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290B1 - 메모리 관리 기능을 구비한 교육용 완구 - Google Patents

메모리 관리 기능을 구비한 교육용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290B1
KR100701290B1 KR1020050043781A KR20050043781A KR100701290B1 KR 100701290 B1 KR100701290 B1 KR 100701290B1 KR 1020050043781 A KR1020050043781 A KR 1020050043781A KR 20050043781 A KR20050043781 A KR 20050043781A KR 100701290 B1 KR100701290 B1 KR 100701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ata
information
stored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1541A (ko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3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290B1/ko
Publication of KR2006012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 관리 기능을 구비한 교육용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기능을 구비한 교육용 완구는 신규 학습을 위한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었으나 메모리의 저장 용량이 부족한 경우,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데이터 중 불필요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삭제함으로써 해당 영상 데이터 및 상응하는 부가 정보의 저장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만의 효율적 저장 및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교육, 완구, 학습, 메모리

Description

메모리 관리 기능을 구비한 교육용 완구{Educational toy having function of managing memor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완구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완구의 학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완구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데이터와 형식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완구의 저장될 메모리 선택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를 내장한 완구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들의 학습을 보조하기 위한 교육용 완구는 단순한 낱말 카드에서부터 어린이들의 인지 능력을 계발하기 위한 기능을 겸비한 완구까지 그 종류는 매우 다 양하고 광범위하다.
이러한 교육용 완구는 주로 어린이에게 사물, 동물 등에 관한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고 언어를 교육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낱말 카드 형태 등의 교육용 완구를 이용하여 어린이를 교육시키기 위해서는 부모님 또는 선생님들이 카드들을 보여주고, 호칭 또는 그 의미를 설명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영상 또는 음성 등을 이용하여 카드 또는 사물을 저장한 후 반복하여 재생할 수 있는 완구가 개발이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교육용 완구는 인간의 인지 학습 발달의 특성과는 무관하게 단지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기능만으로 제한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완구들의 경우, 주로 한정된 기능만이 반복되어 어린이의 흥미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당해 완구의 메모리 저장 용량이 한정되어 있어 완구의 저장 용량이 가득 찼을 경우 새로운 카드 또는 사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없거나 용이한 저장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시도에서 메모리의 저장 용량 부족으로 인해 당해 정보가 저장하지 못한 경우, 기저장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삭제하여 저장 용량을 확보함으로써 신규 정보의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 관리 기능을 구비한 교육용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냄새 특성 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출력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시각, 청각, 후각을 함께 자극하여 사물을 인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메모리 관리 기능을 구비한 교육용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외의 본 발명의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관리 기능을 구비한 교육용 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육용 완구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저장 객체 정보, 상기 저장 객체 정보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 정보가 매칭되도록 저장하는 저장부-여기서, 상기 저장 객체 정보는 이미지 데이터, 문자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부가 정보는 하나 이상의 음성 데이터, 하나 이상의 냄새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피사체를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 객체 정보로서 저장하거나,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도중에 오류 발생시 저장 오류의 유형을 판단하여 오류 유형에 상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은 이미 저장된 저장 객체 정보,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삭제 동작,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재시도 동작 중 어느 하나인 교육용 완구가 제공된다.
