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085B1 - Novel ester derivatives of buprenorphine and their preparation processes, and long acting analge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Google Patents

Novel ester derivatives of buprenorphine and their preparation processes, and long acting analge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085B1
KR100704085B1 KR1020020075947A KR20020075947A KR100704085B1 KR 100704085 B1 KR100704085 B1 KR 100704085B1 KR 1020020075947 A KR1020020075947 A KR 1020020075947A KR 20020075947 A KR20020075947 A KR 20020075947A KR 100704085 B1 KR100704085 B1 KR 100704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buprenopine
dibuprenopine
formula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9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48165A (en
Inventor
왕즈히-정
Original Assignee
치 메이 파운데이션 메디칼 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 메이 파운데이션 메디칼 센터 filed Critical 치 메이 파운데이션 메디칼 센터
Priority to KR1020020075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085B1/en
Publication of KR20040048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1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0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4aH-8, 9 c- Iminoethano-phenanthro [4, 5-b, c, d] furan ring systems, e.g. derivatives of [4, 5-epoxy]-morphinan of the formula:
    • C07D48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4aH-8, 9 c- Iminoethano-phenanthro [4, 5-b, c, d] furan ring systems, e.g. derivatives of [4, 5-epoxy]-morphinan of the formula: with 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s 3 and 6, e.g. morphine, morphinone

Abstract

본 발명은 부프레노핀 하이드로클로라이드에 비해 장시간의 진통 효과를 나타내는 신규한 부프레노핀 모노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 및 디부프레노핀 디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한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를 합성하는 방법, 및 상기 신규한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 및 부프레노핀 염기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지속성 진통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novel buprenophine monocarboxyl ester derivatives and dibuprenophine dicarboxyl ester derivatives which exhibit long-term analgesic effects compared to buprenopine hydrochloride.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synthesizing a novel buprenopine ester derivative and a sustained analges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compound selected from the novel buprenopine ester derivative and a buprenopine base.

Description

신규한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 그의 제조 방법 및 지속성 진통제 약학 조성물{NOVEL ESTER DERIVATIVES OF BUPRENORPHINE AND THEIR PREPARATION PROCESSES, AND LONG ACTING ANALGE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NOVEL ESTER DERIVATIVES OF BUPRENORPHINE AND THEIR PREPARATION PROCESSES, AND LONG ACTING ANALGE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도 1은 부프레노핀 에난테이트(enanthate)의 1H-NMR 스펙트럼 도표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 1 H-NMR spectral plot of buprenopine enanthate.

도 2는 부프레노핀 에난테이트의 질량 스펙트럼 도표를 도시한 것이다.2 shows a mass spectral plot of buprenopine enanthate.

도 3은 부프레노핀 에난테이트의 UV 도표를 도시한 것이다.3 shows the UV plot of buprenopine enanthate.

도 4는 부프레노핀 에난테이트의 IR 스펙트럼 도표를 도시한 것이다.4 shows an IR spectral plot of buprenopine enanthate.

도 5는 부프레노핀 데카노에이트(decanoate)의 1H-NMR 스펙트럼 도표를 도시한 것이다.FIG. 5 shows a 1 H-NMR spectral plot of buprenopine decanoate. FIG.

도 6은 부프레노핀 데카노에이트의 질량 스펙트럼 도표를 도시한 것이다.6 shows a mass spectral plot of buprenopine decanoate.

도 7은 부프레노핀 데카노에이트의 UV 도표를 도시한 것이다.FIG. 7 shows the UV plot of buprenopine decanoate.

도 8은 부프레노핀 데카노에이트의 IR 스펙트럼 도표를 도시한 것이다.8 shows an IR spectral plot of buprenopine decanoate.

도 9는 부프레노핀 피발레이트(pivalate)의 질량 스펙트럼 도표를 도시한 것이다.9 shows a mass spectral plot of buprenopine pivalate.

도 10은 부프레노핀 피발레이트의 UV 도표를 도시한 것이다.10 shows the UV plot of buprenopine pivalate.

도 11은 부프레노핀 피발레이트의 IR 스펙트럼 도표를 도시한 것이다.FIG. 11 shows an IR spectral plot of buprenopine pivalate.

도 12는 부프레노핀 피발레이트의 UV 도표를 도시한 것이다.12 shows the UV plot of buprenopine pivalate.

도 13은 부프레노핀 팔미테이트(palmitate)의 IR 스펙트럼 도표를 도시한 것이다.FIG. 13 shows an IR spectral plot of buprenopine palmitate. FIG.

도 14는 디부프레노핀 피멜레이트(pimelate)의 IR 스펙트럼 도표를 도시한 것이다.FIG. 14 shows an IR spectral plot of dibuprenopine pimelate. FIG.

도 15는 디부프레노핀 피멜레이트의 UV 도표를 도시한 것이다.FIG. 15 shows the UV plot of dibuprenopine pimelate.

도 16은 디부프레노핀 세바코일(sebacoyl) 에스테르의 1H-NMR 스펙트럼 도표를 도시한 것이다.FIG. 16 shows a 1 H-NMR spectral plot of dibuprenopine sebacoyl ester. FIG.

도 17은 디부프레노핀 세바코일 에스테르의 UV 도표를 도시한 것이다.FIG. 17 shows the UV plot of dibuprenopine sebacoyl ester.

도 18은 디부프레노핀 세바코일 에스테르의 IR 스펙트럼 도표를 도시한 것이다.FIG. 18 shows an IR spectral plot of dibuprenopine sebacoyl ester.

도 19는 래트에서 근육내 투여된 부프레노핀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투약 반응을 도시한 것이다.19 depicts the dosing response of buprenopine hydrochloride administered intramuscularly in rats.

도 20a 및 도 20b는 각각 래트에서 근육내 및 피하 투여된 부프레노핀 염기의 투약 반응을 도시한 것이다.20A and 20B show dosing responses of buprenopine base administered intramuscularly and subcutaneously in rats, respectively.

도 21a 내지 도 21e는 각각 래트에서 근육내 투여된 본 발명의 5개의 부프레노핀 모노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의 진통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21A-21E illustrate the analgesic effect of the five buprenopine monocarboxyl ester deriva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administered intramuscularly in rats, respectively.

도 22는 래트에서 근육내 투여된 부프레노핀 프로피오네이트(propionate)의 투약 반응을 도시한 것이다.FIG. 22 depicts the dosing response of buprenopine propionate administered intramuscularly in rats.

도 23a 및 도 23b는 각각 래트에서 근육내 투여된 본 발명의 2개의 디부프레노핀 디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의 진통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Figures 23a and 23b show the analgesic effect of two dibuprenopine dicarboxyl ester deriva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administered intramuscularly in rats, respectively.

본 발명은 신규한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 특히 부프레노핀 하이드로클로라이드에 비해 장시간의 진통 효과를 나타내는 부프레노핀 모노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 및 디부프레노핀 디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신규한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신규한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 및 부프레노핀 염기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지속성 진통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novel buprenopine ester derivatives, in particular buprenopine monocarboxyl ester derivatives and dibuprenopine dicarboxyl ester derivatives, which exhibit a long-term analgesic effect compared to buprenopine hydrochloride.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 novel buprenopine ester derivatives and to persistent analges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a compound selected from the novel buprenopine ester derivatives and the buprenopine base.

지속적인 진통은 보통의 동통 내지 심한 동통, 예컨대, 수술 후 동통과 암 동통으로 고통받는 환자에게 특히 요구된다. 현재, 이 분야에서 국소 마취제, 약한 진통제 및 강한 진통제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은 모두 속효성 약물이다.Persistent analgesia is especially required in patients suffering from moderate to severe pain, such as postoperative pain and cancer pain. Currently, local anesthetics, mild analgesics and strong analgesics are used in this field, but they are all fast-acting drugs.

국소 마취제, 예컨대 크실로카인(xylocaine) 또는 부피바카인(bupivacaine)은 몇몇 유형의 동통을 완화시키지만, 이들은 단지 제한된 부위에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국소 마취제는 속효성이며 경막내 주입시에도 보통 6시간 이하의 작용 시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국소 마취제는 심장 수술, 폐 수술, 복부 수술, 정형외과 수술, 산과 수술, 심한 화상으로 인한 손상 및 말기 암에 의한 심한 급성 동통을 완화시키기에는 만족스럽지 못하다.Local anesthetics such as xylocaine or bupivacaine alleviate some types of pain, but they can only be applied to limited areas. In addition, topical anesthetics are fast-acting and usually show an action time of 6 hours or less upon intradural infusion. Thus, local anesthetics are not satisfactory to relieve cardiac surgery, lung surgery, abdominal surgery, orthopedic surgery, obstetric surgery, severe burn injury and severe acute pain caused by terminal cancer.

약한 진통제, 예컨대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및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는 단지 저강도 동통, 예컨대 두통 또는 치통으로 인한 동통만을 완화시킬 뿐, 심한 동통의 경우에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Mild analgesics such as acetaminophen an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only relieve pain caused by low-intensity pain, such as headache or toothache, but are not helpful in severe pain.

원인 부위에 넓게 퍼진 고강도 동통에 대해서는, 강한 진통제, 예컨대 모르핀, 메페리딘 및 펜타닐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중추 신경계(CNS)에서 특이적 아편양(opioid) 수용체(즉, μ 수용체)와 상호작용하고 강한 진통 작용을 나타낸다. 그러나, 모든 아편양 진통제는 통상적인 단점을 나타낸다(하예스(Hayes A. G.) 등의 문헌 [Br. J. Pharmcol., Vol 79, 731, 1983]). 이들 강한 진통제의 장기간 사용과 관련하여 가장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은 중독이 되는데 있다. 또한, 이러한 강한 진통제는 호흡 기능이 약한 환자에게서 심한 호흡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게다가, 이들 강한 진통제는 비교적 단기간, 즉 3 내지 5시간의 작용 시간을 나타낸다. 이들을 경강내 투여하는 경우에도 24시간 이상 동안 지속하는 작용 시간을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지속성 진통 효과를 제공하도록 보다 많은 양의 이런 제제, 즉 0.5 내지 1.0㎎/1회 투여량의 모르핀을 경강내로 투여한다면, 치명적인 호흡 저하가 초래될 수 있다(백스터(Baxter, A.D) 등의 문헌 [Can. J. Anesth., Vol 36, 503, 1989]).For high-intensity pain that is widespread in the causative site, strong analgesics such as morphine, meperidine and fentanyl are used. They interact with specific opioid receptors (ie μ receptor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and exhibit strong analgesic action. However, all opioid analgesics present a common disadvantage (Hayes A. G. et al., Br. J. Pharmcol., Vol 79, 731, 1983). The most unfavorable problem associated with the long term use of these strong analgesics is their addiction. In addition, these strong analgesics can cause severe respiratory depression in patients with poor respiratory function. In addition, these strong analgesics exhibit relatively short durations of action, namely 3 to 5 hours of action. Even when administered intraluminally, they do not provide a duration of action that lasts longer than 24 hours. In addition, administration of higher doses of these agents, ie 0.5 to 1.0 mg / dose of morphine, intraluminally to provide a sustained analgesic effect can result in fatal respiratory depression (Baxter, AD, et al. Can. J. Anesth., Vol 36, 503, 1989).

(5α,7α(S)-17-사이클로프로필-메틸)-α-(1,1-디메틸에틸)-4,5-에폭시- 18,19-디하이드로-3-하이드록시-6-메톡시-α-메틸-6,14-에테노모르피난-7-메탄올의 화학 명칭을 갖는 부프레노핀은, 강한 진통 효과를 갖는 아편양 부분적 작용물질로 공지되어 있다. 분자량이 467.7인 (유리 염기 형태의) 부프레노핀은 하기 식 A로 표시된다:(5α, 7α (S) -17-cyclopropyl-methyl) -α- (1,1-dimethylethyl) -4,5-epoxy-18,19-dihydro-3-hydroxy-6-methoxy- Buprenopine with the chemical name α-methyl-6,14-ethenomorphin-7-methanol is known as an opioid partial agonist with a strong analgesic effect. Buprenopine (in free base form)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467.7 is represented by Formula A:

Figure 112002040015118-pat00001
(A)
Figure 112002040015118-pat00001
(A)

부프레노핀은 진통과 같은 아편양 작용물질의 많은 작용을 공유한다. κ 에고니즘(agonism)이 없기 때문에 부프레노핀은 작용/길항작용성 약물에서 종종 나타나는 정신 불안 및 정신병유발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다른 연구에서는 부프레노핀의 아편양 길항작용 효과가 δ아편양 수용체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매개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Buprenopine shares many of the opioid agonists such as analgesic. Buprenopine does not exhibit the psychoanxiety and psychopathic effects often seen in agonistic / antagonistic drugs because there is no κ agonism. Other studies suggest that the opioid antagonistic effects of buprenophine can be mediated through interaction with δ opioid receptors.

