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355B1 -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한 스위치 플렉서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한 스위치 플렉서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355B1
KR100706355B1 KR1020050017377A KR20050017377A KR100706355B1 KR 100706355 B1 KR100706355 B1 KR 100706355B1 KR 1020050017377 A KR1020050017377 A KR 1020050017377A KR 20050017377 A KR20050017377 A KR 20050017377A KR 100706355 B1 KR100706355 B1 KR 100706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seband processo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6679A (ko
Inventor
박북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017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355B1/ko
Publication of KR20060096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한 스위치 플렉서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망을 통한 무선신호(RF, Radio Frequency)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와; 안테나를 통해 무선망으로부터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를 각 주파수 대역에 따라 신호경로를 변경하는 스위치 플렉서(Switchplexer)와; 상기 스위치 플렉서에서 신호경로가 변경된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신호처리하는 트랜시버(Tranceiver)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트랜시버로 출력되는 클럭신호(SBCK) 및 데이터신호(SBDT)를 공통으로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클럭신호(SBCK)에 의해 활성화되어 해당 입력받은 데이터신호(SBDT)를 병렬 신호로 변환시키며, 해당 변환된 병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 플렉서의 신호경로 변경을 제어하는 직렬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등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에서 트랜시버(Tranceiver)를 제어하기 위하여 출력하는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포트를 통해 직렬 신호(Serial Signal)로 출력되는 클럭신호(SBCK) 및 데이터신호(SBDT)를 병렬 신호(Parellel Signal)의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치 플렉서(Switchplexer)의 신호경로 변경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의 GPIO 포트를 스위치 플렉서 이외에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데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한 스위치 플렉서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A MOBO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TROLLING A SWITCHPLEX THROUGH A SERIAL INTERFACE}
도1은 종래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간략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한 스위치 플렉서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간략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3은 본 발명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한 스위치 플렉서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직렬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4는 본 발명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한 스위치 플렉서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파수 대역의 선택에 따라 스위치 플렉서로 입력되는 제어신호의 예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21 : 트랜시버
22 : 직렬 인터페이스부 23 : 스위치 플렉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등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에서 트랜시버(Tranceiver)를 제어하기 위하여 출력하는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포트를 통해 직렬 신호(Serial Signal)로 출력되는 클럭신호(SBCK) 및 데이터신호(SBDT)를 병렬 신호(Parellel Signal)의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치 플렉서(Switchplexer)의 신호경로 변경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의 GPIO 포트를 스위치 플렉서 이외에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데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조할 수 있는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한 스위치 플렉서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등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 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10)의 제어에 따라 트랜시버(Tranceiver)(11)에서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대역변환, 변조, 복조 등의 처리를 수행하며, 이때 안테나를 통해 무선망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RF, Radio Frequency)를 내부적으로 각 주파수 대역에 따라 신호경로를 변경하여 처리하기 위하여 스위치 플렉서(Switchplexer)(12)를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 플렉서(12)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1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무선신호를 스위칭하는데, 각 대역마다 송신과 수신으로 구분되는 두 개씩의 신호경로가 필요하고, 이에 3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송수신으로 구분되는 6개의 상태가 존재 가능하므로,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0)에서 상기 스위치 플렉서(12)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3개의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제어신호를 출력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0)의 GPIO 포트 갯수는 제한되어 있는데다, 최근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기능을 요구하고 있어 각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점점 더 많은 갯수의 제어신호를 필요로 하는 관계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확장성을 위해서는 GPIO 포트를 최대한으로 공동으로 사용하여 필요한 제어신호의 갯수를 줄이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0)에서 스위치 플렉서(12)를 제어하기 위한 GPIO 제어신호를 대신하기 위해서는 직렬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현재 출시된 스위치 플렉서(12)들은 직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아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0)의 GPIO 포트를 통한 GPIO 제어신호로 제어되므로, 스위치 플렉서(12)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는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0)에 의해 제어되는 각 디바이스를 확장하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등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에서 트랜시버(Tranceiver)를 제어하기 위하여 출력하는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포트를 통해 직렬 신호(Serial Signal)로 출력되는 클럭신호(SBCK) 및 데이터신호(SBDT)를 병렬 신호(Parellel Signal)의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치 플렉서(Switchplexer)의 