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066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066B1
KR100710066B1 KR1020050021621A KR20050021621A KR100710066B1 KR 100710066 B1 KR100710066 B1 KR 100710066B1 KR 1020050021621 A KR1020050021621 A KR 1020050021621A KR 20050021621 A KR20050021621 A KR 20050021621A KR 100710066 B1 KR100710066 B1 KR 100710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inge
hinge shaft
axis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0020A (ko
Inventor
송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21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066B1/ko
Publication of KR20060100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0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non-parallel pins
    • E05Y2999/00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위폴더를 하위폴더에 대해 포개지도록 하는 2축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위 폴더의 일측에 고정 장착된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원통형의 제 1 힌지축; 상기 제 1 힌지축의 상부 일측에 상기 제 1 힌지축과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위폴더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 2 힌지축; 상기 제 1 힌지축의 외주면에 축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 1 축 하우징; 및 상기 제 2 힌지축의 외주면에 상기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축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1 힌지축을 축중심으로 상기 제 1 축 하우징과 일체로 축회전하는 제 2 축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힌지축의 외측 선단에 캠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힌지축을 축중심으로 상기 상위폴더의 회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2축 힌지장치, 원형캠, 멈춤부재, 제 1 힌지축, 제 2 힌지축, 연성인쇄회로기판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2 way hinge apparatus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를 정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를 결합한 결합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폴트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종방향으로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횡방향으로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에 구비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의 캠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하위폴더 101: 고정축
102: 제 1 힌지축 103: 제 1 축 하우징 하부
104: 제 1 축 하우징 상부 105, 109: 윤활링
106: 고정용 브라켓 107: 고정캡
108: 요홈 110: 중간부분 걸림돌기
111: 내측부분 걸림돌기 200: 상위폴더
201: 제 2 축 하우징 하부 202: 제 2 축 하우징 상부
203: 제 2 힌지축 204: 원형캠
205: 멈춤부재 206: 원통부재
207: 연결통로 300: 연성인쇄회로기판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힌지의 제 1 축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다른 축방향으로 회전이 없도록 자동으로 로킹(locking)시킬 수 있거나, 또는 제 1 축방향 이외에 제 2 축방향으로도 회전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힌지장치를 사용하는 특허는 1988년 11월 4일 출원된 미국특허 제 4,897,873호로서, 대한민국에는 특허공고 제 93-9847호로 우선권주장되어 특허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2개의 힌지골과 1개의 힌지산이 힌지축에 대하여 수직인 한개의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는 힌지부재, 멈치캠 및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멈치캠이 상기 2개의 힌지골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있다가, 상기 멈치캠이 상기 힌지산을 넘으면 반대편의 힌지골로 이동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특허를 기초로 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95-14618호에는 절첩식 무선 전화기용 힌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96-9534호에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힌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은 모두 2개의 힌지골과 1개의 힌지산으로 구성되어, 1 방향으로 구동되는 힌지축만을 갖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보통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에 있어서 폴더가 열려있는 상태와 닫혀있는 상태는 약 180도의 위상차이를 가지며, 종래의 힌지장치는 1개의 힌지축만 있으므로 폴더가 열려있는 상태와 닫혀있는 상태의 정중앙에 힌지장치가 위치되어 있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표시부와 키패드사이에 간격이 멀어 긴 문장을 입력하면서 표시부를 주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시선을 아래위로 이동시켜야 되고 그로 인해 눈의 