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267B1 - Pip기능에서 eas제어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eas제어방법 - Google Patents

Pip기능에서 eas제어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eas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267B1
KR100707267B1 KR1020040078864A KR20040078864A KR100707267B1 KR 100707267 B1 KR100707267 B1 KR 100707267B1 KR 1020040078864 A KR1020040078864 A KR 1020040078864A KR 20040078864 A KR20040078864 A KR 20040078864A KR 100707267 B1 KR100707267 B1 KR 100707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ub
screen
emergency alert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9985A (ko
Inventor
남경철
강은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8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267B1/ko
Publication of KR20060029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PIP기능에서 EAS(Emergency Alert System)제어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 EAS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영상표시장치는 메인 및 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수신된 영상신호에 긴급경보섹션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섹션판단부, 긴급경보섹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긴급경보섹션에 포함된 긴급경보를 긴급경보섹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처리 정보에 따라 처리하는 긴급경보시스템 처리부, 및 긴급경보시스템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긴급경보를 메인 및 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신여부에 따라 주화면 및 부화면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PIP기능을 가진 영상표시장치에서 부화면으로 수신된 긴급경보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다.
PIP, EAS, EAS제어

Description

PIP기능에서 EAS제어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 EAS제어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function Picture In Picture for controling Emergency Alert System and emergency alert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럭도,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EAS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튜너부 20 : 디먹스
30 : 케이블카드 40 : 섹션판단부
50 : EAS처리부 60 : 디스플레이부
70 : 제어부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EAS(Emergency Alert System)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를 통해 수신한 긴급경보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 EAS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영상표시장치의 기능 및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최근에는 적어도 두 개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하나의 화면에 적어도 두 개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이 내장된 영상표시장치가 개발되었다.
자세히 말하면, PIP 기능은 큰 화면을 구현하는 주화면에 작은 화면을 구현하는 부화면을 오버랩하여 동시에 표현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기능으로써, 소정의 영상신호에 대한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도중, PIP 기능이 선택되어 다른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소정의 영상신호는 주화면에 구현되며 다른 영상신호는 부화면에 구현된다.
이러한 PIP 기능 구현시, 부화면은 주화면의 소정 영역에 소정 크기로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주화면 및 부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
케이블를 통해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표시장치는 미국연방통신위원회(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 : FCC)의 EAS(Emergency Alert System) 규칙에 따라 수신된 EAS를 반드시 처리해 주어야 한다. EAS는 긴급한 국가적 재난, 즉 전쟁 혹은 천재지변 등에 대해 국민들에게 빠른 정보와 주의를 주기 위해 보내주는 정보이다.
그런데, 종래의 PIP 기능이 내장되어 있지 않았던 영상표시장치는, 전체 화면인 주화면 하나만이 존재하였다. 그러므로, 종래의 영상표시장치는 긴급경보를 수신하면 주화면에 긴급경보를 표시하였다.
따라서, PIP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영상표시장치에서는, 부화면으로 긴급경보가 수신되는 경우 및 주/부화면으로 동시에 긴급경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제시되어 있는 EAS의 제어방법이 없어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화면으로 긴급경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수신된 긴급경보를 디스플레이하는 EAS제어방법을 제시함으로써, PIP기능에서 EAS제어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 EAS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메인 및 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수신된 영상신호에 긴급경보섹션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섹션판단부, 상기 긴급경보섹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긴급경보섹션에 포함된 긴급경보를 상기 긴급경보섹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처리 정보에 따라 처리하는 긴급경보시스템 처리부, 및 상기 긴급경보시스템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긴급경보를 상기 메인 및 상기 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신여부에 따라 주화면 및 부화면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긴급경보를 상기 주화면 및 상기 부화면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긴급경보시스템 처리부는, 상기 긴급경보섹션에 포함된 상기 긴급경보의 디스플레이할 시각, 디스플레이할 시간, 간격, 및 디스플레이할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EAS제어방법은, a) 메인 및 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수신된 영상신호에 긴급경보섹션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긴급경보섹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긴급경보섹션에 포함된 긴급경보를 상기 긴급경보섹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처리 정보에 따라 처리하는 단계, 및 c) 처리된 상기 긴급경보를 상기 메인 및 상기 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신여부에 따라 주화면 및 부화면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b)단계는, 상기 긴급경보섹션에 포함된 상기 긴급경보의 디스플레이할 시각, 디스플레이할 시간, 간격, 및 디스플레이할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영상표시장치는 튜너부(10), 디먹스(20), 케이블카드(30), 섹션판단부(40), EAS처리부(50), 디스플레이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
튜너부(10)는 A/V(Audio/Video)튜너부(14), 데이터튜너부(18)를 포함한다.
