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503B1 -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 Google Patents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503B1
KR100700503B1 KR1020060051412A KR20060051412A KR100700503B1 KR 100700503 B1 KR100700503 B1 KR 100700503B1 KR 1020060051412 A KR1020060051412 A KR 1020060051412A KR 20060051412 A KR20060051412 A KR 20060051412A KR 100700503 B1 KR100700503 B1 KR 100700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nclosure
flow path
workspac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래
Original Assignee
김영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래 filed Critical 김영래
Priority to KR1020060051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6Nozzles; Sprayers; Spargers;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24Recirculation of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7/00Means for sterilizing, maintaining sterile conditions or avoiding chemical or biological contamination
    • C12M37/02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를 대상으로 각종 실험 및 관찰을 하는 경우에 작업공간의 환경 조건을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는 외부와 격리되도록 내부에 형성되며 세포가 배치되는 작업공간을 가지는 함체와,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함체의 작업공간으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공급부를 구비한다.
세포, 현미경, 접안렌즈, 이산화탄소(CO₂)

Description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Device for experiment and observation on cel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1에 도시된 이동부재의 이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접근부를 막는 막이판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함체 11...본체
12...커버부재 13...힌지부
14...막이판 15...이동부재
21...덕트 22...팬
23...밸브 30...이산화탄소공급부
31,41...파이프 40...수분공급부
51...필름히터 52...히터
60...필터부 61...필터부하우징
70...살균부 100...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111...상면 111a...유입구
112...하면 112a,114a...유출구
113...측면 114...배면
115...전면 115a...디스플레이부
116...작업공간 117...현미경
117a...경통 117b...접안렌즈
117c...대물대 121...접근부
122...관통공 123...슬롯
141...관통슬릿 151...관통구멍
152...돌기 N...너트
211...제1덕트 211a...제1유로
212...제2덕트 212a...제2유로
212aa...평행유로부 212ab...제1테이퍼유로부
212ac...제2테이퍼유로부 213...제3덕트
213a...제3유로 214...유로형성부재
215...브라켓 231...고정단
232...자유단
본 발명은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포를 대상으로 한 각종 실험 및 관찰이 이루어지는 작업공간이 외부와 격리되게 형성된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는 그 내부에 세포를 대상으로 한 각종 실험 및 관찰이 이루어지는 작업공간이 형성된 것으로서, 바이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그 수요가 폭증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복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세포 배양, 세포 복제 등에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에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형성된 작업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작업공간의 개방시 외부의 공기가 작업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커튼기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를, 예를 들어 세포 배양 및 세포의 성장 과정 관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세포가 수용된 배양기를 작업공간에 넣고 세포를 배양시킨다. 그리고, 작업공간에 현미경을 넣고 접안렌즈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후에 세포의 성장과정을 현미경을 통해서 외부에서 관찰한다.
그런데, 종래의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는, 작업공간의 환경조건, 예를 들어 작업공간의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농도 등을 각종 실험에 맞도록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즉, 작업공간의 환경은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외부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온도, 습도, 특히 이산화탄소농도에 매우 민감한 세포를 대상으로 실험하는 경우에 그 실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웠으며 나아가 실험에 의해 얻어진 결과도 신뢰하기 어려웠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포를 대상으로 각종 실험 및 관찰을 하는 경우에 작업공간의 환경 조건을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는 외부와 격리되도록 내부에 형성되며 세포가 배치되는 작업공간을 가지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으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Ⅴ-Ⅴ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Ⅵ-Ⅵ선 단면도이며, 도 7 은 도 1에 도시된 이동부재의 이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접근부를 막는 막이판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100)는 함체(10)와, 순환수단과, 이산화탄소공급부(30)와, 수분공급부(40)와, 가열부와, 필터부(60)와, 살균부(70)와, 이동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함체(10)는 본체(11)와, 커버부재(12)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1)는 상면(111)과, 하면(112)과, 배면(113)과, 양 측면(114)과, 전면(115)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의 양 측면(114)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작업공간(116)과, 유출구(112a,114a)와, 유입구(111a)와, 디스플레이부(11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업공간(116)은 상기 본체(11)의 내부에 상기 본체(11)의 외부와 격리되도록 형성된 빈 공간이다. 상기 작업공간(116)에는 세포를 대상으로 각종 실험 및 관찰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작업공간(116)에는 세포 배양을 위한 배양기, 세포 관찰을 위한 현미경(117)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작업공간(116)은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면(115)은 상기 양 측면(113) 사이를 막을 수 없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작업공간(116)은 후술하는 커버부재(12)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상기 유출구(112a,114a)는 상기 함체의 하면(112) 및 배면(114)에 각각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112a,114a)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면(112)의 전방측 및 상기 배면(114)의 하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유출구(112a,114a)는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116)에 수용된 공기는, 후술하는 순환수단에 의해 상기 유출구들(112a,114a)을 통해서 유출된다.