피로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여러가지 다양한 기능들, 예를 들어 전자수첩,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네비게이션(navigation) 등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발되면서 종래의 종방향의 표시부 보다는 횡방향의 폭넓은 표시부로 디스플레이하려는 경향에 있으며, 따라서 종래의 1개의 힌지축만을 갖는 힌지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는 이렇게 종방향으로 폴더를 열고 닫으면서 횡방향으로 폴더를 열고 닫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를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각각 열고 닫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외부에 별도의 장치가 추가되지 않고 폴더를 한쪽 방향으로 열고 닫을 때, 다른쪽 방향으로는 열고 닫을 수 없도록 내부적으로 자동구속되는 힌지장치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를 횡방향으로 구동시킬 때 힌지부분에 돌출부가 없는 평평한 폴더표면을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품성을 높이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위폴더를 하위폴더에 대해 포개지도록 하는 2축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위 폴더의 일측에 고정 장착된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원통형의 제 1 힌지축; 상기 제 1 힌지축의 상부 일측에 상기 제 1 힌지축과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위폴더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 2 힌지축; 상기 제 1 힌지축의 외주면에 축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 1 축 하우징; 및 상기 제 2 힌지축의 외주면에 상기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축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1 힌지축을 축중심으로 상기 제 1 축 하우징과 일체로 축회전하는 제 2 축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힌지축의 외측 선단에 캠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힌지축을 축중심으로 상기 상위폴더의 회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 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위폴더(200)를 하위폴더(100)에 대해 종방향으로 열고 닫기 위한 제 1 축 힌지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위폴더(200)를 하위폴더(100)에 대해 횡방향으로 열고 닫기 위한 제 2 축 힌지부, 하위폴더(100)의 일측에 고정 구비된 고정축부, 및 제 2 축 힌지부의 외측 선단부에 구비되는 캠부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위폴더의 일측에 고정 구비된 고정축부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를 정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고정축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위폴더(100)의 일측에 고정되어 구비된 고정축(101), 고정축(101)의 외측 단부에 위치하여 고정축(101)의 고정지지를 위한 고정용 브라켓(106), 고정용 브라켓(106)이 위치하는 고정축(101)의 외측 단부에 소정 각으로 깍인 홈과 맞물리고 고정용 브라켓(106)의 외측에 접촉하는 고정캡(107), 고정용 브라켓(106)과 내측에서 접촉하여 장착된 윤활링(105), 및 걸림돌기(110)와 고정용 브라켓(106)사이에서 걸림돌기(110)에 접촉하여 구비된 윤활링(109)으로 구성된다.
고정축(101)은 사각 기둥형, 삼각 기둥형, 타원 기둥형 또는 원통 기둥형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통 기둥형의 형태로서 일측에는 고정캡(107)과 맞물릴 수 있도록 소정 각으로 깍인 홈이 구비되고, 고정축(101)의 중간부분과 내측 단부에는 원형판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10, 111)가 구비되어 있으며, 고정용 브라켓(106)이 위치하는 고정축(101) 부분쪽에는 멈춤부재(205)의 하부와 맞물릴 수 있는 요홈(108)이 구비된다. 여기서, 걸림돌기(110, 111)는 원형판으로 돌출된 형태이고 반경방향의 일측으로 직사각형으로 연장된 부분을 구비하여, 이 걸림돌기(110, 111)의 연장부분이 고정축(101)의 고정지지를 위해 하위폴더(100)의 내부에 고정 장착된다.
이렇게 고정 장착된 고정축(101)을 중심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위폴더(200)를 하위폴더(200)에 대해 종방향으로 열고 닫기 위한 제 1 축 힌지부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위폴더(200)를 하위폴더(100)에 대해 횡방향으로 열고 닫기 위한 제 2 축 힌지부가 장착된다.
제 1 축 힌지부는 고정축부의 윤활링(105)과 고정축의 중간부분의 걸림돌기(110)에 접촉하는 윤활링(109)사이에서 마찰접촉하고, 고정축을 둘러싸며 구비되는 원통형의 제 1 힌지축(102), 제 1 힌지축(102)을 아래에서 감싸는 제 1 축 하우징 하부(103), 및 제 1 힌지축(102)을 위에서 감싸는 제 1 축 하우징 상부(104)로 구성된다.
제 1 축 하우징 하부(103)와 제 1 축 하우징 상부(104)는 서로 접합되어 제 1 힌지축(102)을 둘러싸는 원통형태의 제 1 축 하우징을 형성하여 제 1 힌지축 (102)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이렇게 형성된 제 1 축 하우징이 고정축 방향으로 변위되지 않도록 걸림돌기(110)에 의해 저지되고, 마찰접촉에 의한 마멸을 해소하기 위해 윤활링(105, 109)이 제 1 축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어 작용한다.
제 2 축 힌지부는 제 1 힌지축(102)의 일측에 직각으로 제 1 힌지축(102)과 일체로 상측에 구비된 원통형의 제 2 힌지축(203), 제 2 힌지축(203)을 아래에서 둘러싸는 제 2 축 하우징 하부(201), 제 2 힌지축(203)을 위에서 감싸는 제 2 축 하우징 상부(202), 및 제 2 축방향 힌지축(203)의 내부에 장착되어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300)의 지지를 위한 원통부재(206)로 구성된다.
