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366B1 -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366B1
KR100703366B1 KR1020040109939A KR20040109939A KR100703366B1 KR 100703366 B1 KR100703366 B1 KR 100703366B1 KR 1020040109939 A KR1020040109939 A KR 1020040109939A KR 20040109939 A KR20040109939 A KR 20040109939A KR 100703366 B1 KR100703366 B1 KR 100703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frequency
signal
band
transmission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1040A (ko
Inventor
김승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9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366B1/ko
Priority to EP05028114A priority patent/EP1675270B1/en
Priority to CNA2005101324579A priority patent/CN1794616A/zh
Priority to US11/314,508 priority patent/US20060135071A1/en
Priority to DE602005013898T priority patent/DE602005013898D1/de
Publication of KR20060071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 H04B1/1036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with automatic suppression of narrow band noise or interference, e.g. by using tuneable notch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25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with means for reducing leakage of transmitter signal in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에 있어서, 송신하고자 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송신 주파수를 조절하는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을 생성하는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 생성부와, 상기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에 따라 감쇠극을 상기 송신 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도록 조절하여 상기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 주파수 대역 신호를 대역저지하는 대역저지 필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역저지 필터를 통해 수신기에 수신되는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신호를 정확하고 충분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송수신기는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신호를 충분히 제거함으로써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신호로 인한 CM 노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무선 송수신기, 수신신호, 송신신호, CM 노이즈

Description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APPARATUS FOR ELIMINATING NOISE OF WIRELESS TRANSCEIVER}
도 1은 통상적인 무선 송수신기의 CM 노이즈 발생과정에 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에 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역저지 필터에 대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역저지 필터에 의한 송신 주파수밴드 신호 제거 일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에 대한 도면
본 발명은 무선 송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무선 송수신기의 수신기에서 송신신호의 유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노이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CM(Cross Modulation)현상은 원하지 않는 신호에 의해 실제 수신신호의 반송파(carrier)에 인터모듈레이션(intermodulation)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무선 송수신기의 경우, 송신신호의 일부가 수신기로 흘러들어가서 실제 수신신호와 혼변조(intermodulation)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혼변조에 의한 노이즈를 CM 노이즈이라 하며, 이러한 CM 노이즈는 수신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CM 노이즈는 수신기로 흘러들어온 송신신호가 액티브 소자를 지나면서 발생되는 비선형 성분 중 하나로 주로 저잡음증폭기(LNA:Low Noise Amplifier)와 믹서(Mixer)에서 발생한다.
도 1은 통상적인 무선 송수신기에서 CM 노이즈 발생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신호에는 실제 수신신호뿐만 아니라 송신신호가 포함되며, 이 송신신호가 수신기의 저잡음증폭기 등과 같은 액티브 소자를 통과하면서 CM 노이즈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대역통과 필터(BPF:Band Pass Filter) 또는 듀플렉서(Duplexer)를 이용하여 도 1의 (b)와 같이 실제 수신신호만 통과시켜 수신신호에서 송신신호를 제거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송신신호를 제거함에도 불구하고 수신신호에는 도 1의(c)와 같이 송신신호의 일부가 잔존하게 된다. 이처럼 수신신호에 여전히 잔존하는 송신신호는 저잡음증폭기 및 믹서 등을 통과하면서 도 1의(d)와 같이 인 밴드(In Band)의 싱글 톤 재머(Single Tone Jammer)와 변조되어 CM 노이즈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CM 노이즈는 수신신호 주파수 대역에 노이즈로 작용하여 수신 성능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CM 노이즈의 발생을 막기 위해서는 송신신호를 충분히 제거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송수신신호 분리 성능이 좋은 듀플렉서를 이용하여 송신신호를 충분히 제거하거나 대역통과 필터를 여러 개 이용하여 송신신호를 충분히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다이버시티 수신기 등과 같은 서브 수신기에서는 송수신 신호를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듀플렉서를 통한 송신신호 제거 방법은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역통과 필터를 여러 개 연결하는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고, 대역통과 필터를 여러 개 설치함에 따라 무선 송수신기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주파수대역을 저지하는 대역저지 필터(BPS:Band Stop Filter)를 이용하여 가격이 적게 들고 공간도 적게 차지하면서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충분히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기에 대역저지 필터를 설치하고 대역저지 필터의 감쇠극을 정확히 송신 주파수 대역과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수신신호에서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충분히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에 있어서, 송신하고자 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 기 위한 송신 주파수를 조절하는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을 생성하는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 생성부와, 상기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에 따라 감쇠극을 상기 송신 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도록 조절하여 상기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 주파수 대역 신호를 대역저지하는 대역저지 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하고자 하는 베이스밴드 송신신호를 송신 주파수와 믹싱하여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송신기와, 수신 주파수 대역의 수신신호를 제1 베이스밴드 수신신호로 변환하는 제1 수신기와, 상기 수신 주파수 대역의 다이버시티 신호를 제2 베이스밴드 수신신호로 변환하는 제2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의 송신 주파수를 제공하기 위한 전압제어발진기의 주파수를 조절전압을 생성하는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 생성부와, 안테나와 상기 제2 수신기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에 따라 감쇠극을 상기 송신 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도록 조절하여 상기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 주파수 대역 신호를 대역저지하는 대역저지 필터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에 대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단일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도시하고 있으며, 단 일 주파수 대역 신호를 메인 수신기와 서브 수신기(다이버시티 수신기)를 통해 각각 수신하는 이중수신기 구조의 무선 송수신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는 듀플렉서(100), 제1 수신기(200), 송신기(300), 제2 수신기(400)를 포함한다.
