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495B1 - 화물차량의 적재구조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의 적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495B1
KR100710495B1 KR1020050117642A KR20050117642A KR100710495B1 KR 100710495 B1 KR100710495 B1 KR 100710495B1 KR 1020050117642 A KR1020050117642 A KR 1020050117642A KR 20050117642 A KR20050117642 A KR 20050117642A KR 100710495 B1 KR100710495 B1 KR 100710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plate
cargo
support member
freigh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옥
Original Assignee
윤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옥 filed Critical 윤병옥
Priority to KR1020050117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07Connections of movable or detachable racks or stanchions to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10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the load being plates, cases, or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77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superstructure to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사이드도어(side door) 및 리어도어(rear door)를 갖춘 화물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의 화물칸보다 기장이 긴 사다리 및 간판등과 같은 판형화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화물차량의 폭 방향으로 적재구조의 폭을 변경할 수 있어 운행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다양한 공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을 갖춘 화물차량 적재구조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적재구조는 다수의 수납부를 갖는 지지부재를 화물차량의 화물칸에 장착하고, 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적재부재를 지지부재와 고정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물품을 용이하게 수송 보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재구조의 폭을 조절할 수 있어 운행에 제한을 받지 않게 된다.
화물차량, 지지부재, 적재부재, 걸림봉, 결합수단

Description

화물차량의 적재구조 {loading structure of truck}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구조의 적재부재의 폭을 넓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적재구조에 화물을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적재부재의 일부를 선회시켜 화물칸에 화물을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7은 종래의 화물차량의 화물 운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적재구조 110 : 지지부재
111 : 선단지지부재 112 : 후미지지부재
120 : 적재부재 121 : 제1적재부
121a : 제1적재판 121b : 이송판
121c : 결합수단 122 : 제2적재부
122a : 고정판 122b : 제2적재판
122c : 이송판 122d : 결합수단
123 : 걸림봉 123a : 받침부
124 : 체결구 125 : 나사
126 : 후크링크 130 : 프레임
140 : 바닥판 150 : 후미창
160 : 사이드 도어 170 : 리어도어
본 발명은 통상의 사이드도어(side door) 및 리어도어(rear door)를 갖춘 화물차량의 화물칸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량의 화물칸보다 길이가 긴 사다리 및 간판 등과 같은 판형화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화물차량의 폭방향으로 적재구조의 폭을 변경할 수 있어 운행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다양한 공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을 갖춘 화물차량 적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형화물 및 사다리와 같이 화물차의 화물칸보다 긴 길이를 갖는 화물을 운반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화물차량의 화물칸 후미부 내측에 판형화물 및 사다리의 일측을 위치시키고 타측을 화물차의 프레임에 걸쳐 하늘쪽으로 향하도록 하거나, 화물차량의 화물칸 리어도어를 오픈하여 차량의 후방으로 화물이 돌출된 상태에서 운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차량의 운행시 풍압에 의해 판형화물이 부러지거나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였으며, 화물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장착한 경우 후방에서 다른 주행하는 차량에 위압감을 주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는 화물차량의 탑승부 지붕 높이와 수평을 이루도록 화물칸에 파이프 등을 사용하여 받침부를 형성한 구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일례가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17585호의 『화물차량의화물운반구조』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가 도 7에 도시되어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물운반구조는 화물차량의 화물칸 선후단부 네모서리에 각각 소정 길이의 파이프를 수직으로 장착하고 상기 선단부의 파이프는 차량의 탑승부 지붕 높이보다 다소 높도록, 즉 화물칸 선단부에 형성된 아치형 프레임의 높이와 유사하도록 형성하고, 후단부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파이프는 선단부에 부착되는 파이프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길게 형성하여 상기 4개의 파이프를 다른 파이프 혹은 판넬로 연결하여 작업자가 올라갈 수 있도록 평평한 받침부를 형성하며, 받침부의 하부에 공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을 설치하였다.