제 2 힌지축(203)은 제 1 힌지축(102)과 일체로 구성되고, 제 1 힌지축(102)과 연결된 부분에는 멈춤부재(205)가 도출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원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과 같은 단면을 가지는 소정형태의 연결통로(207)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힌지축(203)의 제 1 힌지축(102)쪽으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300)이 지나가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원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과 같은 단면을 가지는 소정형태의 연결통로(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제 2 축 하우징 하부(201)와 제 2 축 하우징 상부(202)는 접합되어 제 2 힌지축(203)을 둘러싸는 원통 형태의 제 2 축 하우징을 구성하여 제 2 힌지축(203)을 축중심으로 하는 상위폴더(2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고, 제 2 축 하우징은 제 1 축 하우징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축 하우징과 중첩적으로 연결된 부분에 는 멈춤부재(205)를 도출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원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과 같은 단면을 가지는 소정형태의 연결통로,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의 연결통로가 구비된다.
제 2 축 힌지부의 외측 선단부에 구비되는 캠부는 제 2 힌지축(203)의 외측 단부에 맞물려 장착된 원형캠(204); 및 원형캠(204)의 아래에서 접촉하여 고정축(101)의 요홈(108)과 맞물릴 수 있는 멈춤부재(20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캠부는 제 2 힌지축(203)을 중심으로 하는 축회전에 따라 원형캠(204)이 회전을 하면서 멈춤부재(205)와 함께 제 1 힌지축(102)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원형캠(204)은 원판형 또는 원판 고리형의 다양한 실시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도 1에서 보여지는 원형캠(204)은 원판 고리형으로서 일측이 반경의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평평하게 깍인 측면을 가지고, 이 측면을 포함한 원형캠(204)은 아래측으로 멈춤부재(205)의 상부측과 맞닿아 있게 위치한다.
멈춤부재(205)는 T자형의 부재로서 상측으로 원형캠(204)의 측면과 맞닿아 있는 평평한 상부와 아래측으로 용수철이 구비되어 고정축(101)의 요홈(108)과 맞물릴 수 있는 돌출된 하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원형캠(204)과 멈춤부재(205)는 본 발명에 따른 2축 힌지장치에 구비되지 않고 실시될 수 있고, 도 6a 내지 도 6f에 도시된 다양한 형태의 원형캠(204-1, 204-2, 204-3, 204-4, 204-5, 204-6)과 멈춤부재(205-1, 205-2, 205-3, 205-4, 205-5, 205-6)로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2축 힌지장치는 도 2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결합된 형태를 가지고, 제 1 축 하우징 하부(103)와 제 1 축 하우징 상부(104)로 이루어진 제 1 축 하우징의 제 1 축; 및 제 2 축 하우징 하부(201)와 제 2 축 하우징 상부(202)로 이루어진 제 2 축 하우징의 제 2 축을 각각 축중심으로 하는 상위폴더(2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2축 힌지장치의 내부에는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위폴더(100)와 상위폴더(20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300)이 하위폴더(100)의 전기적 단자(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 1 축 하우징 하부(103)와 제 1 축 하우징 상부(104)로 이루어진 제 1 축 하우징과 제 1 축 힌지축(102) 사이공간을 거치고, 제 1 축 하우징과 제 2 축 하우징의 연결통로를 거쳐서, 제 2 힌지축(203)의 내부와 원통부재(206) 사이를 지나서 상위폴더(200)의 전기적 단자(도시되지 않음)로 연결된다.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폴더(200)가 닫힌 상태는 원형캠(204)의 평평하게 깍인 측면이 멈춤부재(205)의 상부와 맞닿아 있고 멈춤부재(205)의 하부는 고정축(101)의 요홈(108)에서 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이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와 같이 자유롭게 상위폴더(200)를 하위폴더(100)에 대해 종방향으로 열고 닫힐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중 전자수첩 기능 등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위폴더(200)를 하위폴더(100)에 대해 횡방향으로 열게 되면 원형캠(204)은 제 2 힌지축을 축중심으로 회 전을 하게 되어 원형캠(204)의 평평하게 깍인 측면이 회전하고 따라서, 원형캠(204)의 평평하게 깍인 측면에 맞닿아 있던 멈춤부재(205)의 하부는 고정축(101)의 요홈(108)으로 