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350B1 - 비실시간 데이터 처리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비실시간 데이터 처리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350B1
KR100709350B1 KR1020050086799A KR20050086799A KR100709350B1 KR 100709350 B1 KR100709350 B1 KR 100709350B1 KR 1020050086799 A KR1020050086799 A KR 1020050086799A KR 20050086799 A KR20050086799 A KR 20050086799A KR 100709350 B1 KR100709350 B1 KR 100709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ocessing
unit
memory unit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2507A (ko
Inventor
임대성
홍창완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6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350B1/ko
Publication of KR20070032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6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비실시간 데이터 처리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송수신장치는,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 제1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백업하는 제2 메모리부, 제2 메모리부에 백업된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 단위로 검출하여 비실시간 연산 처리하는 처리부, 및 처리부를 통해 연산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손실없이 저장하여 비실시간 처리함으로써, 반복적인 데이터 연산 처리 및 복잡한 알고리즘에 따른 데이터 연산 처리가 가능하며, 데이터를 보다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비실시간, 데이터

Description

비실시간 데이터 처리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Broadcasting receiver processing data by non-real-time and method processing data thereof}
도 1은 종래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하는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종래의 실시간 데이터 연산처리방법을 보인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실시간 데이터 연산 처리방법을 보인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실시간 데이터 처리를 상세하게 보인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실시간 데이터 처리방법을 보인 흐름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실시간 데이터 처리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입력부
120 : 제1 메모리부 130 : 제2 메모리부
140 : 처리부 150 : 출력부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손실없이 저장하여 비실시간 처리함으로써, 반복적인 데이터 연산 처리 및 복잡한 알고리즘에 따른 데이터 연산 처리가 가능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방송수신장치는 VCR, 셋탑 박스, DVD Player,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및 오디오 기기 등과 같은 외부장치를 연결하여 각 외부장치들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처리하여 출력한다.
한편, 방송수신장치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들을 실시간 데이터 처리한다. 여기서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하는 방송수신장치(10)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송수신장치(10)는 입력부(11), 메모리부(12), 처리부(13) 및 출력부(14)을 포함한다.
입력부(11)는 방송수신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여러 외부장치들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메모리부(12)는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정보를 저장 한다. 처리부(13)는 메모리부(12)에 저장된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한다. 메모리부(12)에 저장된 데이터는 한번 처리되면 지워지는 휘발성 데이터이다. 출력부(14)는 처리부(13)를 통해 실시간 처리된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의 형태로 출력한다.
도 2는 종래의 방송수신장치(10)의 실시간 데이터 연산처리방법을 보인 모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면,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제1 연산에서 제n 연산까지의 처리작업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와 같이, 짧은 시간 내에 복수개의 처리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에 있어서 복잡한 알고리즘에 따른 연산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하지만, HD 방송 데이터 등과 같은 디지털 방송 신호의 경우, 고화질을 구현하기 위해 데이터량이 매우 크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알고리즘에 따른 연산 처리가 요구된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방송수신장치(10)에서는 이러한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하게 되면, 정상적인 처리가 이루어질 수 없게 되어 화질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송수신장치(10)에서는 데이터를 실시간 캡쳐(capture)해서 저장하기 때문에 연산에 사용된 데이터는 삭제되어, 다시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각종 연산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출력되는 방송 화상이나 음성의 품질이 열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손실없이 저장하여 비실시간 처리함으로써, 데이터의 반복적인 처리가 가능하며, 복잡한 알고리즘에 따른 데이터 연산 처리가 가능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는,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 상기 제1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백업하는 제2 메모리부, 상기 제2 메모리부에 백업된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 단위로 검출하여 비실시간 연산 처리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를 통해 연산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메모리부에 백업된 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를 반복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 중 현재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값을 제2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1 처리 작업,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 및 제1 처리작업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연산을 수행하는 제2 처리 작업, 상기 제 2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이전 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3 연산을 수행하는 제3 처리 작업, 상기 제2 메모리부의 현재 프레임 데이터 중 임의의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4 연산을 수행하는 제4 처리 작업, 상기 제1 내지 제4 처리 작업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제5 연산을 수행하는 제5 처리 작업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실시간 연산 처리하는 실시간 처리부,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비실시간 처리 명령 및 실시간 처리 명령을 입력받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실시간 처리하도록 상기 처리부를 제어하며, 실시간 처리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하도록 상기 실시간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백업하는 단계, 상기 백업된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 단위로 검출하여 비실시간 연산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송수신장치(100)는 입력부(110), 제1 메모리부(120), 제2 메모리부(130), 처리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방송수신장치(1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데이터는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포함한다. 이 때, 연결되는 외부장치로는 VCR, 셋탑 박스, DVD Player,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및 오디오 기기 등이 있을 수 있다.
제1 메모리부(120)는 입력부(110)에 입력된 데이터를 캡쳐하여 실시간 저장한다. 제1 메모리부(120)는 버퍼 메모리(buffer memory)로 구현될 수 있다,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현재 저장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이전에 저장한 데이터는 지워진다.
