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173B1 - Unexcavated pipeline repair device and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Unexcavated pipeline repair device and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2173B1 KR100712173B1 KR1020050052474A KR20050052474A KR100712173B1 KR 100712173 B1 KR100712173 B1 KR 100712173B1 KR 1020050052474 A KR1020050052474 A KR 1020050052474A KR 20050052474 A KR20050052474 A KR 20050052474A KR 100712173 B1 KR100712173 B1 KR 1007121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arm
- repair
- pipeline
- retrac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840 adhesiv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223 adhesiv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341—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pressed against the wall by mechanical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ring, a band or a sleev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4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sealing material being introduced inside the pipe by means of a tool moving in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크기 및 폭을 갖는 보수부재를 관로 내 환경에 맞게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보수부재의 연속적인 설치가 가능한 것은 물론 보수부재 간 이음틈새가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정밀한 설치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방사상으로 진퇴하는 진퇴 아암에 의해 관로 내에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에서 공구를 사용한 각종 부수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excavated pipeline repairing device and a repairing method using the same. A repairing member having various sizes and widths can be easily installed according to an environment in a pipeline, and a continuous installation of the repairing member is possible, as well as between repairing members. Precise installation is possible so that little gaps occur. In addition, various additional operations using the tool can be performed while being stably supported in the pipeline by the radially advancing and retreating arms.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의 경우,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메인 몸체와, 메인 몸체에 연결 설치되어 메인 몸체를 지지하는 바퀴와, 메인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을 이루면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진출시 각각의 선단이 관로 내벽에 밀착되는 복수의 진퇴 아암, 복수의 진퇴 아암을 진퇴시키는 진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case of the non-excavated pipeline repai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wheel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is installed to support the main body, and the radially centered around the main body is installed to move forward Each tip includes a plurality of retracting arm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duit, and a retracting means for retracting the plurality of retracting arms.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진퇴 아암 Undrilled, Pipeline, Repairer, Retracting Arm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비굴착 보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 사시도.1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non-excavation repai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on-excavation pipeline repai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몸체의 신축동작을 보여주는 참조도.3 is a reference view showing the stretch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xpan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퇴 아암과 회전원판의 나선결합을 보여주는 부분단면도.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elical coupling of the retraction arm and the rotating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퇴 아암의 부분 교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Figure 6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partial replacement structure of the receding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부의 진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7A and 7B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retraction operation of the infla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구장착용 머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8A and 8B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ool moun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구장착용 머신에 다양한 공구들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참조도.9 and 10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various tools are mounted on a tool moun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11A to 11E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 절개한 평면도.12 is a plan view partially cut to explain a non-excavated pipeline repair apparatus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변형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활용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평면도.13 is a partially exploded plan view illustrating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도 14는 도 13의 조립 평면도.14 is an assembled top view of FIG. 13.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공구장착용 머신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참조도.15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ol mounting machin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110,120 : 메인 몸체 101 : 바퀴100, 110, 120: main body 101: wheels
103 : 지지축 200 : 팽창부103: support shaft 200: expansion portion
210 : 케이싱 220,220A,220B : 진퇴 아암 210: casing 220,220A, 220B: receding arm
221 : 분할 슬리브 230 : 진퇴수단221: split sleeve 230: retraction means
231 : 회전원판 233 : 나선형 가이드 돌기231: rotating disk 233: spiral guide projection
240 : 구동수단 241 : 전동모터240: driving means 241: electric motor
245 : 구동기어 247 : 종동기어245: drive gear 247: driven gear
400,600 : 카메라 500 :공구머신400,600: Camera 500: Tool machine
501 : 공구장착용 머신 545 : 소켓501: Tool mounting machine 545: Socket
본 발명은 관로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폭 및 크기를 갖는 보수부재를 관로 내 환경에 맞게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보수부재의 연속적인 설치가 가능한 것은 물론 보수부재 간 이음틈새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정밀한 설치가 가능하며, 방사상으로 진퇴하는 진퇴 아암에 의해 관로 내에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에서 공구를 사용한 각종 부수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데 적당한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line repair device and a repair method, which can easily install a repair member having various widths and siz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the pipeline, and can be installed continuously, as well as a gap between the repair memb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excavated pipeline repair device and a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which are capable of precise installation that does not occur and which are suitable for carrying out various subsidiary operations using a tool while being stably supported in a pipeline by a radially advancing arm. .
일반적으로, 비굴착 보수부재는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관로가 부분적으로 파손되거나 이음부가 벌어지거나 단차가 생기는 등 누수를 야기할 수 있는 다양한 이상부위를 보수하기 위한 부재를 일컫는다. 이 같은 보수부재는 원통형태로 감겨 수축된 상태로 관로 내부에 삽입된 후 파손 및 균열된 관로 내부에서 팽창되어 밀착 설치된다.In general, the non-excavation repair member refers to a member for repairing various abnormal parts that may cause leakage, such as partially ruptured pipelines, gaps in joints, or steps. This repair member is wound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inserted into the conduit in a contracted state, and then expanded and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damaged and cracked conduit.
관로를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보수하는 관로의 비굴착 내면 보수공법으로는, 이상부위 구간에 전체적으로 합성수지 관을 끼워 넣어서 보수하는 전체보수공법, 접착수지액과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이상부위만을 대상으로 유리섬유에 접착수지액을 도포하여 함침시킨 후 경화시켜 부분적으로 보수하는 라이닝 부분보수공법, 접착수지액과 유리섬유 외에 이 보수재료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감기도록 구성된 스텐레스 강판을 보강지지관으로 이용하여 이상부위를 대상으로 경화시켜 보수하는 개량형 라이닝 부분보수공법, 원통형으로 감기도록 구성된 스테인리스 스틸의 비굴착 보수부재를 관로 내에 밀착하여 설치하는 보강링공법 등이 있다.As a non-excavation internal repair method for repairing a pipeline while it is buried underground, the entire repair method is repaired by inserting a synthetic resin pipe into the abnormal section as a whole, and only the abnormal site using adhesive resin solution and glass fibers. Lining part repair method to partially repair by applying impregnated adhesive resin solution to glass fiber, and hardening partially. In addition to adhesive resin liquid and glass fiber, stainless steel plate configured to be wound in the inside of this repair material as a reinforcing support tube Improved lining partial repair method for hardening and repairing abnormal areas, reinforcing ring method for installing a non-excavated repair member of stainless steel configured to be wound in a cylindrical form in close contact with the pipeline.