신호경로 변경을 제어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망을 통한 무선신호(RF, Radio Frequency)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와; 안테나를 통해 무선망으로부터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를 각 주파수 대역에 따라 신호경로를 변경하는 스위치 플렉서(Switchplexer)와; 상기 스위치 플렉서에서 신호경로가 변경된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신호처리하는 트랜시버(Tranceiver)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트랜시버로 출력되는 클럭신호(SBCK) 및 데이터신호(SBDT)를 공통으로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클럭신호(SBCK)에 의해 활성화되어 해당 입력받은 데이터신호(SBDT)를 병렬 신호로 변환시키며, 해당 변환된 병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 플렉서의 신호경로 변경을 제어하는 직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한 스위치 플렉서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간략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망을 통한 무선신호(RF, Radio Frequency)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20)와; 안테나를 통해 무선망으로부터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를 각 주파수 대역에 따라 신호경로를 변경하는 스위치 플렉서(Switchplexer)(23)와; 상기 스위치 플렉서(23)에서 신호경로가 변경된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0)의 제어에 따라 신호처리하거나 그 역의 동작을 수행하는 트랜시버(Tranceiver)(21)와;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0)로부터 상기 트랜시버(21)로 출력되는 클럭신호(SBCK) 및 데이터신호(SBDT)를 공통으로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클럭신호(SBCK)에 의해 활성화되어 해당 입력받은 데이터신호(SBDT)를 병렬 신호로 변환시키며, 해당 변환된 병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 플렉서(23)의 신호경로 변경을 제어하는 직렬 인터페이스부(22)로 구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한 중요 구성을 제외한 다른 디바이스는 도면 부호 없이 간략한 기호로만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등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단말기 내 무선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에서 트랜시버(Tranceiver)를 제어하기 위하여 출력하는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포트를 통해 직렬 신호(Serial Signal)로 출력되는 클럭신호(SBCK) 및 데이터신호(SBDT)를 병렬 신호(Parellel Signal)의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치 플렉서(Switchplexer)의 신호경로 변경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와 스위치 플렉서 사이에 직렬 인터페이스를 가능케하여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의 GPIO 포트를 스위치 플렉서 이외의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EGSM(Enhanced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CS(Digital Cross-connect System), PCS(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4개 주파수 대역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20)는 무선망을 통한 무선신호(RF, Radio Frequency)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고, 스위치 플렉서(Switchplexer)(23)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망으로부터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를 각 주파수 대역에 따라 신호경로를 변경한다.
트랜시버(Tranceiver)(21)는 상기 스위치 플렉서(23)에서 신호경로가 변경된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0)의 제어에 따라 대역변환, 변조, 복조 등의 신호처리를 하여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0)로 출력하거나 그 역의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0)는 GPIO 포트를 통해 GPIO 제어신호를 상기 트랜시버(21)로 출력하여, 각 주파수 대역 및 무선신호의 송수신에 따른 상기 트랜시버(21)에서의 신호처리를 제어하는데, 상기 GPIO 제어신호에는 클럭신호(SBCK), 데이터신호(SBDT) 및 인에이블신호(SBEN)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클럭신호(SBCK) 및 데이터신호(SBDT)를 이용하여 스위치 플렉서(23)를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0)에서 스위치 플렉서(23)를 제어하기 위하여 직렬 인터페이스부(22)를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0)와 스위치 플렉서(23) 사이에 두어,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0)에서 상기 트랜시버(21)로 출력되는 직렬 신호인 클럭신호(SBCK) 및 데이터신호(SBDT)를 공통으로 입력받아 병렬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치 플렉서(23)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스위치 플렉서(23)의 신호경로 변경을 제어한다.
한편, 직렬 인터페이스부(22)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기 공통으로 입력되는 클럭신호(SBCK)에 의해 구동되어 입력된 데이터신호(SBDT)를 8비트의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다수 개의 D 플립플롭(Flip Flop)(221∼223)으로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D 플립플롭은 입력신호를 'n+1'번째의 클럭신호에서 그대로 출력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0)에서 각 주파수 대역에 따라 트랜시버(2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직렬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데이터신호(SBDT)를 출력하는 경우, 직렬 인터페이스부(22)의 D 플립플롭(221∼223)에서 상기 데이터신호(SBDT)를 이용해 '제어신호 A', '제어신호 B', '제어신호 C'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는 병렬 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 플렉서(23)의 신호경로 변경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0)에서 'WCDMA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직렬 신호인 데이터신호(SBDT)를 '1, 0, 1'로 하여 트랜시버(21)로 출력하는 경우, 클럭신호(SBCK)가 인가될 때마다 상기 '1, 0, 1'의 데이터신호(SBDT)가 각 D 플립플롭(221∼223)에 순차적으로 인가되어 '제어신호 A', '제어신호 B', '제어신호 C'는 각각 '1', '0', '1'의 상태가 되므로, 도4의 예시도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제어신호 A' 내지 '제어신호 C'의 조합에 의한 병렬 신호를 스위치 플렉서(23)로 출력하고, 그에 의해 상기 스위치 플렉서(23)가 'WCDMA 모드'에 따른 신호경로를 변경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이 더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스위치 플렉서(23)에서 신호경로를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의 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에도, 직렬 인터페이스부(22)의 D 플립플롭의 갯수를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0)의 직렬 신호를 병렬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스위치 플렉서(2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직렬 인터페이스부(22)에 D 플립플롭을 사용하여 병렬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D 플립플롭 이외에도 RS 플립플롭, T 플립플롭 등 기타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등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에서 트랜시버(Tranceiver)를 제어하기 위하여 