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061B1 -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061B1
KR100709061B1 KR1020060095262A KR20060095262A KR100709061B1 KR 100709061 B1 KR100709061 B1 KR 100709061B1 KR 1020060095262 A KR1020060095262 A KR 1020060095262A KR 20060095262 A KR20060095262 A KR 20060095262A KR 100709061 B1 KR100709061 B1 KR 100709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gear
blocking
blocking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정
정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아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아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아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95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창문틀의 전면에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힌지회동하는 다수개의 차단프레임을 설치하여 창문틀의 개방시 상기 차단프레임들이 그 개방된 창문틀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방된 창문틀로 인한 낙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이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는
전방 내측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양 측벽에 상기 수용홈과 연통을 이루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하부 전면에 힌지핀이 삽입/연결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연결공이 형성된 창문틀;
상기 창문틀의 개방된 부위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서로 대칭되게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되, 하부에 상기 힌지핀이 삽입/연결되는 힌지공을 갖는 힌지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연결바가 돌출/고정되며, 상기 연결바의 인접한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차단프레임;
상기 창문틀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하방으로 개구된 덮개;
상기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차단프레임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힌지회동하여 선택적으로 창문틀의 개방부위를 차단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부;
상기 다수개의 차단프레임과 구동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차단프레임에 형성되는 각각의 통공에 일단이 삽입되어 각각 한 쌍의 연결편에 의해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한 쌍의 제1,2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창문틀, 와이어, 권취롤러, 차단프레임

Description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Safe sliding storm door and a sliding paper door structure for buildings}
도 1은 종래 창호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측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창문틀 120 : 차단프레임
130 : 덮개 140 : 구동부
141 : 구동모터 150, 160 : 제1,2 와이어
P : 힌지핀 G : 구동기어
본 발명은 창호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창문틀의 전면에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힌지회동하는 다수개의 차단프레임을 설치하여 창문틀의 개방시 상기 차단프레임들이 그 개방된 창문틀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방된 창문틀로 인한 낙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이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축용 안전창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태양광에 의한 실내 조명 기능과 함께 실외 관망기능 및 풍수의 차단, 방음, 단열 등의 역할을 하는 건축물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이와 같은 창호구조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벽체의 개구부에 창문틀이 고정/결합되며, 상기 창문틀의 내측에 이를 개폐하기 위한 투명유리창이 구비된 창문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창호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창문틀(10)은 서로 대칭관계를 갖으며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수평프레임(11)과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11)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창문(13)은 창문틀(10)의 내측에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창문틀(10)의 개폐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창호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창문을 개방시 그 개방된 부위를 통해 잦은 낙상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인 창문틀은 창문을 개방시 그 개방된 부위를 통해 사람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해 주는 시설물이 없어, 위험에 대한 지각능력이 발달하지 못한 유아들은 그 개방된 창문틀을 통해 용이하게 몸을 외부로 빼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종래 창호구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창문틀의 전면에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힌지회동하는 다수개의 차단프레임을 설치하여 창문틀의 개방시 상기 차단프레임들이 그 개방된 창문틀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방된 창문틀로 인한 낙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이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채광 및 통풍을 위해 설치된 창문과 상기 창문의 개폐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창문틀로 이루어진 창호구조에 있어서,
전방 내측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양 측벽에 상기 수용홈과 연통을 이루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하부 전면에 힌지핀이 삽입/연결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연결공이 형성된 창문틀;
상기 창문틀의 개방된 부위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서로 대칭되게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되, 하부에 상기 힌지핀이 삽입/연결되는 힌지공을 갖는 힌지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연결바가 돌출/고정되며, 상기 연결바의 인접한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차단프레임;
상기 창문틀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하방으로 개구된 덮개;
상기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차단프레임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힌지회동하여 선택적으로 창문틀의 개방부위를 차단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부;
상기 다수개의 차단프레임과 구동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차단프레임에 형성되는 각각의 통공에 일단이 삽입되어 각각 한 쌍의 연결편에 의해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한 쌍의 제1,2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는
상기 창문틀의 상부에 설치/고정되어 스위치를 통한 외부전원이 인가시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일단에 구동기어가 체결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인접한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고정되어 외주면에 상기 제1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며, 그 전면에 제1 피동기어가 체결된 제1 권취롤러;
상기 구동모터의 인접한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고정되어 외주면에 상기 제2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며, 그 전면에 제2 피동기어가 체결되고, 상기 제2 피동기어의 인접한 일측에 이와 치합관계를 이루는 방향전환기어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고정된 제2 권취롤러;
상기 제1,2 권취롤러에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기어, 제1 피동기어 및 방향전환기어를 연결하기 위한 기어벨트 및
상기 창문틀의 상부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2 와이어를 가이드하기 위한 안내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창호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창호구조는 창문틀(110), 다수개의 차단프레임(120), 덮개(130), 구동부(140) 및 제1,2 와이어(150,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창문틀(110)은 그 전방 내측면에 수용홈(111)이 형성되고, 양 측벽(113)에 상기 수용홈(111)과 연통을 이루는 가이드홈(1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창문틀(110)은 그 하부 전면에 한 쌍의 연결공(11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공(117)에는 힌지핀(P)이 삽입/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창문틀(110)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147)가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147) 내에는 안내롤(148)이 힌지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다수개의 차단프레임(120)은 각각 그 하부에 상기 힌지핀(P)이 삽입/연결될 수 있도록 힌지공(123)을 갖는 힌지구(121)가 형성되고, 상부에 연결바(125)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결바(125)의 인접한 일측에 통공(12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구(121)들의 전체 폭은 상기 힌지구(121)들이 상기 수용홈(1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홈(111)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130)는 상기 창문틀(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그 내측에 하방으로 개구된 설치공간(131)이 형성된다.