제2 메모리부(130)는 제1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백업한다. 제2 메모리부(130)는 하드 디스크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처리부(140)는 제2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 단위로 검출하여 비실시간 처리한다. 처리부(140)는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소정의 연산을 수행한다. 또한, 처리부(140)는 제2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산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출력부(150)는 처리부(140)를 통해 비실시간 처리된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의 형태로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를 보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송수신장치(100)는 입력부(110), 제1 메모리부(120), 제2 메모리부(130), 처리부(140), 출력부(150), 실시간 처리부(160), 제어부(170) 및 유저 인터페이스부(18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 제1 메모리부(120), 제2 메모리부(130), 처리부(140) 및 출력부(150)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처리부(140)는 제2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 메세지 단위로 검 출하여 비실시간 처리한다.
실시간 처리부(160)는 제2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한다. 실시간 처리부(160)는 제2 메모리부(130)에 데이터가 저장됨과 동시에 소정의 연산을 수행하여, 제2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한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80)는 데이터 처리 방식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사용자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데이터의 비실시간 처리 명령 및 실시간 처리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선택 명령은 리모콘 및 방송수신장치 외부에 구비된 조작키를 통해 가능하다. 한편, 데이터 처리 방식의 선택에 있어서, 사용자는 현재 출력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TV 방송 데이터일 경우, 실시간 처리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는 현재 출력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고용량, 고화질, 고음량을 가진 영화 데이터일 경우, 비실시간 처리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부(18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 처리 방식을 입력받는다.
제어부(17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처리부(140) 및 실시간 처리부(16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처리 방식에 따른 사용자 선택 명령이 비실시간 처리인 경우, 데이터를 비실시간 처리하도록 처리부(140)를 제어한다.
반면, 제어부(17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선택 명령이 실시간 처리인 경우,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하도록 실시간 처리부(160)를 제어 한다.
출력부(150)는 처리부(140) 및 실시간 처리부(160)를 통해 비실시간 및 실시간 처리된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의 형태로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실시간 연산처리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입력된 하나의 데이터를 각기 다른 연산 과정을 수행할 경우, 데이터의 연산을 분배된 소정 시간에 처리한 후, 제2 메모리부(130)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가 t=0 시간에 제1 연산이 수행되면, 그 결과 데이터를 제2 메모리부(130)에 저장한다. 이 후, 제1 연산 수행된 결과 데이터를 제2 메모리부(130)에서 검출하여 t=1 시간에 제2 연산이 수행되도록 하며, 그 결과 데이터를 다시 제2 메모리부(130)에 저장한다. 다음, 제2 연산 수행된 결과 데이터를 제2 메모리부(130)에서 검출하여 t=2 시간에 제3 연산을 수행하여 다시 저장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t=n 시간동안 제n 연산 처리를 수행한 후, 저장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정확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를 충분한 시간에 걸쳐 연산함으로써 단위시간당 데이터 연산량이 감소하게 된다. 도 5를 통해 도시한 제1 연산 내지 제5 연산은 동일한 연산이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데이터를 1차로 노이즈 필터링하고 저장하며, 그 결과값을 검출하여 노이즈 필터링을 수차례 반복함으로써 노이즈 필터링 제거율을 높일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0)의 제2 메모리부(130) 및 처리부(140)의 데이터 처리를 상세하게 보인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메모리부(130)는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저장한다. 제2 메모리부(130)에는 m 개의 데이터가 n 개의 프레임 수로 저장되어 있다.
처리부(140)는 복수 개의 데이터 처리부(141-1 내지 141-5)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141-1 내지 141-5)는 제2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각 데이터를 연산 한다. 구체적으로, 제1 데이터 처리부(141-1)는 제2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제n-1 열의 데이터, 즉, 현재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값을 제2 메모리부(130)에 저장함으로써 제1 처리 작업을 한다.
여기서, 결과값 저장 위치는 제2 메모리부(130)의 제n-2 열 또는 제n-3 열이 될 수 있다. 또한, 제2 데이터 처리부(141-2)는 제2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데이터 및 제1 처리 작업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연산을 수행한 후, 저장함으로써 제2 처리 작업을 한다.
한편, 제3 데이터 처리부(141-3)는 기 저장된 이전 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3 연산을 수행한 후, 결과 데이터를 제2 메모리부(130)에 저장함으로써 제3 처리 작업을 한다. 제4 데이터 처리부(141-4)는 제2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현재 프레임 데이터 중 제1 연산, 제2 연산 및 제3 연산이 수행된 결과 데이터를 임의로 선택하여 제4 연산을 수행한 후, 저장함으로써 제4 처리 작업을 한다. 제5 데이터 처리부(141-5)는 제1 처리 작업 내지 제4 처리 작업의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5 연산을 수행한 후, 저장함으로써 제5 처리 작업을 한다.
처리부(140)는 제1 데이터 처리부(141-1) 내지 제5 데이터 처리부(141-5)에서 수행되는 제1 처리 작업 내지 제5 처리 작업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 작업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의 처리에 있어서 다섯 개의 데이터 처리부(141-1 내지 141-5)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더 많은 데이터 처리부를 추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실시간 데이터 처리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먼저, 방송수신장치(10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710). 이 후, 방송수신장치(100)는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한다(S720). 구체적으로, 데이터 저장은 입력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데이터를 백업시키는 두 가지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후, 방송수신장치(100)는 저장된 데이터를 검출하여 소정 데이터 단위로 비실시간 처리한다(S730). 데이터를 분배된 시간에 처리함으로써, 단위 시간당 데이터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데이터의 반복적인 연산 처리가 가능하다.