다른 강한 아편양 작용물질과 같이, 부프레노핀은 강한 투여량-관련된 진통을 나타낸다. 정확한 메카니즘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부프레노핀의 진통 효과는 중추 신경계에서 μ 오피오이드 수용체에 대한 높은 친화력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부프레노핀은 동통 역치(유해한 자극으로의 구심성 신경 말단의 역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중량 기준으로, 비경구의 부프레노핀의 진통 효력은 모르핀의 약 25 내지 50배, 펜타조신(pentazocine)의 약 200배, 메페리딘의 약 600배로 나타난다. Like other strong opioid agonists, buprenopine exhibits strong dose-related analgesia. The exact mechanism is not yet fully understood, but the analgesic effect of buprenopine appears to be due to the high affinity for μ opioid receptor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Buprenophine can also change pain thresholds (thresholds of afferent nerve endings to harmful stimuli). By weight, the analgesic effect of parenteral buprenopine is about 25-50 times that of morphine, about 200 times that of pentazocine, and about 600 times that of meperidine.

부프레노핀은 아편양 작용물질(예: 모르핀) 및 혼합된 작용-길항물질(예: 펜타조신, 부토파놀, 날부핀)과의 비교시 수 개의 치료적 이점을 많은 환자에게 제공한다. 예컨대, 혼합된 작용-길항물질과 달리, 부프레노핀은 더 적은 정신병 유발 효과를 갖는다. 작용물질(예: 모르핀 및 펜타닐)과 비교하는 경우, 부프레노핀은 호흡 저하의 위험성이 비교적 적다.Buprenopine provides several patients with several therapeutic advantages when compared to opioid agonists (eg morphine) and mixed action-antagonists (eg pentazosin, butopanol, nalbuphine). For example, unlike mixed action-antagonists, buprenophine has less psychotic-causing effects. When compared to agonists such as morphine and fentanyl, buprenopine has a relatively low risk of respiratory depression.

부프레노핀은 아편양 완전 작용물질과 비교시 남용 경향성이 적다. 그러나, 부프레노핀은 비록 드물지만 한정된 신체적 의존성을 야기할 수 있고, 부프레노핀을 단독 사용하는 장기간의 치료를 중단한 후에는, 경미한 금단 신호 및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μ 수용체로부터의 부프레노핀의 해리가 서서히 일어나기 때문에, 사용을 갑작스럽게 중단한 후에 CNS로부터의 부프레노핀의 제거가 지연된다. 결과적으로, 부프레노핀의 급성 금단현상에 기인하는 신호 및 증상은 모르핀에 의해 발생되는 것보다 덜 강하며, 뒤늦게 발생된다.Buprenopine is less prone to abuse compared to opioid complete agonists. However, buprenophine, although rare, can cause limited physical dependence, and withdrawal of prolonged treatment with buprenopine alone may result in mild withdrawal signals and symptoms. Since dissociation of buprenophine from the μ receptor occurs slowly, the removal of buprenophine from the CNS is delayed after abrupt use ceases. As a result, the signals and symptoms attributable to acute withdrawal of buprenophine are less intense than those caused by morphine and develop later.

미국 특허 제 3,433,791 호(1968년)에 개시된 부프레노핀은, 상표명 부프레넥스(Buprenex)(몰턴-노르위치(Morton-Norwich)) 및 템제식(Temgesic)(레킷트 앤드 콜만(Reckitt and Colman))으로 시판되고 있으며, 주로 외과 수술, 암, 사고로 인한 외상 및 심근 경색증에 기인하는 동통 조절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부프레노핀은 또한 이의 아편양 부분적 작용물질의 특성으로 인해 헤로인 중독의 해독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비켈(Bickel, W.K.) 등의 문헌 [Chem. Pharmacol. Ther. (1988), 43(1):72-78]; 및 후달라(Fudala, P.J.) 등의 문헌 [Clin. Pharmacol, Ther. (1990), 47(4):525-534]). 부프레노핀은 통상적으로 근육내 주사 또는 정맥내 주사에 의해 투여되어 왔지만, 이의 작용 시간은 단지 6 내지 8시간이다.Buprenopine, disclosed in U.S. Patent No. 3,433,791 (1968), is under the trade names Buprenex (Morton-Norwich) and Tempesic (Reckitt and Colman). It is commercially available for the treatment of pain caused by trauma due to surgery, cancer, accidents and myocardial infarction. Buprenophine has also been used in the detoxification treatment of heroin poisoning due to the nature of its opioid partial agonists (Bickel, WK et al., Chem. Pharmacol. Ther. (1988), 43 (1): 72-78, and Fudala, PJ et al. Clin. Pharmacol, Ther. (1990), 47 (4): 525-534). Buprenopine has typically been administered by intramuscular injection or intravenous injection, but its action time is only 6-8 hours.

지속성 진통 효과는 급성 또는 만성 동통으로 고통받는 환자에게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동통은 수 일에서 수 개월까지 지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술 후의 동통, 외상 동통 및 화상으로 인한 동통과 같은 급성 동통은 4 내지 6일 동안 지속될 수 있고; 비악성 동통 및 암 동통과 같은 만성 동통은 수 주일에서 수 개월까지 지속될 수 있다.Persistent analgesic effects are particularly desirable for patients suffering from acute or chronic pain. These pains can last from days to months. For example, acute pain, such as post-operative pain, traumatic pain and pain due to burns, can last 4 to 6 days; Chronic pain, such as non-malignant and cancer pain, can last from weeks to months.

임상적으로 사용하는 기간 동안에 표적 약물의 작용 시간을 조절 또는 연장하기 위하여, 특별한 약학적 제조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부프레노핀과 관련하여, 그의 유리 염기의 융점인 218 ℃에서의 높은 결정화도 때문에, 부프레노핀은 그 자체로서 약물의 경피 전달에 있어 좋은 예가 되지 못한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은 투과 증진제와 함께 하나의 용액으로서 이용되어 진통 목적을 위한 부프레노핀의 충분한 피부 투과를 얻어 왔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6,004,969 호는 부프레노핀의 경피 전달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는 부프레노핀 또는 그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경피 투과 증진제용으로 차이니즈 허브(Chinese herb)로부터의 순수한 성분, 및 경피용 제조물에 필요한 기타 부형제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control or prolong the time of action of the target drug during clinical use, special pharmaceutical prepara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With respect to buprenopine, buprenopine by itself is not a good example for transdermal delivery of drugs because of its high crystallinity at 218 ° C., its melting point of free base. Hydrochloride salts have been used as a solution with penetration enhancers to achieve sufficient skin penetration of buprenopine for analgesic purposes. For example, US Pat. No. 6,004,969 discloses a method for transdermal delivery of buprenopine, which is a pure ingredient from Chinese herb for buprenopine or its hydrochloride salt, transdermal penetration enhancer, and transdermal. Other excipients required for the preparation.

선구약물 전략은 또다른 가능성이 된다. 스틴츠콤(Stinchcomb) 등은, 문헌 [Pharm. Res. (1995), 12 (10) : 1526-1529]에서, 6개의 부프레노핀 알킬 에스테르 선구약물; 및 부프레노핀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용매로서 디메틸포름아미드(DMF)의 존재하에 부프레노핀 유리 염기, 산 무수물 및 4-디메틸아미노 피리딘의 반응을 포함하는 합성법을 보고하였다. 6개의 부프레노핀 알킬 에스테르 선구약물의 헥산 용해도를 비롯한 그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부프레노핀 HCl 및 부프레노핀 유리 염기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비교하였다. 스틴츠콤 등은 또한 털이 없는 마우스 피부 및 인간 피부를 통한 부프레노핀 및 그의 C2-C4 알킬 에스테르 선구약물의 투과도를 조사하였으며, 여기서 상기 투과 실험을 위한 시험 제형에는 비히클로서 경질 광유가 사용되었다(히로후미 이모토(Hirofumi Imoto) 등의 문헌 [Biol. Pharm. Bull. (1996), 19 (2):236-267]; 및 스틴츠콤 등의 문헌 [Pharm. Res. (1996), 13 (10) : 1519-1523]).The prodrug strategy is another possibility. Stinchcomb et al., Pharm. Res. (1995), 12 (10): 1526-1529, wherein 6 buprenopine alkyl ester precursors; And a reaction comprising the reaction of buprenopine free base, acid anhydride and 4-dimethylamino pyridine in the presence of dimethylformamide (DMF) as solvent starting from buprenopine hydrochloride.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the hexane solubility of the six buprenopine alkyl ester precursors, were compared with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uprenopine HCl and buprenopine free base. Stinzcom et al. Also investigated the permeability of buprenopine and its C 2 -C 4 alkyl ester precursors through hairless mouse skin and human skin, wherein light mineral oil was used as the vehicle in the test formulation for the permeation experiment. (Hirofumi Imoto et al., Biol. Pharm. Bull. (1996), 19 (2): 236-267); and Stinzcom et al., Pharm. Res. (1996), 13 (10 ): 1519-1523]).

그러나, 치료에 적합한 부프레노핀의 주사가능한 지속성 투여 형태가 지금까지는 기술된 바 없다. 또한, 부프레노핀의 작용 시간을 생체내에서 효과적으로 연장시키는 신규한 부프레노핀 유도체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However, no injectable sustained dosage form of buprenopine suitable for treatment has been described so far. In addition, there is still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buprenopine derivatives that effectively extend the action time of buprenopine in vivo.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심한 동통으로 고통받는 인간을 비롯한 살아 있는 대상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도록, 부프레노핀 HCl과 동일한 활성을 갖고 더욱 장시간의 작용 시간을 갖는 신규한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buprenopine ester derivative having the same activity as buprenophine HCl and having a longer duration of action so that it can be used in the treatment of living subjects, including humans suffering from severe pain. To provide.

제 1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신규한 부프레노핀 모노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를 제공한다:In a first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novel buprenopine monocarboxyl ester derivatives of the general formula

Figure 112002040015118-pat00002
Figure 112002040015118-pat00002

상기 식에서,Where

R은 아릴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기, 및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되, 단 R은 메틸, 에틸, 프로필, n-부틸, n-펜틸, n-헥실 및 이소프로필로부터는 선택되지 않는다.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raight or branched saturated or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ryl groups, and aryl groups optionally substituted with straight or branched saturated or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with R being methyl, ethyl , Propyl, n-butyl, n-pentyl, n-hexyl and isopropyl.

제 2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의 신규한 디부프레노핀 디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를 제공한다:In a second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novel dibuprenopine dicarboxyl ester derivatives of the formula

Figure 112002040015118-pat00003
Figure 112002040015118-pat00003

상기 식에서,Where

R1은 페닐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기의 2가 잔기이다.R 1 is a divalent residue of a saturated or unsaturated aliphatic group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 phenyl group.

제 3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신규한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a third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for preparing the novel buprenopine ester derivative described above.

화학식 1의 부프레노핀 모노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Th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 buprenopine monocarboxyl ester derivative of formula 1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ⅰ) 염화 메틸렌의 존재하에서 부프레노핀 HCl 또는 염기를 트리메틸아민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Iii) treating buprenopine HCl or base with trimethylamine in the presence of methylene chloride; And

(ⅱ) 염화 메틸렌의 존재하에서 상기 단계 (ⅰ)로부터의 혼합물에 식 RCOOH(여기서, R은 아릴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기, 및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의 화합물, 또는 그의 산 무수물 또는 산 염화물을 첨가하는 단계.(Ii) in the mixture from step (iii) in the presence of methylene chloride, the formula RCOOH, wherein R is a straight or branched saturated or unsaturated aliphatic group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n aryl group, and a straight or branched saturated Or an aryl group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n unsaturated aliphatic group), or an acid anhydride or acid chloride thereof.