듀플렉서(100)는 메인 안테나와 제1 수신기(200) 및 송신기(300) 사이에 연결되며, 송신기(300)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중 수신신호에 해당하는 주파수 밴드신호를 제1 수신기(200)로 제공한다.
제1 수신기(200)는 메인 수신기로서 제1 저잡음증폭기(210), 제1 BPF(220), 제1 믹서(230)를 포함한다. 제1 저잡음증폭기(210)는 듀플렉서(200)를 통해 제공되는 수신신호를 증폭한다. 제1 BPF(220)는 저잡음 증폭된 신호 중에서 실제 수신신호 외의 잡음 신호를 걸러내기 위해 실제 수신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한다. 제1 믹서(230)는 대역통과된 수신신호를 하향 변환하여 베이스밴드의 제1 수신신호로서 출력한다.
송신기(300)는 전력증폭기(PA:Power Amplifier)(310), 제2 BPF(320), 제2 믹서(330), 전압제어발진기(VCO: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340), 송신주파수 조절전압 생성부(350)를 포함한다.
송신주파수 조절전압 생성부(350)는 VCO(340)의 출력주파수를 송신 주파수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전압을 생성한다. 이러한 송신주파수 조절전압 생성부(350)는 PLL 제어부(351), 루프필터(352)로 구성될 수 있다. PLL 제어부(351)는 VCO(340)의 발진 주파수를 송신주파수로 맞추기 위해 루프필터(352)에 공급하는 전하량을 변화시킨다. 루프필터(352)는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축적된 전하량 변화에 따른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을 VCO(340)로 제공한다.
VCO(340)는 루프 필터(352)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에 따라 해당 송신 주파수를 발진한다.
제2 믹서(330)는 베이스밴드의 송신신호를 VCO(340)에 의해 발진된 송신 주파수와 믹싱하여 송신 주파수밴드 신호로 상향 변환한다.
제2 BPF(320)는 제2 믹서(330)의 출력을 제공받아 송신 주파수밴드 신호에 대해서만 대역통과시키는 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한다.
전력증폭기(310)는 제1 BPF(320)의 송신 주파수 밴드 신호를 제공받아 전력 증폭하여 듀플렉서(100)로 제공한다. 듀플렉서(100)는 전력증폭기(310)로부터의 송신주파수 밴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출력한다.
제2 수신기(400)는 서브 수신기로서 별도의 서브 안테나를 통해 서브 수신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서브 수신기는 다이버시티 신호를 수신하는 다이버시티 수신기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수신기(400)는 대역저지 필터(410), 제3 대역통과 필터(420), 제2 저잡음증폭기(430), 제4 대역통과 필터(440)를 포함한다.
대역저지 필터(BSP:Band Stop Filter)(410)는 서브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신호에서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대역저지하는 필터링을 수행한다. 이러한 대역저지 필터(410)는 루프 필터(352)로부터 출력된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에 따라 대역저지 감쇠극(pole)을 송신 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도록 조절하여 송신 주파수 대 역의 신호를 정확하고 충분히 제거한다.
제3 대역통과 필터(420)는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제거된 수신신호에 잔존하는 잡음 신호를 걸러내기 위해 실제 수신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한다.