다음, 방송수신장치(100)는 연산 처리된 결과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의 형태로 출력한다(S740).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실시간 데이터 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방송수신장치(100)에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810). 이 후, 방송수신장치(100)는 입력받은 데이터를 저장한다(S820).
다음, 방송수신장치(100)는 데이터의 처리 방식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다(S830). 이 때, 데이터 처리 방식 선택 명령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며, 사용자는 리모컨 및 외부 조작 키 등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100)는 입력된 데이터 처리 방식의 선택 명령이 비실시간 처리인지 실시간 처리인지를 확인한다(S840).
이 후, S840 단계에서 비실시간 처리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 단위로 검출하여 비실시간 처리한다(S850). 반면, 실시간 처리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 단위로 검출하여 실시간 처리한다(S860). S850 및 S860 단계를 통한 데이터의 비실시간 처리 및 실시간 처리는 소정의 연산을 수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데이터는 반복적인 소정 연산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 S850 내지 S860 단계를 통해 처리된 결과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 형태로 출력한다(S87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방송수신장치에 따르면,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한 후, 비실시간 처리함으로써 데이터를 손실없이 저장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분배된 시간에 연산함으로써 단위 시간당 데이터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복잡한 알고리즘에 따른 데이터 연산 처리를 통해 보다 정확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연결된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
    상기 제1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백업하는 제2 메모리부;
    상기 제2 메모리부에 백업된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 단위로 검출하여 비실시간 연산 처리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를 통해 연산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메모리부에 백업된 데이터에 대한 연산 처리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 중 현재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값을 제2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1 처리 작업,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 및 제1 처리작업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연산을 수행하는 제2 처리 작업, 상기 제 2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이전 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3 연산을 수행하는 제3 처리 작업, 상기 제2 메모리부의 현재 프레임 데이터 중 임의의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4 연산을 수행하는 제4 처리 작업, 상기 제1 내지 제4 처리 작업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제5 연산을 수행하는 제5 처리 작업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실시간 연산 처리하는 실시간 처리부;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비실시간 처리 명령 및 실시간 처리 명령을 입력받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비실시간 처리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실시간 처리하도록 상기 처리부를 제어하며, 실시간 처리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하도록 상기 실시간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5.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연결된 방송수신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 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백업하는 단계;
    상기 백업된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 단위로 검출하여 비실시간 연산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050086799A 2005-09-16 2005-09-16 비실시간 데이터 처리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방법 KR100709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799A KR100709350B1 (ko) 2005-09-16 2005-09-16 비실시간 데이터 처리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799A KR100709350B1 (ko) 2005-09-16 2005-09-16 비실시간 데이터 처리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507A KR20070032507A (ko) 2007-03-22
KR100709350B1 true KR100709350B1 (ko) 2007-04-20

Family

ID=41560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799A KR100709350B1 (ko) 2005-09-16 2005-09-16 비실시간 데이터 처리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3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2949A (zh) * 2012-03-16 2013-09-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自拍提示系统及方法
KR102287300B1 (ko) * 2014-12-11 2021-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아키텍쳐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619A (ko) * 2003-07-30 2005-02-07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및 그 방법
KR20060076644A (ko) * 2004-12-29 200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Dmb수신 차량용 정보 단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619A (ko) * 2003-07-30 2005-02-07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및 그 방법
KR20060076644A (ko) * 2004-12-29 200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Dmb수신 차량용 정보 단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507A (ko)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4354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8774592B2 (en) Media reproduction for audio visual entertainment
US8818164B2 (en) Method of reproducing transport stream in video apparatus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31378B1 (ko) 녹화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4939550B2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信機における高速のチャンネル変更
US7502544B2 (en)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KR100709350B1 (ko) 비실시간 데이터 처리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방법
US20070133617A1 (en) Method of displaying television receiver input signal according to time-shift function and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WO20060783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kipping commercials
JP2006319690A (ja) 動画像符号化装置
KR100793965B1 (ko) 방송 신호를 캡쳐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1372694B1 (ko) 디브이알 시스템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표시기기 및 그제어방법
JP5042634B2 (ja) チャネル検索方法、チャネル検索装置、ビデオ信号処理装置
JP2010073075A (ja) 画像信号処理装置、画像信号処理方法
JP4293073B2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JP2005318180A (ja) ハードディスクレコーダ、映像記録装置
US6961094B2 (en) Image-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4465827B2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5010671B2 (ja) 映像表示装置、映像再生装置、映像表示方法および映像再生方法
US20050254796A1 (en) AV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upporting trans-rate recording and time-slip playback
JP4991884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20040146273A1 (en) Video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100833380B1 (ko) 영상표시기기의 영상 저장장치 및 방법
JP4611332B2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
JP2011061709A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