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730B1 -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730B1
KR100703730B1 KR1020050002584A KR20050002584A KR100703730B1 KR 100703730 B1 KR100703730 B1 KR 100703730B1 KR 1020050002584 A KR1020050002584 A KR 1020050002584A KR 20050002584 A KR20050002584 A KR 20050002584A KR 100703730 B1 KR100703730 B1 KR 100703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network
identification information
network device
upd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1905A (ko
Inventor
최신호
이윤희
박경배
지아영
송정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2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730B1/ko
Publication of KR20060081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 사용자가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할 때 무선 네트워크 장치간의 관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내에 존재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에게 전송하는 식별 정보 생성부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생성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식별 정보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를 갱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 MANET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Wireless network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wireless network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네트워크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도시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가 도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가 도시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참여 시각 정보가 도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신 정보가 도시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갱신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갱신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신 정보를 전송하고, 전송된 갱신 정보에 따라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흐름이 도시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식별 정보 생성부 120: 식별 정보 수신부
130: 제어부 140: 식별 정보 저장부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 사용자가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할 때 무선 네트워크 장치간의 관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기기가 급격히 보급되면서 무선 환경에서도 인터넷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고, 사용자들은 이동성을 보장받으며 인터넷을 사용하기를 원하게 되었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하여 무선 랜, 모바일 IP, MANET(Mobile Ad Hoc Network)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중에서 MANET은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와 연계되어 가정 내 모든 단말을 유선 및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홈 네트워크와 모든 이동 단말들에게 IP를 부여하여 유선 및 무선 통합 데이터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각광받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네트워크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10)에 포함된 다수의 단말(11, 12, 13, 14, 15)들은 무선 네트워크(10)에서 유일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가지며, 각 단말들은 자신에게 부여된 URI를 통해 다른 단말들에 대하여 독립적으 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10)에서 각 단말은 서버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10) 내에서 유일한 존재로 다른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서버가 무선 네트워크(10)내에서 각 단말의 유일한 존재를 보장하고, 서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 단말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프리젠스(Presence)를 보장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10)내에서 소정의 단말이 다른 단말들에게 동일한 단말로 보이기 위해서는 동일한 URI를 사용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을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10)에 참여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사용한 다수의 단말들을 통해 동일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을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10)에 참여한 사용자를 구분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한 사용자가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경우에도 각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내에 존재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내에 존재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에게 전송하는 식별 정보 생성부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생성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식별 정보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를 갱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은,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내에 존재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생성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100)는,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내에 존재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에게 전송하는 식별 정보 생성부(110)와,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생성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식별 정보 수신부(120)와, 수신된 식별 정보를 통해 생성된 식별 정보를 갱신하는 제어부(130)와, 생성된 식별 정보 및 갱신된 식별 정보가 저장되는 식별 정보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중 식별 정보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된 식별 정보를 '제 1식별 정보'라 칭하고, 식별 정보 수신부(120)에 의해 수신된 식별 정보를 '제 2식별 정보'라 칭하기로 한다.