제2 저잡음증폭기(430)는 대역저지 필터(410)를 통해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제거되고, 제3 대역통과 필터(420)를 통해 잡음 신호가 제거된 실제 수신신호를 입력받아 저잡음증폭한다.
제4 대역통과 필터(440)는 제2 저잡음증폭기(430)에 의해 저잡음 증폭된 신호 중에서 실제 수신신호 외에 이미지 신호(image frequency) 등과 잡음 신호를 걸러내기 위해 실제 수신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한다.
제3 믹서는 제4 대역통과 필터(440)에 의해 대역통과된 수신신호를 하향 변환하여 베이스밴드의 제2 수신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에서는 수신기에 대역저지 필터(410)를 연결하고, 송신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발진하기 위한 송신주파수 조절전압이 대역저지 필터(410)에 인가되도록 한다. 대역저지 필터(410)는 송신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발진하기 위한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에 따라 대역저지 필터의 감쇠극(pole)을 송신 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도록 조절하여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통과를 저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역저지 필터(410)에 대한 회로 일예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역저지 필터(410)는 캐패시터 (C), 가변용량 다이오드(일명 ‘배랙터 다이오드(varactor diode)’라 칭함)(412), 인덕터(L)를 포함한다. 캐패시터(C)와 배랙터 다이오드(412)는 직렬로 연결되며, 각각 캐패시턴스 성분을 가진다. 이때 캐패시터(C)의 캐패시턴스 성분값은 고정적인 값이고, 배랙터 다이오드(412)는 양단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캐패시턴스 성분값이 변화된다. 인덕터(L)는 상기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 및 배랙터 다이오드(412)에 병렬로 연결되며 인덕턴스 성분을 가진다. 이러한 대역저지 필터(410)는 상기한 캐패시턴스 성분값과 인덕턴스 성분값에 따라 감쇠극(pole)이 변화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배랙터 다이오드(412)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변화시켜 대역저지 필터의 감쇠극(pole)이 송신 주파수 대역과 일치되도록 조절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무선 송수신기는 대역저지 필터(410)를 통해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신호를 정확하고 충분하게 제거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주파수밴드 신호 제거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역저지 필터(410)의 감쇠극(pole)은 송신 주파수 발진을 위한 송신주파수 조절전압에 따라 송신 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도록 이동되어 수신신호에서 정확히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 대역저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의 수신기는 송신신호로 인한 CM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에 대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셀룰러(Celluar) 대역과 US 개인 통신 서비스(US PCS:United Stat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대역의 서로 다른 두개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는 제1 수신기(500), 송신기(520), 제1 듀플렉서(551), 제2 듀플렉서(540), 제1 RF 스위치(560), 제2 수신기(570), 제2 RF 스위치(590)를 포함한다.
제1 수신기(500)는 메인 수신기로서 셀룰러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셀룰러 수신기(505), US PCS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US PCS 수신기(515)를 포함한다. 셀룰러 수신기(505)는 셀룰러 대역의 수신신호를 제1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저잡음증폭기(501), 대역통과 필터(502), 믹서(503)를 포함한다. 저잡음증폭기(501)는 제1 듀플렉서(551)를 통해 제공되는 셀룰러 대역의 수신신호를 저잡음증폭한다. 대역통과 필터(502)는 저잡음 증폭된 신호 중 잡음을 제외한 실제 수신신호만을 대역통과시키는 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한다. 믹서(503)는 대역통과 필터(502)를 통과하여 잡음이 제거된 셀룰러 대역의 수신신호를 제1 베이스밴드 신호로 하향 변환하여 출력한다.
US PCS 수신기(515)는 US PCS 대역의 수신신호를 제2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저잡음증폭기(511), 대역통과 필터(512), 믹서(513)를 포함한다.
저잡음증폭기(511)는 제1 듀플렉서(551)를 통해 제공되는 US PCS 대역의 수 신신호를 저잡음증폭한다. 대역통과 필터(512)는 저잡음 증폭된 신호 중 잡음을 제외한 실제 US PCS 대역의 수신신호만을 대역통과시키는 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한다. 믹서(513)는 대역통과 필터(512)를 통과하여 잡음이 제거된 US PCS 대역의 수신신호를 제2 베이스밴드 신호로 하향 변환하여 출력한다.