상기 공법들 가운데서 비굴착 보수부재를 사용하는 보강링공법은 작업시간이 비교적 짧고 공사방법이 간단하여 비굴착 보수를 위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더욱 우수한 성능을 갖는 비굴착 보수부재는 물론 이를 설치하기 위한 비굴착 보수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형편이다. Among the above methods, the reinforcing ring method using the non-excavation repair member is widely used for non-excavation repair because the work time is relatively shor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is simple. Accordingly, it is urgent to develop a non-excavation repair member having more excellent performance as well as a non-excavation repair apparatus for install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비굴착 보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이다. 1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non-excavation repai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비굴착 보수장치는 주로 스테인리스 스틸을 소재로 하여 원통형태로 감겨진 보수부재(10)를 관로(P) 내벽에 설치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를 위해 상기 보수장치(30)는 몸체(31)가 에어 주입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백 형태로 구성되었으며, 외측에 상기 보수부재(10)를 씌워 장착한 상태로 관로 내에 삽입되어 상기 보수부재(10)를 관로(P) 내벽에 설치할 수 있었다. As shown, the non-excavation repai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was mainly used for installing the
이같은 보수장치(30)에 의해 보수부재(10)를 관로(P) 내벽에 설치하여 보수하는 방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method of repairing by installing the
먼저, 에어 주입에 의해 몸체(31)가 팽창하는 에어백 타입의 보수장치(30) 외측에 원통형으로 말린 보수부재(10)를 씌워 장착한다. 이때 상기 보수장치(30)의 몸체(31)는 공기가 빠져 수축된 상태이고 상기 보수부재(10) 역시 작은 원통형태로 수축된 상태이다. 상기 보수부재(10)의 외측에는 적당한 힘으로 상기 보수부재(10)를 조여주는 고무링(20)이 부착된다.First, a cylindrically dried
이후, 상기 보수부재(10)를 장착한 보수장치(30)를 관로(P)에 삽입하여 보수가 필요한 관로(P) 내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보수장치(30)에 에어를 주입하여 몸체(31)를 팽창시키면 작은 크기로 감겨져 있는 보수부재(10)가 점차 팽창하여 커지면 서 관로(P) 내벽에 밀착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보수장치(30)는 몸체(31)로부터 에어를 빼내어 수축시킨 후 보수부재(10)로부터 분리하여 관로(P) 밖으로 빼낸다. 그러면 상기 보수부재(1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축되려는 경향을 갖지만 걸림돌기(미도시 됨)가 보수부재(10)의 타단에 걸리면서 팽창된 상태 그대로 관로(P) 내부 벽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써 관로(P) 보수를 위한 보수부재(10)의 주된 설치작업이 마쳐지게 된다. Thereafter, the
그러나, 종래의 보수장치(30)는 보수부재(10)의 설치시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보수부재(10)가 미치지 않는 몸체(31) 양측단부가 과도하게 팽창하였다. 이 때문에 상기 보수부재(10)의 양단부가 덮여서 감추어지면서 카메라가 설치되어도 보수부재(10)의 양단부를 관찰하기 위한 시야 확보가 곤란하였다. 이로 인해 보수부재(10)의 끝단을 정확하게 맞추기가 곤란하게 되어 보수부재(10)에 의한 관로의 보수폭은 30[cm]를 넘기기가 어려울 정도로 제한되었다.However, in the
뿐만 아니라, 종래의 보수장치(30)로는 관로(P)의 넓은 부위를 보수해야 하는 경우 상기와 동일한 이유 때문에 관로 내에 상기 보수부재(10)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이는 종래의 보수장치로는 보수부재(10) 간 연결부위의 이음틈새가 불가피하게 발생되며 이를 무시하고 보수부재(10)의 설치를 감행한다면 이음틈새로 인해 보수부재의 설치 자체가 무의미할 뿐이다.In addition, in the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보수부재를 관로 내 환경에 맞게 용 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nexcavated pipeline repair devic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 of the various sizes of repair members and the same To provide a repair method us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수부재의 연속적인 설치가 정밀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excavated pipe repair device and a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that the continuous installation of the repair member is made precisely and smoothl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구를 사용한 각종 부수작업이 가능하도록 관로 내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는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n-excavated pipeline repair apparatus that can be stably supported in the pipeline to enable various collateral work using a tool and a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메인 몸체와, 상기 메인 몸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메인 몸체를 지지하는 바퀴와, 상기 메인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을 이루면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진출시 각각의 선단이 관로 내벽에 밀착되는 복수의 진퇴 아암과, 상기 복수의 진퇴 아암을 진퇴시키는 진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non-excavation conduit repair apparatus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ormed in a front and rear direction, a wheel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supporting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retracting arms that are installed radially toward the center and each tip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pipeline when entering the exit, and the retracting means for retracting the plurality of retracting arms. .
여기서, 상기 진퇴수단은, 상기 메인 몸체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면에는 중앙에서 점차 확대되어 나가는 나선형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퇴 아암은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 돌기와 부합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 홈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시 상기 나선형 가이드 돌기의 안내를 받아 진출 또는 퇴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retracting means, the main body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the axis and comprises a rotating disc formed with a spiral guide projection gradually extends from the center on one surface, and the drive means for rotating the rotating disc, The retracting arm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coupled to the guide protrusions on the outer side thereof to move in or out by receiving the guide of the spiral guide protrusions when the rotating disc is rotated.
또한, 상기 메인 몸체를 중심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원판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고 외측면에는 상기 진퇴 아암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진퇴 가능하게 삽입되는 아암 삽입용 통공이 형성된 케이싱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ing is installed around the main body, and has a hous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rotating disc further has a casing formed in the outer surface through the arm insertion through hole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a portion of the retractable arm It may be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나선형 가이드 돌기의 횡단면은 사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spiral guide projec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quare.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원판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원판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ving means may include an electric motor installed in the casing, a drive gear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electric motor to receive a rotational force, and coupled with the rotation disc while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drive gear.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riven gear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또한, 상기 진퇴수단은, 상기 메인 몸체를 회전시키는 몸체 회전수단과, 상기 메인 몸체를 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메인 몸체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고, 일면에는 중앙에서 점차 확대되어 나가는 나선형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회전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퇴 아암은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 돌기와 부합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 홈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시 상기 나선형 가이드 돌기의 안내를 받아 진출 또는 퇴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tracting means, the body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main body, the main body is coupled to the shaft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body, the rotation is formed on one surface gradually extending from the center spiral guide projection Comprising a disc, wherein the retracting arm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coupled to the guide projection on the outer surface to move in or out by receiving the guide of the spiral guide projection when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disk Can be.
