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616B1 -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 - Google Patents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2616B1 KR100712616B1 KR1020060120015A KR20060120015A KR100712616B1 KR 100712616 B1 KR100712616 B1 KR 100712616B1 KR 1020060120015 A KR1020060120015 A KR 1020060120015A KR 20060120015 A KR20060120015 A KR 20060120015A KR 100712616 B1 KR100712616 B1 KR 1007126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atural
- vegetation
- soil
- gabion
- poin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784 ger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517 Anser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0011 Cocos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162 Cocos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73256 Phragmite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998 Salic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1 eutroph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04 pastoral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31 s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02F3/327—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characterised by animals and pla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차집하고 침전 흡착하며, 여과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하천의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의 양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는, 법면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기초를 형성하고 비점오염물질을 최종적으로 여과하는 제1자연석여과대, 법면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법면의 상부측으로부터 흘러내리는 흙탕물속의 비점오염물질을 일차 여과하는 제2자연석여과대(220), 및 제1자연석여과대(210)와 제2자연석여과대(220) 사이에 형성되고 식생식물이 식재되어 제2자연석여과대(220)를 통과한 물속의 비점오염물질을 재차 여과하는 식생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자연석여과대, 제2자연석여과대, 식생부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 나타낸 계통도.
도 2는 도 1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2자연석여과대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식생부의 구조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식생부의 흡착용 천연섬유를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식생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200 : 식생대 210 : 제1자연석여과대
220 : 제2자연석여과대 211, 221 : 돌망태
212, 222 : 잡석채움층 213, 223 : 흡착용 천연섬유
214, 224 : 부직포 230 : 식생부
231 : 부직포 232 : 돌망태
233 : 석재 234 : 토양층
235 : 토양 피복제 236 : 고정덮개
237 : 흡착용 천연섬유
본 발명은 비점오염물질의 저감용 식생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차집하고 침전 흡착하며, 여과하도록 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원이라 함은 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장소를 말하는 것으로, 유출경로가 명확하여 차집(수집)이 쉽고 계절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연중 방생량이 예측 가능한 점오염원과, 오염물질의 유출 및 배출경로가 명확하지 않아 차집이 어렵고 발생량, 배출량이 강수량 등 기상여건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처리시설의 설계 및 유지관리가 어려운 비점오염원으로 구분된다.
즉, 점오염원은 공장, 하수처리장, 건축물, 축사 등과 같이 일정한 시점으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장소이며, 비점오염원은 불특정하게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도시, 도로, 농지, 산지 등의 장소를 말한다.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에는 농작물에 흡수되지 않고 표면에 남아 있는 비료나 농약, 퇴비, 목초지에 방목된 가축물의 배설물 등 규제미만 가축사육 농가에서 배출되는 축산폐수, 빗물에 녹아 지표면을 흘러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 합류식 하수관리에서 강우시 설계량을 초과하여 하천으로 흘러드는 오수, 하수와 빗물의 혼합수 등이 있다. 또한 빗물에 흘러내리는 토사도 포함된다.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은 대부분 강우시 지표를 흘러 하천으로 유입되므로 그 과정에서 강우의 강도와 양, 토질과 같은 자연적인 조건과 토지이용현황, 건기동안 지표에 누적된 오염물질의 종류와 양 등의 인위적인 조건에 큰 영향을 받는다.