이에 따라 간판 등과 같은 판형화물을 받침부에 올려놓고 운반할 수 있게 되었으며 공구를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화물운반구조는 화물을 운반함에 있어서, 적재부의 폭이 차량의 폭보다 약간 넓게 제작되어 사다리 3개 정도를 실을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좁은 골목길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는 운행되지 못하여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으며, 미관상으로도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화물운반구조는 바를 이용하여 적재된 화물을 고정하긴 하였지만, 바만으로는 화물을 안전하게 고정하기 어려웠으며, 적재부를 이루는 파이프가 차량의 프레임과 화물칸의 후미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폭이 넓은 판형화물을 차량에 적재하기엔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공구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함이 화물차의 후미창을 가리게 되어 차량 운행에 불편을 주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부의 폭을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게 하여 좁은 골목길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차량의 폭보다 넓은 적재부로 인하여 운행에 제한을 받지 않고 보다 안전하며, 미관을 흐리지 않을 수 있는 화물차량 적재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화물칸보다 폭이 넓어 적재부에 적재하기 어려운 판형화물 등을 차량의 화물칸에 적재할 수 있는 화물차량 적재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화물칸에 적재된 수납함이 후미창을 가리지 않는 화물차량 적재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화물칸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 및 화물차량의 폭 방향으로 길이가 확장 또는 축소가능하며, 다수개의 지지부재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다수개의 적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수개의 지지부재는 화물칸의 선단 탑승부와 화물칸 사이에 구비된 프레임에 대응하여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선단지지부재 및 화물칸의 후미 양 모서리에 선단지지부재와 각각 대응되게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후미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선단지지부재는 화물차량의 후미창에 대응되는 부분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개의 지지부재에는 각각 공구를 수납할 수 있는 다수개의 수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지지부재는 화물차량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재부재는 선단지지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적재부와, 후미지지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적재부 및 제1적재부와 제2적재부의 길이방향 양 끝단을 연결하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적재부재에 적재된 화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봉을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제1적재부는 선단지지부재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1적재판과, 제1적재판 내부로 삽입 인출 가능하며, 걸림봉을 구속할 수 있는 체결구가 형성된 이송판 및 제1적재판과 상기 이송판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덧붙여, 제2적재부는 후미지지부재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과, 한 쌍의 고정판 사이에 결합되는 제2적재판과, 한 쌍의 고정판 내부로 삽입 인출 가능하며, 걸림봉을 구속할 수 있는 체결구가 형성된 한 쌍의 이송판 및 한 쌍의 고정판과 한 쌍의 이송판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한 쌍으로 구성된 상기 고정판 중 어느 하나는 제2적재판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고정판 및 한 쌍의 고정판 중 다른 하나는 제2적재판을 구속할 수 있는 후크링크가 형성된 제2고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고정판과 제2적재판은 힌지 결합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힌, 걸림봉의 선단 하부에 화물차량의 탑승부 지붕 및화물을 보호하기 위한 받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구조(100)는 다수개의 지지부재(110) 및 다수개의 적재부재(12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10)는 선단지지부재(111) 및 후미지지부재(112)로 구성되며, 화물차량의 화물칸에 장착시 화물차의 탑승부와 지지부재(110)가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선단지지부재(111)는 화물차량의 탑승부와 화물칸 사이에 마련된 프레임(130)과 바닥판(140)에 고정되는 것으로, 프레임(130)에 대응하여 소정의 높이로 형성한다.
또한, 선단지지부재(111)는 다양한 물품, 바람직하게는 공구를 수용할 수 있는 수납함(111a)을 형성한다.
수납함(111a)은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납함(111a)에는 하나의 개방부(111b)가 형성되며, 이 개방부(11b)는 화물차량의 후미창(15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운전석에서 개방부(111b)를 통해 후방에서 운행되는 다른 차량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후미지지부재(112)는 화물칸의 바닥판(130)과 사이드 도어(160)에 고정되는 것으로, 화물칸의 후미 양 모서리에 선단지지부재(111)와 각각 대응되게 소정의 높이로 형성한다.
