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871B1 - 계단형 경골 상부 내고정물 - Google Patents

계단형 경골 상부 내고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871B1
KR100702871B1 KR1020050038712A KR20050038712A KR100702871B1 KR 100702871 B1 KR100702871 B1 KR 100702871B1 KR 1020050038712 A KR1020050038712 A KR 1020050038712A KR 20050038712 A KR20050038712 A KR 20050038712A KR 100702871 B1 KR100702871 B1 KR 100702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s
horizontal
fixation
osteoto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6434A (ko
Inventor
이명철
성상철
이상훈
유재호
황용하
임재관
최종면
이훈
안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이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이명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Priority to KR1020050038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871B1/ko
Publication of KR20060116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61B17/0642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for bones, e.g. for osteosynthesis or connecting tendon to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9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with bone-penetrating elements, e.g. blades or pro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95Wedge osteo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61B2017/0646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for insertion into cartillege, e.g. menisc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은 크기에서도 큰 고정력을 가지는 스테이플 기능을 구비하며 또한 절골부의 고정에 적합한 디자인을 가진 미니플레이트 스테이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골근위부 절골술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스테이플에 비해 6배 이상의 강력한 고정력을 나타내는 경골근위부 절골술에 사용하는 미니플레이트 스테이플에 관한 것이다.
Rigid stepped plate, 내 고정물, 고정핀, 계단형