화학식 2의 디부프레노핀 디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The process for preparing the dibuprenopine dicarboxyl ester derivative of formula (II)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ⅰ') 염화 메틸렌의 존재하에서 부프레노핀 HCl 또는 염기를 트리메틸아민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Iii ′) treating buprenopine HCl or base with trimethylamine in the presence of methylene chloride; And

(ⅱ') 염화 메틸렌의 존재하에서 상기 단계 (ⅰ')로부터의 혼합물에 식 R1(COOH)2(여기서, R1은 페닐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기의 2가 잔기이다)의 화합물, 또는 그의 산 무수물 또는 산 염화물을 첨가하는 단계.(Ii ') to the mixture from step (iii') in the presence of methylene chloride, of the formula R 1 (COOH) 2 , wherein R 1 is a divalent moiety of a saturated or unsaturated aliphatic group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 phenyl group; Adding the compound, or acid anhydride or acid chloride thereof.

제 4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화학식 1의 부프레노핀 모노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 또는 화학식 2의 디부프레노핀 디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를 포함하는 진통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 fourth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alges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buprenopine monocarboxyl ester derivative of Formula 1 or a dibuprenopine dicarboxyl ester derivative of Formula 2 as described above.

제 5 양태에서, 본 발명은, 근육내 또는 피하 투여시 보다 장시간의 작용 시간을 나타내는, 부프레노핀 염기, 화학식 1의 부프레노핀 모노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 및 화학식 2의 디부프레노핀 디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주사가능한 오일 현탁제를 제공한다.In a fifth aspect, the invention provides a buprenopine base, a buprenopine monocarboxyl ester derivative of formula (1), and a dibuprenopine dicarboxyl ester of formula (2), which exhibit a longer duration of action upon intramuscular or subcutaneous administration. Injectable oil suspending agents containing a compound selected from the derivatives are provided.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기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Thes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근육내 및 정맥내 투여용 부프레노핀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비경구 용액(0.3 ㎎ 부프레노핀/㎖)은 부프레넥스 RTM.(레킷트 앤드 콜만)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13세 이상의 성인에게 있어 보통의 동통으로부터 심한 동통까지의 동통을 완화시키는데 요구되는 통상적인 근육내 또는 정맥내 투약량은 6 내지 8시간마다 0.3㎎이다. 2 내지 12세의 소아 투약량은 4 내지 6시간마다 체중 1kg당 2 내지 6㎍이 된다. 체중 1kg당 2 내지 4㎍ 또는 0.2 내지 0.3㎎의 1회분 근육내 또는 정맥내 투약 후의 평균 진통 시간은 일반적으로 6시간이다. Parenteral solutions of buprenophine hydrochloride (0.3 mg buprenopine / ml) for intramuscular and intravenous administration are commercially available as Buprenex RTM. (Recket and Coleman). For adults 13 years of age and older, the typical intramuscular or intravenous dose required to relieve pain from normal to severe pain is 0.3 mg every 6 to 8 hours. Pediatric dosages of 2-12 years old are 2-6 μg / kg body weight every 4-6 hours. The average analgesic time after intramuscular or intravenous dosing at 2-4 μg or 0.2-0.3 mg / kg body weight is generally 6 hours.

비경구 및 설하 투여된 부프레노핀의 약물동태학이 공지되어 있다. 부프레노핀 약 0.3㎎의 1회 투약량을 정맥내 투여하면, 약 2분 이내에 18ng/㎖의 평균 피크(peak) 혈장 약물 농도가 제공되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혈장 약 5분 및 3시간 후에 각각 약 9 및 약 0.4ng/㎖로 감소하였다. 초기 정맥내 투약한지 3시간 후, 두 번째로 0.3㎎ 투약량을 근육내 투여한 후에, 약 2 내지 5분 이내에 약 3.6ng/㎖의 평균 피크 혈장 부프레노핀 농도가 되며 약 3시간 후에는 0.4ng/㎖로 감소하였다. 투여 약 10분 경과 후, 부프레노핀의 혈장 농도는 정맥내 또는 근육내 주사후와 유사하였다. 통상적인 부프레노핀의 설하 진통제 투약량은 8시간마다 0.2 내지 0.4㎎인 것으로 이전에 보고된 바 있다(예컨대, 쿨만(Kuhlman JJ) 등의 문헌 [J. Analyt. Toxicol. (1996), 20(10):369-378]을 참조). 0.4㎎의 설하 투약량에 대해, Cmax는 0.5±0.06ng/㎖; Tmax는 210±40분; 전신계 이용율(systemic availability)은 57.7±6%인 것으로 보고되었다.The pharmacokinetics of buprenophine administered parenterally and sublingually is known.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a single dosage of about 0.3 mg of buprenophine has been shown to provide an average peak plasma drug concentration of 18 ng / ml within about 2 minutes. After about 5 minutes and 3 hours plasma reduced to about 9 and about 0.4 ng / ml respectively. Three hours after the initial intravenous dose, after a second 0.3 mg dose intramuscularly, an average peak plasma buprenopine concentration of about 3.6 ng / ml within about 2 to 5 minutes and 0.4 ng after about 3 hours Reduced to / ml. After about 10 minutes of administration, the plasma concentration of buprenopine was similar to that after intravenous or intramuscular injection. Conventional sublingual analgesic dosages of buprenopine have been previously reported to be 0.2 to 0.4 mg every 8 hours (see, eg, Kuhlman JJ et al., J. Analyt. Toxicol. (1996), 20 (10). ): 369-378). For a sublingual dose of 0.4 mg, C max is 0.5 ± 0.06 ng / ml; T max is 210 ± 40 min; Systemic availability was reported to be 57.7 ± 6%.

부프레노핀은 간에서 주로 N-탈알킬반응에 의해 거의 완전하게 물질 대사되어 노르부프레노핀(N-데알킬부르레노핀)(norbuprenorphine)(N-dealkylbuprenophine)을 형성한다. 부프레노핀 및 노르부프레노핀은 또한 글루쿠론산과 공액결합하게 된다. 다른 아편양 작용물질의 대사 산물과 같이, 노르부프레노핀은 약한 진통 활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부프레노핀 대사 산물의 진통 활성을 측정하려는 연구는 수행된 바 없다. 부프레노핀 및 그의 대사 산물은 대변에서 담즙의 제거를 통해 주로 배출되며, 또한 소변으로도 배출된다. 부프레노핀은 대변에서 대부분이 불변한 약물 상태로 배출된다. 소량의 노르부프레노핀 또한 대변으로 배출된다. 약품 및 그의 대사 산물은 장간 순환(enterohepatic circulation)을 거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르부프레노핀은 주로 모체 약물보다 느린 속도로 소변으로 배출됨을 보인다. 수술 후 의식이 있는 환자에게서 부프레노핀의 총 혈장 제거율이 약 0.28ℓ/분으로 보고된다. 한정된 데이터에서, 어린이들에게서는 부프레노핀의 약물동태학이 개인간에 상당한 다양성이 존재함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어린이들(예컨대, 5 내지 7세의 어린이들)의 경우 어른에 비해 약물이 빠르게 제거되는 것으로 보인다. 부프레노핀의 최적 투약 간격은 소아 환자의 경우 좁혀져야 한다.Buprenopine is metabolized almost completely by the N-dealkylation reaction mainly in the liver to form norbuprenorphine (N-dealkylbuprenophine). Buprenopine and norbuprenopine are also conjugated to glucuronic acid. Like metabolites of other opioid agonists, norbuprenopine may have mild analgesic activity. However, no attempt has been made to determine the analgesic activity of buprenopine metabolites. Buprenopine and its metabolites are excreted mainly through the removal of bile from the feces and also into the urine. Buprenophine is excreted in the most unchanging drug state in feces. Small amounts of norbuprenopine are also excreted in feces. Drugs and their metabolites are known to undergo the enterohepatic circulation. Norbuprenopine is shown to be excreted in the urine at a slower rate than the parent drug. The total plasma clearance of buprenopine is reported to be about 0.28 L / min in conscious patients after surgery. Limited data indicate that in children, the pharmacokinetics of buprenophine vary considerably among individuals. However, children (eg children 5-7 years old) appear to have a faster drug removal than adults. The optimal dosing interval for buprenopine should be narrowed in pediatric patients.

전술한 관점에서, 본 출원인은 부프레노핀의 작용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부프레노핀 HCl과 동일한 진통 작용을 가짐이 증명된 신규한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부프레노핀 염기 및 신규한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일관적으로 방출되도록 개발하였다. 이들 조성물은 비교적 신속한 작용 개시(2시간 이내)와 함께 수일의 지속성 진통 효과를 나타냄이 입증되었다.In view of the foregoing, Applicants have endeavored to prolong the action time of buprenopine and have synthesized novel buprenopine ester derivatives which have proven to have the same analgesic action as buprenopine HCl.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ound selected from the buprenopine base and the novel buprenopine ester derivativ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for consistent release. These compositions have been demonstrated to have a sustained analgesic effect of several days with relatively rapid onset of action (within 2 hours).

모르핀 고리(모르핀, 부프레노핀, 날부핀 등의 기본 구조)의 3번 탄소 원자 상의 페놀기의 에스테르화는, 에스테르화 유도체가 하기 특징을 가질 수 있게 한다: (1) 친유성이 증가되고; (2) 모르핀 수용체에 대해 낮은 친화도를 갖고; (3) 부작용이 감소되지만, 방출된 모체 약물은 동일한 약물동태학적 활성을 유지하고; 및 (4) 에스테르화 유도체 및 모화합물의 효과 및 안전성이 동일하게 남아 있다(브로엑캄프(Broekkamp CL) 등의 문헌 [J. Pharm. Pharmacol, 1988, 40: 434-7]).The esterification of the phenol group on carbon number 3 of the morphine ring (basic structure of morphine, buprenopine, nalbuphine, etc.) allows the esterified derivative to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lipophilicity is increased; (2) has a low affinity for morphine receptors; (3) side effects are reduced, but the released parent drug retains the same pharmacokinetic activity; And (4) the effects and safety of esterified derivatives and parent compound remain the same (Broekkamp CL et al., J. Pharm. Pharmacol, 1988, 40: 434-7).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신규한 부프레노핀 모노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novel buprenopine monocarboxyl ester derivatives of Formula 1: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02040015118-pat00004
Figure 112002040015118-pat00004

상기 식에서,Where

R은 아릴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기, 및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되, 단 R은 메틸, 에틸, 프로필, n-부틸, n-펜틸, n-헥실 및 이소프로필로부터는 선택되지 않는다.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raight or branched saturated or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ryl groups, and aryl groups optionally substituted with straight or branched saturated or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with R being methyl, ethyl , Propyl, n-butyl, n-pentyl, n-hexyl and isopropyl.

바람직하게, R은 페닐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알킬기이다.Preferably, R is an alkyl group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 phenyl group.

바람직하게, R은 탄소수 2 내지 40의 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5 내지 20의 알킬기이다.Preferably, R is an alkyl group having 2 to 40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an alkyl group having 5 to 20 carbon atoms.

