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134B1 - 코 성형용 골막 박리기 - Google Patents

코 성형용 골막 박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134B1
KR100712134B1 KR1020050064170A KR20050064170A KR100712134B1 KR 100712134 B1 KR100712134 B1 KR 100712134B1 KR 1020050064170 A KR1020050064170 A KR 1020050064170A KR 20050064170 A KR20050064170 A KR 20050064170A KR 100712134 B1 KR100712134 B1 KR 100712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dure
implant
periosteal
tip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9137A (ko
Inventor
황영호
Original Assignee
황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호 filed Critical 황영호
Priority to KR1020050064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134B1/ko
Publication of KR20070009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093Incision instruments for skin inci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04Surgical cutting instruments abrasive
    • A61B2017/320008Scra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막을 박리하는 시술 선단부를 끝으로 갈 수록 넓어지는 주걱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시술 선단부의 끝 부분 폭을 보형물에 맞춰 7∼9㎜가 되도록 하며, 파지부와 시술 선단부 사이의 연결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눈금을 표시하여 시술자가 박리 깊이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두번 밀어올리는 것만으로 골막 박리 시술이 끝날 수 있도록 하여 코 조직 손상과 출혈을 최소화 함은 물론 시술 시간을 단축하고, 포켓의 모양을 용이하게 좌우 대칭이 되도록 시술 할 수 있으며, 연결부의 눈금을 보고 시술 선단부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어 개인의 코에 맞게 보형물의 길이와 포켓의 길이를 예측하면서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한 코 성형용 골막 박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코 성형, 골막 박리