또한, 상기 메인 몸체를 중심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원판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고 외측면에는 상기 진퇴 아암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진퇴 가능하게 삽입되는 아암 삽입용 통공이 형성된 케이싱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ing is installed around the main body, and has a hous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rotating disc further has a casing formed in the outer surface through the arm insertion through hole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a portion of the retractable arm It may be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몸체 회전수단은, 상기 메인 몸체의 선단부와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몸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ody rotating means may be an electric motor coupled to at least one of a front end and a rear end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진퇴 아암은 상기 진퇴수단과 결합되는 제 1아암과, 상기 제 1아암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아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traction arm may be composed of a first arm coupled to the retracting means, and a second arm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arm.
또한, 상기 진퇴 아암의 선단부에는 관로 내벽에 밀착되는 원호 형태의 분할 슬리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etraction arm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lar arc-shaped split sleev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pipeline.
또한, 상기 복수의 진퇴 아암 및 진퇴수단은 상기 메인 몸체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한 쌍씩 설치되고, 상기 메인 몸체는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etraction arm and the retraction means may be installed in pairs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tretchable.
또한, 상기 메인 몸체는 신축 가능한 실린더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flexible cylinder.
또한, 상기 메인 몸체는 부분 몸체 복수개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be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tial body coupling.
또한, 상기 부분 몸체는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상호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al body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coupled to each other by a universal joint.
또한, 상기 메인 몸체의 선단부와 후단부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좌우방향, 틸팅방향, 롤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카메라가 더욱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era further rotatab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tilting direction, rolling direction.
또한, 상기 메인 몸체 선단부와 후단부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절삭 날, 압연롤러 등의 각종 공구들을 장착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공구장착용 머신이 롤링, 진퇴 및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main body front end and the rear end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ol mounting machine that can be rotated by mounting a variety of tools, such as cutting blades, rolling rollers can be rolled, retracted and liftable. .
또한, 상기 바퀴와 메인 몸체를 연결하는 지지축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축은 상기 메인 몸체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신축 가능한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ort shaft for connecting the wheel and the main body is provided, the support shaf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er is installed inclined downwardly inclined from the main body.
한편, 본 발명의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는, 또한, 신축 가능한 실린더로 구비되고 전후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메인 몸체와, 상기 메인 몸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메인 몸체를 지지하는 바퀴와, 상기 메인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을 이루면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되, 외측면에 복수의 가이드 홈을 구비한 제 1아암과 상기 제 1아암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아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아암의 선단부에는 관로 내벽에 밀착되는 원호 형태의 분할 슬리브가 설치되어 진출시 상기 분할 슬리브가 관로 내벽에 밀착되는 복수의 진퇴 아암과, 상기 메인 몸체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면에는 중앙에서 점차 확대되어 나가고 횡단면이 사각 형태인 나선형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에 부합하여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진퇴 아암이 진출 또는 퇴거되도록 안내하는 회전원판과, 상기 메인 몸체를 중심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원판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고 외측면에는 상기 진퇴 아암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진퇴 가능하게 삽입되는 아암 삽입용 통공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전동모터, 상기 전동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원판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원판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상기 회전원판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메인 몸체의 선단부와 후단부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고, 좌우방향, 틸팅방향, 롤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카메라와, 상기 메인 몸체 선단부와 후단부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고, 절삭 날, 압연롤러 등의 각종 공구들을 장착하여 회전시킬 수 있고, 롤링, 진퇴 및 승강 가능한 공구장착용 머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on-excavation conduit repai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tretchable cylinder and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heel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is installed to support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The first arm having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on the outer side and a second arm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arm, which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radially, The front end portion is provided with an arc-shaped split sleev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duit, a plurality of retracting arms in which the split sleev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duit,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on the one side thereof, and gradually expand from the center. A spiral guide protrusion is formed, which is outgoing and has a square cross section, and the guide protrusion is adapted to the guide groove. Is coupled to the rotation disc to guide the retraction arm to advance or exit when rotating, and is installed around the main body, and has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rotating disc and on the outer surface a portion of the retreating arm is the receiving space A casing having an arm insertion hole inserted into and retractably inserted into the casing, an electric motor installed in the casing, a drive gear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electric motor to receive rotational force, and engaged with the drive gear to rotate, Drive means for rotating the rotating disk including a driven gear coupled to the rotating disk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and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and rot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ilting direction, rolling direction A camera, a cutting edg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main body front end and the rear end, It can be rotated by mounting various tools, such as soft roller, that can be configured, including rolling, back and forth, and the lifting tools that can be mounted on th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fo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의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는,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상호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분리 가능한 복수개의 부분 몸체로 이루어진 메인 몸체와, 상기 메인 몸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메인 몸체를 지지하는 바퀴와, 상기 메인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을 이루면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되, 외측면에 복수의 가이드 홈을 구비한 제 1아암과 상기 제 1아암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아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아암의 선단부에는 관로 내벽에 밀착되는 원호 형태의 분할 슬리브가 설치되어 진출시 상기 분할 슬리브가 관로 내벽에 밀착되는 복수의 진퇴 아암과, 상기 메인 몸체의 선단부와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몸체를 회전시키는 몸체 회전수단과, 상기 메인 몸체를 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메인 몸체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고 일면에는 중앙에서 점차 확대되어 나가고 횡단면이 사각 형태인 나선형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에 부합하여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진퇴 아암이 진출 또는 퇴거되도록 안내하는 회전원판과, 상기 메인 몸체를 중심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원판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고 외측면에는 상기 진퇴 아암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진퇴 가능하게 삽입되는 아암 삽입용 통공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과 케이싱 사이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 간을 지지하는 인장스프링과; In addition, the non-excavation conduit repai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tial body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a universal joint and detachable, and the wheel connected to the main body is installed to support the main body and And a first arm having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on an outer side thereof and a second arm detachably coupled to a distal end portion of the first arm, wherein the first body has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on an outer surface there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econd arm is provided with an arc-shaped split sleev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duit and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arm and the plurality of retracting arms in which the split sleev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duit. Body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is coupled to the shaft by the It rotates together when the in body rotates and one side is gradually enlarged from the center, and a spiral guide protrusion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is formed, and the guide protrusion is coupled with the guide groove so that the retraction arm advances or exits when rotating. A rotating disc for guiding the main body and a main body installed around the main body,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rotating disc, and having an outer side for inserting a hole into which the part of the retracting arm is retractab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Tension springs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sing and between the casing and the casing to support the casing;
상기 메인 몸체의 선단부와 후단부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고, 좌우방향, 틸팅방향, 롤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카메라와, 상기 메인 몸체 선단부와 후단부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고, 절삭 날, 압연롤러 등의 각종 공구들을 장착하여 회전시킬 수 있고, 롤링, 진퇴 및 승강 가능한 공구장착용 머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I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the camera is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ilting direction, rolling direction, and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such as cutting blades, rolling rollers The technical configuration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equipped with a tool mounting machine capable of mounting and rotating various tools, and rolling, advancing and lifting.