또한, 후미지지부재(112)는 선단지지부재(111)와 마찬가지로 공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112a)을 형성한다.
이렇게, 지지부재는 선단지지부재(111)와 후미지지부재(112)에 각각 형성된 수납부(111a, 112a)의 내부를 통해 화물차량의 프레임(130)과 바닥판(140) 및 사이드 도어(160)에 나사(미도시)를 이용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적재부재(120)는 화물을 적재하는 부분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적재부(121)와 제2적재부(122) 및 걸림봉(123)으로 구성된다.
제1적재부(121)는 제1적재판(121a)과 이송판(121b) 및 결합수단(121c)을 구비한다.
제1적재판(121a)은 선단지지부재(111)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로 이송판(121b)이 삽입 인출 가능하도록 중공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적재판(121a)의 하부와 선단지지부재(111)의 상단에는 나사(미도시)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제1적재판(121a)의 양 측부에는 이송판(121b)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121a')를 형성한다.
이송판(121b)은 제1적재판(121a)의 내부로 삽입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며, 일측엔 걸림봉(123)을 구속할 수 있는 체결구(124)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1적재판(121a) 양 측부의 결합구(121a') 위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결합구(121b')가 형성된다.
결합수단(121c)은 이송판(121b)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핀, 바람직하게는 길이가 다른 두개의 핀이 수평으로 이어져 있으며, 길이가 긴 핀은 제1적재판(121a)과 결합하고, 길이가 짧은 핀은 제1적재판(121a)의 결합구(121a')와 이송판(121b)의 결합구(121b')가 서로 일치하는 곳에 삽입하여 이송판(121b)을 구속한다.
제2적재부(122)는 한쌍의 고정판(122a), 제2적재판(122b), 이송판(122c) 및 결합수단(122d)을 구비한다.
한쌍으로 이루어진 고정판(122a)은 각 후미지지부재(112)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제1고정판(122a') 및 제2고정판(122a")으로 나뉘며, 각각의 고정판(122a) 하부와 후미지지부재(112)의 상단에는 결합홈(미도시)을 형성하여, 나사(미도시)에 의해 고정 결합한다.
후미지지부재(112)와 결합되는 제1고정판(122a')의 일측에는 제2적재판 (122b)과 선회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한 힌지공(125a)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이송판(122c)이 삽입 인출될 수 있도록 중공을 형성한다.
제2고정판(122a")은 제1고정판(122a')과 마주 보도록 후미지지부재(112)와 결합되며, 제1고정판(122a')과 마주보는 일측에는 선회되는 제2적재판(122b)를 구속할 수 있는 후크링크(126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이송판(122c)이 삽입 인출될 수 있도록 중공을 형성한다.
제2적재판(122b)은 후미지지부재(112)의 각 상단에 결합된 제1고정판(122a')과 제2고정판(122a") 사이에 결합되며, 일측에는 제1고정판(122a')과 선회 가능하도록 나사(125)에 의해 힌지 결합할 수 있는 힌지공(125b)을 형성한다.
또한, 제2적재판(122b)의 타측에는 제2고정판(122a")에 구속될 수 있도록 제2고정판(122a")의 후크링크(126a)와 대응되도록 구속핀(126b)을 형성한다.
이송판(122c)은 고정판(122a)의 내부로 삽입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며, 일측엔 걸림봉(123)을 구속할 수 있도록 제1적재부(121)와 마찬가지로 체결구(124)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각 고정판(122a) 양 측부의 결합구(122a'-1, 122a"-1) 위치에 상응하는 다수의 결합구(122c')가 형성된다.