한편, 구동부(140)는 상기 설치공간(131) 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차단프레임(120)이 상기 가이드홈(115)을 따라 힌지회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140)는 구동모터(141), 제1 권취롤러(142a), 제2 권취롤러(142b) 및 기어벨트(146)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141)는 그 일측에 구동기어(G)가 체결되어, 상기 창문틀(110) 의 상부에 설치고정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140)에는 외부전원이 인가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140)의 동작은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스위치는 리턴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리턴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구동모터(141)에서 정 방향회전력이 발생하며, 다시 누르면 역 방향회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권취롤러(142a)는 상기 구동모터(141)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된 제1 연결플레이트(143a)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권취롤러(142a)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와이어(150)의 타단이 연결되고, 그 전면에 제1 피동기어(144a)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권취롤러(142b)는 상기 구동모터(141)의 인접한 타측에 설치된 제2 연결플레이트(143b)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 권취롤러(142b)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 와이어(160)의 타단이 연결되고, 그 전면에 제2 피동기어(144b)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2 피동기어(144b)의 인접한 일측 덮개(130)의 내면에는 상기 제2 피동기어(144b)와 치합관계를 이루는 방향전환기어(145)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고정된다.
한편, 상기 기어벨트(146)는 상기 제1,2 권취롤러(142a,142b)에 구동모터(141)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기어(G), 제1 피동기어(144a) 및 방향전환기어(145)들과 치합을 이루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와이어(150)는 상기 제1 권취롤러(142a)의 외주면에 그 타단이 연결되고, 일단이 그와 인접한 측에 설치된 다수 개의 차단프레임(120) 각각의 통공(127)에 삽입/연결되어 한 쌍의 연결편(129)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 와이어(160)는 상기 제2 권취롤러(142b)의 외주면에 그 타단이 연결되고, 일단이 그와 인접한 측에 설치된 다수 개의 차단프레임(120) 각각의 통공(127)에 삽입/연결되어 연결편(129)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건축용 안전창호구조에 대한 결합관계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수용홈(111)에 다수개의 차단프레임(120)을 서로 대칭되게 적층/삽입한다.
이때, 상기 차단프레임(120)은 그 하부가 상기 힌지공(123)들과 연결공(117)이 연통을 이루어 힌지핀(P)을 삽입/연결하고, 상부는 상기 가이드홈(115)에 삽입/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프레임(120)의 상부에 돌출/형성된 연결바(125)는 상기 가이드홈(115)을 통해 창문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창문틀(110)에서 차단프레임(120)이 견고한 연결관계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차단프레임(120)에 형성된 각각의 통공(127)에는 제1,2 와이어(150,160)의 일단이 삽입/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통공(127)과 인접한 상/하부에는 상기 각각의 통공(127)에 제1,2 와이어(150,16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편(129)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연결편(129)과 한 쌍의 연결편(129) 사이에는 상기 차단프레임(120)이 창문틀(110)을 폐쇄시 부채꼴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소정간격 이격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와이어(150)는 그 타단이 상기 제1 권취롤러(142a)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160)는 그 타단이 상기 제2 권취롤러(142b)의 외주면에 연결된다.
