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222B1 - 기포 발생 용기 - Google Patents

기포 발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222B1
KR100712222B1 KR1020050082272A KR20050082272A KR100712222B1 KR 100712222 B1 KR100712222 B1 KR 100712222B1 KR 1020050082272 A KR1020050082272 A KR 1020050082272A KR 20050082272 A KR20050082272 A KR 20050082272A KR 100712222 B1 KR100712222 B1 KR 100712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ubble generating
main body
carbonic acid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5766A (ko
Inventor
유동곤
Original Assignee
유동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곤 filed Critical 유동곤
Priority to KR1020050082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222B1/ko
Publication of KR20070025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용기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산이 함유된 용액를 담는 본체부와 본체부 상측에 개폐가 가능하게 부착된 덮개부와 본체부, 덮개부의 외주면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부로 이루어진 빨대 투입구와 본체부 하단 가장자리에 부착되며 본 용기의 상부 내측 가장자리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와 본체부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어 탄산이 함유된 용액과 접촉시 소정의 문형을 이루는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 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포 발생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내에 탄산이 함유된 용액를 담게 되면 탄산이 함유된 용액 내의 탄산 가스의 압력에 의해 기포 발생 부에서 발생 되는 기포가 상승하면서 기포 발생부의 문형과 동일한 문형이 탄산이 함유된 용액의 표면에 형성되어 소비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즐거움을 주는 기포 발생 용기에 관한 것이다.
기포 발생 용기, 기포 발생부, 본체부, 덮개부, 본 용기, 온도 표시부