한편, 본 발명의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를 이용한 보수공법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메인 몸체와, 상기 메인 몸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메인 몸체를 지지하는 바퀴와, 상기 메인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상을 이루면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진출시 각각의 선단이 관로 내벽에 밀착되는 복수의 진퇴 아암과, 상기 복수의 진퇴 아암을 진퇴시키는 진퇴수단과, 상기 메인 몸체의 선단부와 후단부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고, 좌우방향, 틸팅방향, 롤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카메라와, 상기 메인 몸체 선단부와 후단부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고 절삭 날, 압연롤러 등의 각종 공구들을 장착하여 회전시킬 수 있고, 롤링, 진퇴 및 승강 가능한 공구장착용 머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를 이용하여 보수부재를 파손 및 균열된 관로 내벽에 설치하는 보수공법으로서, 상기 진퇴 아암의 외측에 상기 보수 부재를 끼우는 단계와, 상기 진퇴 아암을 퇴거시킨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로 관로 내를 관찰하면서 보수를 필요로 하는 관로 내 위치에 보수장치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진퇴 아암을 진출시켜 상기 보수부재를 관로 내벽에 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수부재가 관로 내벽에 밀착되어 설치되면 상기 진퇴 아암을 퇴거시키고, 상기 보수장치를 관로 밖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repair method using the non-excavated pipeline repai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wheel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is installed to support the main body, and advances while forming a radial around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retracting arms, each of which is installed so that the front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pipeline, the retracting means for retracting the plurality of retracting arms, and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And a camera rotatable in a tilting direction and a rolling direction, and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and equipped with various tools such as cutting edges, rolling rollers, and the like. The repair member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damaged and cracked pipeline by using the non-excavated pipeline repair equipment including the machine. A repai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fitting the repairing member to an outer side of the retreating arm, and placing the repairing device at a position in the conduit requiring repair while observing the inside of the conduit with the camera while the retreating arm is removed. And advancing the retracting arm to bring the repair member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duit, and if the repair member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duit, evacuating the retractable arm and moving the repair device out of the conduit. What constitutes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여기서, 상기 보수부재를 설치하기 전, 관로 내에서 상기 진퇴 아암을 상기 관로 내벽까지 진출시켜 보수장치를 관로 내에 지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수장치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공구장착용 머신에 장착된 공구를 작동시켜 상기 보수부재가 설치될 관로 내벽에서 이물질 및 돌출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before the repair member is installed, advancing the retreating arm to the inner wall of the pipeline to support the repair device in the pipeline, and the tool mounted on the tool mounting machine in the state where the repair device is supported.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moving the foreign matter and protrusions from the inner wall of the pipe to be installed the maintenance member.
또한, 상기 보수부재를 설치한 후, 관로 내에서 상기 진퇴 아암을 상기 관로 내벽까지 진출시켜 보수장치를 관로 내에 지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수장치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공구장착용 머신에 장착된 공구를 작동시켜 관로 내벽에 설치된 상기 보수부재를 가압하여 압착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repair member is installed, advancing the retraction arm to the inner wall of the pipeline to support the repair device in the pipeline, and the tool mounted on the tool mounting machine in the state where the repair device is supporte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essing by pressing the maintenance member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pipeline.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EXAMPL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몸체의 신축동작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drilling pipeline repai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stretch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수를 필요로 하는 관로의 구경이나 크기에 맞춰 다양한 크기 및 폭을 갖는 보수부재를 밀착 설치할 수 있도록 메인 몸체(100)로부터 방사상으로 진퇴하는 복수의 진퇴 아암(220)과 원호 형태로 분할된 분할 슬리브(221)를 구비한다.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retracting
이로써 본 발명은 카메라(400,600)의 시야 확보가 자유로워지면서 다양한 폭과 크기의 보수부재들을 보다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고 보수부재 간 이음틈새를 거의 허용하지 않으면서 보수부재를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secure the view of the camera (400, 600),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repair members of various widths and sizes more precisely, 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repair members continuously without almost allowing the gap between the repair members.
