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881B1 -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 방법 - Google Patents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881B1
KR100710881B1 KR1020050066179A KR20050066179A KR100710881B1 KR 100710881 B1 KR100710881 B1 KR 100710881B1 KR 1020050066179 A KR1020050066179 A KR 1020050066179A KR 20050066179 A KR20050066179 A KR 20050066179A KR 100710881 B1 KR100710881 B1 KR 100710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ill
clay
embossed
door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1694A (ko
Inventor
전종선
Original Assignee
전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선 filed Critical 전종선
Priority to KR1020050066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881B1/ko
Publication of KR20070011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B44C3/042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producing a copy from an original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판틀(110) 상면에 천(130)을 올려놓고 고서(170)의 표지와 크기가 동일한 기본틀(120)을 적층 시킨 다음 기본틀(120)의 개구공간에 점력이 있는 점토(150)를 압착시켜 기본틀(120)의 개구공간에 골고루 충진 시킨 후 기본틀(120) 상면에 천(130)을 올려놓고 상틀(140)를 이용하여 점토(150)를 압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점토(150)의 상면에 양각 및 음각으로 능화문(11)이 새겨진 고서(170)의 표지 안쪽면을 올려놓고 표지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가압하여 점토(150)의 상면에 능화문(11)이 양각 및 음각으로 새겨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점토(150)에서 기본틀(120)을 제거한 후 응달에서 일주일 동안 건조시켜 점토(130)가 서서히 굳어지도록 한 후 점토(130)를 6~7시간 동안 300℃로 가열 시킨 다음 다시 850℃의 온도로 6~7시간 가열 후 서냉 시키는 단계와, 92.5 ~ 93.5중량%의 알콜, 0.1~0.5중량%의 카본, 6.3~ 6.5중량%의 셸락, 적색 안료를 혼합시킨 유약을 능화문(11)이 새겨진 능화판(10) 전면에 도포한 후 건조작업을 반복적으로 4 ~ 5회 실행하는 단계와, 투명 왁스에 흑색 염료를 혼합시킨 착색 왁스를 골고루 문질러서 능화문(11)의 음각 및 양각무늬에 유약이 골고루 도포되도록 하여 능화문(11)의 무늬를 부각시키는 단계와, 상기 능화문(11)의 양각에 도포된 착색 왁스를 제거하기 위해 투명 왁스를 능화판(10)의 전면에 문질러 양각 무뉘에 착색된 착색 왁스를 제거하고 음각 무뉘에 착색된 착색 왁스을 보존시켜 최종적으로 능화판(10)을 완성되는 하는 단계로 이루어 진다.
고서, 능화판, 능화문, 보존, 제현

Description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 방법{old books of Book cover Pattern for Preservation and my present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점토를 압착시키기 위한 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형틀에 고서를 적층시킨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형틀에 고서를 적층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능화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능화판 11 : 능화문
110 : 판틀 120 : 기본틀
130 : 천 140 : 상틀
150 : 점토 170 : 고서
본 발명의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서의 책표지에 장식되어 있는 능화문을 점토로 이루어진 능화판에 손쉽고 간편하게 음각 및 양각의 무늬를 제현 시켜 이를 탁본(拓本) 형식으로 먹물을 이용하여 종이에 능화문을 반복적으로 찍어낼 수 있도록 하여 능화문의 전통을 계승 및 보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능화판란, 일반적으로 고서(古書)에서 책의 표지를 장식하기 위한 목적으로 각종 문양을 조각한 목판을 일컬으며, 중국과 일본에서도 그 예를 찾아보기 힘든 것으로서, 우리나라의 독특한 문화재이다.
이러한 능화판의 제작방식으로는 판목만들기, 판목에 화고 붙이기, 문양새기기, 장지(표지/배접기)만들기, 책표지만들기로 이루어진다.
먼저, 판목만들기 과정은 나이테나 뒤틀림, 갈라짐, 옹이가 없는 판목에 마름질을 한다.
이후, 판목에 화고 붙이기 과정을 통하여 면 다루기 작업이 끝난 판목에 직접 문양을 그리거나, 화공들이 그린 종이에 화고를 뒤집어 붙이고 밥풀을 이겨 풀손으로 문질러 종이를 얇게 벗겨내면 문양이 판목에 새긴다.
다음으로 문양 새기기를 통하여 화고가 붙은 판목은 각수(刻手)가 각도(刻刀)로 문양을 양각 또는 음각으로 새기되 나뭇결의 진행방향을 유념해 두고 새겨 능화판을 완성 한다.
이렇게 완성된 능화판을 가지고 책 표지를 장식하는 과정을 보면, 우선 두꺼운 장지에 물을 들여 약간 누런 빛이나 주황색으로 환하게 만든 후 능화판 위에 올려놓는다.