A/V(Audio/Video)튜너부(14)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화면, 및 부화면에 대한 방송채널을 수신한다. 그리고, A/V(Audio/Video)튜너부(14)는 주화면, 및 부화면에 대한 방송채널이 선국되면, 선국된 방송채널의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데이터튜너부(18)는 주화면, 및 부화면에 대해 선국된 방송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디먹스(DMUX : Demultiplexer)(20)는 메인디먹스(24), 서브디먹스(28)를 포함한다.
메인디먹스(24)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A/V(Audio/Video)튜너부(14)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 중에서 주화면으로 수신된 영상신호를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메인디먹스(24)는 주화면으로 수신된 영상신호에서 섹션데이터와 A/V데이터를 분리한다.
서브디먹스(28)는 A/V(Audio/Video)튜너부(14)를 통해 부화면으로 수신된 영상신호를 섹션데이터와 A/V데이터로 분리한다.
섹션 데이터들로는 프로그램제어용 표에 관한 프로그램지정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 : 이하 'PSI'라 함), 및 프로그램, 데이터, 및 수신에 필요한 정보를 기술하기 위한 규격인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프로토콜(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 이하 'PSIP'라 함) 등이 있다.
PSI에 포함되는 섹션데이터들로는 네크워크 전체를 설명하는 NIT(Network Information Table), 수신되는 프로그램 전체에 대한 제어 정보인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등이 있다.
PSIP의 예로는 ATSC표준65이 있으며, PSIP에 포함되는 섹션데이터들로는 시간정보를 전달하는 STT(System Time Table), 전송테이블을 관리하는 MGT(Master Guide Table), 가상 채널정보를 제공하는 VCT(Virtual Channel Table), 각 지역 및 국가에 적용 가능한 등급기준을 정의하는 RRT(Rating Region Table), 긴급경보를 알리는 EAS 등이 있다.
EAS섹션에는 긴급경보와 긴급경보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긴급경보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정보로는 긴급경보를 디스플레이할 시각, 디스플레이할 시간, 간격, 및 디스플레이할 방법 등이 있다.
케이블카드(30)는 데이터튜너부(18)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된 데이터에는 EAS섹션을 포함한 OOBSI(Out Of Band System Information)이 있다.
섹션판단부(40)는 메인섹션판단부(44), 서브섹션판단부(48)를 포함한다.
메인섹션판단부(44)는 주화면으로 수신된 섹션데이터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메인섹션판단부(44)는 주화면으로 수신된 섹션데이터들이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섹션데이터들이 유효하면, 메인섹션판단부(44)는 수신된 섹션데이터의 내용, 형태, 및 동작 등을 판단한다. 메인섹션판단부(44)는 판단결과 수신된 섹션데이터 중 EAS섹션이 포함되어 있으면, EAS섹션을 EAS처리부(50)로 출력한다.
서브섹션판단부(48)는 A/V튜너부(10)를 통해 부화면으로 수신된 섹션데이터 또는 케이블카드(30)로 수신된 데이터를 판단한다. 서브섹션판단부(48)는 섹션데이터 또는 데이터들이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섹션데이터들이 유효하면, 서브섹션판단부(48)는 수신된 섹션데이터의 내용, 형태, 및 동작 등을 판단한다. 서브섹션판단부(48)는 판단결과 수신된 섹션데이터 중 EAS섹션이 포함되어 있으면, EAS섹션을 EAS처리부(50)로 출력한다.
EAS처리부(50)는 메인섹션판단부(44), 및 서브섹션판단부(48) 중 어느 하나로부터 EAS섹션이 수신되거나, 섹션판단부(40) 모두로부터 EAS섹션이 수신된 경 우, EAS섹션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EAS처리부(50)는 EAS섹션에 포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할 시각, 디스플레이할 시간, 간격, 및 디스플레이할 방법에 따라, 긴급경보를 처리한다.
