 변환과 수신 신호의 다운 변환하며 송신 신호의 출력을 증폭하는 기능을 한다.
호 관리부(50)는 무선 호에 대한 제어 및 무선 자원에 대한 운영, 유지, 보수와 사설 기지국 제어기 자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의 PRM, PLD 로딩 기능을 하며 유무선 복합기능을 제어하고, 사내 무선 단문 서비스를 지원하며, 이를 위한 SMS 웹 서버와 IP-PCX간 이동 단말기 로밍 기능을 위한 VLR 관리 기능과 구내 무선가입자 등록 및 기능 설정을 위한 기능을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설 교환기(28)에서 일반전화기(18)는 가입자 라인 인터페이스부(SLI)(43)에 연결되며, 키폰 단말기(45)는 디지털 라인 인터페이스부(DLI)(44)에 연결되어 타임스위치(T-SW)(41)에서 제어부(42)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하여 유선 단말기인 일반전화기(18) 또는 키폰 단말기(45)와의 음성통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45)는 등록된 구내 이동 단말기들에 대하여 호가 있을시 스위칭 제어 명령에 따라 스위칭을 하여 기존의 공중 무선망의 MSC(Mobile Switch Center)기능을 대신한다. 따라서 호의 주체는 각 유무선 IP단말에서 실시하며, 유무선 복합기능을 위한 호의 스위칭은 사설 교환기(28)의 타임 스위치(41)에서 일어나며, 유무선 복합기능의 제어주체는 무선호를 제어하는 호 관리부(50)가 실시한다. 한편, 사설 교환기(28)의 타임 스위치(41)에 E1접속부(40)를 통하여 사설 기지국 제어기(26)의 TSB(Transcoder & Selector Bank) 인터페이스 E1부(TIEA;Transcoder & Selector Bank Interface E1)(38)에 연결된다.
사설 기지국 제어기(26)는 사설 CDMA 내부 연결망을 구성시키는 것으로 TSB 인터페이스 E1부(TIEA)(38)가 사설 교환기(28)의 E1 인터페이스부(40)와 연결되며, 여기에 TSB부(TASA;Transcoder & Selector Bank Assembly)(39)가 연결된다. TSB부(TASA)(39)는 2.048Mbps 비다중 전송채널의 정합을 위한 보코더(Vocoder)기능을 가진다. 이는 TSB당 E1 인터페이스시 60 보코더를 수용하고, 호설정시 호 관리부(50)에 의해 할당된 보코더에 채널 요소의 번지를 제공하고 호처리 과정에서는 이동국에 의한 부호 천이 및 등록에 관한 정보를 호 관리부(50)로 통보한다. TSB 인터페이스 E1부(TIEA)(38)는 TSB부(TASA)(39)의 탈장, 실장 및 동작 상태를 파악 하여 호 처리부(50)에 제공한다. TSB 인터페이스 E1부(TIEA)(38)와 TSB부(TASA)(39)는 호 관리부(50)에 모든 상태정보를 직접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고기능 IPC처리부(HINA; High Capacity IPC Node Board Assembly)(36)와 인터넷망 인터페이스부(INIA; IP Network Interface Assembly)에서 처리하여 LAN케이블(LAN)을 통하여 받게된다. 고기능 IPC 처리부(HINA)(36)는 위성 클럭 수신기(GPSR)에서 클럭을 받으며 HDLC 패킷 인식 및 처리가 가능하고, 프로세서 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노드어드레스의 다운로드와 고장관리 및 노드 블럭킹과 리셋 기능을 가지며, 고기능 IPC처리부(HIPA;High Capacity IPC Processor Assembly)(37)와의 유지 보수를 위한 M(Maintenance)-버스 정합 기능을 가진다. 고기능 IPC 처리부(HIPA)(37)는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IPC채널기능을 제공하고, 노드의 블럭킹, 리셋, 노드 및 링크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M-버스 정합과 D-버스의 정합 기능을 제공한다. 로컬 인터페이스 E1(LIEA;Local Interface E1 Assembly)부(35)는 사설 기지국(24)과 무선 공중망과 E1선로 방식으로 연결되어 비-채널화된 형태로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2.048Kbps의 PCM데이터로부터 클럭, 데이터, 알람을 생성하여 E1 중계선로로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거하여 1920Kbps IPC데이터로 만들고, 여기서 발생된 IPC데이터를 U-링크를 통하여 고기능 IPC 처리부(HINA)(36)로 송신하고 반대로 고기능 IPC 처리부(HINA)(36)로부터 U-링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IPC데이터를 PCM에 실어 2048Kbps로 대국으로 송신한다. 로컬 인터페이스 E1(LIEA)부(35)는 사설 기지국(24)의 사설 기지국 메인 제어부(PMCC;pBTS Main Controller) (34)와 연결된다.