바람직하게, R은 페닐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직쇄형 알킬기, 페닐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분지형 알킬기, 직쇄형 지방족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기, 및 분지형 지방족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Preferably, 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traight alkyl group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 phenyl group, a branched alkyl group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 phenyl group, a phenyl group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 straight aliphatic group, and a phenyl group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 branched aliphatic group d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R은 식 RCOOH의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알킬 잔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R은 탄소수 2 내지 40(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의 페닐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알킬기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R is an alkyl moiety derived from a fatty acid of the formula RCOOH. More preferably, R is an alkyl group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 phenyl group having 2 to 40 carbon atoms (preferably 5 to 20).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부프레노핀 모노카복실 에스테르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카복실산, 및 부프레노핀으로부터 제조된다: 프로피온산, 벤조산, 에난트산(enanthic acid), n-발레르산, 피발산, 데카노산; 포화 지방산, 예컨대 라우르산, 팔미토일산(palmitoyl acid), 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및 세로트산 등; 및 불포화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 리놀렌산, 운데실렌산 및 신남산 등.Preferred buprenopine monocarboxylic ester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prepared from carboxylic aci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d buprenopine: propionic acid, benzoic acid, enanthic acid, n-valeric acid, pivalic acid, decanoic acid; 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lauric acid, palmitoyl acid, stearic acid, arachidic acid and seric aci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oleic acid, linolenic acid, undecylenic acid and cinnamic acid.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부프레노핀 모노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는 부프레노핀 피발레이트, 부프레노핀 벤조에이트, 부프레노핀 데카노에이트 및 부프레노핀 팔미테이트로부터 선택된다.Preferably, the buprenopine monocarboxyl ester derivativ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elected from buprenopine pivalate, buprenopine benzoate, buprenopine decanoate and buprenopine palmitate.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2의 신규한 디부프레노핀 디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novel dibuprenopine dicarboxyl ester derivatives of Formula 2:

화학식 2Formula 2

Figure 112002040015118-pat00005
Figure 112002040015118-pat00005

상기 식에서,Where

R1은 페닐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기의 2가 잔기이다.R 1 is a divalent residue of a saturated or unsaturated aliphatic group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 phenyl group.

바람직하게, 지방족기는 직쇄형 알킬기, 분지형 알킬기, 페닐기로 치환된 직쇄형 알킬기, 및 페닐기로 치환된 분지형 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지방족기는 탄소수 1 내지 4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20이다.Preferably, the aliphatic group is selected from straight chain alkyl groups, branched alkyl groups, straight chain alkyl groups substituted with phenyl groups, and branched alkyl groups substituted with phenyl groups. Preferably, the aliphatic group has 1 to 40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1 to 20 carbon atoms.

바람직하게, R1은 탄소수 1 내지 40(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의 알킬렌기이다.Preferably, R 1 i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40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3 to 20).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디부프레노핀 디카복실 에스테르는 부프레노핀 및 C5-C20의 지방족 디카복실산으로부터 제조된다.Preferably, the dibuprenopine dicarboxylic est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prepared from buprenopine and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of C 5 -C 20 .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디부프레노핀 디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는 디부프레노핀 피멜레이트 및 디부프레노핀 세바코일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다.Preferably, the dibuprenopine dicarboxyl ester derivativ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elected from dibuprenopine pimelate and dibuprenopine sebacoyl ester.

부프레노핀 염기는 그의 HCl 염으로부터 제조되었다. 소정량의 시판용 부프레노핀 HCl을 수중에 용해시킨 후, Na2CO3의 포화 용액을 첨가하면, 부프레노핀 염기가 침전되었다. 그 다음, 상기 침전물을 여과하고, 차가운 탈이온수로 수회 세척하여 과량의 Na2CO3를 제거하였다. 그 다음, 백색의 잔여물을 대기 중에서 밤새도록 건조시켰다. 건조된 잔여물을 물:에탄올(80:20)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60 ℃로 가열하여 유리 염기를 용해시킨 후, 곧바로 여과하였다. 냉각됨에 따라, 부프레노핀 염기가 결정화되었다. 그 다음, 상기 결정질 생성물을 여과하고, 질소를 완만하게 흘려주면서 건조하였다. 염기의 순도는 융점 및 HPLC 검정으로 체크하였다. 염기의 융점은 209 ℃이었으며, 이는 사실상 문헌에 보고된 바와 동일한 것이었다. HPLC 검정에 의해 측정된 염기의 순도는 99 %이었다.Buprenopine base was prepared from its HCl salt. After dissolv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commercial buprenophine HCl in water and then adding a saturated solution of Na 2 CO 3 , the buprenopine base precipitated. The precipitate was then filtered and washed several times with cold deionized water to remove excess Na 2 CO 3 . The white residue was then dried overnight in the atmosphere. The dried residue was added to a mixture of water: ethanol (80:20), heated to 60 ° C. to dissolve the free base, and immediately filtered. As cooled, the buprenopine base crystallized. The crystalline product was then filtered and dried with gentle flowing of nitrogen. The purity of the base was checked by melting point and HPLC assay. The melting point of the base was 209 ° C., which was in fact the same as reported in the literature. The purity of the base measured by HPLC assay was 99%.

화학식 1의 부프레노핀 모노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The buprenopine monocarboxylic ester derivative of formula 1 can be prepared by a process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ⅰ) 염화 메틸렌의 존재하에서 부프레노핀 HCl 또는 염기를 트리메틸아민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Iii) treating buprenopine HCl or base with trimethylamine in the presence of methylene chloride; And

(ⅱ) 염화 메틸렌의 존재하에서 상기 단계 (ⅰ)로부터의 혼합물에 식 RCOOH(여기서, R은 아릴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기, 및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의 화합물, 또는 그의 산 무수물 또는 산 염화물을 첨가하는 단계.(Ii) in the mixture from step (iii) in the presence of methylene chloride, the formula RCOOH, wherein R is a straight or branched saturated or unsaturated aliphatic group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n aryl group, and a straight or branched saturated Or an aryl group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n unsaturated aliphatic group), or an acid anhydride or acid chloride thereof.

바람직하게, 탄소수 1 내지 40(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의 지방족 카복실산, 또는 그의 산 무수물 또는 산 염화물이 상기 단계 (ⅱ)에서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포화 C5-C20 지방족 카복실산이 상기 단계 (ⅱ)에서 사용된다.Preferably, aliphatic carboxylic acids having 1 to 40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5 to 20), or acid anhydrides or acid chlorides thereof, are used in step (ii) above. More preferably, saturated C 5 -C 20 aliphatic carboxylic acid is used in step (ii) abo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헵타노일 클로라이드가 단계 (ⅱ)에서 사용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ptanoyl chloride is used in step (ii).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데카노일 클로라이드가 단계 (ⅱ)에서 사용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decanoyl chloride is used in step (ii).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피발로일(pivaloyl) 클로라이드가 단계 (ⅱ)에서 사용된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pivaloyl chloride is used in step (ii).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헥사데카노일 클로라이드가 단계 (ⅱ)에서 사용된다.In another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xadecanoyl chloride is used in step (ii).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벤조일 클로라이드가 단계 (ⅱ)에서 사용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nzoyl chloride is used in step (ii).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2의 부프레노핀 폴리에스테르 유도체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The buprenopine polyester derivative of Formula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by a process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ⅰ') 염화 메틸렌의 존재하에서 부프레노핀 HCl 또는 염기를 트리메틸아민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Iii ′) treating buprenopine HCl or base with trimethylamine in the presence of methylene chloride; And

(ⅱ') 염화 메틸렌의 존재하에서 상기 단계 (ⅰ')로부터의 혼합물에 식 R1(COOH)2(여기서, R1은 페닐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기의 2가 잔기이 다)의 화합물, 또는 그의 산 무수물 또는 산 염화물을 첨가하는 단계.(Ii ') to the mixture from step (iii') in the presence of methylene chloride, of the formula R 1 (COOH) 2 , wherein R 1 is a divalent moiety of a saturated or unsaturated aliphatic group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 phenyl group; Adding the compound, or acid anhydride or acid chloride thereof.

바람직하게, 탄소수 3 내지 40(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의 지방족 디카복실산, 또는 그의 산 무수물 또는 산 염화물이 상기 단계 (ⅱ')에서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포화 C5-C20의 지방족 디카복실산이 상기 단계 (ⅱ')에서 사용된다.Preferably,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having 3 to 40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5 to 20), or acid anhydrides or acid chlorides thereof, are used in step (ii ') above. More preferably, saturated C 5 -C 20 aliphatic dicarboxylic acid is used in step (ii ′) abo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헵탄디오아틸(heptanedioatyl) 클로라이드가 상기 단계 (ⅱ')에서 사용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ptanedioatyl chloride is used in step (ii ') above.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세바코일산이 단계 (ⅱ')에서 사용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ebacoylic acid is used in step (ii ').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각각 표기되는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를 합성하기 위하여, 부프레노핀 HCl 또는 염기를 염화 메틸렌에 용해시킨 후, 염화 메틸렌 중의 트리메틸아민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에 염화 메틸렌 중의 식 R(COOH)2 또는 R1(COOH)2의 화합물의 용액을 적가하였다.In order to synthesize the buprenopine ester derivatives represented by the formulas (1) and (2), respectively, buprenopine HCl or a base was dissolved in methylene chloride, and then a solution of trimethylamine in methylene chloride was added. To the mixture was added dropwise a solution of the compound of formula R (COOH) 2 or R 1 (COOH) 2 in methylene chloride.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결됨과 동시에,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을 통과시켜 정제하고,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기되는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를 수득하였다.At the same time as the esterification reaction was completed, the product was purified by passing through a silica gel column to obtain a buprenopine ester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or (2).

다르게는, 본 발명의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는 알코올 또는 페놀로부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제조 방법, 예컨대 부프레노핀의 하이드록시기를 식 R(COOH)2 또는 식 R1(COOH)2의 화합물의 산 염화물, 산 무수물, 에스테르 또는 설포 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buprenopine ester deriva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by the general process for preparing esters from alcohols or phenols, such as the hydroxy groups of buprenopine with the acid of the compound of formula R (COOH) 2 or formula R 1 (COOH) 2 . It can be obtained by reacting with chlorides, acid anhydrides, esters or sulfonyl chlorides.

전술된 방법에 의해 합성된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는 핵자기 공명(NMR), 적외선(IR) 및 자외선(UV) 분광법,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GC/MS) 및 원소 분석에 의해서 규명되었다.Buprenopine ester derivatives synthesized by the methods described above have been characterized 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infrared (IR) and ultraviolet (UV) spectroscopy,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GC / MS) and elemental analysis.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는 기술된 바와 상이한 투약 형태로 배합될 수 있다.Buprenopine ester derivatives can be formulated in different dosage forms as described.

일반적으로, 표적물의 지속성 치료 효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표적 약물이 오일 비히클중에 에스테르화 또는 용해되어 비경구적 제형으로 형성되는 다양한 투약 형태를 제조할 수 있어서, 인간 또는 동물의 체내에 투여됨에 따라, 표적 약물의 방출 속도는 오일 안에서 표적 약물의 증가된 용해도와 같은 몇몇 인자의 영향으로 인해 감소될 수 있다. 이들 경우에, 표적 약물의 투약 간격은 그의 지속된 작용 시간에 의해 더욱 길게 설정될 수 있다.In general, to achieve sustained therapeutic efficacy of a target, a variety of dosage forms can be prepared in which the target drug is esterified or dissolved in an oil vehicle to form a parenteral formulation, and as administered to the body of a human or animal, The release rate of the drug may be reduced due to the effects of several factors, such as the increased solubility of the target drug in the oil. In these cases, the dosing interval of the target drug may be set longer by its duration of action.

겔더즈(Gelders)는 문헌 [Int. Clin. Phychophacol (1986), volume 1, page 1]에서, 힌코(Hinko C.N.) 등은 문헌 [Neuropharmacology (1998), volume 27, page 475]에서, 주사가능한 오일, 예컨대 참기름 또는 콩기름중의 할로페리돌 데카노에이트의 방출-조절 투약 형태로의 배합, 및 2 내지 4회/일의 투약 간격을 1 내지 2회/월로 투약 간격을 연장시킴으로 인한 지속적인 진통 효과를 보고하였다.Gelders is described in Int. Clin. In Phychophacol (1986), volume 1, page 1, Hinko CN et al., In Neuropharmacology (1998), volume 27, page 475, describe the incorporation of haloperidol decanoate in injectable oils such as sesame oil or soybean oil. The sustained analgesic effect has been reported due to the formulation in a release-controlled dosage form, and to prolong the dosing interval from 1 to 2 times / month to 2 to 4 times / day.

