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905B1 -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905B1
KR100707905B1 KR1020060024970A KR20060024970A KR100707905B1 KR 100707905 B1 KR100707905 B1 KR 100707905B1 KR 1020060024970 A KR1020060024970 A KR 1020060024970A KR 20060024970 A KR20060024970 A KR 20060024970A KR 100707905 B1 KR100707905 B1 KR 100707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equipment
heat sink
heating element
inclined body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웅
Original Assignee
(주) 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테릭 filed Critical (주) 테릭
Priority to KR1020060024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9Pressing means used to urge contact, e.g. spr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장비 함체에 구성되는 통신장비 발열체를 방열판에 부착하는 경우에 여러 개의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도 조여주는 장치로 발열통신장비를 손쉽게 탈부착 가능한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체의 회전나사를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우이동판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좌우 경사체가 전면으로 움직여 움직이는 좌우 이동판이 서로 맞물려진 경사면을 따라 상하 경사체를 밀어주게 되고, 따라서 밀착판은 상측으로 이동하게 하여 발열통신장비를 밀착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발열통신장비 부착장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원리이며, 발열통신장비의 각 면을 균등하게 눌러주게 된다.
또한 각종 미세진동에 풀리거나 조여주는 힘이 느슨해지는 경우가 없으며, 발열통신장비의 모양이 변하거나 기능이 변경되어 구조가 수정되었을 경우 함체를 변경하지 않고 발열통신장비를 탈,부착하는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통신장비, 방열판, 발열체, 냉각장치, 슬라이드 압착구조, 간격조절장치, 밀 착장치

Description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A slide use pressure Method at radiant heat block communication equipment a heating element attach installation}
도1은 종래의 통신장비 함체에 발열통신장비 부착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의 고정프레임과 간격조절조합체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의 방열판에 부착한 사용상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5a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의 슬라이딩밀착판이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의 슬라이딩밀착판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6a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의 좌,우측경사체가 이동하지 않은 상태의 내부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 체 부착장치의 좌,우측경사체가 분리 이동된 상태의 내부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의 간격조절조합체의 분해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의 좌,우측경사체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의 간격조절조합체의 결합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방열판 4:발열통신장치
10:통신장비함체 20:고정프레임
22:가이드레일 24:고정부재
25:볼트공 32:고정판
33:공간부 34:회전나사
36:회전체 37:나사선
38:슬라이딩밀착판 39:분리방지턱
42:좌우이동판 43:고정볼트
44:우측경사체 45:슬라이딩축
46:이동홈 47:이동고정턱
48:슬라이딩부재 49:걸리고리
52:좌측경사체 70:간격조절조합체
100:부착장치
본 발명은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장비 함체에 구성되는 발열통신장비를 방열판에 부착하는 경우에 여러 개의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도 조여주는 장치로 통신장비를 손쉽게 탈부착 가능한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신장비 함체(10)의 내부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신장비 함체(10)의 후면에 방열판(2)을 부착하여 발열통신장비(4)를 나사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설계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발열통신장비(4)에 문제가 발생 되거나 수명이 다되어 교체할 경우에 발열통신장비(4) 상부에 부착된 또는 부품들을 완전히 분해해야만 발열통신장비(4)를 바꿔야 하는 구조였다.