내려가 맞물리게 되어 제 1 축방향을 축중심으로 하는 회전, 즉 상위폴더(200)를 하위폴더(100)에 대해 종방향으로 열고 닫는 작용이 저지되어 횡방향으로만 열고 닫힐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위폴더(200)를 다시 횡방향으로 닫을 경우, 원형캠(204)의 평평하게 깍인 측면이 다시 멈춤부재(205)의 상부와 맞닿도록 회전변위되고, 따라서 멈춤부재(205)의 하부에 장착된 용수철의 탄성작용으로 요홈(108)으로부터 멈춤부재(205)는 분리되어, 다시 상위폴더(2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위폴더(200)를 하위폴더(100)에 대해 횡방향으로 열게 될 때, 제 2 축방향 하우징 하부(201)와 제 2 축방향 하우징 상부(202)로 이루어진 제 2 축방향 하우징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걸림턱(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여 소정각도 이상으로 상위폴더(200)를 회전시키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원형캠(204)과 멈춤부재(205)를 구비하지 않은 2축 힌지 장치를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상위폴더(200)를 하위폴더(100)에 대해 횡방향으로만 열고 닫는 작용 이외에 횡방향으로 열고난 후 종방향으로 동시에 열거나, 또는 종방향으로 열고난 후 횡방향으로 동시에 열도록 상위폴더(200)를 자유자재로 회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a 내지 도 6f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2축 힌지장치에 구비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원형캠(204-1, 204-2, 204-3, 204-4, 204-5, 204-6)과 멈춤부재(205-1, 205-2, 205-3, 205-4, 205-5, 205-6)를 구현하여 캠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a는 도 1에서 도시된 원형캠(204)을 기초로 하여 반경의 다른 일측 방향으로 평평한 측면(204-1-2)을 구비한 원형캠(204-1)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에서 다른 일측 방향으로 평평한 측면(204-1-2)은 평평한 측면(204-1-1)이 멈춤부재(205-1)와 맞닿아 있는 디폴트상태에서 상위폴더(200)를 횡방향으로 열어 일정각도, 예를 들어 120도에서 평평한 측면(204-1-2)이 멈춤부재(205-1)와 맞닿아 지지됨으로써 상위폴더(200)가 120도에서 멈춰 지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6b는 반경의 일측 방향으로 소정길이로 둥근 홈으로 들어간 챔퍼(chamfer)(204-2-1)가 형성된 원형캠(204-2)과, 상부에는 이 챔퍼(204-2-1)와 맞물리는 돌출부를 구비한 멈춤부재(205-2)로 캠부를 구성한다. 여기서, 챔퍼는 원형캠(204-2)반경의 다른 일측 방향으로 하나이상, 즉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도 6a의 평평한 측면(204-1-2)과 같은 기능으로 멈춤부재(205-2)와 맞닿아 지지됨으로써 상위폴더(200)가 일정 각도에서 멈춰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c 내지 도 6e는 십자가 형태의 멈춤부재(205-3, 205-4, 205-5)를 구비하여 상위폴더(200)의 두께, 구체적으로 제 2 힌지축(203)의 외측 단부와 멈춤부재를 도출하는 소정형태의 연결통로(207)사이의 거리에 따라 멈춤부재(205-3, 205-4, 205-5)의 상부를 늘릴 수 있으며, 간단하게는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막대형 의 멈춤부재(205-6)가 구비되어 캠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캠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위폴더(200)를 하위폴더(100)에 대해 횡방향으로 열어 상위폴더(200)의 횡방향의 넓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표시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까지 사용자에게 한눈에 보여지므로 손쉽게 전자수첩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눈의 피로가 없이 긴 장문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위폴더(200)가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위폴더(100)에 대해 횡방향으로 열었을 때, 2축 힌지장치의 내부에 제 1 힌지축을 축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자동으로 구속할 수 있는 원형캠과 멈춤부재를 포함한 캠부를 구비함으로써, 별도로 힌지축을 중심으로하는 회전제어장치를 장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기능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비된 상위폴더를 하위폴더에 대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손쉽게 열고 닫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위폴더를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를 횡방향으로 열어 키패드를 이용할 때, 힌지부분에 돌출부가 없는 평평한 폴더표면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품성을 높이는데 있다.