상기 오류 유형이 상기 영상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저장부의 저장 가능 용량보다 큼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삭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교육용 완구는 상기 문자 데이터, 데이터 선택 명령, 데이터 삭제 명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삭제 동작은 상기 데이터 선택 명령 및 상기 데이터 삭제 명령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삭제 동작은 저장부에 저장된 시각이 가장 앞선 상기 저장 객체 정보, 상기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삭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교육용 완구는 상기 저장 객체 정보, 상기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삭제 동작은 저장부에 상기 부가 정보 중 상기 출력부를 통한 출력 빈도가 가장 작은 부가 정보, 상기 부가 정보에 상응하는 저장 객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삭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가 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둘 이상의 메모리 모두에 대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저장부의 저장 가능 용량보다 큰 경우 상기 삭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교육용 완구는 하나 이상의 향 키트를 포함하는 냄새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냄새 발생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매칭되는 냄새 특성 정보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향 키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교육용 완구의 학습 방법 및/또는 그 방법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입력 장치를 구비한 교육용 완구의 학습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저장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저장 데이터는 저장 객체 정보 및 상기 저장 객체 정보 각각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저장 객체 정보는 이미지 데이터, 문자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부가 정보는 음성 데이터, 냄새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영상 입력 장치를 통해 촬상된 피사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저장 객체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를 입력받아 각각 매칭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저장이 완료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저장이 완료 되지 않은 경우, 저장 오류 유형을 분석하는 단계; 및 저장 오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육용 완구의 학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학습 방법에서, 상기 저장 오류 유형은 메모리의 저장 용량 부족, 저장 오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저장 오류 유형이 저장 용량 부족인 경우, 상기 저장 오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저장 객체 정보들 중 삭제할 저장 객체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저장 객체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 방법에서 상응하는 저장 객체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삭제할 저장 객체 정보는 데이터 선택 명령에 상응하는 저장 데이터, 가장 앞선 시각에 저장된 저장 데이터, 출력 빈도가 가장 작은 저장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학습 방법은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냄새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냄새 특성 정보에 상응하여 향 키트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입력 장치를 구비한 교육용 완구의 학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저장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저장 데이터는 저장 객체 정보 및 상기 저장 객체 정보 각각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저장 객체 정보는 이미지 데이터, 문자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부가 정보는 음성 데이터, 냄새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영상 입력 장치를 통해 촬상된 피사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저장 객체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를 입력받아 각각 매칭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저장이 완료 되었는지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저장이 완료 되지 않은 경우, 저장 오류 유형을 분석하는 단계; 및 저장 오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학습'이라는 용어는 영상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예를 들어,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 냄새 특성 정보 등)가 저장부에 매칭되도록 저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저장부에는 각각의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특징값들이 더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재생'이라는 용어는 교육용 완구가 인지한 외부 영상(예를 들어, 이미지 및/또는 문자)에 상응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응하는 부가 정보를 독출하여 청각 정보 출력부 및/또는 시각 정보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냄새 특성 정보에 상응하는 냄새가 냄새 발생부에 의해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부가 정보의 독출을 위해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특징값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완구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완구는 외부 정보 입력부 (110), 시각 정보 출력부(115), 외부 정보 처리부(120), 청각 정보 입력부(130), 청각 정보 출력부(140), 청각 정보 처리부(150), 저장부(160), 제어부(170), 키 입력부(175) 및 냄새 발생부(18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교육용 완구의 일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125), 청각 정보 처리부(150) 등)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외부 정보 처리부(110)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입력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를 구비한 영상 획득부(111), 외부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를 포함한 감지 정보 생성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11)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입력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영상 획득부(111)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생성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125)로 전달한다.
감지 정보 생성부(112)는 포함된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외부 정보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감지 정보 처리부(127)로 전달한다. 여기서, 감지 센서는 획득할 외부 정보의 유형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냄새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온도 센서, 적외선 센서, 음향 센서 또는 무게 센서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감지 정보 생성부(112)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 정보 생성부(112)는 포함된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할 수 있는 소리(음성), 진동, 온도, 무게, 방향, 속도, 가속도, 거리, 높이, 기울기, 조명, 전자기파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부 정보를 아날로그 감지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정보 생성부(112)가 냄새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감지 정보 생성부(112)는 감지된 냄새를 분석하여 아날로그 냄새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감지 정보 처리부(127)로 전달한다.
또한, 감지 정보 생성부(112)가 음향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감지 정보 생성부(112)는 외부의 소리에 상응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감지 정보 처리부(127)로 전달한다. 감지 정보 생성부(112)에 의해 생성된 감지 정보는 제어부(170)가 청각 정보 입력부(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감지 정보 생성부(112)가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감지 정보 생성부(112)는 외부 물체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감지 정보 처리부(127)로 전달한다. 감지 정보 생성부(112)에 의해 생성된 감지 정보는 제어부(170)가 교육용 완구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감지 정보 생성부(112)가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감지 정보 생성부(112)는 외부 온도에 상응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감지 정보 처리부(127)로 전달한다. 제어부(170)는 감지 정보 생성부(112)에 의해 생성된 감지 정보(예를 들어, 측정된 실내 온도 또는 사용자의 체온 등)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음성 신호 및/또는 문자(또는 이미지 영상)를 청각 정보 출력부(140) 및/또는 시각 정보 출력부(115)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시각 정보 출력부(115)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획득부(111)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이하에서는 "획득 영상"라 칭함)에 상응하는 이미지 또는/ 및 문자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시각 정보 출력부(115)는 액정 화면(LCD)일 수 있다.