Description

코 성형용 골막 박리기{periosteal elevator}
도 1a,b는 종래의 골막 박리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골막 박리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골막 박리기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골막 박리기를 보인 측면도
도 5a,b는 본 발명의 골막 박리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골막 박리기에서 시술 전 눈금을 확인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지부 20 : 연결부
21 : 눈금 30 : 시술 선단부
본 발명은 코 성형용 골막 박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 성형 수술시 골막을 박리하는데 사용되는 골막 박리기를 코 속에 넣어지는 보형물과 콧등의 모양, 폭 등을 고려하여 제작함으로써 시술이 용이하고 성형효과가 우수하며 부작용의 염려를 최소화 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를 높여줄 때는 새로운 비배(nasal dorsum)의 시작점과 바람직 한 비첨(nasal tip)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보형물(implant)의 크기를 결정하게 되며, 비부를 절개한후 보형물이 넣어지는 포켓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골막을 박리하여야 한다.
시술후 부작용으로는 포켓보다 보형물이 길어서 일어나는 보형물 노출현상과 보형물이 이동하는 변위현상이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시술자는 포켓의 크기가 적당하고 대칭을 이루고 있는지, 보형물의 크기와 두께가 대칭을 이루고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골막이 박리되는 깊이는 보형물을 충분히 수용하여 노출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변위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최소한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골막 박리기를 보인 도면으로써,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손으로 쥐는 파지부(a)와, 원형 단면을 갖는 연결부(b)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 시술 선단부(c)로 구성되어 있으며, 골막 박리 시술에 있어 중요한 부위는 시술 선단부(c)의 모양과 폭이다.
종래의 골막 박리기는 시술 선단부(c)의 폭이 골막에 넣어지는 보형물과 비교할 때 대략 1/3정도에 불과하다.
본원 발명자는 종래 골막 박리기에 있어 시술 선단부(c)의 폭이 보형물이나 콧등의 폭과는 관계 없이 좁아진 이유는, 시술 선단부(c)의 폭을 좁게 하여야만 실수로 인한 시술 부위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선입관이 작용한 결과로 보여진다.
실제로 종래의 골막 박리기는 보형물의 폭에 비해 시술 선단부(c)의 폭이 1/2에 불과하여 골막 박리 시술시 시술 선단부(c)를 미간 쪽으로 여러 번 밀어 올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시술 시간이 오래 걸리고, 출혈이 많으며, 보형물이 넣어지는 포켓을 좌우 대칭이 되도록 만들기가 어려운 등의 문제를 야기 하였다.
골막을 제거하여 형성되는 포켓의 깊이는 시술 선단부(c)가 밀어올려지는 정도에 의해 결정되는데 종래의 골막 박리기는 밀어올려지는 시술 선단부(c)의 위치를 알려주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시술자는 경험에만 전적으로 의존하여 포켓의 깊이를 결정할 수 밖에 없었다.
그 결과 경험이 충분하지 못한 시술자에 의해 코 성형 시술이 이루어지는 경우 포켓의 깊이가 충분하지 못해서 발생되는 노출현상과 너무 깊거나 비대칭으로 발생되는 변위현상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골막을 박리하는 시술 선단부를 끝으로 갈 수록 넓어지는 주걱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시술 선단부의 끝 부분 폭을 보형물에 맞춰 7∼9㎜가 되도록 하며, 파지부와 시술 선단부 사이의 연결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눈금을 표시하여 시술자가 박리 깊이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두번 밀어올리는 것만으로 골막 박리 시술이 끝날 수 있도록 하여 코 조직 손상과 출혈을 최소화 함은 물론 시술 시간을 단축하고, 포켓의 모양을 용이하게 좌우 대칭이 되도록 시술 할 수 있으며, 연결부의 눈금을 보고 시술 선단부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어 보형물의 길이에 맞도록 포켓의 길이를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한 코 성형용 골막 박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시술자가 손으로 쥐는 파지부와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 시술 선단부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시술 선단부는 끝으로 갈 수록 넓어지는 주걱 모양이면서 끝 부분인 날카로운 첨부의 최대폭이 7∼9㎜가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눈금을 표시하여서 된 코 성형용 골막 박리기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코 성형용 골막 박리기를 보인 도면으로써,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손으로 쥐는 파지부(10)와 연결부(20)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 시술 선단부(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시술 선단부(30)는 끝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주걱 모양이면서 끝 부분인 첨부(32)의 최대폭이 7∼9㎜가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눈금(21)을 표시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시술 선단부(30)는 끝 부분으로 갈 수록 넓어지는 대략 주걱 모양으로 끝 부분은 코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라운딩(31) 처리되며, 시술시 밀어올리는데 적합한 경사를 이루고 있고, 골막에 닿는 부분은 날카롭운 첨부(32)로 형성되며 첨부(32)의 반대쪽면(33)은 코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둥글게 제작 된다.
코 성형 수술을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비배(nasal dorsum) 시작점과 바람직한 비첨(nasal tip)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보형물의 크기를 정하게 되며, 이에따 라 보형물이 넣어지는 포켓의 크기에 맞춰 시술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비부를 절개한후 연골부 위로 박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골막 박리기를 비골부까지 접근시켜 날카로운 첨부(32)를 통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골부와 연골부의 경계선(S)을 횡 절개 한 후 시술 선단부(30)를 밀어줌으로써 골막을 박리하여 비근부에서 비첨까지 보형물이 넣어질 수 있는 포켓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한다.
이 포켓은 보형물의 크기보다 크거나 작아서는 안되고 정확해야 한다.
본 발명은 시술 선단부(30)의 첨부(32)의 최대폭이 7∼9㎜로 보형물의 폭과 거의 일치하고 콧등을 따라 밀어주는데 적합하게 경사져 있기 때문에 한 두번 밀어주는 동작만으로 비골부와 연골부의 경계선(S)을 필요한 폭만큼 절개하고 보형물이 밀착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로 골막을 박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골부와 연골부의 경계선(S)을 횡으로 절개시 코 끝에 위치한 연결부(20)의 눈금(21)을 기준으로 골막을 박리하기 위해 파지부(10)를 밀어주었을 때 변화하는 눈금(21)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만으로 시술 선단부(30)의 끝 부분이 위치, 즉 새로운 비첨의 위치를 시술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시술된 포켓이 보형물에 적합하게 시술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 전 시술선단부(30)가 들어가야 할 위치에 대응하는 눈금(21)을 확인하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시 코의 절개부로 들어가 시술선단부(30)가 보이지 않아도 이미 확인한 눈금(21)까지만 들어가도록 밀어 올리는 것만으로도 포켓의 깊이를 정확히 시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 한다.
골막을 박리하여 시술된 포켓이 보형물에 적합하게 시술된다는 것은 성형후 부작용을 해소하고 성형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같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골막 박리기는 종래 코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 해야한다는 선입관에서 벗어나지 못해 폭을 보형물의 1/3정도로 좁게 형성한 것과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별화 된다.
1) 폭이 보형물에 적합하게 이루어져 한 두번의 동작으로 골막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어 시술 시간이 단축된다.
2) 한 두번의 동작으로 골막이 제거되기 때문에 코 조직 손상의 염려가 적을 뿐만 아니라 출혈이 상대적으로 적어 부기가 적다.
3) 시술 선단부의 모양이 보형물과 콧등의 모양에 맞춰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포켓의 모양을 좌우 대칭 되도록 시술 하는 것이 용이하다.
4) 눈금을 보고 포켓의 길이를 예측할 수 있어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시술 선단부를 끝으로 갈 수록 넓어지는 주걱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시술 선단부의 끝 부분 폭을 보형물에 맞춰 7∼9㎜가 되도록 하며, 파지부와 시술 선단부 사이의 연결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눈금을 표시하여 시술자가 박리 깊이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두번의 동작으로 골막 박리 시술이 끝날 수 있도록 하여 코 조직 손상과 출혈을 최소화 함은 물론 시술 시간을 단축하고, 포켓의 모양을 용이하게 좌우 대칭이 되도록 시술 할 수 있으며, 연결부의 눈금을 보고 시술 선단부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어 보형물의 길이에 맞도록 포켓의 길이를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