사설 기지국 메인 제어부(PMCC)(34)는 호설정 및 시스템 성능에 관련된 시그날링 메시지처리, 이동 단말기(MS;Mobile Station)(10)의 호시도에 대해 송신출력을 결정하고, 전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형상과 관리 및 필요 자원할당을 하며, 기지국 전체에 대한 제어 및 감시, 관리, 내부 패킷 라우팅, 사설 기지국 제어기(26)와 인터페이싱한다. 본 명세서에서 '할당'이란 무선자원(주파수, CDMA 프레임 오프셋, 채널 요소, 코드채널)의 할당과 채널카드에 오버헤드 채널(파일럿, 동기, 페이징, 억세스) 할당을 뜻한다. 내부 패킷 라우팅은 사설 기지국 제어기(26)와 피코 BTS 채널카드(33)사이의 패킷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한다. 피코 BTS 채널카드(PCC;Pico BTS Channel Card)(33)는 CDMA규격에 할당된 채널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최대 4장의 PCC보드를 내장할 수 있으며, 이는 섹터운용시 리던던시(Redundancy)로 동작하여 하나의 PCC보드에 장애가 발생하여도 전체 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무선규격에 합당된 기저대역의 신호처리는 각각의 PCC 보드는 16개의 채널구성요소를 가지며, 2개의 CDSP(Control Digital Signal Processor)가 8개씩 채널을 관리한다. 각각의 피코 BTS 채널카드(PCC;Pico BTS Channel Card)(33)는 파일럿 채널, 싱크채널, 페이징 채널, 순방향 트래픽 채널을 송신하며, IS-95A CAI 규격에 따라 사설 기지국 제어기(26)로부터 전송되는 순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하여 인터리빙, 엔코딩, CDMA 다이렉트 순차 확산(DSS;Direct Sequence Spreading), 기저대역 필터링, 위상 균등화기능을 수행하고, 이동 단말기(MS;Mobile Station)(10)로부터 수신되는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해서 CDMA 복조, 역인터리빙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채널카드의 사용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섹터간 폴링기능을 지원한다. 즉, 채널카드는 PMCC(34)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어떤 섹터에 할당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오버헤드채널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가 해당 채널 엘리먼트와 다른 CDSP의 제어하에 있어 여유 채널 엘리먼트를 오버헤드 채널로 할당하여 운용한다. 피코 BTS 채널카드(PCC)(33)에 송수신 인터페이스부(32)가 연결된다. 송/수신 인터페이스부(TRIC; Transmit and Receive Interface card)(32)는 사설 BTS 무선부(PRU)와 피코 BTS 채널카드(PCC)(33)의 사이에서 송수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것으로 송수신 패스상에서 CDMA 기저대역신호에 대한 디지털변환과 아날로그처리를 하며, 섹터운용시 피코BTS채널카드(PCC)(33)와 사설 BTS 무선부(PRU) 사이의 CDMA채널분배 매트릭스를 제공하고, 또 사설 BTS 무선부(PRU)의 송신경로상의 I, Q 신호의 레벨과 벨런스를 모니터링하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설 BTS 메인 제어부(PMCC)(34)로 알람, 성능 모니터, 장애 보고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섹터단위로 송/수신신호의 사설 BTS 무선부(PRU)와의 인터페이스는 순방향 링크의 I, Q기저대역신호를 결합한다. 그리고 239MHZ인 수신 IF를 기저대역 신호로 다운 컨버전한다. 인터페이싱에 있어 피코 BTS 채널카드(PCC)(33)와의 인터페이스는 각 피코 BTS 채널카드(PCC)(33)로부터 입력데이터 수신 및 각 피코 BTS 채널카드(PCC)(33)로부터 출력데이터를 송신한다. 사설 BTS 메인 제어부(PMCC)(34)와의 인터페이스는 알람 및 장애 보고를 위하여 사설 BTS 메인 제어부(PMCC)(34)와 RS-232를 통하여 접속하고, 혼합된 I와 Q 기저대역 신호의 레벨과 밸런스를 모니터링하여 장애 발생시 보고한다. 사설 BTS무선부(PRU)와의 인터페이스는 전송 CDMA I신호와 메인 수신 인 터페이스신호가 하나의 동축 케이블에서 듀플렉싱되고, 전송 CDMA Q신호와 다이버시티(Diversity) 수신 인터페이스 신호가 하나의 동축 케이블에서 듀플렉싱된다. 사설 BTS 메인부(PMU)의 송수신 인터페이스부(TRIC)(32)는 사설 BTS 무선부(PRU)의 전송부(XCVU; Transceiver Unit)(31)가 연결된다. 사설 BTS 무선부(PRU)는 전송부(XCVU)(31)와 케이블 전단부(Cable Front-end Unit)(30)로 구성되어 있다. 사설 BTS 무선부(PRU)는 안테나(ANT1-ANTn)와 결합된 중계기(22)에 접속된다.