그리고, 통신장비 함체(10)의 내부에 실장된 발열통신장비(4)들은 원활한 방열을 위해 방열판(2)에 직접 나사를 체결하기 때문에 발열통신장비(4)의 구조가 조금 바뀌거나 다른 제품으로 바꿔야 하는 경우에는 조립이 불가하거나 통신장비 함 체(10)에 나사구멍을 재가공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아울러, 통신장비 함체(10)의 내부에 실장된 발열통신장비(4)는 나사로 체결되어 발열통신장비(4)의 고장 및 교체로 인한 분리작업 발생시 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전신주등 에서는 A/S 가 불가능하였으며, 긴급한 상황 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이 통신장비 함체(10)의 발열통신장비(4) 교체시 나사를 풀기 위해서는 드라이버가 들어가 공간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불필요한 해체작업이 필요하며, 통신장비 함체(10)로 부터 분리할 때마다 RF 케이블과 시그널 케이블 또는 고정해 주는 고정나사를 모두 풀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열통신장비(4)를 몇 번 정도 풀었다 조이는 경우에는 커넥터가 마모되거나 케이블이 비틀어지는 경우가 발생되는 등 제품의 품질에 큰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체의 회전나사를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우이동판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좌우 경사체가 전면으로 움직여 움직이는 좌우 이동판이 서로 맞물려진 경사면을 따라 상하 경사체를 밀어주게 되고, 따라서 밀착판은 상측으로 이동하게 하여 방열판에 발열통신장비를 밀착하여 발열통신장비를 방열판에 부착해야 하는 경우에 여러 개의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도 손쉽게 발열통신장비를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발열통신장비가 바뀌거나 설계 수정이 되었더라도 크기와 상관없이 부착할 수 있고, 여러 장비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탈착/부착이 가능하여 긴급 A/S 발생시 발열제품을 현장에서 간단하게 탈착/부착할 수 있는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는, 일측부가 개방되어 상하단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발열통신장비가 결합되어 방열판에 볼트로 부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내부 일측의 상단, 중앙, 하단부에 부착되어 회전나사의 회전으로 내부에 구비된 회전체가 회전하여 슬라이딩밀착판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발열통신장비를 밀착 고정하는 간격조절조합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를 제공하므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의 고정프레임과 간격조절조합체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의 방열판에 부착한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착장치(100)는 일측부가 개방되어진 고정프레임(20)의 상하단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2)을 따라 발열통신장비(4)가 일측방 향에서 슬라이딩되어 결합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일측 하단에 다수의 볼트공(25)을 형성한 고정부재(24)는 고정프레임(20)을 방열판(2)에 볼트로 부착한다.
상기 고정프레임(20) 내부 일측의 상단, 중앙, 하단부에 간격조절조합체(70) 다수가 부착된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조합체(70)의 고정판(32)이 고정프레임(20)의 내부 일측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이와같이 상기 고정프레임(20)에 발열통신장비(4)가 결합되어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발열통신장비(4)와 간격조절조합체(70)에는 공간부(33)가 형성된다.
상기 간격조절조합체(70)의 외부 일측에 형성된 회전나사(34)의 회전으로 내부에 구비된 회전체(36)가 회전하면서 슬라이딩밀착판(38)이 내측으로 슬라이딩되어 공간부(33)에서 발열통신장비(4)를 밀착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밀착판(38)에는 도5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측에 내입한 고무 재질의 접착판넬(31)을 구비하여 발열통신장비(4)를 밀착 고정한다.
이와같이 간격조절조합체(70)의 회전나사(34)는 육각렌치 형상으로 회전나사(34)와 내측의 회전체(36)와 직접 맞물리게 조립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나사(34)가 좌, 우 회전시 동시에 회전체(36)도 회전하도록 도5b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부에 조립된다.
이때, 상기 회전나사(34)가 좌,우측 방향의 회전을 회전체(36)는 도6a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후측 방향의 직선방향으로 바꾸게 된다.
상기 회전나사(34)와 회전체(36)가 직접 맞물린 회전운동으로 나사선(37)을 따라 좌우이동판(42)은 전, 후 이동을 한다.
상기 좌우이동판(42)의 고정볼트(43)는 회전체(36)의 타측을 체결하여 회전체(36)의 나사선(37)을 따라 고정볼트(43)의 이동으로 좌우이동판(42)이 이동한다.
상기 고정볼트(43)가 형성된 좌우이동판(42)에 다수의 우측경사체(44)가 부착된다.
상기 우측경사체(44)의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딩축(45)에 이동홈(46)을 구성한 슬라이딩부재(48)가 일측에 체결되어 좌우이동판(42)의 전,후측 이동시에 슬라이딩축(45)이 밀리면서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이동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48)의 이동홈(46)에 유동하는 걸림고리(49)를 구비한 좌측경사체(52)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좌측경사체(52)는 도6b에 도시한 바와같이 우측경사체(44)를 구비한 좌우이동판(42)이 전,후측 이동에 우측경사체(44) 위로 좌측경사체(52)가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경사체(52)에 부착된 슬라이딩밀착판(38)은 도8에 도시한 바와같이 좌측경사체(52)가 우측경사체(44) 위로 슬라이딩되면서 슬라이딩밀착판(38)은 일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발열통신장비(4)를 밀착 고정 시킨다.