뿐만 아니라, 진퇴 아암(220) 및 분할 슬리브(221)를 진출시켜 관로 내벽에 밀착시키면 본 발명의 보수장치 전체가 흔들리지 없도록 견고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공구머신(500)을 사용하여 관로 연결부위의 돌출부나 장애물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의 부수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다.In addition, by advancing the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기 진퇴 아암(220)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more detail centering on the said
먼저, 도 2 및 3을 참고로 본 발명에 의한 관로 보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은 메인 몸체(100), 바퀴(101), 팽창부(200), 카메라(400,600)와, 공구머신(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First,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ipeline repai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s 2 and 3,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상기 메인 몸체(100)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선단부(110)와 후단부(120)가 각각 신축 가능한 유압실린더로서 구비된다. 이로써 상기 메인 몸체(100)는 도 3과 같이 필요에 따라 신축 가능하게 되며 상기 메인 몸체(100)의 선단부(110)와 후단부(120)에 각각 설치되는 팽창부(200) 간 간격을 설치하고자 하는 보수부재의 폭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The
상기 바퀴(101)는 본 발명 전체를 지지하거나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메인 몸체(100)에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지지축(103) 끝단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103)은 신축 가능한 유압실린더로 구비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상기 바퀴(101)를 적절한 길이로 내려서 구경이 다른 관로 내에서도 원활하게 이동하거나 지지될 수 있다.The
상기 팽창부(200)의 진퇴 아암(220) 및 진퇴수단(230)은 크고 작은 관로에서 다양한 크기 및 폭을 갖는 보수부재를 설치하거나 본 발명의 보수장치 전체를 관로 내에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이에,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퇴 아암과 회전원판의 나선결합을 보여주는 부분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퇴 아암의 부분 교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Thus,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fla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elical coupling of the retraction arm and the rotating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traction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reference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partial replacement structure of a.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팽창부(200)는 케이싱(210)과, 복수의 진퇴 아암(220) 및 분할된 형태의 분할 슬리브(221)와 진퇴수단(2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진퇴수단(230)은 다시 회전원판(231)과 상기 회전원판(231)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240)으로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이들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As shown, the
상기 진퇴 아암(220)은 제 1아암(220A)과 제 2아암(220B)으로 이분할 된다. 그리고 상기 진퇴 아암(220)의 제 1아암(220A) 및 제 2아암(220B)은 스냅핑(Snapping)에 의한 착탈이 가능하도록 그 연결부위가 끼움홈(223) 및 끼움돌기(222)로 형성되고 체결용 통공(225)과 체결용 볼(224)을 각각 갖는다. 이같은 진퇴 아암(220)의 분할 구성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다양한 길이를 갖는 제 2아암(220B')을 준비하여 이를 교체하기만 하면 다양한 관로의 크기(내경)에 맞게 진퇴 아암(2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진퇴 아암(220)의 제 1아암(220A) 외주면 일측에는 복수의 가이드 홈(227)이 형성되어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회전원판(231)에 형성된 나선형 가이드 돌기(233)와 부합된다. 이같은 가이드 홈(227)의 형성으로 상기 진퇴 아암(220)이 상기 회전원판(231)과 나선 결합되어 회전원판(231)의 회전시 진출 또는 퇴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홈(227)은 각 진퇴 아암(220)에 따라 미세한 위치 차이를 두고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가이드 돌기(233)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관계로 각 진퇴 아암(220)이 상기 가이드 돌기(223)에 최초 결합되는 시간차에 의해 진퇴된 정도의 차가 발생되는 것을 극복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진퇴 아암(220)은 복수개가 상기 메인 몸체(10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진출시 그 선단들이 어느 한편으로 치우지지 않고 관로 내벽에 고르게 밀착된다. 여기서 방사상 배치된 상기 진퇴 아암(220)은 3개 또는 6개를 한 조로 구성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안정되어 바람직하기는 하나 방사상을 유지하는 가운데 2개 이상의 개수로 구비되면 구조적으로 크게 무리는 없다. 또한, 상기 진퇴 아암(220)의 횡단면은 원형뿐만 아니라 사각 등 다양한 형태도 가능하다.The receding
상기 분할 슬리브(221)는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개가 구비되어 진퇴 아암(220) 각각의 선단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분할 슬리브(221)의 원호방향 길이 및 곡률은 상기 진퇴 아암(220)이 퇴거했을 때 모아져서 함께 매끄러운 원을 이룰 수 있을 정도면 바람직하다(도 7a 참조).The
상기 케이싱(210)은 상기 메인 몸체(100)에 관통되어 고정되며 이를 위해 중앙에 상기 메인 몸체(100)에 관통되는 몸체 관통용 통공(211,217)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210)은 상기 회전원판(231)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진퇴 아암(220)의 제 1아암(220A)이 진퇴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회전원판(231)과 나선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아암 삽입용 통공(2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210)의 최소한 하나의 측면(215)은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원판(231) 및 구동수단(240)의 일부가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한다.The
상기 회전원판(231)은 상기 메인 몸체(100)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를 위해 중앙에 통공(232)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32) 내측에 베어링(235)이 설치되어 상기 메인 몸체(100)를 축으로 결합된다. 상기 회전원판(231)의 일면에는 중앙의 통공(232)을 중심으로 하여 점차 확대되어 나가는 나선형 가이드 돌기(233)가 형성된다. 상기 나선형 가이드 돌기(233)는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횡단면이 사각으로 형성된다. 이는 가이드 홈(227)에 의해 나선결합되는 상기 진퇴 아암(220)이 보다 확실한 추진력을 받아 진출 또는 퇴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상기 구동수단(240)은 전동모터(241)와, 상기 전동모터(241)의 샤프트(243) 에 설치되는 구동기어(245)와, 상기 회전원판(231) 타면에 동심원 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245)와 치합되는 종동기어(24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동모터(241)를 제외한 구동수단(240)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케이싱(210)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전동모터(241)를 케이싱(210)에 결합시키기 용이하도록 전동모터용 브래킷(219)이 설치되며 상기 전동모터용 브래킷(219)이 설치되는 위치에는 상기 전동모터용 브래킷(219) 및 구동수단(240)의 설치를 위해 절개부(21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종동기어(247)의 일면에는 상기 회전원판(23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되도록 하는 원관형의 결합부(249)가 형성된다. 이같은 결합부(249)에 의해 상기 종동기어와(247) 치합되는 구동기어(245)가 회전원판(231)과 불필요하게 접촉 및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회전원판(2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240)으로는 전동모터(241) 대신 임팩터(Impactor)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임팩터는 알려진 대로 수평형 공압식(空壓式)으로서 피스톤에 의해 타격을 가하는 수평 단조기(鍛造機)이며 구성상의 간단한 변경만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driving means 240 is an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부의 진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7A and 7B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traction operation of the infl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팽창부는 케이싱(210) 내에서 회전원판(231)이 회전할 때 나선형 가이드 돌기(233)의 안내를 받아 진퇴 아암(220)이 진퇴하게 된다. 도 7a는 진퇴 아암(220)이 퇴거하여 복수의 분할 슬리브(221)가 작은 원형을 이루며 모아져 있는 상태이고, 도 7b는 진퇴 아암(220)이 진출하여 복수의 분할 슬리브(221)가 보다 넓은 구경으로 벌어져 있는 상태이다. As shown, the expansio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guided by the
본 발명은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진퇴 아암(220)이 어느 한편으로 치우치지 않으면서 방사상으로 정밀하게 진퇴동작을 하게 된다. 따라서 관로 내벽에 보수부재를 보다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부수적인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 상기 진퇴 아암(220) 및 분할 슬리브(221)을 관로 내벽 어느 한편에 치우침 없이 균일하게 밀착시켜 본 발명의 보수장치 전체를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invention allows each