Description

기포 발생 용기{ The vessel for discharging bubbles}
도 1a,1b 는 본 발명 기포 발생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 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 는 도 4a의 B-B'선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b 는 도 6a 의 C-C'선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기포 발생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기포 발생 용기의 본체부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기포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기포 형상을 하트, 별자리, 개 인적 의미가 있는 문구나 숫자 등으로 다양하게 함으로서 시각적으로 즐거움을 주고 용기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실용신안등록 제177883호는 기포를 발생시키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의 내측 바닥면에는 일정한 문형으로 용기의 소지부분과 연결되도록 기포발생부를 형성하여 상기 용기 내에 담겨지는 탄산수의 압력에 의해 소지 내에 무수히 많이 형성된 기공 내의 공기가 기포발생부를 통해 기포형태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용기 내에 형성된 문형과 동일한 문형이 탄산수의 표면에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나, 기포가 소지내의 기공에 의하여 발생되어 다양한 용기에 응용이 곤란하고 기포가 표면으로 올라가는 과정에서 산란되어 불명확한 형태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선등록된 상기의 선행기술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고안으로서, 기포 발생 용기의 내측 바닥면에 기포가 발생되는 일정 형상의 기포 발생부를 형성하여 상기 기포 발생 용기내에 탄산이 함유된 용액를 채우게 되면 탄산이 함유된 용액의 압력에 의해 기포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상승하면서 상기 기포 발생부의 문형과 동일한 문형이 탄산이 함유된 용액의 표면에 형성됨으로서 시각적으로 즐거움을 주고, 상기 기포 발생 용기를 다양하게 사용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1 내지 도8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1b 는 본 발명 기포 발생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 는 도 2a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a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 는 도 4a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 는 도 6a 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a 은 본 발명인 기포 발생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기능이 있는 기포 발생 용기(10)는 본체부(12), 덮개부(11), 온도 표시부(13), 결합부(14), 빨대 투입구(16), 보조 마개(15) 등을 포함한다.
덮개부(11)은 본체부(12)로부터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덮개부(11)의 외측 상부에는 압력을 조절하는 보조 마개(15)가 부착되어 있다.
본체부(12)는 덮개부(11)의 하단부에 결합 되어 있고, 천연 재료로 형성된 소정의 입자부(31), 형상이나 숫자 등이 형성된 필름 표면(40), 일정 문형의 기포 발생 구조물(50)이 설치되는 부위이며, 탄산이 함유된 용액가 들어가는 부위로, 탄산 용액은 식품첨가물로 거품안정제, 물엿, 글리세린 등이 첨가되어 탄산 가스의 발생시에 안정적으로 탄산 기포가 유지되어 탄산이 함유된 용액의 상부표면에 형상, 숫자 등이 명확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온도 표시부(13)는 본체부(12)의 하단부 외측면에 부착되거나 온도 표시부 (13) 없이 작동 가능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표시부(13)는 시온 잉크 등을 포함하고, 시온 잉크의 색깔 변화를 관측하여 탄산 용액을 넣거나, 상기 보조 마개(15)를 분리해 압력을 낮춰서 본체부(12) 내의 탄산 가스가 배출되도록 한다. 탄산 가스의 기포 발생 최적 온도는 25℃이상 이다.
결합부(14)는 본체부(12) 하단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있고, 본 용기(20)의 상부 내측 가장자리에 삽입되어 착탁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시중에 판매되는 본 용기(20)와 결합 될 수 있는 구조로 다양한 형태를 지닐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4)는 1회용 컵의 홀더 부위나 보온 컵의 뚜껑 부위에 있는 고무 형태 등을 포함한다.
본 용기(20)는 기포 발생 용기(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용기(20)의 재질은 상기 기포 발생 용기(10)의 재질과 동일한 유리, 종이, 합성 수지 용기 등 시중에 사용되고 있는 용기를 포함된다.
보조 마개(15)는 덮개부(11) 상측에 부착되거나 보조 마개(15) 없이도 작동 가능하고, 본체부(12) 내의 탄산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개폐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고, 본체부(12)에 탄산 용액이 들어있는 경우, 온도 표시부(13)의 온도가 25℃이상 되었을 때 보조 마개(15)를 분리하면 압력이 낮아져 본체부(12)에서 탄산이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마개(15)는 스크류형이나 접착식형 등을 포함한다.
빨대 투입구(16)는 본체부(12), 덮개부(11)의 외주면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탄산이 함유된 용액에서 탄산 가스가 나오는 것은 탄산이 함유된 용액 속의 탄산 가스압보다 낮은 압력값을 지니는 구조물을 만날 때나 탄산이 함유된 용액 내의 탄산 가스가 방울로 형성될 수 있는 구조물을 만날 때이므로, 보통의 용기가 지니는 공기 통로 또는 구멍보다 크기가 큰 공기 통로를 표면에 지니는 구조물을 만들거나, 용기 표면에 홈이나, 거친 표면을 성형하여 용기에 적용하면 용기에 담긴 탄산이 함유된 용액로부터 지속적인 탄산 기포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기포 발생 기능을 지니는 재료와 이를 기포 발생 용기에 적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 기능을 지니는 재료에는 쌀알, 종이, 세라믹 자기, 현무암 등의 천연 재료와 식물성 전분 분말에 수용성 식용 플라스틱을 약 0.5-3%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에 물을 가하여 페이스트(페이스트는 