송신기(520)는 셀룰러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셀룰러 송신기(525), US PCS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US PCS 송신기(535)와 VCO(542),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 생성부(548)를 포함한다. VCO(542)는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에 따라 송신 주파수를 발진한다.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 생성부(548)는 VCO(340)의 발진주파수를 원하는 송신 주파수로 조절하기 위한 조절전압을 생성한다.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 생성부(548)는 PLL 제어부(544), 루프 필터(546)로 구성될 수 있다. PLL 제어부(544)는 VCO 발진 주파수를 US PCS 대역의 송신 주파수로 맞추기 위해 루프 필터(546)에 공급하는 전하량을 변화시킨다. 루프 필터(546)는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축적된 전하량 변화에 따라 US PCS 대역의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US PCS 대역의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은 VCO(542)에 인가되어 VCO(542)가 발진 주파수를 US PCS 대역의 송신 주파수로 조절하도록 하며, US PCS 다이버시티 수신기(585)의 대역저지 필터(581)로 인가되어 대역저지 필터(581)의 감쇠극이 US PCS 송신 주파수로 이동되도록 한다.
셀룰러 송신기(525)는 송신하고자 하는 베이스밴드의 신호를 셀룰러 대역의 송신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전력증폭기(521), 대역통과 필터(522), 믹서(523)를 포함한다. 믹서(523)는 송신하고자 하는 베이스밴드의 송신신호를 셀룰러 대역 의 송신 주파수와 믹싱하여 셀룰러 대역의 송신신호로 상향 변환한다. 대역통과 필터(522)는 믹서(523)의 출력을 제공받아 잡음을 제외한 셀룰러 대역의 송신신호에 대해서만 대역통과시키는 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한다. 전력증폭기(521)는 대역통과된 셀룰러 대역의 송신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출력한다.
US PCS 송신기(535)는 송신하고자 하는 베이스밴드의 신호를 US PCS 대역의 송신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전력증폭기(531), 대역통과 필터(532), 믹서(533)를 포함한다. 믹서(533)는 송신하고자 하는 베이스밴드의 송신신호를 US PCS 대역의 송신 주파수와 믹싱하여 US PCS 대역의 송신신호로 상향 변환한다. 대역통과 필터(532)는 믹서(533)의 출력을 제공받아 잡음을 제외한 US PCS 대역의 송신신호에 대해서만 대역통과시키는 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한다. 전력증폭기(531)는 대역통과된 US PCS 대역의 송신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출력한다.
제1 듀플렉서(551)는 메인 안테나와 셀룰러 수신기(505) 및 셀룰러 송신기(525) 사이에 연결되며, 셀룰러 송신기(525)로부터의 송신신호를 메인 안테나측으로 출력하고, 메인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중 셀룰러 대역의 수신신호를 셀룰러 수신기(505)로 제공한다. 제2 듀플렉서(540)는 메인 안테나와 US PCS 수신기(515) 및 US PCS 송신기(535) 사이에 연결되며, US PCS 송신기(535)로부터의 송신신호를 메인 안테나측으로 출력하고, 메인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중 US PCS 대역의 수신신호를 US PCS 수신기(515)로 제공한다.
제1 RF 스위치(560)는 메인 안테나와 제1 듀플렉서(551) 및 제2 듀플렉서(540)간의 스위칭을 수행한다.
제2 수신기(570)는 서브 수신기로서 별도의 서브 안테나를 통해 각 대역(셀룰러 대역, US PCS 대역)에 대한 다이버시티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이러한 제2 수신기(570)는 셀룰러 대역의 다이버시티 신호를 수신하는 셀룰러 다이버시티 수신기(575), US PCS 대역의 다이버시티 신호를 수신하는 US PCS 다이버시티 수신기(585)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RF 스위치(590)는 서브 안테나와 셀룰러 다이버시티 수신기(575) 및 US PCS 다이버시티 수신기(585)간의 스위칭을 수행한다.