그 위에 밀랍을 칠한 후 밀돌로 세차게 문지르면 표지로 쓰일 종이는 능화판의 요철에 의해 장식되며 그 위에 밀랍의 기름기가 올라가 견고하면서도 아름다운 책표지로 쓰이게 된다.
여기에 장식된 문양은 만자문을 비롯하여, 연화, 능화, 모란, 석류, 국화 등의 꽃 문양, 용을 비롯한 길상문 뿐만 아니라 기하학적인 문양까지도 아우르고 있다.
이러한 능화문은 기하문, 식물문, 동물문 등 종류가 다양한데 시대와 능화판본의 소장자에 따라 그 문양이 달라서 판본의 시대와 간행처를 추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능화문이 새겨진 고서의 무분별한 취급 부주위로 인하여 고서의 표지가 손상될 경우 능화문의 파손을 유발시켜 수백년간 이어온 옛 고서의 문화유산이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능화문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종이를 이용한 탁본방식으로 능화문을 본뜨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는 탁본방식으로 능화문을 보존하기 때문에 그 보 존기간이 영구적이지 못하고 쉽게 보관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고서의 책표지에 문양된 능화문의 무늬를 그대로 점토에 음각과 양각으로 이루어진 능화문을 제현 시킨 다음 이를 초벌구이 및 유약 처리하여 능화문 보존을 위한 영구적인 탁본이 가능하도록 하여 민족의 문화유산을 보존 및 제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서의 능화문을 공계상품 및 문화관광상품의 고품격 디자인의 응용제품으로 활용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능화문을 이용한 공예품 및 각종 제품의 품격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방법은 판틀상면에 천을 올려놓고 고서의 표지와 크기가 동일한 기본틀을 적층 시킨 다음 기본틀의 개구공간에 점력이 있는 점를 압착시켜 기본틀의 개구공간에 골고루 충진 시킨 후 기본틀 상면에 을 올려놓고 상틀를 이용하여 점토를 압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점의 상면에 양각 및 음각으로 능화문이 새겨진 고서의 표지 안쪽면을 올려놓고 표지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가압하여 점토의 상면에 능화문이 양각 및 음각으로 새겨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점토에서 기본틀을 제거한 후 응달에서 일주일 동안 건조시켜 점토가 서서히 굳어지도록 한 후 점토를 6~7시간 동안 300℃로 가열 시킨 다음 다시 850℃의 온도로 6~7시간 가열 후 서냉 시키는 단계와, 92.5 ~ 93.5중량%의 알콜, 0.1~0.5중량%의 카본, 6.3~ 6.5중량%의 셸락, 적색 안료를 혼합시킨 유약을 능화문이 새겨진 능화판 전면에 도포한 후 건조작업을 반복적으로 4 ~ 5회 실행하는 단계와, 투명 왁스에 흑색 염료를 혼합시킨 착색 왁스를 골고루 문질러서 능화문의 음각 및 양각무늬에 유약이 골고루 도포되도록 하여 능화문의 무늬를 부각시키는 단계와, 상기 능화문의 양각에 도포된 착색 왁스를 제거하기 위해 투명 왁스를 능화판의 전면에 문질러 양각 무뉘에 착색된 착색 왁스를 제거하고 음각 무뉘에 착색된 착색 왁스을 보존시켜 최종적으로 능화판을 완성되는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렇게 구성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첨부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점토를 압착시키기 위한 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형틀에 고서를 적층 시킨 상태를 나타낸 분 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형틀에 고서를 적층 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능화문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 방법은 판틀(110) 상면에 천(130)을 올려놓고 고서(170)의 표지와 크기가 동일한 기본틀(120)을 적층 시킨 다음 기본틀(120)의 개구공간에 점력이 있는 점토(150)를 압착시켜 기본틀(120)의 개구공간에 골고루 충진 시킨 후 기본틀(120) 상면에 천(130)을 올려놓고 상틀(140)를 이용하여 점토(150)를 압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점토(150)의 상면에 양각 및 음각으로 능화문(11)이 새겨진 고서(170)의 표지 안쪽면을 올려놓고 표지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가압하여 