노르만(Norman T. R.)은 문헌 [Int. Clin. Phychopharmacol. (1987), volume 2, pp. 229-305]에서 플루페나진으로부터 플루페나진 데카노에이트의 제조를 보고하였다. 힌코는 문헌 [Neuropharmacology (1988), volume 27, pp. 475-483]에서 니펙트산(nipectic acid) 에스테르의 제조를 보고하였다. 브로엑캄프는 문헌 [J. Pharm. Pharmacol. (1998), volume 40, pp. 434-437]에서 모르핀으로부터 니코티노일 모르핀 에스테르의 제조를 보고하였다. 조쉬(Joshi, J.V.) 등은 문헌 [Steroids (1989), volume 53, pp. 751-761]에서 노르티스테론 에넨테이트(northisterone enenthate)의 전구체 제조를 보고하였으며, 이는 투약 간격을 2개월까지 연장하여 설정할 수 있다.Norman T. R., Int. Clin. Phychopharmacol. (1987), volume 2, pp. 229-305 reported the production of flufenazine decanoate from flufenazine. Hinco et al., Neuropharmacology (1988), volume 27, pp. 475-483 reported the preparation of nipectic acid esters. Broekkamp is described in J. Pharm. Pharmacol. (1998), volume 40, pp. 434-437 reported the preparation of nicotinoyl morphine esters from morphine. Josh, J. V. et al., Steroids (1989), volume 53, pp. 751-761 reported the preparation of precursors of nortisterone enenthate, which can be established by extending the dosing interval up to two months.

그러나, 자연에 존재하는 미지의 요인으로 인해, 오일 비히클로부터 표적 약물의 빠른 방출이 때때로 야기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테스토스테론 현탁제를 근육내 투여 시, 테스토스테론은 빠르게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타카나(Takana, T.)의 문헌 [Chem. Pharm. Bull. (1974), vol. 22, pp. 1275-1284]). 티툴라에(Titulaer, H.A.C.)는 근육내, 정맥내, 경구 또는 직장 투여를 위한 다양한 투약 형태로 제조하기 위하여, 비경구 투여용 오일에 아테미시닌(artemisinin)을 첨가하는 것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상기 약물은 이러한 투약 형태로부터 빠르게 방출되었다(문헌 [J. Pharm. Pharmacol. (1990), vol. 42, pp. 810-813]). 주이데마(Zuidema, Z.) 등은 문헌 [International J. of Pharmaceutics (1994), Vol. 105, pp. 189-207]에서 비경구 투여용 투약 형태의 방출 속도와 방출량이 매우 불규칙적이고 다양함을 보고하였다.However, due to unknown factors present in nature, rapid release of the target drug from the oil vehicle can sometimes result. For example, when testosterone suspensions are administered intramuscularly, testosterone is known to release rapidly (Cak. Pharm. Bull. (1974), vol. 22, pp. 1275 by Takana, T.). -1284]). Titulaer (H.A.C.) reported the addition of atemisinin to parenteral oils for preparation in various dosage forms for intramuscular, intravenous, oral or rectal administration. However, the drug was rapidly released from this dosage form (J. Pharm. Pharmacol. (1990), vol. 42, pp. 810-813). Zuidema, Z. et al., International J. of Pharmaceutics (1994), Vol. 105, pp. 189-207] reported very irregular and varied release rates and dosages for dosage form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상기 언급된 연구에 따르면, 오일 비히클중에 현탁 또는 용해시킨 약학 조성물을 함유하는 투약 형태가 치료 효과의 기간을 확실하게 연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지속성 투약 형태를 수득할 목적으로 표적 약물을 오일 비히클 안으로 첨가하려는 시도에서는, 표적 약품의 물리적 용해도, 안정성, 및 이러한 비히클로부터의 방출 속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studies, dosage forms contain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spended or dissolved in an oil vehicle do not appear to significantly prolong the duration of the therapeutic effect. In general, in attempts to add a target drug into an oil vehicle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sustained dosage form,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physical solubility, stability, and release rate of the target drug from the vehicle.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프레노핀의 작용 시간을 연장시키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본 출원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부프레노핀 염기, 화학식 1의 부프레노핀 모노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 및 화학식 2의 디부프레노핀 디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주사가능한 오일을, 주사가능한 오일 및 선택적으로 약학적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혼합되어 함유하는 진통제 약학 제조물을 제공하였다. 이 제조물에서는 그에 함유된 화합물이 동통을 완화시키는 작용 시간을 더욱 길어지게 한다.As mentioned abov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prolonging the action time of buprenopine, the present applicant,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application, uses the buprenopine base, the buprenopine monocarboxylic ester derivative of formula (1) and the formula An analgesic pharmaceutical preparation is provided which contains an injectable oil containing a compound selected from the dibuprenopine dicarboxyl ester derivative of 2 in admixture with an injectable oil and optionally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 In this preparation, the compounds contained therein have longer action times to alleviate pain.

주사 제조물의 비히클로서 작용하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주사가능한 오일의 예로는, 참기름, 콩기름, 피마자유, 면실유, 땅콩유 또는 땅콩유의 에틸 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조합물이 포함된다. 주사가능한 오일 제조물은 근육내 또는 피하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Examples of injectable oils suitabl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serve as vehicles of injectable preparations include sesame oil, soybean oil, castor oil, cottonseed oil, peanut oil or ethyl esters of peanut oil, or combinations thereof. Injectable oil preparations may be administered intramuscularly or subcutaneously.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 및 부프레노핀 염기의 지속성 투약 형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부프레노핀 염기, 또는 전술된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는 주사가능한 오일 비히클과 혼합되고 선택적으로는 약제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가 첨가되어 방출-조절 투약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 novel buprenopine ester derivatives and the sustained dosage forms of the buprenopine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buprenopine base, or the buprenopine ester of Formula 1 or Formula 2 described above Derivatives may be mixed with injectable oil vehicles and optionally formed into controlled release dosage forms with the addition of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conventional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s.

본 발명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존재한다면 벤질 알코올 또는 클로로부타놀, 또는 그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are selected from benzyl alcohol or chlorobutanol, or combinations thereof, if present.

본 발명의 지속성 비경구 투약 형태는 수일에 1회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속성 비경구 투약 형태를 더 많은 양으로 투여하는 경우에도,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의 발생이 최소화되었다.Sustained parenteral dosage forms of the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nly once every few days. Even when the sustained parenteral dosage for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dministered in higher amounts, the occurrence of undesirable effects is minimized.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이점은 작용 시간이 연장되고, 작용의 빠른 개시(2시간 이내), 및 치료의 질적 향상을 이루게 하는 안전성에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동통으로 고통받는 환자에 대해서 6 내지 8시간 대신 수일의 투여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advantages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 the prolongation of the action time, the rapid onset of action (within 2 hours), and the safety of achieving a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treatment.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t at intervals of several days instead of 6 to 8 hours for patients suffering from pain.

실시예:Example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해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present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하기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의 화학 구조를 나타낸다:Table 1 below shows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preferred buprenopine ester derivativ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112002040015118-pat00006
Figure 112002040015118-pat00006

Bup : 부프레노핀Bup: Buprenopine

표 1에 나열된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는 공지된 적합한 방법에 의해, 예컨대 미국 특허 제 5,750,534 호 및 제 6,225,321 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The buprenopine ester derivatives listed in Table 1 may be synthesized by known suitable methods, such as those disclosed in US Pat. Nos. 5,750,534 and 6,225,321.

합성예 1. 부프레노핀 에난테이트의 제조Synthesis Example 1 Preparation of Buprenopine Enanthate

염화 메틸렌(미국 베이커 소재의 말린크로드(Mallinckrodt)) 75㎖ 및 부프레노핀 HCl 또는 염기 0.01몰을, 냉각을 위해 얼음조에 둔 250㎖ 환저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고, 트리메틸아민(미국 미저리주 소재의 시그마(Sigma)) 0.03몰을 포함하는 염화 메틸렌 20㎖를 점진적으로 첨가하였다. 빠른 교반과 동시에, 헵타노일 클로라이드(미국 밀키웨이 소재의 알드리치(Aldrich)) 0.011몰을 포함하는 염화 메틸렌 20㎖를 추가로 적가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10% 탄산나트륨 용액 20㎖를 첨가하여 잔여 산을 중화시키고, 수용성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황산나트륨을 사용하여 용액의 수분을 제거하였다. 진공하에서 건조한 후, 표제 화합물, 즉 부프레노핀 에난테이트를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75 ml of methylene chloride (Mallinckrodt, Baker, USA) and 0.01 mole of buprenopine HCl or base were added to a 250 ml round bottom flask placed in an ice bath for cooling. The mixture was stirred and gradually added 20 ml of methylene chloride containing 0.03 mole of trimethylamine (Sigma, Missouri, USA). Simultaneously with rapid stirring, 20 ml of methylene chloride containing 0.011 mole of heptanoyl chloride (Aldrich, Milkyway, USA) was added dropwise. The mixture was then stirred at rt for 1 h. 20 ml of 10% sodium carbonate solution was then added to neutralize the residual acid and remove water soluble impurities. Sodium sulfate was used to remove water from the solution. After drying in vacuo, the title compound, ie buprenopine enanthate, was obtained. The product was purified by column chromatography.

생성된 표제 화합물을 표제 화합물의 1H-NMR 스펙트럼 도표, 질량 분석 도표, UV 도표, 및 IR 도표를 각각 나타내는 도 1, 2, 3 및 4에 의해 확인하였다.The resulting title compound was identified by FIGS. 1, 2, 3 and 4 showing the 1 H-NMR spectral plot, mass spectrometry plot, UV plot, and IR plot, respectively, of the title compound.

표제 화합물의 검출된 특성:Detected characteristics of the title compound:

대표적인 1H-NMR (400MHz, CDCl3) : 6.71 (d, 1H, J=8.1Hz), 6.52 (d, 1H, J=8.0Hz), 5.83 (s, 1H), 4.35 (s, 1H), 3.40 (s, 3H), 2.99-2.80 (m, 3H), 2.59-2.43 (m, 3H), 2.28-1.59 (m, 11H), 1.35-0.41 (m, 33H).Representative 1 H-NMR (400 MHz, CDCl 3 ): 6.71 (d, 1H, J = 8.1 Hz), 6.52 (d, 1H, J = 8.0 Hz), 5.83 (s, 1H), 4.35 (s, 1H), 3.40 (s, 3H), 2.99-2.80 (m, 3H), 2.59-2.43 (m, 3H), 2.28-1.59 (m, 11H), 1.35-0.41 (m, 33H).

대표적인 질량 분절 (amu) : 580, 564, 523, 490, 478, 464, 378, 113, 84, 55 (GC-MS 분광계(스펙트럼 RXI, 퍼킨 엘머(Perkin Elmer), 영국)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Representative mass segments (amu): 580, 564, 523, 490, 478, 464, 378, 113, 84, 55 (detected using a GC-MS spectrometer (spectrum RXI, Perkin Elmer, UK)) .

대표적인 IR 흡수 (㎝-1) : 3441.2, 3076.6, 2929.9, 1763.2, 1610.8 (FT-IR 분광계(스펙트럼 RXI, 퍼킨 엘머, 영국)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Representative IR absorption (cm −1 ): 3441.2, 3076.6, 2929.9, 1763.2, 1610.8 (detected using FT-IR spectrometer (spectrum RXI, Perkin Elmer, UK)).

추가로, 표제 화합물의 물리적 특성은 하기 표 2에 제시된다.In additi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itle compounds are shown in Table 2 below.

합성예 2. 부프레노핀 데카노에이트의 제조Synthesis Example 2 Preparation of Buprenopine Decanoate

표제 화합물은, 헵타노일 클로라이드 대신 데카노일 클로라이드(스위스 부흐 소재의 플루카(Fluka)) 0.011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에서 기술된 절차에 따라 제조되었다. 순수 부프레노핀 데카노에이트를 수득하였다(표제 화합물의 1H-NMR 스펙트럼 도표, 질량 분석 도표, UV 도표, 및 IR 도표를 각각 나타내는 도 5, 6, 7 및 8을 참조한다).The title compound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Synthesis Example 1 above, except that 0.011 mole of decanoyl chloride (Fluka, Buch, Switzerland) was used instead of heptanoyl chloride. Pure buprenophine decanoate was obtained (see FIGS. 5, 6, 7 and 8 showing 1 H-NMR spectral plot, mass spectrometry plot, UV plot, and IR plot, respectively, of the title compound).