외부 정보 처리부(120)는 영상 획득부(111)에 의해 생성된 획득 영상에 대한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125), 감지 정보 생성부(112)에 의해 생성된 감지 정보에 대한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감지 정보 처리부(127)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 정보 처리부(120)는 시각 정보 출력부(115)를 통해 임의의 이미지 및/또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제어부(17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완구는 제어부(170) 외에 이미지 프로세싱을 위한 별도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제어부(170)만이 구비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영상 처리부(125)는 영상 획득부(111)에 의해 생성된 획득 영상에 대한 전처리 과정(예를 들어, 획득 영상에 대한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 정의하고 분리한 후 디지털 데이터로의 변환)을 수행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125)는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시각 정보 출력부(115)로 전달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감지 정보 처리부(127)는 감지 정보 생성부(112)에 의해 생성된 감지 정보에 대해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영상 처리부(125)에서 수행되는 전처리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영상 획득부(111)에 구비된 영상 입력 장치에 의해 피사체가 촬상되는 순간의 환경 요인에 의해 동일한 피사체를 촬상하였을 경우에도 각각 상이한 이미 지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처리부(125)는 영상 획득부(111)에 의해 생성된 획득 영상의 크기(size), 수평 등을 조절하고, 영상 획득 과정에서 추가된 노이즈(noise) 제거, 조명에 의한 영상의 밝기 성분 조절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 영상에 대해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의 정의 및 분리를 위해 쓰레시홀딩(thresholding), 영상 분할(segmentation), 필터(filter) 등을 수행하여 획득 영상에서 객체(예를 들어, 문자, 기호, 숫자, 그림 등)와 배경(즉, 획득 영상 중 객체 이외의 영역)을 분리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들 알고리즘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청각 정보 입력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예를 들어,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호칭, 의미, 설명 등)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청각 정보 입력부(130)는 마이크일 수 있다. 또한, 감지 정보 생성부(112)에 구비된 감지 센서가 음향 센서이고, 감지된 소리가 미리 지정된 소리인 것으로 인식되면, 제어부(170)는 청각 정보 입력부(130)의 동작 개시를 지시할 수 있다. 즉, 청각 정보 입력부(130)는 제어부(170)의 지시에 의해 동작을 개시하고,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예를 들어, 획득 영상의 설명을 위한 음성)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가 영상 획득부(111)에 의해 생성된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예를 들어,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아직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당해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만이 저장부(160)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70)는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된 음성 입력 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여 청각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청각 정보 입력부(13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해 청각 정보 입력부(140)의 동작 개시를 지시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음성 입력이 없는 경우 청각 정보 입력부(130)의 동작 종료를 지시할 수도 있다.
청각 정보 출력부(14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60)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예를 들어, 음성 입력 요청 메시지, 저장 에러 메시지, 저장 실패 메시지, 획득 영상에 상응하여 제어부(170)에 의해 독출된 부가 정보(예를 들어,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청각 정보 출력부(140)는 음원칩이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획득부(111)에 의해 생성된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가 매칭되도록 저장부(160)에 이미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영상 획득부(111)에 의해 획득 영상이 생성되고, 제어부(170)가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영상 데이터에 매칭되어 저장된 부가 정보를 독출하여 청각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청각 정보 처리부(15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청각 정보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에 대해 전처리(예를 들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의 노이즈 제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 제거)를 수행한다. 또한, 청각 정보 처리부(15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60)로부터 독출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청각 정보 출력부(140)에 전달한다.
즉, 청각 정보 처리부(150)는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가 청각 정보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되어 전달되면 음성 데이터가 청각 정보 입력부(130)를 통해 도중에 추가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청각 정보 처리부(150)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고 지정된 형식(예를 들어, MP3)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압축 및 변환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제어부(170)는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예를 들어, 획득 영상을 설명하는 음성 데이터)가 각각 매칭되도록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획득부(111)에 의해 생성된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특징값,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예를 들어, 획득 영상을 설명하는 음성 데이터,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냄새 특성 정보 등) 등을 지정된 저장 형식에 따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60)는 영상 획득부(111)에 의해 생성된 감지 정보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 객제 정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저장부(160)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완구에 내장되는 내장 메모리와 소켓(Socket)을 통해 착탈 가능한 이동식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저장부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메모리에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므로 개별적인 학습 과정의 필요없이 복수의 교육용 완구에서 이동식 메모리를 공유할 수도 있다.