이에, 상기 스위치(미도시)를 누르면, 상기 구동모터(1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 회전력은 기어벨트(146)를 통해 구동기어(G), 제1 피동기어(144a) 및 제2 피동기어(144b)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제2 피동기어(144b)의 회전방향은 상기 방향전환기어(145)에 의해 상기 제1 피동기어(144a)와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권취롤러(142a)에서 제1 와이어(150)가 권해되면, 상기 제2 권취롤러(142b)에서 제2 와이어(160)가 권해되어 상기 다수개의 차단프레임(120)이 창문틀(110)의 하부에 적층되어 상기 창문틀(110)을 개방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미도시)를 다시 누르면, 상기 구동모터(141)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 회전력은 기어벨트(146)를 통해 구동기어(G), 제1 피동기어(144a) 및 제2 피동기어(144b)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권취롤러(142a)에서 제1 와이어(150)가 권취되며, 상기 제2 권취롤러(142b)에서 상기 제2 와이어(160)가 권취되어 상기 다수개의 차단프레임(120)이 상기 제1,2 와이어(150,160)를 따라 가이드홈(115)을 통해 힌지회동하여 개방된 창문틀(110)을 폐쇄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창문틀(110)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창문틀의 전면에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힌지회동하는 다수개의 차단프레임을 설치하여 창문틀의 개방시 상기 차단프레임들이 그 개방된 창문틀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방된 창문틀로 인한 낙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이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건축물의 채광 및 통풍을 위해 설치된 창문과 상기 창문의 개폐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창문틀로 이루어진 창호구조에 있어서,
    전방 내측면에 수용홈(111)이 형성되고, 양 측벽(113)에 상기 수용홈(111)과 연통을 이루는 가이드홈(115)이 형성되며, 하부 전면에 힌지핀(P)이 삽입/연결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연결공(117)이 형성된 창문틀(110);
    상기 창문틀(110)의 개방된 부위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서로 대칭되게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되, 하부에 상기 연결공(117)과 연통되는 힌지공(123)을 갖는 힌지구(121)가 형성되고, 상부에 연결바(125)가 돌출/고정되며, 상기 연결바(125)의 인접한 일측에 통공(127)이 형성된 다수개의 차단프레임(120);
    상기 창문틀(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설치공간(131)이 형성되어 하방으로 개구된 덮개(130);
    상기 설치공간(131) 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차단프레임(120)이 상기 가이드홈(115)을 따라 힌지회동하여 선택적으로 창문틀(110)의 개방부위를 차단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부(140);
    상기 다수 개의 차단프레임(120)과 구동부(14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차단프레임(120)에 형성되는 각각의 통공(127)에 일단이 삽입되어 각각 한 쌍의 연결편(129)에 의해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구동부(140)와 연결된 한 쌍의 제1,2 와이어(150,1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40)는
    상기 창문틀(110)의 상부에 설치/고정되어 스위치(미도시)를 통한 외부전원이 인가시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일단에 구동기어(G)가 체결된 구동모터(141);
    상기 구동모터(141)의 인접한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고정되어 외주면에 상기 제1 와이어(150)의 일단이 연결되며, 그 전면에 제1 피동기어(144a)가 체결된 제1 권취롤러(142a);
    상기 구동모터(141)의 인접한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고정되어 외주면에 상기 제2 와이어(160)의 일단이 연결되며, 그 전면에 제2 피동기어(144b)가 체결되고, 상기 제2 피동기어(144b)의 인접한 일측에 이와 치합관계를 이루는 방향전환기어(145)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고정된 제2 권취롤러(142b);
    상기 제1,2 권취롤러(142a,142b)에 구동모터(141)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기어(G), 제1 피동기어(144a) 및 방향전환기어(145)를 연결하기 위한 기어벨트(146) 및
    상기 창문틀(1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2 와이어(150,160)를 가이드하기 위한 안내롤(148)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
KR1020060095262A 2006-09-29 2006-09-29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 KR100709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262A KR100709061B1 (ko) 2006-09-29 2006-09-29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262A KR100709061B1 (ko) 2006-09-29 2006-09-29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9061B1 true KR100709061B1 (ko) 2007-04-18

Family

ID=38181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262A KR100709061B1 (ko) 2006-09-29 2006-09-29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149B1 (ko) 2007-08-07 2007-11-06 (주)부산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용 방범창틀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337A (ko) * 2003-09-25 2006-08-24 뵈스트-알핀 인두스트리안라겐바우 게엠베하 앤드 컴퍼니 슬래그 입상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337A (ko) * 2003-09-25 2006-08-24 뵈스트-알핀 인두스트리안라겐바우 게엠베하 앤드 컴퍼니 슬래그 입상화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9333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149B1 (ko) 2007-08-07 2007-11-06 (주)부산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용 방범창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6042B2 (en) Load bearing structural closure system
KR20100030786A (ko) 하이브리드 타입의 시스템 창호
KR100709061B1 (ko)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
KR100813102B1 (ko) 자연 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KR101966790B1 (ko) 양방향 도어용 링크 조립체
KR100708399B1 (ko) 건축용 안전 창호구조
JP456931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3709280B2 (ja) 建物用シャッタ
KR20170031368A (ko) 접이문
KR100937628B1 (ko) 친자연 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KR20200112171A (ko) 건축용 안전창호 구조
KR20110028954A (ko) 루버시스템 연결작동기
JP5504922B2 (ja) 自然換気窓
JPH054548Y2 (ko)
KR101195214B1 (ko) 도어에 매설되는 경첩
KR100589445B1 (ko)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
JP4032341B2 (ja) 電動式シャッター
JP3914515B2 (ja) 窓枠およびこれを備えた複合建具
KR200228474Y1 (ko)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중창
KR200379502Y1 (ko) 시스템창
JP2004011389A (ja) 複層ガラス窓内蔵型遮光機構
EP1298270A2 (en) Pivotable shutter panel assembly
KR100780373B1 (ko) 투명 셔터
KR102475027B1 (ko) 폴드업 전동창의 기밀유지장치
KR100773149B1 (ko) 건축단지용 방범창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