즉, 상기 좌우이동판(42)에서 좌측경사체(52)와 우측경사체(44)와 회전체(36)가 서로 맞물리게 체결되어 상기 회전체(36)의 나사선(37) 회전으로 좌우이동판(42)이 전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우측경사체(44)는 좌측경사체(52)를 밀면서 슬라 이딩 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이동판(42)에 도7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동고정턱(47)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밀착판(38)의 일측에 분리방지턱(39)이 장방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나사(34)의 조임방향으로 회전시 우측경사체(44)가 좌측경사체(52)를 밀 때 일정 범위까지만 밀고 이동고정턱(47)과 분리방지턱(39)이 서로 맞물려 인출 밀림을 정지하게 된다.
이때, 좌측경사체(52)가 상단으로 슬라이딩 될 때 슬라이딩부재(48)는 이탈 방지하며 좌측경사체(52)와 같이 슬라이딩밀착판(38)을 순차적으로 일측의 인출방향으로 밀면서 발열통신장비(4)를 밀착 고정하여 슬라이딩부재(48)가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통신장비(4)의 분리는 간격조절조합체(70)의 회전나사(34)를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면 슬라이딩밀착판(38)이 후퇴하여 분리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나사(34)의 회전에 의해 회전체(36)의 나사선(37)이 회전하여 좌우이동판(42)이 후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좌우이동판(42)의 후퇴로 우측경사체(44)가 후퇴하면서 슬라이딩부재(48)와 함께 좌측경사체(52)가 하단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딩밀착판(38)은 발열통신장비(4)와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 부착장치(100)는 도9에 나타낸 간격조절조합체(70)가 발열통신장비(4)에 상단, 중앙, 하단부에 위치하여 균등하게 밀착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부착장치(100)에 구성되는 간격조절조합체(70)는 3개로 균등하게 형성되어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간격조절조합체(70)는 도10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호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간격조절조합체(7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결합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통신장비 함체(10)의 방열판(2)에 고정프레임(20)의 고정부재(24)가 볼트로 고정된다. 그런 다음 고정프레임(20)의 가이드레일(22)을 따라 발열통신장비(4)가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결합시킨다.
그런 후, 상기 고정프레임(2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간격조절조합체(70)의 회전나사(34)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나사(34)와 직접 맞물려 있는 내부의 회전체(36)가 회전하면서 좌우이동판(42)은 회전체(36)의 나사선(37)을 따라 전진하여 좌우이동판(42)에 부착된 우측경사체(44)가 좌측경사체(52)를 밀면서 슬라이딩부재(48)의 슬라이딩축(45)이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좌측경사체(52)와 함께 상단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딩밀착판(38)을 순차적으로 발열통신장비(4) 측으로 이동하여 발열통신장비(4)를 밀착 고정하게 된다.
상기 발열통신장비(4)를 교체시에는 반대로 상기 발열통신장비(4)의 분리는 간격조절조합체(70)의 회전나사(34)를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면 슬라이딩밀착판(38)이 후퇴하여 분리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나사(34)의 회전에 의해 회전체(36)의 나사선(37)이 회전하여 좌우이동판(42)이 후퇴하고, 상기 좌우이동판(42)의 후퇴로 우측경사체(44)가 후퇴 하면서 슬라이딩부재(48)와 함께 좌측경사체(52)가 하단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딩밀착판(38)은 발열통신장비(4)와 분리하게 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는 나사산(37)이 파여있는 회전체(36)의 회전으로 도6b에 도시한 바와같이 좌우이동판(42)이 당겨짐으로 해서 우측경사체(44)을 밀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36)의 회전력을 강하게 돌리면 압착되는 힘은 강해지도록 되어있어 밀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는 발열통신장비(4)를 경사진 좌측경사체(52)와 우측경사체(44)의 면을 서로 맞물려서 눌러주는 방식으로 밀착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체(36)의 회전나사(34)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우이동판(42)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좌우이동판(42)가 전면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좌우이동판(42)이 움직이면 서로 맞물려진 경사면을 따라 우측경사체(44)는 좌측경사체(52)를 밀어주게 되고, 따라서 슬라이딩밀착판(38)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발열통신장비(4)를 간격조절조합체(70)가 방열판(2)으로 밀착시킨다. 