셀룰러 다이버시티 수신기(575)는 제2 RF 스위치(590)로부터 제공되는 셀룰러 대역의 다이버시티 수신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SAW 필터는 표면탄성파(surface acoustic wave)를 이용한 대역통과 필터로서 통과시키는 대역폭이 좁아 성능이 우수한 필터이다. 셀룰러 대역의 신호는 수신신호와 송신신호의 주파수 간격이 그리 좁지 않기 때문에 셀룰러 다이버시티 수신기(575)는 SAW 필터(571)를 이용하여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신호를 거의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셀룰러 다이버시티 수신기(575)는 SAW 필터(571), 저잡음증폭기(572), 대역통과 필터(573)로 구성된다. SAW 필터(571)는 서브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서 셀룰러 대역의 다이버시티 수신신호만을 통과시킴으로써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신호를 제거한다. 저잡음증폭기(752)는 SAW 필터(571)에 의해 송신신호가 제거된 수신신호를 입력받아 저잡음증폭한다. 대역통과 필터(573)는 저잡음 증폭된 신호 중 잡음을 제외한 실제 셀룰러 대역의 수신신호만을 대역통과시키는 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한다.
한편, US PCS 다이버시티 수신기(585)는 US PCS 대역의 다이버시티 수신신호 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US PCS 대역의 신호는 60MHz 넓은 밴드폭을 가지며, 송신신호와 수신신호의 주파수 간격이 협소하다. 따라서 US PCS 대역의 신호는 성능이 좋은 SAW 필터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신호를 충분히 제거하기 힘들다. 이에 따라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신호를 더 완벽히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US PCS 다이버시티 수신기(585)에 대역저지 필터(581)를 연결하고 먼저 대역저지 필터(581)를 통해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신호를 제거한 다음 송신신호가 제거된 수신신호가 SAW 필터(582)로 제공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US PCS 다이버시티 수신기(585)는 대역저지 필터(581), SAW 필터(582), 저잡음증폭기(583), 대역통과 필터(574)로 구성될 수 있다. 대역저지 필터(581)는 서브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신호에서 US PCS 대역의 송신신호를 대역저지하는 필터링을 수행한다. 이러한 대역저지 필터(581)는 루프 필터(546)로부터 출력된 VCO 조절전압에 따라 대역저지 감쇠극(pole)을 US PCS 대역의 송신 주파수와 일치하도록 조절하여 US PCS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거한다. SAW 필터(582)는 대역저지 필터(581)에 의해 송신 주파수 신호가 제거된 수신신호를 입력받아 US PCS 대역의 다이버시티 수신신호만을 통과시킴으로써 다시 한번 수신신호에 포함된 잡음 및 송신신호를 제거한다. 저잡음증폭기(853)는 SAW 필터(582)에 의해 필터링된 수신신호를 입력받아 저잡음증폭한다. 대역통과 필터(583)는 저잡음 증폭된 신호 중 잡음을 제외한 실제 US PCS 대역의 수신신호만을 대역통과시키는 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에서는 서브 수신기 중 US PCS 대역을 수신하는 수신기에 대역저지 필터(581)를 연결하고, US PCS 대역에 해당하는 송신주파수를 발진하기 위한 VCO 조절전압이 대역저지 필터(581)에 인가되도록 한다. 대역저지 필터(581)는 US PCS 대역의 송신주파수를 발진하기 위한 VCO 제어전압에 따라 대역저지 필터의 감쇠극(pole)을 송신 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도록 조절하여 수신신호 중 US PCS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통과를 저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는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신호로 인한 CM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대역저지 필터가 이중 구조 수신기를 가지는 무선 송수신기에 사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대역저지 필터는 단일 구조의 수신기를 가지는 무선 송수신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 구조의 수신기를 가지는 무선 송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역저지 필터를 통해 수신기에 수신되는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신호를 정확하고 충분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송수신기는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신호를 충분히 제거함으로써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신호로 인한 CM 노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에 있어서,
    송신하고자 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송신 주파수를 조절하는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을 생성하는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 생성부와,
    상기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에 따라 감쇠극을 상기 송신 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도록 조절하여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 주파수 대역 신호를 대역저지하는 대역저지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저지 필터는,
    상기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에 따라 캐패시턴스 성분이 가변되어 감쇠극을 상기 송신 주파수 대역과 일치되도록 하는 베렉터 다이오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 생성부는,
    송신 주파수를 발진하는 전압제어발진기의 송신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전하량을 공급하는 PLL 제어부와,
    상기 PLL 제어부에 의해 공급되는 전하량 변화에 따라 상기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을 출력하는 루프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
