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802B1 -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합성 바닥 구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합성 바닥 구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802B1
KR100711802B1 KR1020050127521A KR20050127521A KR100711802B1 KR 100711802 B1 KR100711802 B1 KR 100711802B1 KR 1020050127521 A KR1020050127521 A KR 1020050127521A KR 20050127521 A KR20050127521 A KR 20050127521A KR 100711802 B1 KR100711802 B1 KR 100711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eel pipe
steel
filled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규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27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04B5/29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the prefabricated parts of the beams consisting who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2Columns; Pillars; Strut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충전형 강관기둥과 비대칭철골을 사용한 합성바닥으로 구성된 구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합성 바닥으로 이루어진 구조시스템에 있어서, 강관기둥 내부에 형성된 십자형 수직스티프너와; 상부플랜지가 하부플랜지보다 작으며 다수의 개구부가 있는 웨브를 가진 철골보와; 상기 철골보의 하부플랜지 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바닥으로 구성되는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 철골합성 바닥 구조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슬래브 두께와 같은 철골콘크리트 합성보를 사용함으로 층고를 절감할 수 있으며, 보의 두께 감소에 의해 건물의 층고 절감을 할 수 있고, 콘크리트 충전형 강관과의 접합부를 최적화함으로 접합부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현장에서 접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강도 철골, 철골콘크리트 합성보, 콘크리트 충전강관, 십자형 수직 스티프너

Description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합성 바닥 구조시스템{CONCRETE FILLED TUBE TO STEEL FLAT SLAB STRUCTURE SYSTEM}
도 1은 기존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근콘크리트 평슬래브의 시공 단면도,
도 2는 기존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근콘크리트 평슬래브의 시공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합성보의 적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십자형 수직스티프너를 사용한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합성보 접합부의 시공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보강형 십자형 수직스티프너를 사용한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합성보 접합부의 시공단면도.
♧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강관기둥 110....수직스티프너
120....수평스티프너 200....철골보
210....상부플랜지 220....하부플랜지
230....웨브 240....개구부
250....브라켓 300....콘크리트바닥
400....거푸집
본 발명은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합성 바닥으로 구성되는 구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합성 바닥의 접합에 있어서 십자형의 수직스티프너를 강관기둥의 안쪽에 철골보의 웨브 연장선에 설치하고, 철골보는 강관에 용접접합되며, 강관기둥 내부는 콘크리트로 충전한 콘크리트충전형 강관기둥과 철골합성 바닥 구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충전형 강관은 철골합성보와 연계되어 구조시스템을 형성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플랫슬래브는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연계되어 구조시스템을 형성한다.
철골조의 층고를 줄이고 유효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콘크리트 충전형강관기둥과 콘크리트 플랫슬래브로 구성된 구조시스템에 대한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이 경우, 콘크리트 플랫슬래브는 보가 없이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연결되어야 하므로 콘크리트 충전강관주위에 뚫림 전단에 저항할 수 있는 장치들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여러 가지 학술연구수준의 기술들이 검토되고 있으며 실제 적용된 사례로는 도 1과 도 2가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콘크리트(C) 충전형 강관기둥(10) 주위에 하부앵글(14)을 설치하고, 상기 하부앵글(14)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부앵글(12)을 볼트로 연결한 후 콘크리트 슬래브(20)의 상단근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현장용접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이 경우,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앵글(14)은 천정 하부로 노출되어 마감작업시 장애물이 되며, 상기 상부앵글(12)에 현장용접되는 철근(30)은 그 수가 많으므로 품질관리 및 시공을 어렵게 한다.