키 입력부(175)는 사용자로부터 모드 선택 명령, 데이터 선택 명령, 데이터 삭제 명령, 냄새 발생 명령 등을 입력받는 수단이다. 키 입력부(175)는 예를 들어, 복수개의 키 버튼으로 형성되거나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키 입력부(175)를 이용하여 임의의 모드(예를 들어, 학습 모드, 재생 모드 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키 입력부(175)를 이용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임의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삭제할 수도 있다. 임의의 데이터가 삭제될 수 있도록 데이터 리스트는 시각 정보 출력부(11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시각 정보 출력부(115)에 출력된 저장 데이터 리스트 중에서 임의의 데이터를 선택한 후 냄새 발생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냄새 발생부(180)를 통해 선택된 데이터(예를 들어, 장미)에 상응하는 냄새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냄새 발생부(18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획득부(111)로부터 생성된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냄새, 키 입력부(175)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선택 명령에 상응하는 냄새 등을 외부로 출력한다. 냄새 발생부(180)는 냄새를 발생하는 액체가 주입된 하나 이상의 향 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향 키트는 예를 들어 색의 3원색과 같이 각각의 냄새를 조합하기 위한 기본 향의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냄새 발생부(180)는 제어부(170)로부터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냄 새 특성 정보(즉,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냄새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전달받아 하나 이상의 향 키트를 개방함으로써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냄새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완구가 감지 정보를 학습, 재생할 수 있도록 외부 정보 획득부(111), 시각 정보 출력부(115), 외부 정보 처리부(120), 청각 정보 입력부(130), 청각 정보 처리부(150), 청각 정보 출력부(140), 저장부(160), 냄새 발생부(18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저장 오류의 유형을 분석하여 판단하고, 오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감지 정보 처리부(127)로부터 아날로그 냄새 특성 정보가 입력된 경우 당해 냄새 특성 정보가 획득 영상에 상응하도록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이동식 메모리(예를 들어, 유에스비(USB) 메모리)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임의의 영상 데이터, 당해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냄새 특성 정보, 당해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 등)들이 저장된 이동식 메모리와 결합됨으로써 교육용 완구는 보다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교육용 완구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위한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전력선을 이용한 통신 방식, 컴퓨터에 직렬 버스를 이용한 직접 연결 방식 등을 통해 컴퓨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교육용 완구는 외장형 메모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용 소켓(Socke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완구의 학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완구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데이터와 형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완구는 구비된 키 입력부(175)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모드(예를 들어, 학습 모드, 재생 모드 등 중 어느 하나)가 택일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재생 모드가 선택되어 실행될지라도, 획득 영상이 아직 학습되어 있지 않은 경우, 교육용 완구는 학습 모드로 자동 전환하여, 학습 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재생 모드가 선택되어 실행되는 과정에서 학습 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학습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계 210에서 영상 획득부(111)는 구비된 영상 입력 장치를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여 획득 영상을 생성하여 영상 처리부(125)로 전달한다. 여기서, 외부 정보 또는/및 피사체는 교육용 완구 제작자에 의해 제공되는 카드 또는/및 사물일 수 있으며, 일반 카드 또는/및 사물일 수도 있다. 또한, 단계 210에서 감지 정보 생성부(112)가 임의의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감지 센서를 통해 외부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감지 정보 처리부(127)로 전달할 수도 있다. 만일 당해 감지 센서가 냄새 센서인 경우 감지 정보 생성부 (112)는 감지된 냄새에 상응하는 냄새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것이다.
단계 215에서 영상 처리부(125)는 영상 획득부(111)에 의해 생성된 획득 영상에 대해 전처리(예를 들어, 획득 영상의 관심 영역을 정의하고 분리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를 수행하고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영상 획득부(111)에 의해 생성된 획득 영상이 기울어져 있는 경우 영상 회전을 수행하여 기울기를 맞추며, 영상 획득 과정에서 삽입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영상에 대한 밝기 성분을 조정하는 등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생성된 획득 영상에서 객체(부가 정보 추출을 위한 핵심 정보로서, 예를 들어, 문자, 기호, 숫자, 그림 등, 이하에서 '추출 객체 정보'라 칭함)와 배경(즉, 획득 영상에서 객체 이외의 영역)을 분리하여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단계 220에서 제어부(170)는 추출 객체 정보의 특징값을 산출한다. 또한, 구현 방법에 따라 영상 처리부(125)에서 추출 객체 정보의 특징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추출 객체 정보가 이미지(예를 들어, "토끼"그림)라면, 이미지의 외곽선 추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외곽선을 추출한 후 벡터 값으로 변환하여 해당 추출 객체 정보의 특징값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 객체 정보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문자, 숫자, 미리 설정된 기호(예를 들어, +,-,×,÷ 등)로 인식되면, 아스키 코드(ASCII code) 등의 코드 정보로 변환하여 해당 추출 객체 정보의 특징값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단계 225에서 제어부(170)는 단계 220에 의해 산출된 객체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부(16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들(즉, 저장 객체 정보들)과의 유사도를 산출한다. 