  1. 시술자가 손으로 쥐는 파지부(10)와 연결부(20)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 시술 선단부(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시술 선단부(30)가 끝으로 갈 수록 넓어지는 모양이면 끝 부분인 날카로운 첨부(32)의 최대폭이 7∼9㎜가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2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눈금(21)을 표시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성형용 골막 박리기.
KR1020050064170A 2005-07-15 2005-07-15 코 성형용 골막 박리기 KR100712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170A KR100712134B1 (ko) 2005-07-15 2005-07-15 코 성형용 골막 박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170A KR100712134B1 (ko) 2005-07-15 2005-07-15 코 성형용 골막 박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137A KR20070009137A (ko) 2007-01-18
KR100712134B1 true KR100712134B1 (ko) 2007-05-02

Family

ID=38011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170A KR100712134B1 (ko) 2005-07-15 2005-07-15 코 성형용 골막 박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21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427B1 (ko) * 2013-07-23 2015-06-09 박범진 퀵광대 축소술용 골막 박리기
CN106725709A (zh) * 2016-11-24 2017-05-31 中国医学科学院整形外科医院(整形外科研究所) 下颌骨下缘后缘剥离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436A (ko) * 2003-08-06 2005-02-21 안태환 코 성형 수술 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436A (ko) * 2003-08-06 2005-02-21 안태환 코 성형 수술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137A (ko)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11122C (en) Suture removing device
EP1819292B1 (en) Interproximal dental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70179343A1 (en) Suction retraction surgical instrument
US11607259B2 (en) Zygomatic elevator device and methods
JPS5875541A (ja) 套管針
CN105025828A (zh) 用于支撑或保护用户手指的指持式器具
KR100712134B1 (ko) 코 성형용 골막 박리기
EP1530953A1 (en) Periodontal scaling instruments
WO2020176244A1 (en) Catheter placing instrument
CN100464711C (zh) 下颌角截骨定位器
US8435035B1 (en) Dental instrument
US8900258B2 (en) Debridement device
CN211325364U (zh) 一种限位式弧形骨刀
CN204839717U (zh) 一种椎弓根螺钉置钉定位导向器
US20140023988A1 (en) Oscillating blade for cutting periodontal ligaments and luxating tooth roots
JP3914634B2 (ja) 手根管開放術用起子
CN213787729U (zh) 一种弹性髓内钉尾端处理器
CN215079961U (zh) 牙齿冠根分离挺
RU75929U1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зонд
CN113648026B (zh) 一种上颌Le Fort I型骨切开术专用把持钳及其使用方法
CN214017724U (zh) 一种屈指肌狭窄性腱鞘炎专用手术针刀
CN214805160U (zh) 一种医疗美形内窥镜下额部除皱器械
CN220069878U (zh) 一种用于微创拔牙的精准去骨导板及其适配车针
CN210631271U (zh) 一种用于驼峰鼻整形的锯齿纹锉针
CN206666542U (zh) 一种真菌采样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