부화면으로 긴급경보가 수신된 경우, EAS섹션에 디스플레이할 방법으로 강제튜닝명령이 포함되어 있으면, EAS처리부(50)는 주화면과 부화면을 전환한다. 그리고, EAS처리부(50)는 전환된 부화면에 긴급경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그리고, EAS섹션에 디스플레이할 방법으로 텍스트 스크롤명령이 포함되어 있으면, EAS처리부(50)는 긴급경보의 텍스트가 수신된 주화면 또는 부화면 상단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르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는, EAS섹션에 디스플레이할 방법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EAS처리부(50)는 일반적인 오버랩으로 주화면 또는 부화면에 긴급경보를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60)에는 PIP기능에 의해 큰 화면으로 구현되는 주화면에 작은 화면으로 구현되는 부화면이 오버랩되어 동시에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이부(60)에는 EAS처리부(50)에 의해 수행된 동작에 따라 주화면 또는 부화면에 긴급경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제어부(70)는 영상표시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70)는 튜너부(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국하고,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EAS처리부(5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의해 주화면 및 부화면 중 어느 하나에 수신된 긴급경보를 디스플레이부(6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70)는 EAS섹션에 포함되어 있는 긴급경보를 디스 플레이할 시각, 디스플레이할 시간, 간격에 따라 긴급경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EAS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섹션판단부(40)는 수신된 영상신호 중 디먹스부(20)에서 분리한 섹션데이터에 EAS섹션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200). EAS섹션은 튜너부(10)를 통해 수신되며, 긴급한 국가적 재난, 즉 전쟁 혹은 천재지변 등에 대해 국민들에게 빠른 정보와 주의를 주기 위해 보내주는 정보이다.
EAS섹션에는 긴급경보와 긴급경보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긴급경보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정보로는 긴급경보를 디스플레이할 시각, 디스플레이할 시간, 간격, 및 디스플레이할 방법 등이 있다.
EAS섹션이 포함되어 있으면, 제어부(70)는 EAS섹션이 메인으로 수신되었는지, 서브로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5). 메인으로 수신된 EAS섹션에 포함된 긴급경보는 주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며, 서브로 수신된 EAS섹션에 포함된 긴급경보는 부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메인으로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EAS처리부(50)는 EAS섹션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긴급경보를 처리한다(S210). EAS처리부(50)는 EAS섹션에 포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할 시각, 디스플레이할 시간, 간격, 및 디스플레이할 방법에 따라, 긴급경보를 처리한다.
제어부(70)는 디스플레이부(60)의 부화면으로 이미 긴급경보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지를 감지한다(S215).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 주 선택 화면이 주화면이므로, 주화면에 대한 EAS동작을 우선한다. 그러므로, 긴급경보가 부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70)는 부화면의 긴급경보 디스플레이를 중지시킨다(S220).
부화면의 긴급경보 디스플레이가 중지되면, 제어부(70)는 EAS처리부(50)에서 처리된 긴급경보를 주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215). 디스플레이방법은 EAS섹션에 포함된 정보에 따른다. 주화면의 디스플레이방법에는 텍스트 스크롤, 오버랩 등이 있다.
텍스트 스크롤은 긴급경보의 텍스트를 화면 상단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르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오버랩은 긴급경보가 화면의 설정된 위치에 겹쳐져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S205단계에서, EAS섹션이 서브로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EAS처리부(50)는 EAS섹션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긴급경보를 처리한다(S220).
제어부(70)는 디스플레이부(60)의 주화면에 이미 긴급경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지를 감지한다(S230).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 주 선택 화면이 주화면이므로, 주화면에 대한 EAS동작을 우선한다. 그러므로, 부화면으로 긴급경보가 수신되었어도 주화면으로 긴급경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있으면, 제어부(70)는 긴급경보를 부화면으로는 디스플레이할 수가 없다.
주화면에 긴급경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EAS섹션이 강제튜닝명령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240). 강제튜닝명령은 부화면과 주화면을 전환하여, 전환된 부화면에 긴급경보를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명령이다.
강제튜닝명령을 포함하고 있으면, EAS처리부(50)는 디스플레이부(60)의 주화면과 부화면을 전환한다(S250).
주화면과 부화면이 전환되면, 제어부(70)는 전환된 부화면에 긴급경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260).