당해 저장 객체 정보들은 내부 메모리 및/또는 이동식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객체 정보들과의 유사도를 산출한 후 이동식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객체 정보들과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220에서 산출된 추출 객체 정보의 특징값과 저장부(160, 즉 내부 메모리 및/또는 이동식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객체 정보들과의 특징값의 차이값이 개별적으로 산출되어 임시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제어부(170)는 산출된 유사도를 이용하여 학습 모드로 진행할 것인지 아니면 재생 모드로 진행할 것인지에 대한 수행 모드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저장 객체 정보들과 단계 210을 통해 분리된 추출 객체 정보간의 특징값의 차이값들 중 최소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재생 모드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학습 모드로 진행할 것임을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키 입력부(175)를 이용하여 임의의 모드(학습 모드, 재생 모드 등)가 실행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계 230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의 모드 선택시 키 입력부(175)를 이용하지 않고 교육용 완구에 내장된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교육용 완구의 각 실행 모드(예를 들어, 재생 모드, 학습 모드)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상태에서, 청각 정보 입력부(130)를 통해 특정 실행 모드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음 성 데이터가 입력되면, 교육용 완구는 해당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만일, 단계 230에 의해 학습 모드로 진행하도록 판단된 경우, 단계 235에서 제어부(170)는 지정된 "음성 입력 요청 메시지"를 저장부(160)로부터 독출하여 청각 정보 처리부(150)에 전달하여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 후 청각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물론, 안내 메시지가 시각 정보 출력부(115)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안내 메시지/안내 음성없이 미리 지정된 시간내에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하도록 미리 설정될수도 있다.
단계 240에서 제어부(170)는 청각 정보 입력부(130)를 제어하여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청각 정보 처리부(150)에 전달하여 지정된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MP3와 같은 형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 객체 정보에 상응하여 입력될 부가 정보가 음성 데이터이고, 추출 객체 정보가 "장미"를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라면, 사용자는 음성 입력 요청 메시지 등에 따라 "장미"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호칭, "장미"를 설명하는 음성 등을 입력할 것이다. 청각 정보 입력부(130)는 당해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청각 정보 처리부(150)로 전달한다. 청각 정보 처리부(150)는 전달된 음성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 제거, 비가청 주파수 대역 등을 제거하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지정된 형식(예를 들어, MP3)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물론, 추출 객체 정보에 상응하여 입력될 부가 정보가 문자 데이터라면, 사용자는 키 입력부를 이용하여 문자 데이터 등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냄새 센서가 포함된 감지 정보 생성부 (112)는 추출 객체 정보에 상응하여 감지된 냄새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냄새 특성 정보의 생성을 위해 사용자는 피사체를 냄새 센서 가까이 위치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이는 미리 지정된 음성 메시지(예를 들어, '냄새를 인식시키시려면 3초간 피사체를 근접시키세요' 등)나 문자 메시지가 이용될 수 있다.
단계 250에서 제어부(170)는 추출 객체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 추출 객체 정보에 상응하도록 입력된 부가 정보(예를 들어, 추출 객체 정보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냄새 특성 정보 등)가 각각 매칭되도록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단계 250에서 저장된 추출 객체 정보는 이후로는 저장 객체 정보로서 기능하게 된다. 저장부(160)에 저장된 데이터들의 매칭 관계가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도 3에는 저장 객체 정보, 음성 데이터, 특징값간의 매칭 관계만이 도시되었으나, 냄새 특성 정보가 더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특징값은 생략될 수도 있다.
단계 255에서 제어부(170)는 추출 객체 정보, 추출 객체 정보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의 저장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저장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하였다면, 단계 260에서 제어부(170)는 저장부(160)에 미리 설정된 저장 에러 메시지를 독출하여 시각 정보 출력부(115) 및/또는 청각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이어서, 단계 265에서 제어부(170)는 저장부(160)에 저장 공간이 모두 이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저장 여유 공간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70)는 단순한 저장 오 류로 판단하여 단계 250으로 다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저장 여유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단계 270에서 제어부(17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데이터들(즉, 저장 객체 정보들, 음성 데이터들, 냄새 특성 정보들 등) 중 삭제할 수 있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제어부(170)가 저장부(160)에 저장된 데이터들 중 일부를 삭제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법, 먼저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삭제하는 FIFO 방법, 재생 빈도가 가장 낮은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삭제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시각 정보 출력부(115)에 표시된 데이터 리스트를 참조하여 키 입력부(175)를 이용하여 삭제할 데이터를 선택한 후 데이터 삭제 명령을 입력하면 선택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법이다.