표제 화합물의 검출된 특성:Detected characteristics of the title compound:

대표적인 1H-NMR (400MHz, CDCl3) : 6.76 (d, 1H, J=8.0Hz), 6.58(d, 1H, J=8.1Hz), 5.91 (s, 1H), 4.41 (s, 1H), 3.45 (s, 3H), 3.00 (m, 2H), 2.87 (m, 1H), 2.50(t, 2H, J=7.4Hz), 2.33-2.10 (m, 5H), 2.00-1.78 (m, 4H), 1.72-1.66 (m, 4H), 1.37-1.25 (m, 18H), 1.04 (m, 11H), 0.87(t, 3H, J=6.6Hz), 0.80 (m, 1H), 0.69 (m, 1H), 0.48 (m, 2H), 0.11 (m, 2H).Representative 1 H-NMR (400 MHz, CDCl 3 ): 6.76 (d, 1H, J = 8.0 Hz), 6.58 (d, 1H, J = 8.1 Hz), 5.91 (s, 1H), 4.41 (s, 1H), 3.45 (s, 3H), 3.00 (m, 2H), 2.87 (m, 1H), 2.50 (t, 2H, J = 7.4 Hz), 2.33-2.10 (m, 5H), 2.00-1.78 (m, 4H) , 1.72-1.66 (m, 4H), 1.37-1.25 (m, 18H), 1.04 (m, 11H), 0.87 (t, 3H, J = 6.6 Hz), 0.80 (m, 1H), 0.69 (m, 1H ), 0.48 (m, 2H), 0.11 (m, 2H).

대표적인 질량 분절 (amu) : 622, 607, 565, 533, 521, 507, 380, 55 (GC-MS 분광계(스펙트럼 RXI, 퍼킨 엘머, 영국)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Representative mass segments (amu): 622, 607, 565, 533, 521, 507, 380, 55 (detected using a GC-MS spectrometer (spectrum RXI, Perkin Elmer, UK)).

대표적인 IR 흡수 (㎝-1) : 3448.0, 3076.4, 2927.1, 1763.8, 1610.7 (FT-IR 분광계(스펙트럼 RXI, 퍼킨 엘머, 영국)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Representative IR absorption (cm −1 ): 3448.0, 3076.4, 2927.1, 1763.8, 1610.7 (detected using an FT-IR spectrometer (spectrum RXI, Perkin Elmer, UK)).

추가로, 표제 화합물의 물리적 특성은 하기 표 2에 제시된다.In additi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itle compounds are shown in Table 2 below.

합성예 3. 부프레노핀 피발레이트의 제조Synthesis Example 3 Preparation of Buprenopine Pivalate

염화 메틸렌 75㎖ 및 부프레노핀 HCl 또는 염기 0.01몰을 얼음조안의 250㎖ 환저 플라스크에 주입하였다. 염화 메틸렌 20㎖에 용해된 피발로일 클로라이드(미국 뉴저지 소재의 아크로스(Acros)) 0.011몰을 교반하에 상기 플라스크에 점진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합성예 1에서 기술된 절차에 따라, 순수 부프레노핀 피발레이트를 수득하였다(표제 화합물의 질량 분석 도표, UV 도표, 및 IR 도표를 각각 나타내는 도 9, 10 및 11을 참조한다).75 ml of methylene chloride and 0.01 mol of buprenopine HCl or base were injected into a 250 ml round bottom flask in an ice bath. 0.011 mole of pivaloyl chloride (Acros, NJ) dissolved in 20 ml of methylene chloride was gradually added to the flask under stirring.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Synthesis Example 1 above, pure buprenopine pivalate was obtained (see FIGS. 9, 10 and 11 showing the mass spectrometry plot, UV plot, and IR plot of the title compound, respectively).

표제 화합물의 검출된 특성:Detected characteristics of the title compound:

대표적인 질량 분절 (amu) : 552, 537, 519, 495, 463, 451, 436, 84, 57 (GC-MS 분광계(스펙트럼 RXI, 퍼킨 엘머, 영국)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Representative mass segments (amu): 552, 537, 519, 495, 463, 451, 436, 84, 57 (detected using a GC-MS spectrometer (spectrum RXI, Perkin Elmer, UK)).

대표적인 IR 흡수 (㎝-1) : 3439.2, 3077.1, 2976.6, 1753.0, 1610.2 (FT-IR 분광계(스펙트럼 RXI, 퍼킨 엘머, 영국)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Representative IR absorption (cm −1 ): 3439.2, 3077.1, 2976.6, 1753.0, 1610.2 (detected using FT-IR spectrometer (spectrum RXI, Perkin Elmer, UK)).

추가로, 표제 화합물의 물리적 특성은 하기 표 2에 제시된다.In additi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itle compounds are shown in Table 2 below.

합성예 4. 부프레노핀 팔미테이트의 제조Synthesis Example 4 Preparation of Buprenopine Palmitate

표제 화합물은, 헵타노일 클로라이드 대신 헥사데카노일 클로라이드 (미국 밀키웨이 소재의 알드리치) 0.011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에서 기술된 절차에 따라 제조되었다. 순수 부프레노핀 팔미테이트를 수득하였다(표제 화합물의 UV 도표 및 IR 도표를 각각 나타내는 도 12 및 13을 참조한다).The title compound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Synthesis Example 1 above, except that 0.011 mole of hexadecanoyl chloride (Aldrich, Milkyway, USA) was used instead of heptanoyl chloride. Pure buprenophine palmitate was obtained (see FIGS. 12 and 13 showing the UV and IR diagrams of the title compound, respectively).

표제 화합물의 검출된 특성:Detected characteristics of the title compound:

대표적인 IR 흡수 (㎝-1) : 3447.0, 3076.9, 2924.0, 1763.3, 1610.9 (FT-IR 분광계(스펙트럼 RXI, 퍼킨 엘머, 영국)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Representative IR absorption (cm −1 ): 3447.0, 3076.9, 2924.0, 1763.3, 1610.9 (detected using an FT-IR spectrometer (spectrum RXI, Perkin Elmer, UK)).

추가로, 표제 화합물의 물리적 특성은 하기 표 2에 제시된다.In additi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itle compounds are shown in Table 2 below.

합성예 5. 디부프레노핀 피멜레이트의 제조Synthesis Example 5 Preparation of Dibuprenopine Pimelate

표제 화합물은, 헵타노일 클로라이드 대신 헵탄디오아틸 클로라이드(미국 밀키웨이 소재의 알드리치) 0.006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에서 기술된 절차에 따라 제조되었다. 순수 디부프레노핀 피멜레이트를 수득하였다(표제 화합물의 UV 도표 및 IR 도표를 각각 나타내는, 도 14 및 15를 참조한다).The title compound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Synthesis Example 1 above, except that 0.006 mole of heptanedioatyl chloride (Aldrich, Milkyway, USA) was used instead of heptanoyl chloride. Pure dibuprenopine pimelate was obtained (see FIGS. 14 and 15, showing the UV and IR diagrams of the title compound, respectively).

표제 화합물의 검출된 특성:Detected characteristics of the title compound:

대표적인 IR 흡수 (㎝-1) : 3435.0, 3077.0, 2953.0, 1760.8, 1611.0 (FT-IR 분광계(스펙트럼 RXI, 퍼킨 엘머, 영국)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Representative IR absorption (cm −1 ): 3435.0, 3077.0, 2953.0, 1760.8, 1611.0 (detected using FT-IR spectrometer (spectrum RXI, Perkin Elmer, UK)).

추가로, 표제 화합물의 물리적 특성은 하기 표 2에 제시된다.In additi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itle compounds are shown in Table 2 below.

합성예 6. 디부프레노핀 세바코일 에스테르의 제조Synthesis Example 6 Preparation of Dibuprenopine Sebacoyl Ester

표제 화합물은, 헵타노일 클로라이드 대신 세바코일 클로라이드(스위스 부흐 소재의 플루카) 0.006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에서 기술된 절차에 따라 제조되었다. 순수 디부프레노핀 세바코일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표제 화합물의 1H-NMR 스펙트럼 도표, UV 도표 및 IR 도표를 각각 나타내는 도 16, 17 및 18을 참조한다).The title compound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Synthesis Example 1 above, except that 0.006 mole of sebacoyl chloride (Fluka, Buchs, Switzerland) was used instead of heptanoyl chloride. Pure dibuprenopine sebacoyl ester was obtained (see Figures 16, 17 and 18 showing the 1 H-NMR spectral plot, UV plot and IR plot, respectively, of the title compound).

표제 화합물의 검출된 특성:Detected characteristics of the title compound:

대표적인 1H-NMR (400MHz, CDCl3) : 6.75 (d, 2H, J=8.0Hz), 6.57(d, 2H, J=8.0Hz), 5.90 (s, 2H), 4.40 (s, 2H), 3.44 (s, 6H), 2.99 (m, 4H), 2.87 (m, 2H), 2.59 (m, 2H), 2.50 (t, 4H, J=7.6Hz), 2.32-2.23 (m, 8H), 2.10 (m, 2H), 2.00-1.66 (m, 16H), 1.36-1.26 (m, 18H), 1.05-1.01 (m, 22H), 0.80 (m, 2H), 0.69 (m, 2H), 0.47 (m, 4H), 0.10 (m, 4H).Representative 1 H-NMR (400 MHz, CDCl 3 ): 6.75 (d, 2H, J = 8.0 Hz), 6.57 (d, 2H, J = 8.0 Hz), 5.90 (s, 2H), 4.40 (s, 2H), 3.44 (s, 6H), 2.99 (m, 4H), 2.87 (m, 2H), 2.59 (m, 2H), 2.50 (t, 4H, J = 7.6 Hz), 2.32-2.23 (m, 8H), 2.10 (m, 2H), 2.00-1.66 (m, 16H), 1.36-1.26 (m, 18H), 1.05-1.01 (m, 22H), 0.80 (m, 2H), 0.69 (m, 2H), 0.47 (m , 4H), 0.10 (m, 4H).

대표적인 IR 흡수 (㎝-1) : 3453.3, 3077.2, 2931.9, 1760.0, 1611.3 (FT-IR 분광계(스펙트럼 RXI, 퍼킨 엘머, 영국)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Representative IR absorption (cm −1 ): 3453.3, 3077.2, 2931.9, 1760.0, 1611.3 (detected using an FT-IR spectrometer (spectrum RXI, Perkin Elmer, UK)).

추가로, 표제 화합물의 물리적 특성은 하기 표 2에 제시된다.In additi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itle compounds are shown in Table 2 below.

부프레노핀 HCl, 염기, 및 그의 에스테르 유도체의 물리적 특성Physical Properties of Buprenopine HCl, Bases, and Ester Derivatives thereof 화합물compound 분자량Molecular Weight 분자식Molecular formula 융점 (℃)Melting point (℃) 에스테르 결합 IR (㎝-1)Ester Bond IR (cm -1 ) 부프레노핀 HClBuprenopine HCl 504.11504.11 C29H41NO4·HClC 29 H 41 NO 4 · HCl 279 내지 281279 to 281 -- 부프레노핀 염기Buprenopine Base 467.65467.65 C29H41NO4 C 29 H 41 NO 4 208 내지 210208 to 210 -- 부프레노핀 프로피오네이트Buprenopine Propionate 523.72523.72 C32H45NO5 C 32 H 45 NO 5 133 내지 135133 to 135 1765.61765.6 부프레노핀 피발레이트Buprenopine Pivalate 551.77551.77 C34H49NO5 C 34 H 49 NO 5 141 내지 143141 to 143 1753.01753.0 부프레노핀 벤조에이트Buprenopine Benzoate 571.76571.76 C36H45NO5 C 36 H 45 NO 5 168 내지 170168 to 170 1742.11742.1 부프레노핀 에난테이트Buprenopine Enanthate 579.83579.83 C36H53NO5 C 36 H 53 NO 5 84 내지 8684 to 86 1763.21763.2 부프레노핀 데카노에이트Buprenopine Decanoate 621.91621.91 C39H59NO5 C 39 H 59 NO 5 87 내지 8987 to 89 1763.81763.8 부프레노핀 팔미테이트Buprenopine Palmitate 706.07706.07 C45H71NO5 C 45 H 71 NO 5 < 0<0 1763.31763.3 디부프레노핀 피멜레이트Dibuprenopine pimelate 1059.451059.45 C65H90N2O10 C 65 H 90 N 2 O 10 103 내지 105103 to 105 1760.81760.8 디부프레노핀 세바코일 에스테르Dibuprenopine sebacoyl ester 1101.531101.53 C68H96N2O10 C 68 H 96 N 2 O 10 89 내지 9089 to 90 1760.01760.0

각각의 화합물의 자외선 스펙트럼은 FT-IR 분광기를 사용하여 검출되었다(스펙트럼 RXI, 퍼킨 엘머, 영국).Ultraviolet spectra of each compound were detected using FT-IR spectroscopy (spectrum RXI, Perkin Elmer, UK).