하천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은 호소의 부영양화를 초래하고 토사 등의 미립입자가 하상의 자갈층에 붙어 저서생물의 서식처, 어류의 산란처를 파괴하는 등 수중생태계를 교란시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점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차집하고 침전 흡착하며, 여과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하천의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의 양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는, 법면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기초를 형성하고 비점오염물질을 최종적으로 여과하는 제1자연석여과대, 법면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법면의 상부측으로부터 흘러내리는 흙탕물속의 비점오염물질을 일차 여과하는 제2자연석여과대, 및 제1자연석여과대와 제2자연석여과대 사이에 형성되고 식생식물이 식재되어 제2자연석여과대를 통과한 물속의 비점오염물질을 재차 여과하는 식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제1,2자연석여과대는, 철망으로 된 사각의 돌망태, 돌망태 내에 잡석들이 복수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잡석채움층, 잡석채움층 사이에 깔리는 흡착용 천연섬유, 및 돌망태의 저면 및 후면에 설치되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식생부는, 법면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부직포, 부직포의 상면에 설치되는 돌망태, 돌망태 내에 채워지는 석재, 돌망태 내에서 석재의 상부로 토사가 포설 형성되는 토양층, 토양층의 표면을 덮는 토양 피복제, 토양 피복제의 상면에 설치되는 법면 고정덮개, 및 돌망태 내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흡착용 천연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토양 피복제의 소재는 천연섬유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200)는 하천에 인접되는 법면에 설치되어 우천시 법면의 상부에 위치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흘러내리는 흙탕물속의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한 후 이를 하천으로 흘려보내는 것으로, 하천의 가장자리 즉, 법면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기초를 형성하는 제1자연석여과대(210), 법면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2자연석여과대(220), 및 제1자연석여과대(210)와 제2자연석여과대(220) 사이에 형성되는 식생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1자연석여과대(210)는 식생부(230)의 하측에 설치되고 자연석들로 채워져 식생부(230)를 통과한 물속의 비점오염물질이 최종적으로 여과되는 것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에 설치되며 철망으로 된 사각의 돌망태(211), 돌망태(211) 내에 잡석들이 복수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잡석채움층(212), 잡석채움층(212) 사이에 깔리는 흡착용 천연섬유(213), 및 돌망태(211)의 저면 및 후면에 설치되는 부직포(214)로 구성된다.
이 때, 돌망태(211)는 바닥에 접면되는 기초부(211a), 기초부(211a)의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기초부(211a)와 더불어 잡석이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211b), 및 잡석을 채운 후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는 뚜껑부(211c)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자연석여과대(210)에 따르면, 식생부(230)로부터 토출되는 물은 돌망태(211)의 상부 또는 배면으로 유입되는데, 유입되는 과정에서 토사를 비롯한 비점오염물질중 입부는 부직포(214)에 의해 걸러지고, 부직포(214)를 통과한 비점오염물질은 물과 함께 제1자연석여과대(210)의 상측 잡석채움층(212)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거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최종적으로 하천으로 토출된다.
제2자연석여과대(220)는 법면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법면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흙탕물속의 토사를 비롯한 비점오염물질을 일부 여과시킨 후 여과된 물을 하측의 식생부(230)로 토출시키는 것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자연석여과대(21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즉, 제2자연석여과대(220)는 바닥에 설치되며 철망으로 된 사각의 돌망 태(221), 돌망태(221) 내에 잡석들이 복수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잡석채움층(222), 잡석채움층(222) 사이에 깔리는 흡착용 천연섬유(223), 및 돌망태(221)의 저면 및 후면에 설치되는 부직포(224)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2자연석여과대(22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1자연석여과대(210)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식생부(230)는 제1자연석여과대(210)와 제2자연석여과대(220) 사이에 설치되고 식생식물이 식재되어 제2자연석여과대(220)를 통과한 물속의 비점오염물질이 여과되는 것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면의 바닥에 설치되는 부직포(231), 부직포(231) 위에 설치되는 돌망태(232), 돌망태(232) 내에 채워지는 석재(233), 돌망태(232) 내에서 석재(233)의 상부로 토사가 포설되어 형성되는 토양층(234), 토양층(234)의 표면을 덮는 토양 피복제(235), 및 토양 피복제(235)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덮개(2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부직포(231)는 제1자연석여과대(210)의 설치후 법면의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돌망태(232)는 철망으로 제작되어 그 내부에 채워지는 석재(233) 및 토양층(234)의 설치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것으로, 부직포(231)의 상면에 깔리는 기초부(232a), 기초부(232a)의 법면 가장자리에 입설되어 기초부(232a)와 더불어 석재(233)와 토양층(234)이 채워지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232b), 기초부(232a)와 측벽부(232b)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일정간격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부(232c)로 구성된다.