이때, 강관기둥(10) 주위에 설치되는 상,하부앵글(12,14)은 상호 볼트(16)로 접합될 뿐만 아니라 강관기둥(10)과도 공장에서 용접 제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외관이 미려하지 않아 별도의 마감처리가 필요하고, 복잡한 접합구조를 갖추어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증대되는 등 많은 불편이 따랐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춤이 작은 철골합성바닥과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으로 구성되는 구조시스템에 있어서, 상부플랜지가 하부플랜지 폭보다 좁으며 웨브에 다수의 개구부가 있는 철골을 사용하고, 철골 하부플랜지위에 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하여 층고절감 효과를 극대화하며, 강관기둥 내부에 십자형 수직스티프너를 철골보 웨브의 연속선상에 설치하여 접합부를 대폭 개선하여 접합철골물량을 절감하고, 콘크리트 충전성을 대폭 향상시킨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과 철골합성바닥으로 이루어진 구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합성 바닥으로 이루어진 구조시스템에 있어서, 강관기둥 내부에 형성된 십자형 수직스티프너와; 상부플랜지가 하부플랜지보다 작으며 다수의 개구부가 있는 웨브를 가진 철골보와; 상기 철골보의 하부플랜지 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바닥으로 구성되는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 철골합성 바닥 구조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철골보는 SS400, SM490, SM490TM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일반강도 강재로 형성되고, 상기 철골보와 만나는 강관기둥은 SM490TMC, SM520TMC, SM570TM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강도 강재로 형성되는 것에도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합성 바닥 구조시스템의 적용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십자형 수직스티프너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형 강관기둥과 철골합성 바닥를 접합한 적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보강된 십자형 수직스티프너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합성 바닥을 접합한 적용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골합성 바닥과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100)으로 이루어진 구조시스템에서 하부플랜지(220)보다 폭이 좁은 상부플랜지 (210)를 가진 철골의 웨브(230)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개구부(240)가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철골보(200)와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일체화시키는 전단스터드가 필요치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철골보(200)의 하부플랜지(220) 위에는 콘크리트 바닥(300)을 현장에서 타설하고, 콘크리트 충전형 강관기둥(100)과는 강관 내부에 십자형 수직스티프너(110)를 설치하며, 상기 수직스티프너(110)가 설치된 상기 강관기둥(100) 내부에는 콘크리트(도 4의 "C")가 타설된다.
아울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관기둥(100) 내부에 형성되는 수직스티프너(110)는 수직스티프너 자체로 설치될 수도 있고, 보에서 기둥으로 전달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삼각형 수평스티프너(120)가 부분적으로 추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240)의 크기와 배치는 설계하중에 의해 결정됨이 바람직한 바, 이를테면 수평전단강도 및 시공하중을 고려하여 산정되어야 하므로 각 설치장소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배치가 가능하다.
한편, 철골보(200)의 상,하부플랜지(210,220) 사이와 웨브(230) 양쪽으로 타설되는 충전콘크리트와 강관기둥(100)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는 일반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일반강재로 이루어진 철골보(200)의 상부플랜지(210)에는 하부플랜지(220)보다 폭이 좁은 것을 사용하고, 웨브(230)에는 다양한 형태의 개구부(240)를 형성하 며, 상부플랜지(210)보다 폭이 넓은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철골합성 바닥을 형성한다.
십자형 수직스티프너(110)를 별도로 제작하고, 이를 강관기둥(100)의 내부에 용접한 후 철골보(200)의 브라켓(250)을 강관기둥(100)의 외부에 보의 접합위치에 용접하여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강관기둥(100)과 브라켓(250)을 갖춘 철골보(200)을 현장으로 반입하여, 철골합성 바닥과 볼트 접합으로 연결하여 설치한 뒤 철골보(200)의 하부플랜지(220) 외측을 걸림턱으로 하여 거푸집(400)을 설치하고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강관기둥(100) 내부 및 거푸집(400)에 타설하여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100)과 철골합성 바닥의 구조시스템를 형성한다.
상기 철골보(200)에 충전된 충전콘크리트는 거푸집(400)을 통하여 주입됨으로써 일체화될 수 있으며, 이때 개구부(240)의 절단된 웨브(230) 단면은 수평 전단내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100)과 춤이 작은 철골합성 바닥으로 이루어진 구조시스템은 층고를 절감하고 건물의 유효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기둥과 보의 접합부를 간략화시킬 수 있어 강관기둥(100)의 콘크리트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강재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공장제작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웨브(230)의 개구부(240) 지압력에 의해서 수평 전단내력이 향상되며, 기존 철골합성보의 전단스터드가 생략됨으로 인하여 시공성 및 공사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춤이 낮은 철골보를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에 접합할 경우 십자형 수직스티프너를 이용함으로써, 접합부의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강관기둥의 콘크리트 충전성을 개선하고, 접합부의 재료비 및 제작비를 절감하고, 강관기둥 각 절의 중량절감에 의하여 운반비를 절감하고, 경량의 철골부재의 사용에 의해 현장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2)

  1. 내부에 십자형 수직스티프너가 구비되고 SM490TMC, SM520TMC, SM570TM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강도 재질로 된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합성 바닥을 포함하는 구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직스티프너와 강관기둥의 내벽면이 만나는 지점에 용접된 강도보강용 삼각 수평스티프너와;
    상기 강관기둥의 외주면에 용접고정되는 브라켓과;
    상부플랜지의 폭이 하부플랜지보다 작고, 다수의 개구부를 가지며 이들을 연결하는 웨브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에 볼트체결되며, SS400, SM490, SM490TM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일반강도 강재로 형성된 철골보와;
    상기 철골보의 하부플랜지 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바닥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 철골합성 바닥 구조시스템.