결합수단(122d)은 이송판(122c)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핀, 바람직하게는 길이가 다른 두개의 핀이 수평으로 이어져 있으며, 길이가 긴 핀은 각 고정판(122a)과 결합하고, 길이가 짧은 핀은 고정판(122a)의 결합구(122a'-1, 122a"-1)와 이송판(122c)의 결합구(122c')가 서로 일치하는 곳에 삽입하여 이송판(122c)을 구속한다
여기서, 제1적재부(121)와 제2적재부(122)의 양측에 결합된 결합수단(121c, 122d)은 길이가 긴 핀 끝단에 나사산(미도시)을 형성하여 제1적재판(121a) 및 한 쌍의 고정판(122a)에 결합시 핀의 외측으로 스프링(미도시)과 너트(미도시)를 결합하여 제1적재판(121a) 및 고정판(122a)에 대해 탄성을 갖도록 한다.
걸림봉(123)은 제1적재부(121)와 제2적재부(122)의 각 이송판(121b, 122c)에 형성된 체결구(124)에 의해 체결되어 화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수직으로 돌출되게, 바람직하게는 상하 수평을 갖는 하나의 봉으로 구성된다.
또한, 걸림봉(123)은 화물차량의 탑승부 지붕 위로 연장되게 형성하며, 판형화물 및 사다리와 같은 긴 길이를 화물로 인하여 탑승부 지붕 및 화물의 손상을 입지 않도록 걸림봉(123)의 전방에는 가변 가능한 받침부(123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하 수평으로 형성된 걸림봉(123) 사이에 보강부재(123b)를 구비하여 구조적으로 견고히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적재구조는 판형화물의 폭에 따라 적재부재(120)의 폭을 조절할 수 있어(도 4참조), 다수의 사다리(180)를 적재할 경우 적재부재의 폭을 연장하여 적재하고(도 5참조), 적재구조에 적재할 수 없을 정도의 폭을 가진 판형화물(190)일 경우 화살표 방향으로 제2적재부(122)의 제2적재판(122b)을 선회시키고 리어 도어(170)을 오픈한 후 화물칸에 적재할 수 있게 된다(도 6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적재구조(100)는 수납함(111a, 112a)이 형성된 지지부재(110)에 폭 방향으로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적재부재(120)를 고정 결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재부재(120)의 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화물의 부피에 따라 화물칸에도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적재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적재구조에 따르면, 적재부재의 제1적재부와 제2적재부의 폭을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어 좁은 골목길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운행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적재부재에 걸림봉을 구비하여 화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미관을 해칠 우려가 없다.
또한, 제2적재부의 제2적재판을 고정판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적재부재에 적재하기 어려운 판형화물 등을 화물차량의 화물칸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또한, 화물차량의 후미창을 가리는 수납함에 후미창 위치와 상응하게 개방부를 형성하여 운행 중 화물을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후방에서 뒤따르는 차량을 확인할 수 있어 차량 운행에 도움을 준다.

Claims (11)

  1. 화물차량의 화물칸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 및
    화물차량의 폭 방향으로 길이가 확장 또는 축소가능하며, 상기 다수개의 지지부재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다수개의 적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지지부재는 화물칸의 선단 탑승부와 화물칸 사이에 구비된 프레임에 대응하여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선단지지부재; 및
    상기 화물칸의 후미 양 모서리에 상기 선단지지부재와 각각 대응되게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후미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지지부재는 화물차량의 후미창에 대응되는 부분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지지부재에는 각각 공구를 수납할 수 있는 다수개의 수납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구조.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재는:
    상기 선단지지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적재부;
    상기 후미지지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적재부; 및
    상기 제1적재부와 상기 제2적재부의 길이방향 양 끝단을 연결하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적재부재에 적재된 화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재부는:
    상기 선단지지부재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1적재판;
    상기 제1적재판 내부로 삽입 인출 가능하며, 상기 걸림봉을 구속할 수 있는 체결구가 형성된 이송판; 및
    상기 제1적재판과 상기 이송판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적재부는:
    상기 후미지지부재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
    상기 한 쌍의 고정판 사이에 결합되는 제2적재판;
    상기 한 쌍의 고정판 내부로 삽입 인출 가능하며, 상기 걸림봉을 구속할 수 있는 체결구가 형성된 한 쌍의 이송판; 및
    상기 한 쌍의 고정판과 상기 한 쌍의 이송판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한 쌍으로 구성된 상기 고정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적재판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고정판; 및
    상기 한 쌍의 고정판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적재판을 구속할 수 있는 후크링크가 형성된 제2고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판과 상기 제2적재판은 힌지 결합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구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봉의 선단 하부에 화물차량의 탑승부 지붕 및화물을 보호하기 위한 받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구조.