계속해서 도 2와, 도 8a, 도 8b를 참조하여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구장착용 머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Subsequently, other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8A, and 8B. 8A and 8B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ool moun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고하면 카메라(400,600)는 메인 몸체(100)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좌우방향, 틸팅방향, 롤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카메라(400,600)는 베이스 프레임(410)이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메인 몸체(100) 선단부 및 후단부에 설치되고(단, 카메라 400이 메인 몸체(100) 선단부, 600이 메인 몸체(100) 후단부에 설치되고 이 둘의 구성이 같으므로 선단부에 설치된 카메라(400)의 구성만을 설명함), 상기 베이스 프레임(410)에 틸팅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420)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420) 내에 카메라 본체(430)가 롤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카메라(400)를 통하여 필요로 하는 관로 내부 곳곳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400)는 메인 몸체(100)의 선단부 및 후단부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대신 전후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메인 몸체(100)와 나란한 전후방향으로 길 다란 이동축이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400)의 베이스 프레임(410)를 상기 이동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기만 하면 된다.First, referring to FIG. 2, the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상기 공구머신(500)의 공구장착용 머신(510)은 메인 몸체(100) 선단부에 롤링, 진퇴 및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공구장착용 머신(510)은 롤링을 위해 상기 메인 몸체(100)에 고정 설치된 모터박스(530, 도 2 참조)와 좌우방향 회전축(520)에 의해 연결되고, 진퇴를 위해 상기 좌우방향 회전축(520)이 신축 가능한 유입실린더로 구비된다. 또한, 승강을 위해 상하방향의 유압실린더(540)를 갖는다. 그리고 공구 장착을 위해 상기 유입실린더 끝단에 공구장착용 소켓(545)이 설치된다. 이처럼 구성되는 상기 공구장착용 머신(510)은 절삭 날(550), 압연롤러 등의 다양한 공구들이 장착되어 관로보수 및 하수의 흐름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장애물들이나 이물질 혹은 관로 연결부위의 돌출부 등을 제거하거나 연마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관로의 설치된 보수부재를 가압하여 마무리 작업하는 용도로도 유용하게 활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공구장착용 머신(510)을 사용하는 부수적인 작업들을 수행할 때 진퇴 아암(220) 및 분할 슬리브(221)를 관로 내벽에 밀착시켜 보수장치 전체를 안정된 상태로 지지한다. 따라서 부수작업을 수행하는 자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작업은 정밀하게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S. 8A and 8B, the
도 9 및 도 10은 상기 공구장착용 머신(510)의 소켓(545)에 압연롤러 등의 다양한 공구들(560,570)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준다.9 and 10 show a variety of tools, such as roll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의 동작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인 도 11a 내지 도 11e를 비롯 첨부된 다른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non-excavation pipeline repai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A to 11E, which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는 본 발명의 보수장치를 관로(P) 내로 삽입하여 관로(P)의 파손부위(40)가 있는 곳으로 이동시키는 모습이다. 이때 관로(P) 내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진퇴 아암(220)이 퇴거되어 복수의 분할 슬리브(221)는 작은 구경으로 오므려진 상태이며, 상기 분할 슬리브(221)의 외측에는 보수부재(10)가 축소된 상태로 말려서 끼워져 있다. 11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repai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pipeline P to move to a
또한, 바퀴(101)의 지지축(103)은 적당히 늘어나서 관로(P) 내측 바닥에 안정되게 지지되어 구를 수 있는 상태이다.In addition, the
한편, 메인 몸체(100)의 선단부에 설치된 카메라(400)는 관로(P)의 파손부위(40)를 향하고 있어 본 발명의 보수장치가 도 11b와 같이 보수를 필요로 하는 정확한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1b는 본 발명의 보수장치가 파손부위(40)가 있는 지점까지 이동하여 위치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때 카메라(400)는 관로(P)의 파손부위(40)를 지나치면서 뒤쪽으로 젖혀져 틸팅된 상태로 계속된 관찰을 시도하고 있다.11B is a state in which the repai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and is located to the point where the damaged
이후, 도 11c와 같이 진퇴 아암(220)을 진출시키면 분할 슬리브(221)가 점차적으로 벌어져 팽창되어 상기 분할 슬리브(221) 및 보수부재(10)가 관로(P) 내벽에 완전히 밀착된다. 그러면 관로(P)의 파손부위(40)가 상기 보수부재(10)에 의해 메워지면서 관로(P)가 보수된다. 이처럼 상기 분할 슬리브(221)는 방사상으로 진퇴하는 진퇴 아암(220)에 의해서 벌어져 팽창되기 때문에 관로(P)의 어느 한편으로 치우치지 않게 상기 보수부재(10)를 밀착시킬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상기와 같이 보수부재(10)의 설치가 마쳐지면 상기 진퇴 아암(220)을 퇴거하여 분할 슬리브(221)를 원래대로 모아서 축소시킨다. 그러면 보수부재(10)가 관로(P)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본 발명의 보수장치만 빠져나올 수 있다.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상기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고로 설명된 작업들은 하나의 관로(P)에 보수부재(10)를 연속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은 에어백이 보수부재의 양단부를 감추는 종래 타입과는 달리 보수부재(10)의 양단부 주변을 카메라(400,600)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시야 확보가 가능하여 보수부재(10) 간 이음틈새를 거의 허용하지 않고 정확히 설치할 수 있다. The operatio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A through 11D may be repeatedly performed whe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nstall the
도 11e는 관로(P) 내에 보수부재(10)를 설치하기 전에 보수부재(10)의 정확한 설치를 방해하는 관로(P) 내벽의 이물질(50)을 제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공구장착용 머신(510)에는 절삭 날(550)이 장착되어 있고 장착된 절삭 날(550)을 사용하여 관로(P)부재가 설치될 부근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도 11e에서는 관로(P) 내벽 상부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구장착용 머신(510)이 롤링방향으로 180° 회전하고 유압실린더(540)에 의해 절삭 날(550)의 높이가 정확하게 맞추어진 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진퇴 아암(220)은 방사상으로 진출하여 상기 분할 슬리브(221)가 벌어져 팽창된 상태가 되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보수장치는 관로(P) 내에 치우침 없이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가 되어 필요에 따라 정밀을 요할 수 있는 부수적인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카메라(400)는 작업 모습을 관찰할 수 있도록 작업부위를 향하여 각도가 조절 되어 있다. 이같은 작업은 보수부재(1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주로 도 11a에서 묘사된 작업이 진행되기 전에 진행되지만 상기 보수부재(10)의 설치가 이루어진 후에나 설치 중에도 상기 공구장착용 머신(510)에 압연롤러와 같은 다른 공구들을 장착하여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다.FIG. 11E shows the removal of the
계속해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를 설명한다.Subsequently, an unexcavated pipeline repair apparatus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 절개한 평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partially cut to explain a non-excavated pipeline repair apparatus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변형 전과 비교하여 메인 몸체(100') 및 진퇴수단(210,231,241 포함)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변형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몸체(100')는 부분 몸체(100A,100B) 복수개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진퇴수단(210,231,241 포함)은 이같은 특징을 갖는 메인 몸체(100')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이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As shown, in the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retraction means (including 210,231,241) compared to before the deformation. In a modified embodiment the main body 100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binations of the partial body (100A, 100B) and the retraction means (210, 231, 241 included)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the main body 100' having such characteristics do.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se.