이 때, 기초부(232a), 측벽부(232b), 및 칸막이부(232c)는 철사 등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결속되며, 칸막이부(232c)에는 고정덮개(236)를 고정하기 위한 덮개 고정철선(232d)이 결속된다. 그리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칸막이부(232c)의 배면과 상측 측벽부(232b)의 배면, 그리고 하측 측벽부(232b)의 전면에는 상측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여과하기 위한 흡착용 천연섬유(237)가 각각 고정된다.
석재(233)는 돌망태(232)에 형성되는 각 수용공간 내에 개별적으로 채워지되, 그 높이가 가급적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법면의 여건에 따라서 적절한 크기의 것을 이용하고, 그 높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석재(233)는 법면을 눌러주어 법면의 유실을 방지해주며, 그 위에 채워지는 토양이 틈새로 스며듦에 따라 토양의 유실을 방지해주는 역할도 한다. 또한, 식생부(230)의 상측에 설치된 제2자연석여과대(220)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하측으로 흘러보내면서 그 속에 남아 있는 오염물질을 여과시키는 역할도 한다.
토양층(234)은 돌망태(232) 내에서 석재(233)가 채워진 후 그 상부에 일정한 두께로 토사가 채워져 형성되는 것으로 식생식물의 종자가 파종되어 자라게 된다.
이 때, 토양층(234)을 이루는 토사는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영양이 풍부한 지질의 것이 바람직하며, 그 층의 높이는 식물종자가 발아하여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뿌리내릴 수 있을 정도로 한다. 토양층(234)을 형성하기 위해 토사가 돌망태(232) 내에 채워지면 석재(233)들 사이로의 틈새로 토사가 자연스럽게 채워지게 된다.
이 때 식생식물의 종자로는 발아·활착 등의 생장이 우수한 종자나, 혹은 잔 디와 같은 피복성식물의 종자를 이용하게 되는데, 그 예로는 자연에서 흔히 식생하는 초본류(갈대, 부들, 물억새)와 목본류(갯버들, 고리버들 등) 등이 있으며 현장여건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식재한다.
토양 피복제(235)는 토양층(234)에 식물종자가 파종된 상태에서 그 위에 덮혀지는 것으로, 우천시 빗물에 의해 토양층(234)과 식물종자가 쓸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토양층(234)으로부터의 수분증발을 억제하며, 천연섬유로 제작되어 시간이 경과하면서 분해되어 식물종자의 발아·활착 등의 생장이 촉진되므로 식생대 법면부의 생태복원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진다.
토양 피복제(235)의 소재로는 전술한 기능을 갖는 공지의 모든 것들이 이용될 수 있지만 환경을 고려해볼 때 분해가 용이한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일 예로 보수성, 보비성 및 보온효과가 탁월한 코코넛 섬유를 광분해가 용이한 폴리사(Polyment-mesh)를 매개로 하여 신축성있고 질긴 멍석형태로 엮어서 제조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토양 피복제(235)는 식물종자가 발아·활착될 때까지는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토양층(234)과 식물종자의 유실이 방지되며, 식물종자가 발아·활착된 후 자연스럽게 분해되어서 유기질 비료로서 토양층(234)에 흡수된다.
고정덮개(236)는 토양 피복제(235) 설치 후 그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철망의 형태로 형성되며 토양 피복제(235)를 뚫고 돌출되는 덮개 고정철선(232d)에 의해 결속된다.