강제튜닝명령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70)는 부화면에 긴급경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270). 디스플레이방법은 EAS섹션에 포함된 정보에 따른다. EAS섹션에 긴급경보의 텍스트를 화면 상단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르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방법인 텍스트 스크롤명령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긴급경보가 화면의 설정된 위치에 겹쳐져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방법인 오버랩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PIP기능을 가진 영상표시장치에서 부화면으로 수신된 긴급경보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7)

  1. 서브로 수신된 영상신호에 긴급경보섹션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섹션판단부;
    상기 긴급경보섹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긴급경보섹션에 포함된 긴급경보를 상기 긴급경보섹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처리 정보에 따라 처리하는 긴급경보시스템 처리부;및
    상기 긴급정보가 메인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긴급경보시스템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긴급경보를 주화면 및 부화면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메인으로 상기 긴급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서브로 수신된 긴급정보를 상기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상기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긴급경보를 상기 주화면 및 상기 부화면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경보시스템 처리부는,
    상기 긴급경보섹션에 포함된 상기 긴급경보의 디스플레이할 시각, 디스플레이할 시간, 간격, 및 디스플레이할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a) 서브로 수신된 영상신호에 긴급경보섹션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긴급경보섹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긴급경보섹션에 포함된 긴급경보를 상기 긴급경보섹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처리 정보에 따라 처리하는 단계;및
    c) 상기 긴급정보가 메인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처리된 상기 긴급경보를 주화면 및 부화면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긴급경보섹션에 포함된 상기 긴급경보의 디스플레이할 시각, 디스플레이할 시간, 간격, 및 디스플레이할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EAS제어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경보시스템 처리부는,
    상기 긴급정보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강제튜닝방법이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긴급정보가 디스플레이된 부화면을 주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040078864A 2004-10-04 2004-10-04 Pip기능에서 eas제어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eas제어방법 KR100707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864A KR100707267B1 (ko) 2004-10-04 2004-10-04 Pip기능에서 eas제어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eas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864A KR100707267B1 (ko) 2004-10-04 2004-10-04 Pip기능에서 eas제어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eas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985A KR20060029985A (ko) 2006-04-07
KR100707267B1 true KR100707267B1 (ko) 2007-04-17

Family

ID=3714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864A KR100707267B1 (ko) 2004-10-04 2004-10-04 Pip기능에서 eas제어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eas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2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6863B2 (en) 2009-01-15 2013-10-22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alert system data in digital broadcast receiver
WO2010082780A2 (en) * 2009-01-18 2010-07-22 Lg Electronics Inc. Ip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emergency alert system widget in iptv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7352A (ko) * 1995-12-30 1997-07-31 배순훈 부화면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KR100200135B1 (ko) 1996-11-30 1999-06-15 전주범 텔레비디오의 긴급정보 녹화/재생장치
US6543051B1 (en) 1998-08-07 2003-04-01 Scientific-Atlanta, Inc. Emergency alert system
WO2004004308A2 (en) 2002-06-27 2004-01-08 Thomson Licensing S.A. Event masking for television signal receiver having an emergency alert function
WO2004047442A1 (en) 2002-11-15 2004-06-03 Thomson Licensing S.A. Methods for controlling apparatuses having an emergency alert fun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7352A (ko) * 1995-12-30 1997-07-31 배순훈 부화면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KR100200135B1 (ko) 1996-11-30 1999-06-15 전주범 텔레비디오의 긴급정보 녹화/재생장치
US6543051B1 (en) 1998-08-07 2003-04-01 Scientific-Atlanta, Inc. Emergency alert system
WO2004004308A2 (en) 2002-06-27 2004-01-08 Thomson Licensing S.A. Event masking for television signal receiver having an emergency alert function
WO2004047442A1 (en) 2002-11-15 2004-06-03 Thomson Licensing S.A. Methods for controlling apparatuses having an emergency alert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985A (ko) 200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3557B2 (ja) チャンネル情報のオンスクリーン表示機能を有する放送受信装置
KR0129965B1 (ko) 멀티 언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EP2001225A2 (en) Multichannel Display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Broadcast-Enabled Terminal
US6888576B2 (en) Digital/analog broadcast receiving device capable of limiting change in setting in operation setting menu thereof
JP2009213149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US7559071B2 (en) Broadcasting receiver having operation mode selection function
KR930007256A (ko) 작동메뉴를 나타내는 비디오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텔레비전 수상기
RU2001104531A (ru) Система навигации для системы многоканального цифрового телевидения
JP2010213208A (ja) 表示装置
WO2007147338A1 (en) Double-channe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picture-outside-picture or picture-in-picture type television receiver
KR100707267B1 (ko) Pip기능에서 eas제어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eas제어방법
JP4661386B2 (ja) 受信装置
JP4551198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20100059639A (ko) 위젯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EP1406442A2 (en) Teletext-enabled television apparatus
KR101265631B1 (ko)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채널 맵 갱신 방법
KR10068793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1187325A (ja)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JP2003189199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におけるチャンネル選択装置
KR100991778B1 (ko) 데이터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74188B1 (ko) Tv 수신장치 및 이를 위한 방송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232815B1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상태 제어장치
KR20050034034A (ko) Dmb를 이용한 영상표시기기의 부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307594B1 (ko) 픽처 인 픽처 모드에서의 프로그램 등급에 따른 화면 출력 제어
JPH06121244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