상기 메인 몸체(100')는 전술된 것처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복수개의 부분 몸체(100A,100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부분 몸체(100A,100B) 간의 결합은 유니버셜 조인트(130)에 의해 이루어져서 상기 부분 몸체(100A,100B) 상호간에 좌우 및 상하로 틸팅 가능하다.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130)에는 부분 몸체(100A,100B)의 단부와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조인트용 브래킷(131)이 포함된다. 이같이 상기 메인 몸체(100')가 복수개의 부분 몸체(100A,100B)로 구성되도록 하면 이러한 부분 몸체를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보수장치 전체의 길이를 용이하게 늘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몸체(100')가 틸팅 가능하게 되어 굴곡진 관로 내에서도 용이하게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상기 진퇴수단(210,231,241 포함)은, 상기 메인 몸체(100')를 회전시키는 몸체 회전수단인 전동모터(241)와, 상기 메인 몸체(100')를 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메인 몸체(10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고 일면에는 중앙에서 점차 확대되어 나가는 나선형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회전원판(2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동모터(241)는 상기 메인 몸체(100')의 선단부와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샤프트(243)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12에서는 상기 전동모터(241)가 메인 몸체(100')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하지만 상기 전동모터(241)는 상기 메인 몸체(100')의 양 단부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도 부분 몸체(100A,100B)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상기 메인 몸체(100') 전부를 회전시키는 데 구조적으로 전혀 문제가 없다. 여기서, 상기 전동모터(241)는 이미 설명된 것처럼 임팩터(Impactor)로 대신 설치되어도 무방하다.The retraction means (including 210,231, 241), the
언급되지 않은 도면부호 150은 인장스프링(150)으로서 부분 몸체(100A,100B)에 각각 관통되어 설치된 케이싱(210) 사이를 상호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같은 인장스프링(150)이 설치되면 상기 메인 몸체(100')가 회전할 때 각 부분 몸체(100A,100B)로 인해 회전하려는 경향을 갖는 케이싱(210)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210)과 함께 회전하려는 경향을 갖는 진퇴 아암(220), 분할 슬리브(221)의 불필요한 움직임도 억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인장스프링(150)은 상기 부분 몸체(100A,100B)간 좌우방향 틸팅시 한편은 늘어나고 다른 한 편은 줄어들면서 상기 틸팅 동작을 허용한다.
또한, 언급되지 않은 도면부호 102는 바퀴전용 전동모터(102)로서 본 발명에 의한 보수장치의 이동시 상기 바퀴(101)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참고로, 상기 케이싱(210), 진퇴 아암(220), 분할 슬리브(221) 및 바퀴(101)와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는 변형전과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or reference, the configuration associated with the
여기서, 상기 부분 몸체(100A,100B)와 함께 상기 부분 몸체(100A,100B)를 중심으로 설치된 상기 케이싱(210), 진퇴 아암(220), 회전원판(231) 등이 하나의 군집으로 유닛을 이루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되는 보수부재의 폭이나 보수공법에 따라 상기 유닛의 수를 늘리는 구성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한다.Here, the
도 13은 변형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활용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조립 평면도이다.FIG. 13 is a partially exploded plan view illustrating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and FIG. 14 is an assembled plan view of FIG. 13.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되는 보수부재의 폭이나 보수공법에 따라 유닛(U100,U200,U300)의 수를 늘려 구성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보수장치 최선단부와 후단부에 위치하는 유닛(U100,U200)과 비교하여 이들 중간에 삽입되는 중간 유닛(U300)의 경우 부분 몸체(100C) 양 단부 중 한 쪽에 몸체 회전수단인 전동모터(241) 대신 유니버셜 조인트(130)가 결합되는 차이만 있다. 이처럼 중간 유닛(U300)의 수를 늘리기면 하면 본 발명의 보수장치는 더 길어지는 한편 이에 맞게 더 많은 수의 진퇴 아암(220) 및 분할 슬리부(221)를 갖추게 된다.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can be configur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units (U100, U200, U300) according to the width or the repair method of the repair member used. However, compared to the units (U100, U200) located in the top end and the rear end of the repai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unit (U300) inserted in the middle of the partial body (100C) on either side of the body rotation means There is only a difference that the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공구장착용 머신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15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ol mounting machin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본 발명에서도 공구장착용 머신(51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구장착용 머신(510)이 고정 설치되는 본체박스(560)가 본 발명의 보수장치 선단부 및 후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본체박스(560)는 이처럼 상기 공구장착용 머신(510)의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박스(560)는 상기 몸체 회전수단인 전동모터(241) 및 바퀴전용 전동모터(102)를 노출되지 않게 수용하고 부분 몸체(100A,100B)와 바퀴(101)를 연결하여 부분 몸체(100A,100B)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매개 역할을 수행한다.As show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은 관로 구경에 관계없이 관로에 맞는 다양한 크기의 보수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on-drilling pipeline repairing apparatus and the repairing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tall repair members of various sizes to fit the pipeline regardless of the diameter of the pipeline.
또한, 본 발명은 넓은 폭의 보수부재를 포함하여 다양한 폭의 보수부재를 관로 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nstall a repair member of various widths in the pipeline, including a repair member of a wide width.