Description

계단형 경골 상부 내고정물 {Rigid stepped plate}
도1은 본 장치의 측면도
도2는 본 장치의 평면도
도3은 본 장치의 정면도
도4는 본 장치를 이용한 경골 근위부 절골 시술을 보여주는 도면
도5는 본 장치의 사시도
1, 11, 21, 31: 금속정
2, 12 : 제 1수직판
5, 22 : 나사 구멍
3, 14 : 계단형 경골 상부 내고정물의 하판
13, 4 : 계단형 경골 상부 내고정물의 상판
절골술의 고정 방법으로는 석고 고정 만을 시행하는 방법에서 Coventry staple, angled blade plate, 외고정 장치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 본 발명과 가장 유사한 관련된 특허 등록 10-0155605-0000 에 제안된 발명에서는 뾰족한 긴다리와 짧은 다리를 구비하고 상기 두 다리를 굴곡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고정핀과, 상기 긴다리와 짧은 다리를 수용가능하고 나사 고정을 위한 카운터 싱크를 구비하고 중심부에 홈이 두개의 구멍을 구비하여 수술후에도 석고고정이 필요없으며, 수술직후부터 관절운동이 가능하며, 수술 후 약 3주부터는 목발보행이 가능하고, 재활치료를 위한 재입원이 필요하지 않다는 효과가 있는 미니플레이트 스테이플을 제안하고 있으며 본 발명은 퇴행성 관절염 등 기타의 원인에 의한 무릎의 내반변형에 대하여 경골을 절골하여 약간 외반각을 이루도록 교정해 주는 경골 근위부 절골술에 있어 절골부위의 정확한 시술을 도모하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고정방법을 통해 수술 후 조기에 무릎의 운동이 가능하고 골 유압을 촉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지대가 결합된 상 절골인도판과 상하·회전운동으로 절골모양을 설정해 주는 하 절골인도판으로 구성된 경골 절골인도장치를 이용하여 개인적 변이가 많은 경골 모양과 크기에 관계없이 정확한 절골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절골된 경골의 근위부와 원위부에 특수한 기능의 나사못을 삽입하고, 이 나사못에 케이블과 인장고리를 이용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절골부위의 고정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장기간의 고정으로 인한 관절 강직 및 관절 연골의 퇴화와 같은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견고한 고정을 얻어 조기에 관절 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존의 고정물들은 만족스럽지 못하였으며, 그 동안 수많은 내고정 기기가 개발되었던 것은 역설적으로 만족스러운 내고정 기기가 없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스테이플 기능이 없는 일반 고정 플레이트가 아닌 스테이플 기능을 구비하며 또한 절골부의 고정에 적합한 디자인을 가진 미니플레이트 스테이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골근위부 절골술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스테이플에 비해 6배 이상의 강력한 고정력을 나타내는 경골근위부 절골술에 사용하는 미니플레이트 스테이플에 관한 것이다.
경골 근위부 절골술은 슬관절 골관절염의 수술적 치료 방법의 하나로서 그 자체로서도 매우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며, 인공 슬관절 치환술의 시행 시기를 지연시킬 수 있는 치료 방법으로 인정 받고 있다. 이러한 경골 근위부 절골술의 성공을 위해서는 적절한 환자의 선택, 수술 전 계획 및 정확한 수술 술기, 재활 치료가 모두 필수적이다. 본 고안은 경골 근위부 절골술 시에 적은 절개와 연부 조직 박리로도 견고한 고정을 얻기위해 고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단형 경골 상부 내고정물을 제공한다. 상기 계단형 경골 상부 내 고정물은 사각형상을 이루는 상판(13,4)과 사다리꼴형상을 이루는 하판(14,3)의 양단을 높이 차를 갖도록 연결하는 제1수직판(2,12)을 통해 그 전체적인 형상이 계단형인 계단형태의 몸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수직판(2,12)은 도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드러운 곡선형을 이루도록 일정한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수직판(2,12)의 폭(또는 높이)에 따라 즉 제1수직판(2,12)의 폭이 넓어지면 계단부의 높이가 높아지고, 제1수직판(2,12)의 폭이 좁아지면 계단부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계단부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계단형 경골 상부 내 고정물은 경골의 작은 절개로 과도한 연부 조직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사각형상 상판(13,4)과 사다리꼴형상 하판(14,3)이 제1수직판(2,12)을 통해 연결되어 높이차를 갖는 계단형태의 몸체를 갖고, 상기 상판(13,4)과 하판(14,3)의 제1수직판(2,12)과 인접하지 않는 단부측 모서리에는 경골에 몸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금속정(1,11,21,31)이 형성되며, 견고한 고정을 위해 나사를 삽입할 수 있는 나사구멍(5,22)이 상판(13,4) 및 하판(14,3)에 형성된다. 이때 나사구멍(5,22)은 원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판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볼 때 포물선의 꼭지점이 마주보고 있는 형태를 이루고, 마주 본 꼭지점 사이가 구멍의 단면이다.
여기서 계단형태의 몸체는 사다리꼴형상을 이루는 하판(14,3)의 장변측 단부와 사각형상의 상판(13,4)의 일단부가 제1수직판(2,12)에 의해 일정한 높이차를 갖도록 즉 제1수직판(2,12)의 하부에는 하판(14,2)의 장변측 단부가 연결되고, 제1수직판(2,12)의 상부에는 상판(13,4)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1수직판(2,12)을 중심으로 하판(14,3)은 좌측에 상판은 우측에 위치하여 계단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하판(14,2)의 장변측 단부길이, 제1수직판(2,12)의 하부와 상부의 길이 및 상판(13,4)의 일단부의 길이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정(1,11,21,31)은 금속정(1,11,21,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이 상기 상판(13,4)과 하판(14,3)의 법선에 평행하도록 상기 상판(13,4)과 하판(14,3)의 상기 제1수직판(2,12)에 인접하지 않는 단부측 모서리에 형성되는데, 상기 상판(13,4) 및 하판(14,3)과 결합된 부분에 대향되는 단부가 뿔형태를 이루며, 금속정(1,11,21,31)과 결합된 상판(13,4)과 하판(14,3)의 모서리는 곡률을 가지고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계단형태의 몸체는 골편 상부 절제시 변형되는 골두부와 골체 사이의 횡축 길이차이에 따라 계단부의 높이를 제1수직판(2,12)의 폭을 조절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금속정(1,11,21,31)과 나사구멍(5,22)에 나사를 이용하여 경골을 고정할 수 있는데, 이 때 금속정(1,11,21,31)은 경골 근위부 절골술시에 절제된 경골부의 고정을 돕고, 나사구멍(5,22)은 경골을 견고히 고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나사를 경골에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의 위치를 원활히 확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나사구멍(5,22)으로 나사못이 다양한 각도로 삽입될 시, 나사와 계단형 경골 상부 내 고정장치가 밀착할 수 있도록 나사 머리와 나사구멍이 접하는 면이 원형 처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계단형 경골 상부 내고정물을 이용한 시술 방법을 살펴보면, 계단형 경골 상부 내고정물 집게 (plate holder)로 계단형 경골 상부 내고정물을 잡고 절골부가 닫혀 절골면이 접촉하도록 유지하고, 망치 (mallet) 로 가격하여 근위 2개의 금속정(1, 11, 21, 31)은 근위 골편에, 원위 1개의 금속정(1, 11, 21, 31)은 원위 골편에 위치시킨다.
그 후 근위부 금속정이 어느 정도 삽입되어, 원위부의 금속정이 삽입될 부위가 결정되면 드릴을 이용하여 피질골에 구멍을 내고 그 구멍을 통하여 원위 금속정이 삽입되도록 한다. 일단 금속정을 통해서 절골 부위가 고정이 되면, 5.0mm cannulated screw를 나사 삽입 구멍(5, 22)을 통해 근위부와 원위부에 각각 2개씩 고정한다. 이때 근위부와 원위부의 위치상 차이에 맞도록 상판(13, 4)과 하판(14, 3)사이의 높이차가 형성이 되어 있다.
최소한의 절개로 큰 고정력을 얻기 때문에 외과 수술 후 환자에게 흉터가 적게 남고, 수술후 뼈의 복원시간에 단축을 주며 따라서 환자의 회복 시간도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1차 고정후 고정나사의 위치가 견고하게 결정되기 때문에 의사의 시술에 편리함을 더한다는 특징이 있다.