따라서 방열판(2)에 밀착된 발열통신장비(4)는 고온의 열을 방열판(2) 쪽으로 전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 장비 발열체 부착장치는 일측부가 개방되어 상하단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발열통신장비가 결합되어 방열판에 볼트로 부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내부 일측의 상단, 중앙, 하단부에 부착되어 회전나사의 회전으로 내부에 구비된 회전체가 회전하여 슬라이딩밀착판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발열통신장비를 밀착 고정하는 간격조절조합체로 구성되어 부피가 크거나 무거운 발열통신기기 또는 발열모듈을 손쉽게 탈착/부착이 가능하여 제품 조립과 A/S에서 탁월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고, 발열통신장비의 크기가 변경되었거나 고정구멍의 치수와는 상관없이 어느 제품이나 부착할 수 있으며, 제품 호환성이 우수하며, 발열통신장치의 탈착시 부착되어 있던 방열판으로부터 분리 용이하여, 제품 불량의 원인으로 고정프레임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발열체를 탈착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위험성이 높은 현장(전신주)에서도 발열체를 간단한 탈착/부착할 수 있어 위험성을 감소시키며, 전면에서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 좁은 공간에서도 발열체 탈착/부착이 가능하여 분리 및 결합이 편리하고 안정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일측부가 개방되어 상하단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2)을 따라 발열통신장비(4)가 결합되어 방열판(2)에 볼트로 부착되는 고정프레임(20)과 상기 고정프레임(20) 내부 일측에 부착되어 발열통신장비(4)를 고정과 분리시키는 간격조절조합체(70)로 구성된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조합체(70)는 고정판(32)이 고정프레임(20) 내부에 부착되어 외부 일측에 육각렌치의 형상으로 된 회전나사(34)가 좌,우 회전시 동시에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도록 내부에 조립된 회전체(36)와,
    상기 회전나사(34)와 회전체(36)가 직접 맞물린 회전운동으로 나사선(37)을 따라 전, 후 이동을 하며, 장방형체의 이동고정턱(47)이 형성되어 있는 좌우이동판(42)과,
    상기 좌우이동판(42)에 부착되는 것으로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딩축(45)에 결합되어 이동홈(46)을 구성한 슬라이딩부재(48)가 일측에 체결되어 좌우이동판(42)의 전,후 이동에 같이 이동하는 다수의 우측경사체(44)와,
    상기 슬라이딩부재(48)의 이동홈(46)에서 유동하는 걸림고리(49)를 구비하여 우측경사체(44)가 형성된 좌우이동판(42)이 전,후 이동에 우측경사체(44) 위로 슬라이딩 되는 다수의 좌측경사체(52)와,
    상기 좌측경사체(52)가 우측경사체(44) 위로 슬라이딩되면서 일측 인출방향으로 밀려 발열통신장비(4)를 밀착 고정시키며, 일측에 장방형체의 분리방지턱(39)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밀착판(38)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조합체(70)의 회전나사(34)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나사(34)의 회전운동을 회전체(36)가 직선운동으로 바꿔어 좌우이동판(42)의 고정볼트(43)가 회전체(36)의 나사선(37)을 따라 전진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고정볼트(43)와 연이어진 좌우이동판(42)의 우측경사체(44)가 전진방향으로 이동하여 좌측경사체(52)를 밀면서 슬라이딩부재(48)가 일정 각도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밀착판(38)이 인출하는 일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발열통신장비(4)를 밀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48)의 일측 홈이 우측경사체(44)의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딩축(45)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에 형성된 슬라이딩부재(48)의 이동홈(46)에 유동하는 좌측경사체(52)의 걸림고리(49)가 이동홈(46)에 체결되어 슬라이딩축(45)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 각도로 회전하여 좌우이동판(42)이 전,후 이동시 우측경사체(44) 상단과 하단으로 슬라이딩되는 좌측경사체(52)를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조합체(70)의 회전나사(34)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라이딩밀착판(38)이 일측 방향으로 인출 이동시 장방형체로 형성된 좌우이동판(42)의 이동고정턱(47)과 슬라이딩밀착판(38)의 분리방지턱(39)이 서로 맞물릴 때 슬라이딩말착판(38)의 이동이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조합체(70)의 회전나사(34)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나사(34)의 회전에 의해 회전체(36)가 회전하여 좌우이동판(42)이 후퇴하고, 상기 좌우이동판(42)의 후퇴로 우측경사체(44)가 후퇴하면서 슬라이딩부재(48)와 함께 좌측경사체(52)가 하단으로 이동하여 좌측경사체(52)와 부착된 슬라이딩밀착판(38)은 발열통신장비(4)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 부착장치.