  2. 삭제
KR1020050127521A 2005-12-22 2005-12-22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합성 바닥 구조시스템 KR100711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521A KR100711802B1 (ko) 2005-12-22 2005-12-22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합성 바닥 구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521A KR100711802B1 (ko) 2005-12-22 2005-12-22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합성 바닥 구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1802B1 true KR100711802B1 (ko) 2007-04-30

Family

ID=3818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521A KR100711802B1 (ko) 2005-12-22 2005-12-22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합성 바닥 구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8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2506A (ja) * 1991-01-15 1992-11-30 Mycogen Corp 相乗的殺虫剤組成物
JPH06193146A (ja) * 1992-12-22 1994-07-12 Hazama Gumi Ltd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との接合構造
KR19990042947A (ko) * 1997-11-28 1999-06-15 김시학 고층아파트용 슬래브의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2506A (ja) * 1991-01-15 1992-11-30 Mycogen Corp 相乗的殺虫剤組成物
JPH06193146A (ja) * 1992-12-22 1994-07-12 Hazama Gumi Ltd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との接合構造
KR19990042947A (ko) * 1997-11-28 1999-06-15 김시학 고층아파트용 슬래브의 지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84682B (zh) 一种下承重预制混凝土外墙与钢梁的连接节点
CN109339229B (zh) 一种穿孔浆锚预制装配式钢管混凝土框架结构
CN108729564B (zh) 装配式建筑体系
KR102079008B1 (ko) 단부모멘트 및 휨 저항력이 보강된 보와 기둥의 이-지(ez) 결합구조
KR100770023B1 (ko) 전단머리를 이용한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근콘크리트무량판의 접합구조
KR20060024850A (ko) 철골-콘크리트 샌드위치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합성 구조 시스템
CN105201071A (zh) 一种全预制装配式混凝土结构
CN109403545B (zh) 一种高装配率钢管混凝土框架结构体系及连接方法
CN108775084B (zh) 钢-混凝土组合预制梁和预制柱连接结构和施工方法
CN111962952A (zh) 一种钢管混凝土柱-H型钢梁-钢支撑-π形连接件组合式中柱底部节点及作法
KR200383490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KR101637451B1 (ko) 접합부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매입형 합성기둥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매입형 합성기둥 세그먼트의 접합방법
KR100939970B1 (ko) 건축물의 복합보 공법 및 그 구조
CN106284749B (zh) 一种上承重预制混凝土外墙与钢梁的连接节点
KR101006411B1 (ko) Cft 기둥을 이용한 철골조 역타설 시스템 및 방법
KR101458435B1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1962951A (zh) 一种钢管混凝土柱-H型钢梁-钢支撑-π形连接件组合式角柱底部节点及作法
KR20140137665A (ko)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src)의 확장된 주두부 구조
CN111021553A (zh) 一种带内隔板的预制混凝土柱与钢梁连接节点
CN207363019U (zh) 钢管混凝土框架结构免拆模板填充墙及钢管锚固连接件
KR100705560B1 (ko) 고강도 콘크리트에 의해 압축대가 보강된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과 철근콘크리트 무량판의 접합구조
CN206554385U (zh) 用于装配式建筑的组合结构
KR100711802B1 (ko)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합성 바닥 구조시스템
KR101942567B1 (ko) 보의 단부 마구리면을 형틀 지지부로 하는 모멘트 접합 구조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KR100578641B1 (ko) 스틸 콘크리트 합성 기둥, 이를 이용한 복합 구조 시스템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