이러한 고정덮개(236)는 토양 피복제(235)가 바람에 날리거나 빗물에 의해 쓸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외부와의 간섭에 의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의 설치과정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법면을 정리하는 법면정리공사를 먼저 시행한다. 그리고 나서, 식생대 법면의 가장자리 즉, 범면의 최하부측에 제1자연석여과대(210) 및 제4차집관로(300)를 설치하기 위한 기초터파기공사를 한다.
기초터파기공사 후에는 바닥에 부직포(214)를 깔고 그 위에 돌망태(211)를 설치한 다음, 돌망태(211) 내에 잡석들을 채워 복수층의 잡석채움층(212)을 형성하되 잡석채움층(212) 사이에 흡착용 천연섬유(213)를 각각 설치하며, 잡석을 모두 채운 후에는 뚜껑부(211c)를 닫고 철사 등의 연결부재를 이용해 측벽부(211b)와 결속함으로써, 기초를 위한 제1자연석여과대(210)의 설치가 완료된다.
제1자연석여과대(210) 설치시 돌망태(211)의 배면에도 부직포(214)를 설치한다.
한편, 제1자연석여과대(210)의 돌망태(211)는 현장에서 조립 설치된다. 즉, 바닥에 망으로 된 기초부(211a)를 깔고, 기초부(211a)의 가장자리에 측벽부(211b)를 수직으로 세운후 철사 등의 연결부재를 이용해 서로 결속시킴으로써, 현장에서 의 조립이 완료된다.
제1자연석여과대(210)의 설치가 완료되면, 그 상측의 법면을 다시 한번 정리하게 되고, 법면을 정리한 후에는 법면에 부직포(231)를 설치하고, 그 위에 식생대(230)의 돌망태(232)를 설치한다.
돌망태(232)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부직포(231) 위에 철망으로된 기초부(232a)를 깔고 그 가장자리에 측벽부(232b)를 수직으로 세워 철사 등의 연결부재로 결속시킨 후, 기초부(232a)와 측벽부(232b)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 내에 칸막이부(232c)를 일정 간격으로 세워 연결부재로 결속시키고 칸막이부(232c)에 덮개 고정철선(232d)을 각각 결속시킴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칸막이부(232c)를 설치한 후에는 칸막이부(232c)의 배면과, 상측 측벽부(232b) 및 하측 측벽부(232b)에 흡착용 천연섬유(237)를 각각 고정시킨다.
돌망태(232)가 설치되면, 그 내측에 형성된 각 수용공간 내에 석재(233)를 일정한 높이로 채워넣고, 다시 그 위에 일정한 두께로 토사를 포설하여 토양층(234)을 형성한 다음, 토양층(234)에 있는 잡석을 제거하고 면을 고른 후 그 면에 식생용 식물종자를 골고루 파종한다.
식물종자의 파종이 완료되면, 토양층(234)의 상면에 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토양 피복제(235)를 덮는 작업이 진행되며, 그 후에는 토양 피복제(235)의 상면에 철망으로 된 고정덮개(236)를 설치하고 이를 토양 피복제(235)를 뚫고 돌출되는 덮개 고정철선(232d)과 결속함으로써, 식생부(230)의 설치가 모두 완료된다.
식생부(2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식생부(230)의 상측에 제1자연석여과 대(210)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제2자연석여과대(220)를 설치한다. 즉, 식생부(230)의 상측 바닥에 부직포(224)를 깔고 그 위에 돌망태(221)를 설치한 다음, 돌망태(221) 내에 잡석들을 채워 복수층의 잡석채움층(222)을 형성하되 잡석채움층(222) 사이에 흡착용 천연섬유(223)를 각각 설치하며, 잡석을 모두 채운 후에는 뚜껑부를 닫고 철사 등의 연결부재를 이용해 측벽부와 결속함으로써, 제2자연석여과대(22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 때, 돌망태(221)의 배면에도 부직포(224)가 설치되어 법면의 상부측으로부터 흘러내리는 흙탕물속의 토사를 비롯한 비점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설치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를 통해 비점오염물질이 저감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비가 내리게 되면 법면의 상측 즉, 산이나 농경지 등에서는 토사가 물에 쓸려 흙탕물을 이루면서 하천으로 흘러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법면의 상부측을 따라 흘러내려가는 흙탕물은 제2자연석여과대(220)의 배면에 설치된 부직포(224)에 의해 토사를 비롯한 비점오염물질의 유입이 일부 방지되며, 부직포(224)를 통과한 물은 제2자연석여과대(220)의 잡석채움층(222)과 흡착용 천연섬유(223)를 거치면서 여과된 후 하측에 설치된 식생부(230)로 흘러내린다.