식별 정보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되는 제 1식별 정보는 무선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자 및 참여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식별 정보에 포함된 식별자로는 무선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IP, ID 및 URI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식별자로 ID가 사용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식별 정보에 포함된 참여 시각 정보는 사전 지정된 시간 단위, 예를 들어 초단위, 분단위 및 시단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식별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네트워크내에 존재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무선 네트워크내에 존재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가 도시된 도면이다.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는 도 3과 같이, 식별자(211) 및 참여 시각 정보(2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는 도 4와 같이, 식별자(221), 해당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대화명 및 기기 정보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타 정보(222) 및 동일한 사용자(동일한 식별자)를 사용하는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존재할 때 각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이 나열된 리스트(2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는 도 5와 같이, 해당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무선 네트워크에 참여한 참여 시각 정보(224)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 생성부(110)는 제 1식별 정보가 갱신된 경우, 예를 들어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가 추가되거나 삭제된 경우, 이러한 갱신 정보를 해당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제 1식별 정보에서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가 추가되거나 삭제된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되는 갱신 정보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갱신 정보는 식별 정보를 갱신한 주체가 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231), 식별 정보 갱신의 대상이 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232), 갱신 내용(233) 및 갱신 시각 정보(2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갱신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들(231, 232)는 해당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ID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식별 정보 수신부(120)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전술한 갱신 정보를 수신하게 되고, 제어부(1130)는 수신된 갱신 정보를 통해 식별 정보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식별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갱신 정보는 동일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일수도 있고,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일수도 있다. 또한, 수신된 갱신 정보는 전술한 제 2식별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수신된 제 2식별 정보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사용자가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참여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참여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전술한 제 2식별 정보에서 제 2식별 정보를 전송한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가 자신과 동일한 경우, 다시 말해서, 갱신의 주체가 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가 동일할 때 동일한 사용자가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 참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 2식별 정보에 갱신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가 자신인 경우 다른 사용자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참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갱신 정보의 갱신 내용을 통해 현재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의 정보 및 갱신(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의 추가 또는 삭제 등)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사용자가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각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내의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사용자가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참여한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식별 정보 및 제 2식별 정보를 통하여 동일한 사용자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간에도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에 대한 식별 정보를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동일한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에 별도의 서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무선 네트워크내에 존재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식별 정보 저장부(140)는 제 1식별 정보 및 제 2식별 정보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에 대한 관리 리스트 및 수신된 갱신 정보 리스트가 저장되고, 저장된 관리 리스트 및 갱신 정보 관리 리스트는 수신된 갱신 정보에 의해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갱신 정보 전송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갱신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갱신 정보를 생성한다(S110).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저장된 제 1식별 정보에서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갱신한 경우, 갱신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를 통해 갱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식별 정보에서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가 또는 삭제한 경우, 전술한 도 6의 갱신 정보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에서 추가 또는 삭제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 식별 정보를 갱신한 주체가 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 갱신 내용 및 갱신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갱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갱신 정보에 따라 갱신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관리 리스트 및 갱신 정보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검색한다(S120).
검색 결과, 갱신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S130), 전술한 관리 리스트 및 갱신 정보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S140).
만일, 검색 결과 동일한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갱신 정보를 관리 리스트 및 갱신 정보 리스트에 추가한다(S150).
이후, 생성된 갱신 정보를 갱신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에 따라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한다(S160).
도 8은 도 7을 통해 전송된 갱신 정보를 수신한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갱신 정보 업데이트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송된 갱신 정보를 수신하면(S210), 수신된 갱신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자신의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갱신 주체가 자신이지 갱신 대상이 자신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우선, 갱신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 중 갱신 정보를 전송한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가 자신과 동일한 경우(S220), 동일 사용자가 사용한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갱신 정보를 전송한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는 다르고 갱신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가 자신과 동일한 경우(S230), 다른 사용자가 사용한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서 전송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식별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관리 리스트 및 갱신 정보 리스트에서 해당 식별 정보를 검색한다(S240). 다시 말해서, 전송된 갱신 정보에 포함된 각 항목들을 검색하여 전송된 갱신 정보와 동일한 항목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갱신 정보의 항목 중 식별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검색되는 항목은 식별 정보 이외에도 갱신 시각 정보 및 갱신 내용이 될 수 있다.
검색 결과, 수신된 갱신 정보의 각 항목과 동일한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S250), 갱신 시각 정보를 비교한다(S260). 이는 동일한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갱신 시각 정보가 기저장된 갱신 시각 정보보다 늦다면 기저장된 갱신 정보보다 먼저 갱신된 내용이기 때문에 유효하지 않기 때문이다.
비교 결과 수신된 갱신 정보의 갱신 시각 정보가 기저장된 갱신 시각 정보보다 늦다면, 관리 리스트 및 갱신 정보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S270). 만일, 기저장된 갱신 정보의 갱신 시각 정보가 수신된 갱신 시각 정보보다 늦다면 수신된 갱신 정보를 회신한다(S280).