KR1020050117642A 2005-12-05 2005-12-05 화물차량의 적재구조 KR100710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642A KR100710495B1 (ko) 2005-12-05 2005-12-05 화물차량의 적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642A KR100710495B1 (ko) 2005-12-05 2005-12-05 화물차량의 적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0495B1 true KR100710495B1 (ko) 2007-04-24

Family

ID=38182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642A KR100710495B1 (ko) 2005-12-05 2005-12-05 화물차량의 적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4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3075A (ko) * 2016-10-19 2018-04-27 (주)이삭특장차 폭 가변형 지지부재를 갖는 특장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7744A (ja) * 1990-03-28 1991-12-09 Nippon Steel Corp ろう付け後の靭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H05246276A (ja) * 1991-10-24 1993-09-24 Tategu Sogo Shosha Futaba:Kk キャンピングカー
KR100467044B1 (ko) 2003-04-16 2005-01-24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트레일러의 중장비 적재장치
KR200388142Y1 (ko) 2005-04-12 2005-06-29 (주)동연물류 광폭 판체 적재용 각도 가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7744A (ja) * 1990-03-28 1991-12-09 Nippon Steel Corp ろう付け後の靭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H05246276A (ja) * 1991-10-24 1993-09-24 Tategu Sogo Shosha Futaba:Kk キャンピングカー
KR100467044B1 (ko) 2003-04-16 2005-01-24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트레일러의 중장비 적재장치
KR200388142Y1 (ko) 2005-04-12 2005-06-29 (주)동연물류 광폭 판체 적재용 각도 가변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524627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3075A (ko) * 2016-10-19 2018-04-27 (주)이삭특장차 폭 가변형 지지부재를 갖는 특장차
KR101866801B1 (ko) * 2016-10-19 2018-06-18 (주)이삭특장차 폭 가변형 지지부재를 갖는 특장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6182B2 (en) Vehicle bed storage extender
US7234618B2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for vehicles
US5765892A (en) Extension apparatus for a vehicle cargo area
US4854628A (en) Carrying rack for a vehicle
US6874804B2 (en) Universal hitch and receiver assembly
US5431472A (en) Convertible pickup side rail apparatus
US5992719A (en) Expandable storage enclosure for open loadbed pickup truck
US6634848B2 (en) Automotive stowable ramp device
CN110198899B (zh) 可折叠的联运集装箱
KR100706392B1 (ko) 해치백 스타일 차량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 구조
US5085326A (en) Load lock holder
KR100710495B1 (ko) 화물차량의 적재구조
US6145682A (en) Modifying structures for a foldable storage crate, and method of using same
US4906038A (en) Livestock enclosure for a pickup truck or the like
CN110325459B (zh) 可折叠的联运集装箱和可折叠的联运集装箱组件
US20040050889A1 (en) Cargo management system useful as a table
KR102259364B1 (ko) 트럭 사이드게이트 지지장치
JP5159272B2 (ja) 集配用貨物自動車
JPS632365Y2 (ko)
US6457764B1 (en) Concept vehicle
CN213832711U (zh) 一种公路运输用物件配送储放装置
KR0139563B1 (ko) 길이가 조절되는 화물차의 적재함
KR200368002Y1 (ko) 트럭의 물품 수납장치
US20090060700A1 (en) Pallet storage
CN210734418U (zh) 一种三轮摩托车及其货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