반죽한 것 또는 그러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태로 성형 된 녹말 페이스트와 플라스틱 성형시 고온을 가하는 마감 처리를 생략하여 플라스틱 성형물 안의 공기 기포가 플라스틱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공기 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polycarbornate, polystyrene 페이스트와 필름 표면에 특정 문자 숫자 모양을 성형한 후 용기 표면에 부착하는 필름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 기능을 지니는 재료를 기포 발생 용기(10)에 적용하는 방법에는 기포 발생 용기(10)의 본체부(12) 내측 바닥면 에 일정한 형상으로 음각된 홈부(30)를 형성하거나 그 홈부(30)에 천연 재료를 충전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입자부(31)를 설치하는 방법과 기포 발생 재료가 부착된 필름 코팅을 통해 용기나 스트로우 등의 외부 삽입물에 부착하는 방법과 필름 표면(40)에 특정 문자, 숫자, 형상을 성형한 후 기포 발생 용기(10)의 본체부(12) 내부 표면에 부착하는 방법과 일정한 문형을 갖는 기포 발생 구조물(50)을 기포 발생 용기(10)의 본체부(12) 내측 바닥면에 부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도 1b 는 본 발명인 기포 발생 용기(10)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기포 발생 용기(10)는 본 용기(2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덮개부(11)는 상부가 상기 본 용기(20)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는 상기 본체부(12)의 상측에 개폐가 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11)는 본 용기(20)가 상기 기포 발생 용기(2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덮개부(11)의 상부 가장자리가 소정 부분 타원형을 이루면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제 1 실시예는 상기 기포 발생 용기(10)의 본체부(12) 내측 바닥면에 OB 형상으로 음각된 홈부(30)를 형성하거나 상기 홈부(30)에 천연 재료를 충전하여 형성된 입자부(31)를 홈부(30)에 설치한 후 기포 발생 용기(10)에 탄산이 함유된 용액를 따르게 되면 탄산이 함유된 용액 내의 탄산 가스가 기포가 형성될 수 있는 기포 발생 용기(10)의 본체부(12) 하단부에 있는 홈부(30)로 형성되거나 그 홈부(30)에 천연 재료를 충전하여 형성된 영문자 OB을 만 날 때 탄산이 함유된 용액에 함유된 탄산을 밀어내려는 힘이 영문자 OB 주위에서 발생 되고 이 힘에 의하여 기포가 발생하고 상기 기포가 탄산이 함유된 용액의 상부면으로 수직 상승하여 탄산이 함유된 용액의 상부면에 영문자 OB(200)이 선명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연 재료는 쌀알, 종이, 세라믹 자기, 현무암 등을 포함한다.
도 2b 는 도 2a의 A-A'선 단면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상기 본체부(12) 내측 바닥면은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진 바닥면은 기포 발생부(100)에서 발생하여 상승하는 일정 문형의 기포를 측면에서 관측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제 3 실시예는 필름 표면(40)에 OB형상을 성형한 후 기포 발생 용기(10)의 본체부(12) 내측 바닥면에 부착한 후 탄산이 함유된 용액를 따르게 되면 탄산이 함유된 용액 내의 탄산 가스가 기포로 형성될 수 있는 기포 발생 용기(10) 하단부에 있는 영문자 OB을 만날 때 탄산이 함유된 용액에 함유된 탄산을 밀어내려는 힘이 영문자 OB 주위에서 발생되고 이 힘에 의하여 기포가 발생하고 상기 기포가 탄산이 함유된 용액의 상부 면으로 수직 상승하여 탄산이 함유된 용액의 상부 면에 영문자 OB(200)가 선명하게 나타난다.
도 4b 는 도 4a의 B-B'선 단면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경사진 본체부(12) 내측 바닥면은 도 3의 설명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6a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서, 제 5 실시예는 기포 발생 용기(10)의 본체부(12) 내측 바닥면에 OB모양의 기포 발생 구조물(50)을 부착한 후 탄산이 함유된 용액를 따르게 되면 탄산이 함유된 용액 내의 탄산 가스가 기포로 형성될 수 있는 기포 발생 용기(10) 하단부에 있는 영문자 OB을 만날 때 탄산이 함유된 용액에 함유된 탄산을 밀어내려는 힘이 영문자 OB 주위에서 발생되고 이 힘에 의하여 기포가 발생하고 상기 기포가 탄산이 함유된 용액의 상부 면으로 수직 상승하여 탄산이 함유된 용액의 상부 면에 영문자 OB(200)가 선명하게 나타난다.
도 6b 는 도 6a의 C-C'선 단면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로서, 경사진 본체부(12) 내측 바닥면은 도 3의 설명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로서 앞서 설명한 기포 발생 용기(10)와 달리 빨대 투입구(16)와 결합부(14)의 구조가 제외되었다. 제 7 실시예의 기포 발생 용기(10)는 본 용기(20)와 결합 없이 독자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생일 파티에서 주인공에게 더욱 감동을 주기 위해 하트 문형이나 일정 형상의 기포 발생부(100)을 형성하여 탄산이 함유된 용액의 상부 표면에 하트 문형(200)이 나타나게 하는 것 등이 그러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탄산이 함유된 용액에 기포가 잘 형성되고, 오래 지속 될 수 있도록 물엿, 글리세린, 거품 안정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포 발생 용기의 내측 바닥면에 기포가 발생되는 일정 형상의 기포 발생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기포 발생 용기 내에 탄산이 함유된 용액를 채우게 되면 탄산이 함유된 용액 내의 탄산 가스가 기포 발생 용기 내측 바닥면에 일정 문형을 만날 때 탄산이 함유된 용액에 함유된 탄산을 밀어내려는 힘에 의하여 기포가 발생하여 탄산이 함유된 용액의 상부 면에 일정한 문형이 선명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라 기포 발생 형상을 다양하게 하여 소비자에게 재미와 의미를 부여할 수 있고, 기포 발생이 탄산가스가 녹아 있는 탄산이 함유된 용액 속의 압력과 탄산이 함유된 용액과 접촉되는 부위에 있는 공기 통로의 압력에 차이가 있는 것을 이용한 모든 제품과 기포의 크기를 다양하게 변화시키기 위해 압력에 변화를 주도록 공기 통로의 깊이와 통로 사이즈 등을 다양하게 적용한 모든 제품에 적용될 수 있고, 기포 발생 용기의 온도나 기포 발생 용기의 탄산이 함유된 용액의 온도가 10℃ 이상이 되면, 많은 양의 탄산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겨울에 뜨거운 음료에 기포 발생 용기를 적용하면 효과가 더욱 증가한다.