Claims (9)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위폴더를 하위폴더에 대해 포개지도록 하는 2축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위 폴더의 일측에 고정 장착된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원통형의 제 1 힌지축;
    상기 제 1 힌지축의 상부 일측에 상기 제 1 힌지축과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위폴더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 2 힌지축;
    상기 제 1 힌지축의 외주면에 축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 1 축 하우징; 및
    상기 제 2 힌지축의 외주면에 상기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축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1 힌지축을 축중심으로 상기 제 1 축 하우징과 일체로 축회전하는 제 2 축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힌지축의 외측 선단에 캠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힌지축을 축중심으로 상기 상위폴더의 회동을 제어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제2 힌지축의 외측 선단에 장착된 캠과 상기 캠의 하부 측면에 맞닿아 있는 멈춤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힌지축이 구비되는 상기 고정축 부분의 일측에 소정 형태의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캠의 동작에 따라 상기 멈춤 부재의 하부가 상기 고정축의 요홈에 맞물리면 상기 제2 힌지축과 연동되는 상기 상위폴더가 상기 1 힌지축을 축중심으로 하는 회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축과 접촉하여 상기 고정축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 1 힌지축이 변위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축의 중간부분에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반경의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평평하게 깍인 하나 이상의 측면을 갖는 원형 링,
    반경의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둥글게 들어간 하나 이상의 챔퍼를 갖는 원형링,
    반경의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평평하게 깍인 하나 이상의 측면을 갖는 원판형, 및
    반경의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둥글게 들어간 하나 이상의 챔퍼를 갖는 원판형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재는 T자형, 십자가형, 및 막대형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으며, 상기 캠이 하나 이상의 챔퍼를 갖는 원형링 또는 하나 이상의 챔퍼를 갖는 원판형일 때에는 상기 멈춤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챔퍼와 맞물리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
  6.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축과 상기 제 2 힌지축의 연결부분에 소정 형태의 연결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멈춤부재의 하부가 상기 요홈에 맞닿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 하우징과 상기 제 2 축 하우징의 연결부분에 소정 형태의 연결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멈춤부재의 하부가 상기 요홈에 맞닿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폴더로부터 상기 제 1 축 하우징, 상기 제 1 축 하우징과 상기 제 2 축 하우징의 연결통로, 및 상기 제 2 힌지축의 내부를 거쳐서 상기 상위폴더로 연결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힌지축의 내부에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지지를 위한 원통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
KR1020050021621A 2005-03-16 2005-03-16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 KR100710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621A KR100710066B1 (ko) 2005-03-16 2005-03-16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621A KR100710066B1 (ko) 2005-03-16 2005-03-16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020A KR20060100020A (ko) 2006-09-20
KR100710066B1 true KR100710066B1 (ko) 2007-04-23

Family

ID=3763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621A KR100710066B1 (ko) 2005-03-16 2005-03-16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0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562B1 (ko) * 2007-05-10 2008-02-13 (주)쉘-라인 힌지장치
KR100909713B1 (ko) * 2009-02-16 2009-07-29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649A (ko) * 2001-06-26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649A (ko) * 2001-06-26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64933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020A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6853B2 (en) Rotary type hinge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EP1488533B1 (en) Rotary hinge mechanism of portable phone
US20130081229A1 (en) Hinge device
KR100439744B1 (ko) 휴대폰의 자동 개폐 장치
KR1007100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2축 힌지장치
CN1981108B (zh) 铰链装置
KR20100004747A (ko)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US20090036177A1 (en) Hinge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101321199B (zh) 便携式设备的铰链装置及便携式设备
KR100827607B1 (ko) 휴대폰용 양방향 스윙 힌지 모듈
KR20060092498A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이축 힌지모듈
JP4122312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200387277Y1 (ko) 휴대용단말기의 스윙장치
KR200214694Y1 (ko) 휴대폰의 자동 개폐 장치
JP2003056545A (ja) 筒状ヒンジ
KR1006085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윙 힌지 구조
KR200372886Y1 (ko) 휴대용단말기의 회전장치
KR100468368B1 (ko) 2축 힌지장치
KR100628916B1 (ko) 휴대용단말기의 회전장치
JP4337492B2 (ja) ヒンジ装置
JP4313286B2 (ja) ヒンジ装置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4681058B2 (ja) ヒンジ装置
CN101223372A (zh) 铰链装置
KR200345392Y1 (ko) 휴대폰의 이중힌지장치
US6873477B1 (en) Rotat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