제조예 1. 본 발명의 부프레노핀 염기 또는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유도체를 함유하는 주사가능한 오일 제형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Injectable Oil Formulations Containing Buprenopine Base or Buprenopine Ester Derivatives of the Invention

(1) 부프레노핀 염기 10마이크로몰을 참기름 1㎖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살짝 흔들어서 완벽하게 용해시켰다.(1) 10 micromoles of buprenopine base was added to 1 ml of sesame oil. The mixture was shaken gently to dissolve completely.

(2) 부프레노핀 프로피오네이트 20마이크로몰을 참기름 1㎖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살짝 흔들어서 완벽하게 용해시켰다.(2) 20 micromoles of buprenopine propionate was added to 1 ml of sesame oil. The mixture was shaken gently to dissolve completely.

(3) 부프레노핀 데카노에이트 20마이크로몰을 참기름 1㎖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살짝 흔들어서 완벽하게 용해시켰다.(3) 20 micromoles of buprenopine decanoate was added to 1 ml of sesame oil. The mixture was shaken gently to dissolve completely.

(4) 부프레노핀 피멜레이트 20마이크로몰을 참기름 1㎖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살짝 흔들어서 완벽하게 용해시켰다.(4) 20 micromoles of buprenopine pimelate was added to 1 ml of sesame oil. The mixture was shaken gently to dissolve completely.

(5) 부프레노핀 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 20마이크로몰을 땅콩유 또는 콩기름 에틸 에스테르 1㎖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살짝 흔들어서 완벽하게 용해시켰다.(5) 20 micromoles of buprenopine ester or polyester was added to 1 ml of peanut oil or soybean oil ethyl ester. The mixture was shaken gently to dissolve completely.

약리학적 실시예 1Pharmacological Example 1

근육내 주사를 통한 부프레노핀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생체내 진통 효능(투약-결과 연구)In vivo analgesic efficacy of buprenopine hydrochloride via intramuscular injection (dose-result study)

(1) 동물 : 수컷 스프라그-덜리 래트(Sprague-Dawley rats) (175 내지 225 g, 생후 6주), 각각의 군에서 n= 6.(1) Animals: Male Sprague-Dawley rats (175-225 g, 6 weeks old), n = 6 in each group.

(2) 약물 : 염수 중의 0.9 % 부프레노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용액, 0.02마이크로몰/㎏(=0.01㎎/㎏), 0.06마이크로몰/㎏(=0.03㎎/㎏), 0.18마이크로몰/㎏(=0.09㎎/㎏), 0.6마이크로몰/㎏(=0.3㎎/㎏), 시험 래트의 오른쪽 뒷다리에 근육내 주사함.(2) Drug: 0.9% buprenopine hydrochloride solution in saline, 0.02 micromol / kg (= 0.01 mg / kg), 0.06 micromol / kg (= 0.03 mg / kg), 0.18 micromol / kg (= 0.09 Mg / kg), 0.6 micromol / kg (= 0.3 mg / kg), intramuscularly injected into the right hind leg of the test rat.

(3) 시험 : 장치(7370, UGO, 바질레, 이탈리아)를 사용하는 발바닥 시험(plantar test).(3) Test: Plantar test using apparatus (7370, UGO, Basile, Italy).

발바닥 시험에서는 연구자가 미처리된 래트에게서 약물에 의해 야기되는 열자극에 관한 말초적인 매개 반응을 식별할 수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조작자가 랫을 올려놓는 유리판 아래에 배치된 이동가능한 I.R (자외선) 발생기로 구성된다. 퍼스펙스(Perspex) 인클로저(enclosure)는 동물이 구속되지 않는 최대 공간을 규정한다. 이는 3개의 구획으로 나누어지며, 이는 조작자가 "선별(screening)" 작업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래트 3마리까지는 별다른 지체 없이 시험할 수 있다.Sole testing allows the investigator to identify peripheral mediated responses to thermal stimuli caused by drugs in untreated rats. It basically consists of a movable I.R (ultraviolet) generator placed under the glass plate on which the operator places the rat. Perspex enclosures define the maximum space in which an animal is not restrained. It is divided into three compartments, which help the operator to quickly perform the "screening" task: up to three rats can be tested without delay.

조작자는 I.R. 발생기를 래트의 뒷 발 바로 아래에 배치하며 "START" 키를 통해 I.R. 전원(source)와 반응시간 계수기를 둘다 작동시킨다. 래트가 동통을 느끼며 발을 움츠리는 경우, I.R. 발생기는 자동적으로 스위치가 꺼지며 타이머가 멈추고, 움츠림(withdrawal) 잠복기가 결정된다.The operator is an I.R. Place the generator just under the rear foot of the rat and press the I.R. Turn on both the source and response time counters. If the rat feels pain and shrugs, I.R. The generator automatically switches off, the timer stops, and the withdrawal latency is determined.

상세한 발바닥 시험에 관해서는 하그리브즈(Hargreaves K.M.) 등의 문헌 ["A New and Sensitive Method for Measuring Thermal Nociception in Cutaneous Hyperalgesia", Pain 32 : 77-88, 1988] 및 하그리브즈 등의 문헌 ["Peripheral Action of Opiates in the Blockade of Carrageenan-Induced Inflammation", Pain Research and Clinical Management, Vol. 3. Elsevier Science Publishers, Amsterdam: 55-60, 1988]을 참조할 수 있다.For detailed foot tests, see Hargreaves et al., "A New and Sensitive Method for Measuring Thermal Nociception in Cutaneous Hyperalgesia", Pain 32: 77-88, 1988, and Hargreaves et al., "Peripheral Action". of Opiates in the Blockade of Carrageenan-Induced Inflammation ", Pain Research and Clinical Management , Vol. 3. Elsevier Science Publishers, Amsterdam: 55-60, 1988.

자극(복사열)을 가하는 시점부터 발(왼쪽 뒷다리)을 움직이는 시점까지의 잠복기를 반응 잠복기로 지정하였다. 복사열은 7 내지 9초의 약물전(predrug) 잠복기를 제공하도록 설정되었다.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25 초의 차단 시간을 설정하였다.The incubation period from the time of stimulation (radiation fever) to the movement of the foot (left hind leg) was designated as the response incubation time. Radiant heat was set to provide a predrug latency of 7-9 seconds. In order to prevent tissue damage, a blocking time of 25 seconds was set.

(4) 통계 : 데이터는 평균치로 나타낸다. "*"는 아노바(ANOVA) 및 두넷(Dunnett) 시험을 사용한 예비시험 값과 비교하였을 때, P < 0.05를 의미한다. 아노바는 종종 분산 분석법(이는 ANOVA로 약칭된다)이고, 분산의 상이한 원인을 분리하고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매우 강한 통계 기법이다. 두넷 시험은 아노바에 이은 후속의 평균치의 비교법이다. 이 시험은 군들 사이의 모든 가능한 비교를 할 수 있게 해 준다. P는 확률(probability)을 의미하고, 여기서, P < 0.05는 통계에서 매우 상이함을 의미한다.(4) Statistics: Data are presented as averages. "*" Means P <0.05 when compared to preliminary test values using ANOVA and Dunnett tests. Anova is often a variance analysis (abbreviated as ANOVA) and is a very strong statistical technique that can be used to isolate and measure the different causes of variance. The Dunnett test is a comparison of the averages of the follow-up to Anova. This test allows all possible comparisons between groups. P means probability, where P <0.05 means very different in statistics.

(5) 결과 : 상이한 투약량의 부프레노핀 HCl은 3 내지 5시간의 진통 작용 시간을 나타내었다(표 3 및 도 19를 참조).(5) Results: Different dosages of buprenophine HCl showed analgesic action time of 3 to 5 hours (see Table 3 and FIG. 19).

약리학적 실시예 2Pharmacological Example 2

근육내 주사 또는 피하 주사를 통한 부프레노핀 염기의 생체내 투약-결과 연구In vivo dosing-result study of buprenopine base via intramuscular injection or subcutaneous injection

(1) 동물 : 수컷 스프라그-덜리 래트 (175 내지 225 g) (n=6)(1) Animals: Male Sprague-Dully Rat (175-225 g) (n = 6)

(2) 약물 : 참기름 중의 부프레노핀 염기, 0.6마이크로몰/㎏, 6마이크로몰/㎏, 60마이크로몰/㎏; 시험 래트의 오른쪽 뒷다리에 근육내 주사함.(2) drug: buprenopine base in sesame oil, 0.6 micromol / kg, 6 micromol / kg, 60 micromol / kg; Intramuscular injection into the right hind leg of the test rat.

(3) 시험 : 발바닥 시험(전술된 약리학적 실시예 1을 참조).(3) Test: Sole test (see pharmacological example 1 described above).

(4) 통계 : 아노바 시험에 이은 두넷 시험. 데이터는 "평균치"로 나타낸다.(4) Statistics: Two and four tests following the Anova test. Data is shown as "average value".

(5) 결과 : 상이한 투약량의 부프레노핀 염기는 48 내지 50시간의 진통 작용 시간을 나타내었다(표 3 및 도 20a를 참조).(5) Results: Different doses of buprenophine base showed analgesic action time of 48-50 hours (see Table 3 and FIG. 20A).

마찬가지로, 피하 주사를 통한 상이한 투약량의 부프레노핀 염기는 48 내지 50시간의 작용 시간을 나타내었다(표 3 및 도 20b를 참조).Likewise, different dosages of buprenopine base via subcutaneous injection showed a time of action of 48-50 hours (see Table 3 and FIG. 20B).

약리학적 실시예 3Pharmacological Example 3

근육내 주사를 통한 화학식 1의 5개의 부프레노핀 모노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의 생체내 진통 효능.In vivo analgesic efficacy of the 5 buprenopine monocarboxyl ester derivatives of Formula 1 via intramuscular injection.

(1) 동물 : 수컷 스프라그-덜리 래트 (175 내지 225 g), 각각의 군에서 n=6.(1) Animals: Male Sprague-Dullley rats (175-225 g), n = 6 in each group.

(2) 약물 : 부프레노핀 프로피오네이트 0.6마이크로몰/㎏, 부프레노핀 피발레이트 0.6마이크로몰/㎏, 부프레노핀 에난테이트 0.6마이크로몰/㎏, 부프레노핀 데카노에이트 0.6마이크로몰/㎏, 및 부프레노핀 팔미테이트 0.6마이크로몰/㎏. 이들 모든 에스테르 유도체를 오일 용액으로서의 참기름중에 용해시켜 오른쪽 뒷다리에 근육내 주사한다. (2) Drug: Buprenopine propionate 0.6 micromole / kg, buprenopine pivalate 0.6 micromole / kg, buprenopine enanthate 0.6 micromole / kg, buprenopine decanoate 0.6 micromole / kg And buprenopine palmitate 0.6 micromol / kg. All these ester derivatives are dissolved in sesame oil as an oil solution and injected intramuscularly in the right hind leg.

(3) 시험 : 발바닥 시험(전술된 약리학적 실시예 1를 참조).(3) Test: Sole test (see pharmacological example 1 described above).

(4) 통계 : 아노바 시험에 이은 두넷 시험(전술된 약리학적 실시예 1를 참조).(4) Statistic: The dunova test followed by the Anova test (see pharmacological example 1 described above).

(5) 결과 : 시험된 본 발명의 5개의 부프레노핀 모노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를 0.6마이크로몰/㎏의 투약량으로 근육내 주사한 결과는, 48 내지 96시간의 작용 시간과 빠른 작용 개시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부프레노핀 데카노에이트 및 팔미테이트 둘 다는 96시간의 작용 시간을 제공하였다(표 3 및 도 21a 내지 21e를 참조).(5) Results: Intramuscular injection of the five buprenopine monocarboxyl ester deriva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tested at a dosage of 0.6 micromol / kg showed an action time of 48 to 96 hours and a rapid onset of action. In particular both buprenopine decanoate and palmitate provided 96 hours of action (see Table 3 and FIGS. 21A-21E).