다음으로, FIFO 방법은 제어부(170)가 각각의 데이터들이 저장된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가장 먼저 저장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삭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가 무엇인지 시각 정보 출력부(115)를 통해 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데이터 삭제를 승인하면 해당 데이터가 삭제된다. 사용자가 선택된 데이터의 삭제를 승인하지 않으면 차순위의 데이터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재생 빈도에 의해 삭제할 데이터가 선택되는 방법은 제어부(170)가 저장된 각각의 저장 객체 정보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의 재생 빈도 정보(이는 재 생 횟수, 재생 시각 등을 포함할 수 있음)를 이용하여 재생 빈도가 가장 적은 또는 미리 지정된 기간 이상 재생되지 않은 데이터(예를 들어, 저장 객체 정보, 부가 정보 등)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삭제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에도 선택된 데이터가 무엇인지 시각 정보 출력부(115)를 통해 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데이터 삭제를 승인하면 해당 데이터가 삭제된다.
이외에도, 제어부(170)는 추출 객체 정보의 특징값 및 저장 객체 정보들의 특징값들을 이용하여 추출 객체 정보와 가장 유사도가 높은 저장 객체 정보를 선택하여 삭제할 저장 객체 정보로 선택하는 방법 등이 더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유사한 데이터들이 복수로 존재함으로써 저장 공간이 불필요하게 점유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275에서 제어부(170)는 삭제할 데이터가 선택 및/또는 승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삭제할 데이터가 존재하면, 단계 280에서 제어부(170)는 선택된 데이터를 저장부(160)에서 삭제한후, 단계 250으로 다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삭제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데이터의 삭제를 승인하지 않은 경우, 단계 285로 진행하여 제어부(170)는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된 저장 실패 메시지를 독출하여 시각 정보 출력부(115) 및/또는 청각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다시 단계 230을 참조하여, 만일 재생 모드로 진행하도록 판단되었다면, 단계 290에서 제어부(170)는 추출 객체 정보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냄새 특성 정보 등)를 독출한다.
단계 295에서 제어부(170)는 독출한 부가 정보(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냄새 데이터 등)를 시각 정보 출력부(115), 청각 정보 출력부(140), 냄새 발생부(1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독출된 부가 정보가 문자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또는 냄새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면, 제어부(170)는 독출된 부가 정보 중 문자 데이터는 영상 처리부(125)에 전달한다. 문자 데이터를 전달받은 영상 처리부(125)는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시각 정보 출력부(115)에 전달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음성 데이터를 청각 정보 처리부(150)에 전달하여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 후 청각 정보 출력부(140)에 전달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70)는 냄새 특성 정보에 상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하여 냄새 발생부(180)에 전달한다. 냄새 발생부(180)는 미리 구비된 다수의 향키트 중 제어부(170)로부터 전달 받은 전기 신호에 상응하는 향 키트의 개폐를 조절하여 냄새를 발생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완구의 저장될 메모리 선택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완구는 저장부(160)로서 착탈이 용이하지 않은 내부 메모리와 소켓(Socket)을 통해 착탈이 용이한 외장형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교육용 완구에 구비된 저장부(160)가 내부 메모리뿐인 경우 데이터는 당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것이다.
그러나, 교육용 완구에 구비된 저장부(160)가 내부 메모리와 외장형 메모리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획득된 데이터는 내부 메모리 또는 외장형 메모리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될 것이며, 이를 구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다양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내부 메모리 또는 외장형 메모리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저장부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저장부(160)에 이용 가능한 저장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70)는 저장 공간이 존재하는 다른 저장부(160)를 추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데이터를 저장할 저장부의 우선 순위를 미리 설정하면 제어부(170)는 해당 저장부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선순위로 설정된 저장부(160)의 저장 공간이 모두 이용된 경우, 제어부(170)는 차순위로 설정된 저장부(160)에 저장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존재하면 해당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교육용 완구에 복수의 메모리가 구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저장부를 선택하여 저장을 시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제어부(170)가 저장할 데이터(예를 들어, 영상 획득부(111)에 의해 생성된 획득 영상,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 등)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저장할 데이터가 존재하면, 단계 420에서 제어부(170)는 교육용 완구에 내장 및/또는 결합된 저장부들을 검색하여 그 결과 리스트를 시각 정보 출력부 (115)를 통해 출력한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저장부(160) 이외의 착탈이 가능한 이동식 메모리가 결합되었는지를 검사하고, 이동식 메모리가 결합되었다면, 이동식 메모리의 명칭 등이 포함된 결과 리스트를 시각 정보 출력부(115)를 통해 출력할 것이다.