호 관리부(50)는 사설 기지국 제어기(26)에 연결되어 있는데, 호 관리부(5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호 관리부(50)는 공중 및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무선 호에 대한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공중 무선망의 이동 단말기에 대한 호 서비스는 공중용 MSC로 메시지를 바이패싱(bypassing)되게 제어한다. 또한 호 관리부(50)는 무선자원에 대한 운영,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단 사설 기지국(24)에 대한 자원관리는 공중용 MSC에서 주관하며 호 관리부(50)는 참조만 한다. 그리고 호 관리부(50)는 사설 기지국 제어기(26) 자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의 프로그램 및 PLD(Program Loaded Data) 로딩 기능을 수행한다. 단 사설 기지국 제어기(26)에 대한 로딩은 공중용 BSM(Base Station Manager)(미도시됨)에서 담당한다. 또한 호 관리부(50)는 유무선 복합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사내 무선 단문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며, 이를 위한 SMS(Short Message Service)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구내 무선망 가입자 등록 및 기능 설정을 위한 기능을 지원하며, 구내 무선망에 가입한 이동 단말기의 로밍(roaming)기능을 위한 VLR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서버/호제어 프로그램 재기동시 기존 통화 유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호 관리부(50)는 구내 무선망 시스템에서 발생한 모든 무선호를 제어하고, 서버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된다. 그러므로, 호 관리부가 프로그램 오류 또는 서버의 에러에 의해 재기동되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재기동 요구가 있는 경우 도 4의 제어 흐름도가 실행된다.
먼저, 단계 200에서 호 관리부(50)가 재기동 요구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호 관리부(50)는 재기동되기 이전에 채널 카드의 프로세서를 통해 이전의 통화중인 채널을 확인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설 기지국 제어기의 TSB부(TASA)(39)는 전송 채널의 정합을 위한 보코더 기능을 가지며, 호 설정시 호 관리부(50)에 의해 할당된 보코더에 채널 요소의 번지를 제공하고 호 처리 과정에서는 이동국에 의한 부호 천이 및 등록에 관한 정보를 호 관리부(50)로 통보한다. 이에 따라 호 관리부(50)가 재기동 명령을 받으면 재기동되기 전에 채널 카드의 프로세서인 TASA(90)를 통해 이전 통화중인 호의 채널을 확인한다. 이어서 단계 204에서 호 관리부(50)는 이전 통화중인 호의 채널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테이블을 구성한 후 재기동된다. 이러한 호 관리부의 재기동에 의해 그 하위 프로세서인 채널 카드의 프로세서 TASA(90)도 재기동되고, 그에 따라 채널 카드의 상태는 초기화된다.
채널 카드 상태 테이블은 예컨대, 비지(busy) 상태의 통화 채널에 대해서 작성된다. 통화 채널이 비지 상태이면 이 통화 채널은 호할당되어 통화중임을 나타낸 다. 이어서 단계 206에서 호 관리부(50)가 재기동 후 새로운 발생한 호에 대해 채널을 할당할 때 이 테이블에 기초하여 이전 통화중인 호의 채널을 제외한 채널에 대해서만 호가 할당되도록 한다. 이어서, 호 관리부(50)는 단계 208에서 시스템 초기화시 비지 상태로 설정된 통화 채널을 주기적으로 감시하여 통화 종료하였는지를 확인한다. 더욱 상세히 말하면, 호 관리부(50)는 재기동될 때 모든 통화 채널을 아이들 상태로 설정하지만 재기동전 통화중인 호의 채널에 대해서는 비지 상태로 설정한다. 이러한 재기동전 통화중인 호의 통화 채널은 시스템의 초기화시 비지 상태로 설정되기 때문에, 통화 종료하더라도 자동적으로 아이들 상태로 복귀하지 못한다. 통화중 호의 통화 종료 확인은 채널 카드의 프로세서를 통해 타이머에 의해 일정 시간 경과시마다 행해진다.