Claims (4)

  1. 삭제
  2. 다수의 사다리꼴형상 판과 사각형판을 수평과 수직으로 연결하여 계단형태의 몸체와 수평판들의 수직판과 인접하지 않는 모서리에 구비된 금속정과 수평판들에 형성되는 다수의 나사구멍을 포함하는데,
    상기 계단형태의 몸체는 사다리꼴형상 수평판의 장변측 단부와 사각형상 수평판의 일단부가 제1수직판에 의해 일정한 높이차를 갖도록 즉 제1수직판의 하부에는 사다리꼴형상 수평판의 장변측 단부가 연결되고, 제1수직판의 상부에는 사각형상 수평판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1수직판을 중심으로 사다리꼴형상 수평판은 좌측에 사각형상 수평판은 우측에 위치하여 계단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경골 상부 내 고정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정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이 상기 수평판들의 법선에 평행하도록 수평판들의 상기 제1수직판에 인접하지 않는 단부측 모서리에 형성되는데, 상기 수평판들에 결합된 부분에 대향되는 단부가 뿔형태를 이루며, 상기 금속정이 구비된 수평판들의 모서리는 곡률을 가지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경골 상부 내 고정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구멍은 원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수평판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볼 때 포물선의 꼭지점이 마주보고 있는 형태를 이루고, 마주본 꼭지점 사이가 구멍의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경골 상부 내 고정물.
KR1020050038712A 2005-05-10 2005-05-10 계단형 경골 상부 내고정물 KR100702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712A KR100702871B1 (ko) 2005-05-10 2005-05-10 계단형 경골 상부 내고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712A KR100702871B1 (ko) 2005-05-10 2005-05-10 계단형 경골 상부 내고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434A KR20060116434A (ko) 2006-11-15
KR100702871B1 true KR100702871B1 (ko) 2007-04-03

Family

ID=3765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712A KR100702871B1 (ko) 2005-05-10 2005-05-10 계단형 경골 상부 내고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225Y1 (ko) * 2012-01-05 2014-02-24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이부성형술용 미니플레이트
KR101368536B1 (ko) * 2012-10-23 2014-02-2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최소 침습이 가능한 종골 골절 고정용 고정나사 안내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54599A1 (en) * 1988-08-03 1990-02-14 D.A.O. s.r.l. An adjustable staple
US5395372A (en) * 1993-09-07 1995-03-07 Danek Medical, Inc. Spinal strut graft holding staple
KR970020064A (ko) * 1995-10-11 1997-05-28 배대경 경골근위부 절골술에 사용하는 미니플레이트 스테이플
JP2002272756A (ja) * 2001-03-16 2002-09-24 Yoshio Koga 膝関節の前十字靱帯再建手術用器具およびその再建靱帯脛骨側固定器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54599A1 (en) * 1988-08-03 1990-02-14 D.A.O. s.r.l. An adjustable staple
US5395372A (en) * 1993-09-07 1995-03-07 Danek Medical, Inc. Spinal strut graft holding staple
KR970020064A (ko) * 1995-10-11 1997-05-28 배대경 경골근위부 절골술에 사용하는 미니플레이트 스테이플
KR0155605B1 (ko) * 1995-10-11 1998-11-16 배대경 경골근위부 절골술에 사용하는 미니플레이트 스테이플
JP2002272756A (ja) * 2001-03-16 2002-09-24 Yoshio Koga 膝関節の前十字靱帯再建手術用器具およびその再建靱帯脛骨側固定器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7002006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434A (ko) 200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37845A1 (en) Orthopedic fasteners, instruments and methods
US9814474B2 (en) Resection guides, implants and methods
US11666345B2 (en) Intramedullary nail alignment guides, fixation guides,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EP2938279B1 (en) Alignment guide system
US8372078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high tibial osteotomy
US8273091B2 (en) Alignment device for locking nail
US11712275B2 (en) Bone fixation assembly, implants and methods of use
US9949773B2 (en) Orthopedic bone plate and locking tab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11883038B2 (en) Implants, devices, systems, kits and methods of implanting
EP3646805B1 (en) Device for fixating orthopedic injury
US20220168112A1 (en) Implants, systems, and methods of use and assembly
JP2023526473A (ja) 中足骨内転を治療するための装置及び技術
KR100702871B1 (ko) 계단형 경골 상부 내고정물
KR101668110B1 (ko) 개방성 원위 경골 절골술용 고정 기구
CA3105779A1 (en) Implants, alignment guid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11925364B2 (en) Implant, alignment guides, system and methods of use
US20220008106A1 (en) Bone fixation implants
US20220233223A1 (en) Osteotomy method and device
JP2023500484A (ja) 骨切除システム及びその使用方法
US20100198228A1 (en) A Jig
RU2017146753A (ru) Комплект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высокой тибиальной остеотомии и способ исправления варусной деформации коленного сустава при помощи миниинвазивной опер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