점토(150)의 상면에 능화문(11)이 양각 및 음각으로 새겨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점토(150)에서 기본틀(120)을 제거한 후 응달에서 일주일 동안 건조시켜 점토(130)가 서서히 굳어지도록 한 후 점토(130)를 6~7시간 동안 300℃로 가열 시킨 다음 다시 850℃의 온도로 6~7시간 가열 후 서냉 시키는 단계와, 92.5 ~ 93.5중량%의 알콜, 0.1~0.5중량%의 카본, 6.3~ 6.5중량%의 셸락(shellac), 적색 안료(예컨데 오래된 물건처럼 보이기 위한 도색작업에 사용되는 작구 또는 고농축 적색 가루)를 혼합시킨 유약을 능화문(11)이 새겨진 능화판(10) 전면에 도포한 후 건조작업을 반복적으로 4 ~ 5회 실행하는 단계와, 투명 왁스에 흑색 염료를 혼합시킨 착색 왁스를 골고루 문질러서 능화문(11)의 음각 및 양각무늬에 유약이 골고루 도포되도록 하여 능화문(11)의 무늬를 부각시키는 단계와, 상기 능화문(11)의 양각에 도포된 착색 왁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투명 왁스를 능화판(10)의 전면에 문질러 양각 무뉘에 착색된 착색 왁스를 제거하고 음각 무뉘에 착색된 착색 왁스만을 보존시켜 최종적으로 능화판(10)을 완성되는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능화판(10)에 유약을 칠하기 전에 능화문(11)의 양각부분의 특징적인 문양을 부각시킬 수 있도록 능화문(11)에 다양한 색깔을 칠하여 보다 시각적으로 미려한 능화판(10)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판틀(110)의 상면에 천(130)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내부가 개구 되고 대략 직방형체의 기본틀을 천(130)의 상면에 적층 시킨 다음 기본틀(120)의 개구공간 내부에 점력이 있는 점토(150)를 손으로 눌러 개구공간 내부에 골고루 퍼지도록 하면서 점토(150)의 상면이 평탄한 면을 이루도록 한 다음 점토(150)의 상면 다시 천을 (130)올려놓은 상태에서 상틀(140)을 이용하여 점토(150)를 압착시킨다.
이렇게 압착시킨 점토(150)의 상면이 평탄한 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한 다음 상틀(140)과 천(130)을 제거한 후 일정두께를 갖으며 수평 단면을 이루는 수평자(미도시)를 통하여 점토(150)의 상면을 지그시 누르면서 슬라이딩시켜 점토(150)의 상면을 고르게 다듬는다.
이후, 점토(150)의 상면에 양각 및 음각으로 능화문(11)이 새겨진 고서(170)의 표지 안쪽면을 올려놓고 표지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가압하여 점토(150) 의 상면에 능화문(11)이 양각 및 음각으로 새겨지도록 한다.
이때, 고서(170)의 표지를 만드는 방법은 치자(梔子) 물을 들인 다음 한지를 잘 건조 시킨 후 이를 2 배첩 하여 다시 건조대에 붙여 말리는 방법을 반복하여 최종 4 배첩으로 만들고 표지에 밀납칠을 한 다음 인두로 다려 밀랍이 종이에 배도록 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고서의 표지를 점토 압착 시킬 때 눌러 붙는 현상을 방지한다 .
이후, 점토(150)에서 기본틀을 제거한 후 대략 장방 형태로 형성시킨 능화판(10)을 응달에서 일주일 동안 건조시켜 점토(150)가 갈라지거나 부스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굳게 한 다음 이를 가마 속에 넣어 최초 6~7시간으로 300℃로 가열시킨 다음 다시 850℃의 온도로 6~7시간 가열시킨 후 공기 중에 서냉 시켜 초벌구이를 통하여 능화판(10)을 제작한다.
이와 같이 열을 가하여 초벌구이로 완성된 능화판(10)에 92.5~93.5 중량%의 알콜, 0.1~0.5중량%의 카본, 6.3~6.5중량%의 셸락, 적색 안료를 혼합시켜 제조한 유약을 붓에 묻혀 능화판(10)의 능화문(11)에 골고루 도포시키되 1회 도포 후에는 유약을 완전 건조 시킨 후 다시 유약을 칠하는 방법으로 4 ~ 5회 반복하여 실행한다.
상기 능화판(10)에 유약을 코팅하고 투명 왁스에 흑색 염료를 혼합시켜 제조한 착색 왁스를 능화문(11)에 골고루 바르되 능화문(11)의 음각무늬에 침투되도록 도포시켜 능화문(11) 무늬를 시각적으로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능화문(11)에 전체적으로 도포된 왁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투명 왁스를 능화판(1)의 전면에 문질러 연마기능 및 광택기능을 겸하면서 능화문(11)의 양각에 묻어 있는 착색 왁스를 제거하여 음각무뉘에 착색된 착색 왁스에 의해 능화문(11)의 무뉘가 보다 선명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하여 능화판(10)을 완성한다.