호 관리부(50)는 재기동 전의 모든 채널이 해제된 경우에는 통화 채널을 감시하는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통화 종료한 호의 통화 채널을 비지 상태에서 아이들 상태로 변환한다. 따라서, 통화 종료한 호의 통화 채널에는 이후 정상적으로 호가 할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은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호제어 프로그램 재기동시 보코더 채널의 상태를 확인하여 이 채널에 대해서는 호를 할당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기동 통화중이었던 호에 대해서는 주기적으로 감시하여 통화 종료시 이를 해제하여 이후 정상적으로 호 할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내 무선망 시스템에서 호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서버의 재기동시 기존의 통화중이었던 호를 계속 유지시켜줌으로써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2)

  1.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서버 프로그램 재기동시 기존 통화 유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 프로그램의 재기동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재기동 신호에 따라 채널 카드의 상태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 카드의 상태로부터 통화중 호에 대한 상태표를 작성하는 과정과,
    상기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서버 프로그램이 재기동한 후, 상기 상태표에 기초하여 재기동 전의 통화중 호의 채널을 제외한 채널에 호할당을 행하는 과정과,
    상기 재기동 전의 통화중 호의 채널을 주기적으로 감시하는 과정과,
    상기 재기동 전의 통화중 호의 채널이 통화 종료하면 상기 통화 종료한 호의 채널에 호할당을 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통화 유지 방법.
  2. 삭제
KR1020000043788A 2000-07-28 2000-07-28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서버/호제어 프로그램 재기동시기존 통화 유지 방법 KR100713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788A KR100713504B1 (ko) 2000-07-28 2000-07-28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서버/호제어 프로그램 재기동시기존 통화 유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788A KR100713504B1 (ko) 2000-07-28 2000-07-28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서버/호제어 프로그램 재기동시기존 통화 유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026A KR20020010026A (ko) 2002-02-02
KR100713504B1 true KR100713504B1 (ko) 2007-04-30

Family

ID=1968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788A KR100713504B1 (ko) 2000-07-28 2000-07-28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서버/호제어 프로그램 재기동시기존 통화 유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5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538A (ko) * 1996-12-30 1998-10-07 김영환 교환기와 제어국간 중계선의 호상태 관리방법
KR0176900B1 (ko) * 1996-03-09 1999-05-15 구자홍 키폰시스템의 리세트시 국선 및 내선 통화보호 방법
JP2000059394A (ja) * 1998-08-13 2000-02-25 Fujitsu Ltd Atmコネクションの回線二重化維持方式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6900B1 (ko) * 1996-03-09 1999-05-15 구자홍 키폰시스템의 리세트시 국선 및 내선 통화보호 방법
KR19980058538A (ko) * 1996-12-30 1998-10-07 김영환 교환기와 제어국간 중계선의 호상태 관리방법
JP2000059394A (ja) * 1998-08-13 2000-02-25 Fujitsu Ltd Atmコネクションの回線二重化維持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026A (ko) 200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4558B1 (ko) 유.무선 복합구내 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6831903B2 (en) Method of providing public network service when call management device is in a down state in private wireless network
US8838100B2 (en) Combined base transceiver station and base station controller optimized assignment of frame offsets
TWI565256B (zh) 爲無線傳送/接收單元提供無線電信服務的伺服器及其方法與無線傳送/接收單元及其方法
EP0953264B1 (en) Centralized radio network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8909235B2 (en) Combined base transceiver station and base station controller handoff
KR100346199B1 (ko) 사설 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로밍 서비스 방법
AU708154B2 (en) Radio system for a closed user group
US6285877B1 (en) Cellular call processor having concurrent instances of call models to support mixed media communication connections
KR19980076546A (ko) 이동통신망의 가입자간 데이타 통신을 위한 데이타망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342511B1 (ko) 구내무선망 시스템에서 운용정보 처리방법
KR20020079942A (ko) 서비스 정보 전송 방법 및 무선 시스템
KR100713504B1 (ko)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서버/호제어 프로그램 재기동시기존 통화 유지 방법
KR100342513B1 (ko) 사설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내선통화 방법
KR100365794B1 (ko) 사설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위성클럭 동기유지 장치
KR100745166B1 (ko) 휴대인터넷 서비스 핫 스팟용 공용 액세스 포인트 시스템및 그 운영 방법
KR100334559B1 (ko) 사설 이동통신서비스 시스템의 셀구성 장치
KR100326565B1 (ko)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다중 코드 설정방법
KR100251737B1 (ko) 시티투 가입자를 위한 이동 교환 시스템
KR100429564B1 (ko) 사설 무선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호 처리 방법
JP3761431B2 (ja) 呼の接続制御方法および音声処理装置の収容方法ならびに移動通信交換機なら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