식생부(230)로 흘러내리는 물은 돌망태(232)에 채워진 석재(233), 흡착용 천연섬유(237), 식생식물을 통과하면서 토사를 비롯한 비점오염물질들이 여과 및 정 화된다.
상측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 식생부(2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식재된 식생식물에 의해 토사의 유실이 방지된다.
식생부(230)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은 제1자연석여과대(210)의 배면에 설치된 부직포(214)를 통과하면서 토사를 비롯한 비점오염물질들이 다시 한번 걸러지며, 부직포(214)를 통과한 물은 제1자연석여과대(210)의 잡석채움층(212) 및 흡착용 천연섬유(213)를 통과하면서 최종적으로 여과된 후 토출되어 제4차집관로(300)로 유입된 후, 하천으로 흘러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에 따르면,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제1,2자연석여과대 및 식생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흡착 여과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하천의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의 양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식생부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돌망태의 수용공간 내에 석재를 채워넣고 그 위에 토양을 채워넣은 후 토양에 식물종자를 파종하고 그 위에 토양을 보호하는 토양 피복제를 견고하게 덮어 씌움으로써, 우천시 빗물에 의해 토사 및 식물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토양을 보호하는 토양 피복제에 의해 식물종자의 발아 및 활착 등이 촉진되므로 식생대 법면의 생태복원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4)
- 법면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기초를 형성하고, 비점오염물질을 최종적으로 여과하는 제1자연석여과대(210);법면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법면의 상부측으로부터 흘러내리는 흙탕물속의 비점오염물질을 일차 여과하는 제2자연석여과대(220); 및상기 제1자연석여과대(210)와 제2자연석여과대(220) 사이에 형성되고 식생식물이 식재되어, 상기 제2자연석여과대(220)를 통과한 물속의 비점오염물질을 재차 여과하는 식생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1,2자연석여과대(210)(220)는,철망으로 된 사각의 돌망태(211)(221);상기 돌망태(211)(221) 내에 잡석들이 복수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잡석채움층(212)(222);상기 잡석채움층(212)(222) 사이에 깔리는 흡착용 천연섬유(213)(223), 및상기 돌망태(211)(221)의 저면 및 후면에 설치되는 부직포(214)(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식생부(230)는,상기 법면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부직포(231);상기 부직포(231)의 상면에 설치되는 돌망태(232);상기 돌망태(232) 내에 채워지는 석재(233);상기 돌망태(232) 내에서 석재(233)의 상부로 토사가 포설 형성되는 토양층(234);상기 토양층(234)의 표면을 덮는 토양 피복제(235);상기 토양 피복제(235)의 상면에 설치되는 법면 고정덮개(236); 및상기 돌망태(232) 내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흡착용 천연섬유(2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토양 피복제의 소재는 천연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0015A KR100712616B1 (ko) | 2006-11-30 | 2006-11-30 |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0015A KR100712616B1 (ko) | 2006-11-30 | 2006-11-30 |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12616B1 true KR100712616B1 (ko) | 2007-05-02 |
Family
ID=3826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20015A KR100712616B1 (ko) | 2006-11-30 | 2006-11-30 |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261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0661B1 (ko) | 2008-07-29 | 2009-08-05 | 신강하이텍(주) | 도로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생태확장형 트리 박스 필터시스템 |
KR101036741B1 (ko) | 2009-02-16 | 2011-05-24 | 박공영 | 암석 정원 조성 방법 |