단계 430에서 제어부(170)는 키 입력부(175)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결과 리스트에 포함된 임의의 저장부(160)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다.
단계 440에서 제어부(170)는 단계 430에 의해 선택된 저장부의 저장 가능 용량을 검사하여 당해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저장 용량이 충분하지 않다면, 단계 450에서 제어부(170)는 단계 430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저장부를 선택한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시각 정보 출력부(115)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저장 용량 부족 메시지를 출력하고, 단계 430에 의해 선택된 저장부를 제외한 저장부를 선택하도록 저장부 리스트를 시각 정보 출력부(115)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저장부(160)들을 검색하여 그 결과를 시각 정보 출력부(115)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420에서, 각각의 저장 용량 및 저장될 데이터의 크기를 함께 표시한다면 사용자가 스스로 저장 가능한 저장부(160)를 선택할 것이므로 단계 440 및 단계 45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그러나 저장 용량이 충분하거나 단계 450에 의해 다른 저장부가 선택되면, 단계 460에서 제어부(170)는 선택된 저장부에 당해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60)의 우선 순위가 사용자에 의해 또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단계 420 내지 단계 43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교육용 완구에 내장 메모리와 이동식 메모리가 결합되어 있고, 저장부(160)의 저장 순서가 내부 메모리, 이동식 메모리의 순서라고 가정하자. 제어부(170)는 저장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을 인지하면, 우선 내부 메모리를 선택하여 해당 데이터의 저장을 시도한다. 만일 내부 메모리의 저장 가능 용량이 저장할 데이터의 크기보다 작다면 제어부(170)는 해당 데이터를 저장할 저장부로서 이동식 메모리를 선택하여 데이터의 저장을 시도한다. 만일 이동식 메모리의 저장 가능 용량도 저장할 데이터의 크기보다 작다면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완구는 이동식 메모리 내에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하므로 단 한번의 데이터 저장으로 복수의 교육용 완구에 범용적으로 이용하게 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데이터가 이동식 메모리에 저장되는 경우 데이터의 신속한 검출을 위해 제어부(170)는 해당 데이터가 이동식 메모리에 저장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 상태에서 영상 획득부(111)를 통해 생성된 획득 영상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가 이동식 메모리에 저장된 것으로 인식되지만 당해 이동식 메모리가 결합되지 않았다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완구를 제공함으로써, 영상을 저장하는 도중 저장 용량 부족으로 저장하지 못한 경우, 기저장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삭제하여 새로 입력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에 상응하는 냄새를 함께 저장하여 출력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시각, 청각, 후각을 함께 자극하여 사물을 인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교육용 완구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저장 객체 정보, 상기 저장 객체 정보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 정보가 매칭되도록 저장하는 저장부-여기서, 상기 저장 객체 정보는 이미지 데이터, 문자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부가 정보는 하나 이상의 음성 데이터, 하나 이상의 냄새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피사체를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 객체 정보로서 저장하거나,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도중에 오류 발생시 저장 오류의 유형을 판단하여 오류 유형에 상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은 이미 저장된 저장 객체 정보,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삭제 동작,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재시도 동작 중 어느 하나인 교육용 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유형이 상기 영상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저장부의 저장 가능 용량보다 큼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삭제 동작을 수행하는 교육용 완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데이터, 데이터 선택 명령, 데이터 삭제 명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삭제 동작은 상기 데이터 선택 명령 및 상기 데이터 삭제 명령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인 교육용 완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동작은 저장부에 저장된 시각이 가장 앞선 상기 저장 객체 정보, 상기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삭제하는 것인 교육용 완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객체 정보, 상기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삭제 동작은 저장부에 상기 부가 정보 중 상기 출력부를 통한 출력 빈도가 가장 작은 부가 정보, 상기 부가 정보에 상응하는 저장 객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삭제하는 것인 교육용 완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가 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둘 이상의 메모리 모두에 대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저장부의 저장 가능 용량보다 큰 경우 상기 삭제 동작을 수행하는 교육용 완구.
  7.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향 키트를 포함하는 냄새 발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냄새 발생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매칭되는 냄새 특성 정보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향 키트의 개폐를 제어하는 교육용 완구.