이렇게 완성된 능화판(10)은 원용 그대로의 능화문(11)을 보존할 수 있고 탁본을 통하여 능화문(11)을 보급 및 반복적인 제현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 방법은 고서의 책표지에 문양된 능화문의 무늬를 그대로 점토에 음각과 양각으로 이루어진 능화문을 제현 시킨 다음 이를 초벌구이 및 유약 처리하여 능화문 보존을 위한 영구적인 탁본이 가능하도록 하여 민족의 문화유산을 보존 및 제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고서의 능화문을 공계상품 및 문화관광상품의 고품격 디자인의 응용제품으로 활용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능화문을 이용한 공예품 및 각종 제품의 품격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Claims (2)

  1. 판틀(110) 상면에 천(130)을 올려놓고 고서(170)의 표지와 크기가 동일한 기본틀(120)을 적층 시킨 다음 기본틀(120)의 개구공간에 점력이 있는 점토(150)를 압착시켜 기본틀(120)의 개구공간에 골고루 충진 시킨 후 기본틀(120) 상면에 천(130)을 올려놓고 상틀(140)를 이용하여 점토(150)를 압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점토(150)의 상면에 양각 및 음각으로 능화문(11)이 새겨진 고서(170)의 표지 안쪽면을 올려놓고 표지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가압하여 점토(150)의 상면에 능화문(11)이 양각 및 음각으로 새겨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점토(150)에서 기본틀(120)을 제거한 후 응달에서 일주일 동안 건조시켜 점토(130)가 서서히 굳어지도록 한 후 점토(130)를 6~7시간 동안 300℃로 가열 시킨 다음 다시 850℃의 온도로 6~7시간 가열 후 서냉 시키는 단계와,
    92.5 ~ 93.5중량%의 알콜, 0.1~0.5중량%의 카본, 6.3~ 6.5중량%의 셸락, 적색 안료를 혼합시킨 유약을 능화문(11)이 새겨진 능화판(10) 전면에 도포한 후 건조작업을 반복적으로 4 ~ 5회 실행하는 단계와,
    투명 왁스에 흑색 염료를 혼합시킨 착색 왁스를 골고루 문질러서 능화문(11)의 음각 및 양각무늬에 유약이 골고루 도포되도록 하여 능화문(11)의 무늬를 부각시키는 단계와,
    상기 능화문(11)의 양각에 도포된 착색 왁스를 제거하기 위해 투명 왁스를 능화판(10)의 전면에 문질러 양각 무뉘에 착색된 착색 왁스를 제거하고 음각 무뉘에 착색된 착색 왁스을 보존시켜 최종적으로 능화판(10)을 완성되는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방법.
  2. 삭제
KR1020050066179A 2005-07-21 2005-07-21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 방법 KR100710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179A KR100710881B1 (ko) 2005-07-21 2005-07-21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179A KR100710881B1 (ko) 2005-07-21 2005-07-21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694A KR20070011694A (ko) 2007-01-25
KR100710881B1 true KR100710881B1 (ko) 2007-04-27

Family

ID=3801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179A KR100710881B1 (ko) 2005-07-21 2005-07-21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881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탁본방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694A (ko)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3121155A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й отделки на древесно-стружечную плиту
KR100693323B1 (ko)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
KR100710881B1 (ko) 고서의 능화문 보존 및 제현 방법
CN1050003A (zh) 艺术书画装饰板及其制造方法
KR20190039369A (ko) 천연재를 이용한 장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36897A (ko) 칠보 도자의 제작 방법
CN104149533B (zh) 一种木雕上色工艺
KR20120098150A (ko) 마루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87677B1 (ko) 자개 판넬 및 그 제조방법
Reinnel The Carpenters, Joiners, Cabinet Makers, and Gilders' Companion
CN1701973B (zh) 水彩木板画的制作方法
KR20170131098A (ko) 수공예품의 제작방법
US1220850A (en) Process for producing stencils for decorating fabrics.
MIHU et al. ANTIQUE FINISHES VALORISED IN FURNITURE RESTORATION.
KR102512737B1 (ko) 옻칠 방법 및 옻칠 조성물
KR100985459B1 (ko) 마감재 인조무늬목 및 제조방법
Kilchitskaya Technologies of using colored clay in the manufacture of ceramic products
KR100383230B1 (ko) 무늬목의 형성방법
JPS5930559B2 (ja) 木・竹などの表面に形象・模様を現出する方法
Taft Fresco to oils
Khan et al. Historical orientation of craft and dissimilar regional styles of Lac-turnery in Pakistan
US2089096A (en) Process of decorating or ornamentation of high relief
CN2169561Y (zh) 彩色可移动式磁性艺术拼画
US606953A (en) Process of decorating wood in imitation of marquetry
CN1267588A (zh) 用于木制品表面仿古自然花纹加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