  4. 송신하고자 하는 베이스밴드 송신신호를 송신 주파수와 믹싱하여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송신기와, 수신 주파수 대역의 수신신호를 제1 베이스밴드 수신신호로 변환하는 제1 수신기와, 상기 수신 주파수 대역의 다이버시티 신호를 제2 베이스밴드 수신신호로 변환하는 제2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의 송신 주파수를 제공하기 위한 전압제어발진기의 주파수를 조절전압을 생성하는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 생성부와,
    안테나와 상기 제2 수신기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에 따라 감쇠극을 상기 송신 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도록 조절하여 상기 수신신호에 포함된 송신 주파수 대역 신호를 대역저지하는 대역저지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저지 필터는,
    상기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에 따라 캐패시턴스 성분이 가변되어 감쇠극을 상 기 송신 주파수 대역과 일치되도록 하는 베렉터 다이오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 생성부는,
    송신 주파수를 발진하는 전압제어발진기의 송신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전하량을 공급하는 PLL 제어부와,
    상기 PLL 제어부에 의해 공급되는 전하량 변화에 따라 상기 송신 주파수 조절전압을 출력하는 루프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주파수 대역 및 수신 주파수 대역은 US PCS 대역의 송신 주파수 대역 및 수신 주파수 대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
KR1020040109939A 2004-12-21 2004-12-21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 KR100703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939A KR100703366B1 (ko) 2004-12-21 2004-12-21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
EP05028114A EP1675270B1 (en) 2004-12-21 2005-12-21 Noise removing apparatus for wireless transceiver
CNA2005101324579A CN1794616A (zh) 2004-12-21 2005-12-21 用于无线收发器的噪声去除设备
US11/314,508 US20060135071A1 (en) 2004-12-21 2005-12-21 Noise removing apparatus for wireless transceiver
DE602005013898T DE602005013898D1 (de) 2004-12-21 2005-12-21 Vorrichtung zur Rauschunterdrückung für einen drahtlosen Empfä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939A KR100703366B1 (ko) 2004-12-21 2004-12-21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040A KR20060071040A (ko) 2006-06-26
KR100703366B1 true KR100703366B1 (ko) 2007-04-03

Family

ID=36084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939A KR100703366B1 (ko) 2004-12-21 2004-12-21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35071A1 (ko)
EP (1) EP1675270B1 (ko)
KR (1) KR100703366B1 (ko)
CN (1) CN1794616A (ko)
DE (1) DE60200501389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9101B2 (en) * 2003-09-25 2009-03-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leakage in a direct conversion transmitter
DE10352642B4 (de) * 2003-11-11 2018-11-29 Snaptrack, Inc. Schaltung mit verringerter Einfügedämpfung und Bauelement mit der Schaltung
JP4647486B2 (ja) * 2005-12-27 2011-03-09 京セラ株式会社 送受信回路
JP2008124726A (ja) * 2006-11-10 2008-05-29 Toshiba Corp ランプ波発生回路およびadコンバータ
US8036623B2 (en) * 2007-03-13 2011-10-11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receiver with notch filter to reduce effects of transmit signal leakage
KR100999479B1 (ko) * 2008-08-07 2010-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방송 수신 성능 개선 방법 및 장치
US9490917B2 (en) * 2010-12-21 2016-11-08 Bae Systems Plc Derived receive signal processing
US8665741B2 (en) * 2011-03-17 2014-03-04 Nokia Corporation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based on multiple receivers
US9002309B2 (en) 2011-05-27 2015-04-07 Qualcomm Incorporated Tunable multi-band receiver
DE102011055693A1 (de) * 2011-11-24 2013-05-29 Hella Kgaa Hueck & Co. Radargerät und Verfahren zur Erkennung eines Ausfalls eines Empfangskanals eines Radargerätes
US9203455B2 (en) * 2012-08-14 2015-12-01 Broadcom Corporation Full duplex system with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KR102205449B1 (ko) 2014-07-28 202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그에 따른 수신 방법
US10732766B2 (en) * 2016-08-25 2020-08-04 Samsung Display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 transceiver system for touch detection
WO2020132976A1 (zh) * 2018-12-26 2020-07-02 鹤壁天海电子信息系统有限公司 一种频率源及通信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280B1 (ko) * 1995-12-14 1998-11-02 양승택 간섭신호 제거용 수신기
JP2000115016A (ja) 1998-10-08 2000-04-21 Kokusai Electric Co Ltd 全二重無線機とその回り込み防止方法