  8. 영상 입력 장치를 구비한 교육용 완구의 학습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저장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저장 데이터는 저장 객체 정보 및 상기 저장 객체 정보 각각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저장 객체 정보는 이미지 데이터, 문자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부가 정보는 음성 데이터, 냄새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영상 입력 장치를 통해 촬상된 피사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저장 객체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를 입력받아 각각 매칭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저장이 완료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저장이 완료 되지 않은 경우, 저장 오류 유형을 분석하는 단계; 및
    저장 오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육용 완구의 학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오류 유형은 메모리의 저장 용량 부족, 저장 오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저장 오류 유형이 저장 용량 부족인 경우, 상기 저장 오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저장 객체 정보들 중 삭제할 저장 객체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저장 객체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육용 완구의 학 습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육용 완구의 학습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할 저장 객체 정보는 데이터 선택 명령에 상응하는 저장 데이터, 가장 앞선 시각에 저장된 저장 데이터, 출력 빈도가 가장 작은 저장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교육용 완구의 학습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에 냄새 특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냄새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냄새 특성 정보에 상응하여 향 키트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육용 완구의 학습 방법.
  13. 영상 입력 장치를 구비한 교육용 완구의 학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저장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저장 데이터는 저장 객체 정보 및 상기 저장 객체 정보 각각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저장 객체 정보는 이미지 데이터, 문자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부가 정보는 음성 데이터, 냄새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영상 입력 장치를 통해 촬상된 피사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저장 객체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를 입력받아 각각 매칭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저장이 완료 되었는지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저장이 완료 되지 않은 경우, 저장 오류 유형을 분석하는 단계; 및
    저장 오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050043781A 2005-05-24 2005-05-24 메모리 관리 기능을 구비한 교육용 완구 KR100701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781A KR100701290B1 (ko) 2005-05-24 2005-05-24 메모리 관리 기능을 구비한 교육용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781A KR100701290B1 (ko) 2005-05-24 2005-05-24 메모리 관리 기능을 구비한 교육용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541A KR20060121541A (ko) 2006-11-29
KR100701290B1 true KR100701290B1 (ko) 2007-03-29

Family

ID=37707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781A KR100701290B1 (ko) 2005-05-24 2005-05-24 메모리 관리 기능을 구비한 교육용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2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523B1 (ko) * 2009-05-08 2009-12-03 (주)컴버스테크 무인 멀티미디어 학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351654B2 (en) 2011-07-25 2019-07-16 Saudi Aramco Technologies Company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463B1 (ko) * 2018-08-01 2023-10-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한 영상에 기반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523B1 (ko) * 2009-05-08 2009-12-03 (주)컴버스테크 무인 멀티미디어 학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351654B2 (en) 2011-07-25 2019-07-16 Saudi Aramco Technologies Company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541A (ko)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3287B2 (en) Robotic system, robot control method and robot control program
KR100860250B1 (ko) 게임 장치, 컴퓨터의 제어 방법 및 정보 기억 매체
KR101184876B1 (ko) 영상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캐릭터의 동적 효과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85210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cene metadata extraction device, loss recovery information generation device, and programs
KR102071576B1 (ko) 콘텐트 재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JP5144424B2 (ja) 撮像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01262561B (zh) 成像设备及其控制方法
US11232790B2 (en) Control method for human-computer interaction device, human-computer interaction device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system
CN105635452A (zh) 移动终端及其联系人标识方法
KR20210110852A (ko) 이미지 변형 제어 방법, 장치 및 하드웨어 장치
CN105556947A (zh) 用于色彩检测以生成文本色彩的方法和装置
JP2009171176A (ja) 再生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701290B1 (ko) 메모리 관리 기능을 구비한 교육용 완구
KR20080090117A (ko) 페이지를 자동 인식하는 도서내용출력장치 및 그 방법
CN101867708A (zh) 摄影装置、显示装置、再现装置、摄影方法以及显示方法
KR20130109777A (ko) 얼굴 인식 기반의 근태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52443A (ko) 반려동물 음성 번역 장치 및 방법
KR101843133B1 (ko) 판서 영상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0722938B1 (ko) 영상 인식 기능을 구비한 교육용 완구
JP2010200079A (ja) 撮影制御装置
KR100643263B1 (ko) 망각 기능을 구비한 교육용 완구
CN111083600B (zh) 一种听写内容的投屏显示方法及智能音箱
JP2009239349A (ja) 撮影装置
KR20110065276A (ko) 비교 영상을 이용한 발음 학습 방법 및 장치
JP2012118286A (ja) 利用者属性対応カラオ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