CN102877439A (zh) * | 2012-10-22 | 2013-01-16 | 中国科学院武汉植物园 | 一种抛石驳岸植被的构建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0637A (ko) * | 1999-05-06 | 2002-01-05 |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 이동 통신망에서의 요금 판정 |
KR20020000287A (ko) * | 2000-06-22 | 2002-01-05 | 성낙영 | 지중 앵커파일 설치를 위한 굴착공용 케이싱 |
KR20020000351A (ko) * | 2000-06-23 | 2002-01-05 | 박종섭 |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
KR20040000138A (ko) * | 2002-06-24 | 2004-01-03 | 주식회사 대일시스템 | 칩사이즈 프로브카드 |
-
2006
- 2006-11-30 KR KR1020060120015A patent/KR10071261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0637A (ko) * | 1999-05-06 | 2002-01-05 |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 이동 통신망에서의 요금 판정 |
KR20020000287A (ko) * | 2000-06-22 | 2002-01-05 | 성낙영 | 지중 앵커파일 설치를 위한 굴착공용 케이싱 |
KR20020000351A (ko) * | 2000-06-23 | 2002-01-05 | 박종섭 |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
KR20040000138A (ko) * | 2002-06-24 | 2004-01-03 | 주식회사 대일시스템 | 칩사이즈 프로브카드 |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2002287860000 |
2002351130000 |
2002637680000 |
2004138110000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0661B1 (ko) | 2008-07-29 | 2009-08-05 | 신강하이텍(주) | 도로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생태확장형 트리 박스 필터시스템 |
KR101036741B1 (ko) | 2009-02-16 | 2011-05-24 | 박공영 | 암석 정원 조성 방법 |
CN102877439A (zh) * | 2012-10-22 | 2013-01-16 | 中国科学院武汉植物园 | 一种抛石驳岸植被的构建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52165B2 (en) | Containment systems, methods, and devices | |
KR200382114Y1 (ko) | 식생호안용/조경용 매트 | |
KR101612620B1 (ko) | 식생 성장 촉진 및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제거를 갖는 빗물 정원 시설의 시공 방법 | |
KR100665965B1 (ko) | 호안블록 녹화용 식생매트 | |
KR100966646B1 (ko) | 친환경적인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 |
CN212102197U (zh) | 基于退化湖滨湿地的生态修复结构 | |
JP2011122403A (ja) | 法面保護兼緑化用擁壁 | |
KR100712616B1 (ko) |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식생대 | |
KR100834083B1 (ko) | 바이오 환경 식생포대 및 그 제조 방법 | |
CN217438821U (zh) | 一种用于治理滨水农田径流污染的生态护岸 | |
KR200412817Y1 (ko) | 친환경 생태계 보호용 식생매트 | |
JP2826574B2 (ja) | 法面の緑化工法 | |
KR100737327B1 (ko) |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스템 | |
JPH1171760A (ja) | 護岸緑化工法 | |
JP4257889B2 (ja) | 斜面の緑化方法 | |
CN114991076B (zh) | 一种削减净化滨水农田径流污染的方法 | |
JP2008131914A (ja) | 緑化工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表土採取装置並びに緑化構造体 | |
KR200314847Y1 (ko) | 법면 녹화용 식생매트팩 | |
JP2002146797A (ja) | 集排水溝の構造 | |
KR20100008906A (ko) | 흙탕물 저감 및 비점오염 저감 공법 | |
KR100986616B1 (ko) | 생태형 배수로 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101374688B1 (ko) | 다층 격자구조망을 이용한 법면녹화 시공방법 | |
WO2004002834A2 (en) | Containment systems methods and devices | |
CN211735263U (zh) | 一种水利工程用防汛护坡 | |
JP3165049U (ja) | 自然回復緑化用生育基盤保持具とその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420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