출력하는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포트를 통해 직렬 신호(Serial Signal)로 출력되는 클럭신호(SBCK) 및 데이터신호(SBDT)를 병렬 신호(Parellel Signal)의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치 플렉서(Switchplexer)의 신호경로 변경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의 GPIO 포트를 스위치 플렉서 이외에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데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무선망을 통한 무선신호(RF, Radio Frequency)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와; 안테나를 통해 무선망으로부터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를 각 주파수 대역에 따라 신호경로를 변경하는 스위치 플렉서(Switchplexer)와; 상기 스위치 플렉서에서 신호경로가 변경된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신호처리하는 트랜시버(Tranceiver)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트랜시버로 출력되는 클럭신호(SBCK) 및 데이터신호(SBDT)를 공통으로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클럭신호(SBCK)에 의해 활성화되어 해당 입력받은 데이터신호(SBDT)를 병렬 신호로 변환시키며, 해당 변환된 병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 플렉서의 신호경로 변경을 제어하는 직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한 스위치 플렉서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인터페이스부는, 각기 직렬로 연결되어, 공통으로 입력된 클럭신호(SBCK)에 따라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SBDT)를 병렬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수 개의 플립플롭(Flip Flop)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한 스위치 플렉서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플롭은, D 플립플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한 스위치 플렉서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17377A 2005-03-02 2005-03-02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한 스위치 플렉서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6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377A KR100706355B1 (ko) 2005-03-02 2005-03-02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한 스위치 플렉서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377A KR100706355B1 (ko) 2005-03-02 2005-03-02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한 스위치 플렉서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679A KR20060096679A (ko) 2006-09-13
KR100706355B1 true KR100706355B1 (ko) 2007-04-10

Family

ID=3762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377A KR100706355B1 (ko) 2005-03-02 2005-03-02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한 스위치 플렉서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3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432B1 (ko) 2010-06-29 2016-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대역 안테나 제어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186A (ko) * 2001-04-12 2002-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직렬 및 유에스비 포트에 대한 공용인터페이스장치
KR20050088006A (ko) * 2004-02-28 2005-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인터페이스모듈 제어장치
KR20050098592A (ko) * 2004-04-07 2005-10-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지피아이오 신호 변환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14289A (ko) * 2004-08-10 200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밴드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186A (ko) * 2001-04-12 2002-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직렬 및 유에스비 포트에 대한 공용인터페이스장치
KR20050088006A (ko) * 2004-02-28 2005-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인터페이스모듈 제어장치
KR20050098592A (ko) * 2004-04-07 2005-10-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지피아이오 신호 변환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14289A (ko) * 2004-08-10 200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밴드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679A (ko)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807B1 (ko) 다중모드 휴대 전화 단말기
EP168177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ly using antenna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bluetooth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modules
KR100602969B1 (ko) 연속모드 송수신기를 구비한 다중 모드 이동 통신 디바이스 및 그 방법
CN101459442B (zh) 一种通讯信号处理方法及系统
US20110065400A1 (en) Integrated antenna array and rf front end module
CN102420632A (zh) 射频前端模块、多模终端和多模终端发送信号的方法
Bing et al. A cellphone for all standards
CN115664451A (zh) 射频前端电路、设备终端及芯片
US774723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data interface
US7345612B2 (en) Digital-to-radio frequency conversion device, chip set, transmitter, user terminal and data processing method
EP2109937B1 (en) A digital multi-channel system for processing radio signals, in particular of the very wide band type
US7158583B2 (en) Multiple communication protocols with common sampling rate
KR100706355B1 (ko)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한 스위치 플렉서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US7079817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that meets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CN103916158A (zh) 动态选择滤波路径的方法和通信设备
KR100469443B1 (ko) 이동 통신단말기의 베이스밴드 선택 회로
US10097231B1 (en) Radio transceiver and RF signal processing device
CN1538625A (zh) 一种软件定义的射频收发信机
CN112910553B (zh) LiFi通信装置及电子设备
KR100242132B1 (ko) 이동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섹터별 지연 송신장치
KR101180110B1 (ko) 듀얼 신호처리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신호처리 방법
US8295785B2 (en)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process with high channel capacity, transmitter and/or receiver, and mobile terminal
JPH10190755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CN115811326A (zh) 射频前端电路、电子设备及芯片
Cummings et al. Tutorial: Software-defined radio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