KR1020060024970A 2006-03-17 2006-03-17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부착장치 KR100707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970A KR100707905B1 (ko) 2006-03-17 2006-03-17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970A KR100707905B1 (ko) 2006-03-17 2006-03-17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7905B1 true KR100707905B1 (ko) 2007-04-16

Family

ID=3818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970A KR100707905B1 (ko) 2006-03-17 2006-03-17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9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287B1 (ko) 2011-10-14 2013-11-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중 콘크리트 양생용 조립형 전기발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한중 양생공법
KR102457360B1 (ko) 2022-01-06 2022-10-21 주식회사 현이엔지 통신 장비용 함체
KR102475533B1 (ko) 2022-08-06 2022-12-08 주식회사 현이엔지 통신 신호 송수신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272A (ja) * 1993-07-15 1995-01-31 Fujitsu Ltd 発熱部品を有するユニットの放熱構造
KR200172854Y1 (ko) 1999-09-28 2000-03-15 정연대 방열기능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홀더
KR200235545Y1 (ko) 2001-03-30 2001-10-10 벤테크(주) 피씨비 방열 새시
KR200355052Y1 (ko) * 2004-04-07 2004-07-02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중계기용 함체
KR20050098419A (ko) * 2004-04-07 2005-10-12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중계기용 함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272A (ja) * 1993-07-15 1995-01-31 Fujitsu Ltd 発熱部品を有するユニットの放熱構造
KR200172854Y1 (ko) 1999-09-28 2000-03-15 정연대 방열기능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홀더
KR200235545Y1 (ko) 2001-03-30 2001-10-10 벤테크(주) 피씨비 방열 새시
KR200355052Y1 (ko) * 2004-04-07 2004-07-02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중계기용 함체
KR20050098419A (ko) * 2004-04-07 2005-10-12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중계기용 함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287B1 (ko) 2011-10-14 2013-11-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중 콘크리트 양생용 조립형 전기발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한중 양생공법
KR102457360B1 (ko) 2022-01-06 2022-10-21 주식회사 현이엔지 통신 장비용 함체
KR102475533B1 (ko) 2022-08-06 2022-12-08 주식회사 현이엔지 통신 신호 송수신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46513A1 (en) Camera housing heatsink bracket system
KR100707905B1 (ko) 슬라이드 압착방식을 이용한 방열판에 통신장비 발열체부착장치
CN107947052B (zh) 电缆固定装置及电缆敷设装置
US10773363B2 (en) Adjustable ratchet wrench
CN117177502B (zh) 一种电力储能控制装置
CN210081628U (zh) 阀盖拆卸设备
KR102039143B1 (ko) 패널 착탈용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패널 착탈장치
CN108724100B (zh) 压环拆装装置及设备
CN112720349A (zh) 双头螺柱的装卸装置及装卸双头螺柱的方法
KR101906501B1 (ko) 교체 시공을 위한 디지털 도어록의 맞조임 장치
CN210512856U (zh) 一种用于枪灯的快拆机构及快拆枪灯
CN216895289U (zh) 一种方便快速拆卸的螺栓
CN217050225U (zh) 便于安装的链式刮板输送机用刮板
US5366384A (en) Service equipment for use in hostile environments
CN214958398U (zh) 一种电力维修用线缆固定调节装置
CN112139799B (zh) 一种基于调节组件的用于螺钉和螺帽的拧紧和松开机构
CN104589091A (zh) 一种切割机刀具锁紧装置
CN110919333B (zh) 一种盖板快卸机构
CN113324142A (zh) 一种调节装置
CN215128266U (zh) 内窥镜影像工作站
CN213799952U (zh) 一种组合式履带用快速拆装装置
CN220504514U (zh) 一种建筑施工柱模紧固件
CN217011104U (zh) 一种基层群众文化宣扬用扬声器
TWI841344B (zh) 快速換模定位裝置
CN215674472U (zh) 一种便于安装的4g无线监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