한편, 동일한 항목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된 갱신 정보를 관리 리스트 및 갱신 정보 리스트에 추가하게 된다(S290).
도 9는 전술한 도 7 및 도 8의 갱신 정보 전송 및 전송된 갱신 정보의 수신 방법을 통해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삭제하는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갱신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제 1무선 네트워크 장치라 칭하고, 갱신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제 2무선 네트워크 장치라 칭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제 1무선 네트워크 장치에서 추가 또는 삭제되면, 제 1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그에 따른 갱신 정보를 생성하여 제 2무선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리스트 등을 포함한 갱신 정보가 전송되면, 제 2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전송된 갱신 정보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삭제하게 된다. 이때, 제 1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제 2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동일한 사용자인 경우, 제 2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현재 사용자가 무선 네워크에서 탈퇴시키는 것으로 판단 하고, 기저장된 관리 리스트 및 갱신 정보 리스트를 모두 삭제할 수 있다.
이후, 제 2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삭제 완료 등의 응답을 포함하는 회신을 제 1무선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동일한 사용자가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각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서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서버가 존재하지 않는 무선 네트워크에서도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5)

  1.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에게 전송하는 식별 정보 생성부와,
    상기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식별 정보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를 갱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 또는 상기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의 식별자 및 무선 네트워크로의 참여 시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는, 갱신 주체가 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 갱신 대상이 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 갱신 내용 및 갱신 시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4.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는, 갱신 주체가 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 갱신 대상이 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 정보, 갱신 내용 및 갱신 시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KR1020050002584A 2005-01-11 2005-01-11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100703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584A KR100703730B1 (ko) 2005-01-11 2005-01-11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584A KR100703730B1 (ko) 2005-01-11 2005-01-11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905A KR20060081905A (ko) 2006-07-14
KR100703730B1 true KR100703730B1 (ko) 2007-04-05

Family

ID=37172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584A KR100703730B1 (ko) 2005-01-11 2005-01-11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7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525B1 (ko) 2012-11-30 2014-04-07 유넷시스템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408A (ko) * 2001-05-08 2003-02-1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무선통신 시스템, 무선통신 제어장치 및 무선통신제어방법과 컴퓨터·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408A (ko) * 2001-05-08 2003-02-1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무선통신 시스템, 무선통신 제어장치 및 무선통신제어방법과 컴퓨터·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525B1 (ko) 2012-11-30 2014-04-07 유넷시스템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905A (ko) 200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9939B2 (ja) コンテキスト検索方法および装置
KR101256687B1 (ko) 다중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US20050058109A1 (en) Mechanism for improving connection control in peer-to-peer ad-hoc networks
CN107852430A (zh) 物联网的广域服务发现
RU2008103500A (ru) Структура и методология однорангового группового управления
JP2007325261A (ja) 経路確立方法
WO2005074197A1 (en) Obtaining routing information
Mao et al. Pasa: Passive broadcast for smartphone ad-hoc networks
CN111886843B (zh) 低功耗蓝牙网络维护方法、电子设备、蓝牙网络和介质
Soo et al. Proactive service discovery in fog computing using mobile ad hoc social network in proximity
Singh et al. Cognitive routing for information-centric sensor networks in smart cities
US1077195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o exchange services
JP3949680B2 (ja) 無線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サービス検索システム及び方法
Abidy et al. Named data aggreg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KR100703730B1 (ko)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JP4078558B2 (ja) 自動選択接続方法
Gambhir et al. Ad-hoc social network: A comprehensive survey
CN1957633B (zh) 用于无线通信管理的集中式基础架构的接入
Brito NDVR: NDN distance vector routing
JP4702002B2 (ja)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パケット転送方法、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Artail et al. Quality‐of‐service‐aware cluster‐based service discovery approach for mobile ad hoc networks
JP2003046517A (ja) 情報管理機構、無線モバイルルータ
Mangla et al. Research challenges in ad-hoc social network (ASN)
JP5326013B2 (ja) データ交換サーバ及びデータ交換方法
JP5252555B2 (ja) コンテキスト検索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