약학리적 실시예 4Pharmacological Example 4

근육내 주사를 통한 부프레노핀 프로피오네이트의 생체내 투약-결과 연구In Vivo Dose-result Study of Buprenopine Propionate Via Intramuscular Injection

(1) 동물 : 수컷 스프라그-덜리 래트 (175 내지 225 g), 각각의 군에서 n=6.(1) Animals: Male Sprague-Dullley rats (175-225 g), n = 6 in each group.

(2) 약물 : 부프레노핀 프로피오네이트 (오일 용액), 투약량 : 0.6마이크로몰/㎏, 6마이크로몰/㎏, 60마이크로몰/㎏; 래트의 오른쪽 뒷다리에 근육내 주사한다.(2) drug: buprenopine propionate (oil solution), dosage: 0.6 micromol / kg, 6 micromol / kg, 60 micromol / kg; Inject intramuscularly into the right hind limb of the rat.

(3) 시험 : 발바닥 시험(전술된 약리학적 실시예 1를 참조).(3) Test: Sole test (see pharmacological example 1 described above).

(4) 통계 : 아노바 시험에 이은 두넷 시험(전술된 약리학적 실시예 1를 참조).(4) Statistic: The dunova test followed by the Anova test (see pharmacological example 1 described above).

(5) 결과 : 근육내 주사를 통한 상이한 투약량의 부프레노핀 프로피오네이트는 48 내지 60시간의 작용 시간을 나타내었다(표 3 및 도 22를 참조).(5) Results: Different dosages of buprenopine propionate via intramuscular injection showed an action time of 48 to 60 hours (see Table 3 and FIG. 22).

약리학적 실시예 5Pharmacological Example 5

근육내 주사를 통한 화학식 2의 2개의 디부프레노핀 다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의 생체내에서 진통 효능 In vivo analgesic efficacy of two dibuprenopine dacarboxyl ester derivatives of formula 2 via intramuscular injection

(1) 동물 : 수컷 스프라그-덜리 래트 (175 내지 225 g), 각각의 군에서 n=6.(1) Animals: Male Sprague-Dullley rats (175-225 g), n = 6 in each group.

(2) 약물 : 디부프레노핀 피멜레이트, 디부프레노핀 세바코일 에스테르, 투약량; 0.3마이크로몰/㎏ (참기름 중의 오일 용액), 래트의 오른쪽 뒷다리에 근육내 주사한다.(2) drug: dibuprenopine pimelate, dibuprenopine sebacoyl ester, dosage; Inject intramuscularly to the right hind leg of 0.3 micromol / kg (oil solution in sesame oil).

(3) 시험 : 발바닥 시험(전술된 약리학적 실시예 1를 참조).(3) Test: Sole test (see pharmacological example 1 described above).

(4) 통계 : 아노바 시험에 이은 두넷 시험(전술된 약리학적 실시예 1를 참조).(4) Statistic: The dunova test followed by the Anova test (see pharmacological example 1 described above).

(5) 결과 : 디부프레노핀 피멜레이트와 세바코일 에스테르 둘 다 0.3마이크로몰/㎏의 투약량으로 근육내 주사한 결과는, 72 내지 96시간의 작용 시간과 빠른 작용 개시(2시간)를 나타내었다(표 3 및 도 23a와 23b를 참조).(5) Results: Intramuscular injection of both dibuprenopine pimelate and sebacoyl ester at a dosage of 0.3 micromol / kg resulted in an action time of 72 to 96 hours and a rapid onset of action (2 hours). (See Table 3 and Figures 23A and 23B).

하기 표 3에서 발바닥 시험에 사용된 래트에서 부프레노핀 및 그의 유도체들의 진통 작용 시간을 요약한다.Table 3 below summarizes the analgesic action times of buprenopine and its derivatives in the rats used in the plantar test.

발바닥 시험에 사용된 래트에서 부프레노핀 및 그의 유도체들의 진통 작용 시간Analgesic Action Time of Buprenopine and Its Derivatives in Rats Used in Sole Testing 화합물compound 투약량 (마이크로몰/㎏)Dosage (micromoles / kg) 투여 경로Route of administration 진통 기간 (시)Pain Relief Period (hours) 부프레노핀 HClBuprenopine HCl 0.60.6 IMIM 55 부프레노핀 염기Buprenopine Base 0.6; 6; 600.6; 6; 60 IMIM 48; 48; 5048; 48; 50 부프레노핀 염기Buprenopine Base 0.6; 6; 600.6; 6; 60 SCSC 48; 50; 4848; 50; 48 부프레노핀 프로피오네이트Buprenopine Propionate 0.6; 6; 600.6; 6; 60 IMIM 48; 54; 5448; 54; 54 부프레노핀 피발레이트Buprenopine Pivalate 0.60.6 IMIM 4848 부프레노핀 벤조에이트Buprenopine Benzoate 0.60.6 IMIM 7272 부프레노핀 에난테이트Buprenopine Enanthate 0.60.6 IMIM 7272 부프레노핀 데카노에이트Buprenopine Decanoate 0.60.6 IMIM 9696 부프레노핀 팔미테이트Buprenopine Palmitate 0.60.6 IMIM 9696 디부프레노핀 피멜레이트Dibuprenopine pimelate 0.30.3 IMIM 7272 디부프레노핀 세바코일 에스테르Dibuprenopine sebacoyl ester 0.30.3 IMIM 9696

IM : 근육내 , SC : 피하IM: intramuscular, SC: subcutaneous

본 발명은 가장 실제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양태로 생각되는 것과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개시된 실시양태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실시양태의 폭넓은 해석의 취지 및 범주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화를 망라하여 그러한 모든 변경 및 균등한 변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to cover various changes that are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broad interpreta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is understood that all such changes and equivalent changes are included.

본 발명에 따른 부프레노핀 또는 디부프레노핀 및 그의 유도체는 생체내에서 빠른 작용 개시 및 긴 진통 작용 시간을 나타낸다.Buprenopine or dibuprenopine and derivatives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 fast onset of action and long analgesic action time in vivo.

Claims (5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하기 화학식 2의 디부프레노핀 디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Dibuprenopine dicarboxyl ester derivative of formula 화학식 2Formula 2
Figure 112006052495487-pat00038
Figure 112006052495487-pat00038
상기 식에서,Where R1은 페닐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렌기이다.R 1 i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40 carbon atoms,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 phenyl group.
삭제delete 제 35 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R1이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인 디부프레노핀 디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Dibuprenopine dicarboxyl ester derivative whose R <1> is a C1-C20 alkylene group. 제 35 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디부프레노핀 피멜레이트 또는 디부프레노핀 세바코일 에스테르인 디부프레노핀 디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Dibuprenopine dicarboxyl ester derivatives which are dibuprenopine pimelate or dibuprenopine sebacoyl ester. (a) 치료 효과량의 제 35 항, 제 37 항 및 제 3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디부프레노핀 디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 및(a)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dibuprenopine dicarboxyl ester derivativ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5, 37 and 38; And (b)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오일 담체를 포함하는,(b)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oil carrier, 진통제 약학 조성물.Analges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제 3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9, 담체가 참기름, 피마자유, 면실유, 콩기름, 땅콩유 또는 땅콩유의 에틸 에스테르, 또는 그의 조합물인 진통제 약학 조성물.An analges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wherein the carrier is sesame oil, castor oil, cottonseed oil, soybean oil, peanut oil, or an ethyl ester of peanut oil, or a combination there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35 항의 화학식 2의 디부프레노핀 디카복실 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 방법으로서,A method for preparing a dibuprenopine dicarboxyl ester derivative of formula 35 according to claim 35, (ⅰ') 염화 메틸렌의 존재하에서 부프레노핀 HCl 또는 염기를 트리메틸아민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Iii ′) treating buprenopine HCl or base with trimethylamine in the presence of methylene chloride; And (ⅱ') 염화 메틸렌의 존재하에서 상기 단계 (ⅰ')로부터의 혼합물에 화학식 R1(COOH)2의 화합물(여기서, R1은 페닐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렌 기이다), 또는 그의 산 무수물 또는 산 염화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Ii ') A compound of the formula R 1 (COOH) 2 in the mixture from step (iii') in the presence of methylene chloride, wherein R 1 i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40 carbon atoms, optionally substituted with a phenyl group. ), Or an acid anhydride or acid chloride thereof. 제 4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9, 단계 (ⅱ')에서 사용된 화학식 R1(COOH)2의 화합물이 탄소수 3 내지 40의 지방족 디카복실산, 또는 그의 산 무수물 또는 산 염화물인 방법.The compound of formula R 1 (COOH) 2 used in step (ii ′) is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having 3 to 40 carbon atoms, or an acid anhydride or acid chloride thereof. 제 4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9, 단계 (ⅱ')에서 헵탄디오아틸 클로라이드 또는 세바코일산을 사용하는 방법.Process using heptanedioatyl chloride or sebacoylic acid in step (ii ').
KR1020020075947A 2002-12-02 2002-12-02 Novel ester derivatives of buprenorphine and their preparation processes, and long acting analge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KR1007040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947A KR100704085B1 (en) 2002-12-02 2002-12-02 Novel ester derivatives of buprenorphine and their preparation processes, and long acting analge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947A KR100704085B1 (en) 2002-12-02 2002-12-02 Novel ester derivatives of buprenorphine and their preparation processes, and long acting analge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165A KR20040048165A (en) 2004-06-07
KR100704085B1 true KR100704085B1 (en) 2007-04-05

Family

ID=3734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947A KR100704085B1 (en) 2002-12-02 2002-12-02 Novel ester derivatives of buprenorphine and their preparation processes, and long acting analge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08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6063A1 (en) * 1994-11-22 1996-05-30 British Technology Group Limited Morphine and codeine derivatives for use in therapy
WO1996028451A1 (en) * 1995-03-14 1996-09-19 Euroceltique S.A. Morphine-3-esters
KR20020075947A (en) * 2001-03-26 2002-10-09 유춘열 Methods and systems for executing the tasks by means of a flow char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6063A1 (en) * 1994-11-22 1996-05-30 British Technology Group Limited Morphine and codeine derivatives for use in therapy
WO1996028451A1 (en) * 1995-03-14 1996-09-19 Euroceltique S.A. Morphine-3-esters
KR20020075947A (en) * 2001-03-26 2002-10-09 유춘열 Methods and systems for executing the tasks by means of a flow char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75947 - 672218
Pharmaceutical Research, 13(10), 1519-1523, 199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165A (en) 2004-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2862B2 (en) Hydrocodone Benzoic Acid, Benzoic Acid Derivatives and Heteroaryl Carboxylic Acid Conjugates, Prodrugs, Production Methods and Uses
AU2002305816B2 (en) Sustained-release analgesic compounds
US20050075361A1 (en) Novel ester derivatives of buprenorphine and their preparation processes, and long acting analge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U2002305816A1 (en) Sustained-release analgesic compounds
KR101430626B1 (en) Buprenorphin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EP1422230B1 (en) Novel ester derivatives of buprenorphine and their preparation processes, and long acting analge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4532109B2 (en) Novel oripav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harmaceuticals
EP0615756B1 (en) Nalbuphine esters and long-ac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5750534A (en) Nalbuphine esters having long acting analgesic action and method of use
KR100704085B1 (en) Novel ester derivatives of buprenorphine and their preparation processes, and long acting analge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2004175706A (en) New buprenorphine ester derivativ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nalgesic composition having persistency of validity for many hours
JP3117251B2 (en) 14-Op-chlorobenzoyl aconine and analgesic / anti-inflammatory agent
TW200407136A (en) Novel ester derivatives of BUPRENORPHINE and their preparation processes, and long acting analge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SK4322000A3 (en) Transdermal or transmucosal composition for administering morphine alkaloids, the application thereof, appropriate compounds and method for their producing
KR0179667B1 (en) Novel nalbuphine slowly available analgesic
US4167636A (en) 7,8-Dihydroisomorphine derivative, namely azidoethylmorp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