또한, 본 발명은 관로 내벽의 어느 한편으로 치우치지 않으면서 보수부재를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install the repair member without biasing either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pipe.
또한, 본 발명은 보수부재의 연속적인 설치가 가능한 것은 물론 보수부재 간 이음틈새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정밀한 설치가 가능하여 관로 전체를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continuously install the repair member, but also can be accurately repaired with little installation gap between the repair members so that the entire pipeline can be easily repaired.
또한, 본 발명은 진퇴 아암 및 분할 슬리브에 의해 관로 내에 견고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공구를 사용한 각종 부수적인 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은 매우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irmly supported in the conduit by the retracting arm and the split sleeve, so that various additional operations using the tool can be performed, and this can be done with high precision.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공구가 장착되는 공구장착용 머신의 설치로 인해 진퇴 아암 및 분할 슬리브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다양한 형태의 부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various types of auxiliary work in a state supported by the retraction arm and the split sleeve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tool mounting machine on which the various tools are mounted.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부분 몸체가 틸팅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에 의해 관로의 곡선 구간에서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부수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ved in the curve section of the conduit by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partial body is tiltably connected and can perform ancillary work.
Claims (2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2474A KR100712173B1 (en) | 2005-06-17 | 2005-06-17 | Unexcavated pipeline repair device and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2474A KR100712173B1 (en) | 2005-06-17 | 2005-06-17 | Unexcavated pipeline repair device and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32238A KR20060132238A (en) | 2006-12-21 |
KR100712173B1 true KR100712173B1 (en) | 2007-04-27 |
Family
ID=3781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2474A KR100712173B1 (en) | 2005-06-17 | 2005-06-17 | Unexcavated pipeline repair device and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217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5202B1 (en) | 2013-04-16 | 2014-01-27 | 삼아건설 주식회사 | Pipe repairing device and material used thereof and method of repairing pipe with use thereof |
KR102546745B1 (en) * | 2022-12-23 | 2023-06-22 | 주식회사 힘센기술 | A variable optical repair machine and Method for partial repair of underground pipe using this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3690B1 (en) * | 2006-12-18 | 2008-04-21 | 신우씨앤엠솔루션(주) | Pipe Fixture Removal Device |
KR101627326B1 (en) * | 2014-12-17 | 2016-06-07 | 씨앤더블 주식회사 | The inner cutting device |
CN105256887B (en) * | 2015-11-16 | 2017-02-01 | 北京建筑大学 | Drainage pipeline silt removing device with flow distribution function |
CN105297881B (en) * | 2015-11-16 | 2017-02-01 | 北京建筑大学 | Pneumatic type underground drainage pipeline desilting robot with desilting screw conveyor |
KR101993417B1 (en) * | 2017-05-16 | 2019-06-26 | 정호근 | Device for maintaining circle type of tube for reparing water pipe |
KR102165152B1 (en) * | 2019-03-25 | 2020-10-13 | (주)대우건설 | Constructing Method of Underwater Tunnel using Movable Dry Dock and In-situ Concrete Segments, and Underwater Tunnel Constructed by such Method |
KR102302805B1 (en) * | 2020-08-19 | 2021-09-14 | 정지훈 | Sewer’s no-dig repair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 that has frame connected with multiple link plate system and slider operating expansion, adhesion, molding out of compressing fabric tube |
CN112695881A (en) * | 2020-12-25 | 2021-04-23 | 安徽元鼎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 Pipeline engineering is with wasing desilting device |
KR102506508B1 (en) * | 2021-12-31 | 2023-03-07 | 이병록 | Repair methods for repairing parts of sewer pipe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40965B1 (en) * | 1998-04-24 | 2001-06-05 | Link-Pipe (H.K.), Ltd. | Apparatus for repair of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uits, method for repairing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uits, and a sealing device for repairing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uits |
KR200370172Y1 (en) * | 2004-09-14 | 2004-12-14 | 성림산업(주) | pipe repair unit |
-
2005
- 2005-06-17 KR KR1020050052474A patent/KR10071217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40965B1 (en) * | 1998-04-24 | 2001-06-05 | Link-Pipe (H.K.), Ltd. | Apparatus for repair of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uits, method for repairing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uits, and a sealing device for repairing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uits |
KR200370172Y1 (en) * | 2004-09-14 | 2004-12-14 | 성림산업(주) | pipe repair uni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5202B1 (en) | 2013-04-16 | 2014-01-27 | 삼아건설 주식회사 | Pipe repairing device and material used thereof and method of repairing pipe with use thereof |
KR102546745B1 (en) * | 2022-12-23 | 2023-06-22 | 주식회사 힘센기술 | A variable optical repair machine and Method for partial repair of underground pipe using this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32238A (en) | 2006-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12173B1 (en) | Unexcavated pipeline repair device and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 |
JPS585122B2 (en) | Internal deburring, cleaning and coating equipment for pressure welding long medium and small diameter pipes | |
JP3688981B2 (en) | Pipe inner wall processing equipment | |
US20060233619A1 (en) | Boring device | |
JPH0834055A (en) | Cutting and drilling apparatus | |
KR100631856B1 (en) | Unexcavated Pipe Repair Equipment with Flexible Sleeves | |
JPH083405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ining interior of pipe culvert | |
JP3032459B2 (en) | Pipe cutting device and pipe cutting method | |
CN212564916U (en) | Trenchless pipeline repairing device | |
CN221109253U (en) | Pipeline minimally invasive repair trolley | |
JPH0985206A (en) |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sticking to the interior of pipe | |
JP4787530B2 (en) | Drilling device | |
CN220249316U (en) | Pipeline repairing device | |
JP4873881B2 (en) | Drilling device | |
JP3492845B2 (en) | Mobile plug device for sewer sewers equipped with working equipment | |
JPH04164507A (en) | Cutting device for blocking substance in pipeline and cutting and removal method of blocking substance in pipeline | |
JP4352382B2 (en) | Tunnel wall cutting equipment | |
JPH0619156B2 (en) | Pipe line repair method | |
KR100755794B1 (en) | Conduit descaling device | |
CN117123576B (en) | Catheter cleaning equipment | |
JPH10280894A (en) | Cylindrical holding device | |
JPH0461706B2 (en) | ||
JP4169886B2 (en) | In-pipe processing equipment | |
JP2024134802A (en) | Lubrication device and tube connection method | |
GB2095598A (en) | Device for cutting side connections in the lining of a pi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4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4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