KR20010003080A (ko) * 1999-06-21 2001-01-15 윤종용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송수신신호 간섭 차단장치
KR20010047733A (ko) * 1999-11-23 2001-06-15 최춘권 서큘레이터를 이용한 송/수신부 결합 시스템 및 그의송신신호 소거방법
KR20010073354A (ko) * 2000-01-14 2001-08-01 강상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신호 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9022A (ja) * 1989-10-24 1991-06-13 Murata Mfg Co Ltd 移動無線用送受信回路
GB2240906B (en) * 1990-02-08 1994-04-13 Technophone Ltd Radio transceiver
JPH10313226A (ja) * 1997-05-12 1998-11-24 Fujitsu Ltd 送受分波器および送受分波器を搭載した無線通信装置
FR2793619B1 (fr) * 1999-05-10 2001-08-10 Cit Alcatel Dispositif et procede pour produire un signal filtre ayant une frequence donnee et emetteur hertzien emettant a une frequence etablie par un oscillateur reglable en frequence
JP3375584B2 (ja) * 2000-01-07 2003-02-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周波数比較器とそれを備えた位相同期回路
US6845457B1 (en) * 2000-09-26 2005-01-18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itions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clock frequency
US6754253B2 (en) * 2000-11-29 2004-06-22 Ericsson Inc. Receiver architecture for transmit diversity in CDMA system
JP3906792B2 (ja) * 2002-01-22 2007-04-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周波信号受信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20030203722A1 (en) * 2002-04-30 2003-10-30 Karlquist Richard K.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radio receiver
US6919744B2 (en) * 2003-08-20 2005-07-19 Agere Systems Inc. Spectrum profile control for a PLL and the like
US7047146B2 (en) * 2003-12-19 2006-05-16 Airoha Technology Corp Method for automatically calibrating the frequency range of a PLL and associated PLL capable of automatic calibration
US7501867B2 (en) * 2006-09-14 2009-03-10 Rambus, Inc. Power supply noise rejection in PLL or DLL circui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280B1 (ko) * 1995-12-14 1998-11-02 양승택 간섭신호 제거용 수신기
JP2000115016A (ja) 1998-10-08 2000-04-21 Kokusai Electric Co Ltd 全二重無線機とその回り込み防止方法
KR20010003080A (ko) * 1999-06-21 2001-01-15 윤종용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송수신신호 간섭 차단장치
KR20010047733A (ko) * 1999-11-23 2001-06-15 최춘권 서큘레이터를 이용한 송/수신부 결합 시스템 및 그의송신신호 소거방법
KR20010073354A (ko) * 2000-01-14 2001-08-01 강상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신호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94616A (zh) 2006-06-28
KR20060071040A (ko) 2006-06-26
EP1675270B1 (en) 2009-04-15
EP1675270A2 (en) 2006-06-28
EP1675270A3 (en) 2008-01-23
US20060135071A1 (en) 2006-06-22
DE602005013898D1 (de) 200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5270B1 (en) Noise removing apparatus for wireless transceiver
US8306499B2 (en) High-frequency filter
JP390257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多重帯域無線周波数の受信方法及び装置
US7813710B2 (en) Receiving circuit
US20130335163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lementing variable bandwidth rf tracking filters for reconfigurable multi-standard radios
JP2006211454A (ja) マルチモード通信装置
JPH09289467A (ja) 移動通信機の高周波受信回路
JP3672189B2 (ja) 無線信号受信装置及び復調処理回路
US7565120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radio communication
JP2008085775A (ja) 高周波回路及び半導体装置
US8014466B2 (en) Wide-band direct conversion transmission apparatus
KR101008056B1 (ko) 고주파 신호 수신 장치
US20050143031A1 (en) Multi-band receiver
US20030008617A1 (en) Variable band-pass filter unit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90003496A1 (en) Reception apparatus
JP3746209B2 (ja) 無線送受信機
US9130642B2 (en) Frequency-selective circuit with mixer module implemented for controlling frequency response, and relate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6121160A (ja) マルチモード受信機、および通信端末
JP2007081708A (ja) 無線装置
KR200177398Y1 (ko) 사용자 주문형 간이 씨디엠에이 파형 신호 발생기
JP4396497B2 (ja) 携帯機器
KR100639707B1 (ko) 무선 통신용 중계기 및 통과 주파수 대역 조정방법
JP2007142712A (ja) 高周波装置
KR100558503B1 (ko) 더블 컨버젼 방식의 튜너의 고차 고조파 제거 필터
Alinikula et al. Microwave active filters for wireless applications: systems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