Claims (10)

  1. 탄산수 등의 액체를 담는 본 용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기포 발생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 용기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산이 함유된 용액을 담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개폐가 가능하게 부착된 덮개부;
    상기 본체부, 상기 덮개부의 외주면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부로 이루어진 빨대 투입구;
    상기 본체부 하단 가장자리에 부착되며 본 용기의 상부 내측 가장자리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본체부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어 탄산이 함유된 용액과 접촉시 소정의 문형을 이루는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발생 용기.
  2. 탄산수 등의 액체를 담는 본 용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기포 발생 용기에 있어서,
    탄산이 함유된 용액을 담는 용기형상의 본체부;
    상부는 상기 본 용기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개폐가 가능하게 부착되는 덮개부;
    상기 본체부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어 탄산이 함유된 용액에 접촉시 소정의 문형을 이루는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발생 용기.
  3. 탄산수 등의 액체를 담는 기포 발생 용기에 있어서,
    탄산이 함유된 용액을 담는 용기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개폐가 가능하게 부착된 덮개부;
    상기 본체부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어 탄산이 함유된 용액과 접촉시 소정의 문형을 이루는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의 상측에는 상기 본체부 내의 탄산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보조마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발생 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그 상측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부 내의 탄산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보조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발생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그 외주면에 부착되어 탄산이 함유된 용액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발생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발생부는 상기 기포 발생 용기의 상기 본체부 내측 바닥면에 소정의 형상으로 음각된 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발생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발생부는 상기 홈부에 천연 재료가 충전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입자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발생 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발생부는 필름 표면에 소정의 문형을 성형한 후 상기 기포 발생 용기의 상기 본체부 내측 바닥면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발생 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발생부는 소정 형상의 기포 발생 구조물을 상기 기포 발생 용기의 상기 본체부 내측 바닥면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발생 용기.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발생부의 재료는 쌀알, 종이, 세라믹 자기, 현무암, 녹말 페이스트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발생 용기.
KR1020050082272A 2005-09-05 2005-09-05 기포 발생 용기 KR100712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272A KR100712222B1 (ko) 2005-09-05 2005-09-05 기포 발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272A KR100712222B1 (ko) 2005-09-05 2005-09-05 기포 발생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766A KR20070025766A (ko) 2007-03-08
KR100712222B1 true KR100712222B1 (ko) 2007-04-27

Family

ID=3809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272A KR100712222B1 (ko) 2005-09-05 2005-09-05 기포 발생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22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7626A1 (ko) * 2012-03-14 2013-09-19 Choi Woo Young 끓는 느낌을 부여하기 위한 즉석식품용 기포 발생제 및 이를 이용한 즉석식품
CN109124242B (zh) * 2018-10-29 2020-10-02 武义县双力杯业有限公司 一种带过滤装置的杯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7481U (ko) 1980-12-22 1982-07-02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7481U (ko) 1980-12-22 1982-07-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766A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8887B2 (en) Product for foaming a liquid milk composition
US20140065267A1 (en) Frozen Pops With Drinkable Liquid or Edible Solid Center
JP2008504835A (ja) 粘性食品の計量容器
KR100712222B1 (ko) 기포 발생 용기
US11707076B2 (en) Fruit flavoring in the image of a fruit portion for introduction into a vessel for flavoring a fluid
JPH03502999A (ja) アイスクリーム及び糖菓用容器ならびにその包装のための遊戯的複合体
CN207389497U (zh) 一种防翻救生筏
KR20230148037A (ko) 교육용 초콜릿 제조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20110024909A (ko) 폐용기를 이용한 악기와 장난감 및 이의 제조방법
CN210761761U (zh) 一种橡皮泥储藏盒
US10717020B2 (en) Spill resistant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CN206231831U (zh) 一种新型瓶装饮料
CN206032156U (zh) 一种瓶盖及相关饮料瓶
CN113665942B (zh) 便携式调酒装置
CA3050396A1 (en) Stackable container with built-in channel
US20110223291A1 (en) Novelty candy dispenser 2
CN211494918U (zh) 天然葫芦瓶罐
US20230354856A1 (en) Fruit flavoring in the image of a fruit portion for introduction into a vessel for flavoring a liquid
CN215285633U (zh) 一种可产生液滴流动的乐趣包装瓶
WO2003105980A2 (en) Confections that "swim" in a carbonated beverage
WO2007015685A1 (en) The device for controlling of drinks mixing
JP3149369U (ja) 食材の注出具
JPH039668Y2 (ko)
US20070231456A1 (en) Combination candy pop and flavored dip
CN113044352A (zh) 一种可产生液滴流动的乐趣包装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