상기 유입구(111a)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함체의 상면(111)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출구들(112a,114a)을 통해서 유출된 공기는 후술하는 순환수단에 의해 상기 유입구(111a)를 통해 다시 상기 작업공간(116)으로 유입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5a)는 액정소자(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업공간(116)의 환경조건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15a)에는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농도가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5a)는 상기 본체의 전면(115)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12)는 상기 작업공간(116)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12)는 도 2에 도시된 힌지부(13)를 회전중심축으로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1)에 결합된다. 상기 개방위치에서는 상기 커버부재(12)가 도 2에 가산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치되어 상기 작업공간(116)이 개방되며, 상기 폐쇄위치에서는 상기 커버부재(12)가 도 2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치되어 상기 작업공간(116)이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공간(116)의 개방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작업공간(116)으로 유입되는 것 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11)에 에어커튼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12)는 상기 작업공간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버부재(12)에는 접근부(121)와, 관통공(12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근부(121)는 상기 커버부재(12)에 관통 형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양 손이 넣어질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12)의 전면에는, 상기 각 접근부(121)를 막기 위한 복수의 막이판(14)이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막이판(14)은 한 쌍이 마련되며, 서로 적층되어 있다. 상기 각 막이판(14)은 평판형상으로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져 있다. 상기 각 막이판(14)에는 관통 형성된 관통슬릿(141)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슬릿(141)들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막이판(14)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슬릿(141)들은 상기 각 막이판(14)의 중앙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막이판(14)들은 상기 각 막이판(14)에 형성된 관통슬릿(141)들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적층되어 있다. 즉, 상기 막이판(14)들 중 어느 하나의 막이판의 관통슬릿(141)들은 각각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막이판(14)의 관통슬릿(141)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막이판(14)들이 그 막이판 각각의 관통슬릿(141)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관통슬릿(141)들로 손을 넣어서 상기 작업공간(116)에 접근하는 경우에도 외부의 공기가 상기 작업공간(116)으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통공(122)은 현미경(117)의 경통(117a)을 끼우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현미경(117)은 상기 작업공간(116)에 배치되며, 상기 경통(117a)의 단부에는 접안렌즈(117b)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관통공(122)에 상기 현미경의 경통(117a)을 끼우게 되면 상기 현미경의 접안렌즈(117b)가 외부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도 상기 현미경의 대물대(117c)에 배치되는 대상물, 예를 들어 세포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미경(117)에는 상기 접안렌즈(117b)가 한 쌍 마련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22)은 상기 현미경의 경통(117a)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22)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작업공간(116)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부재(12)의 전면에는 상기 관통공(122)을 막도록 이동부재(15)가 결합된다.
상기 이동부재(15)에는 상기 현미경의 경통(117a)이 끼워지는 관통구멍(151)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현미경의 경통(117a)에 대응되도록 상기 관통구멍(151)이 한 쌍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15)는 상기 커버부재(12)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5)는 도 7에 실선 및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이러한 점은 후술하는 이동수단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부재(15)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이동부재(15)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기 이동부재(15)에 끼워진 현미경의 경통(117a)도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순환수단은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116)에 수용된 공기를 순환시킨다. 상기 순환수단은 덕트(21)와, 팬(22)과, 밸브(23)를 구비한다.
상기 덕트(21)는, 상기 함체의 하면(112)에 결합되는 제1덕트(211)와, 상기 제1덕트(211)와 연결되며 상기 함체의 배면(114)에 결합되는 제2덕트(212)와, 상기 제2덕트(212)와 연결되며 상기 함체의 상면(111)에 결합되는 제3덕트(213)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덕트(21)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덕트(211)에 형성된 제1유로(211a)와, 상기 제2덕트(212)에 형성된 제2유로(212a)와, 상기 제3덕트(213)에 형성된 제3유로(213a)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유로(211a,212a,213a)에서는 공기가 유동 가능하다. 상기 제1덕트(211) 및 제2덕트(212)는 상기 함체의 유출구(112a,114a)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3덕트(213)는 상기 함체의 유입구(111a)와 연결된다.
상기 제2덕트(212)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유로형성부재(214)와, 한 쌍의 브라켓(2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재(214)들에 의해, 상기 제2덕트의 제2유로(212a)는 상기 제2유로에서의 공기의 순환방향, 즉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방을 따라서 폭이 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유로(212a)는, 폭이 일정한 평행유로부(212aa)와, 상기 평행유로부(212aa)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방을 따라서 폭이 확장되는 제1테이퍼유로부(212ab)와, 상기 평행유로부(212aa)의 타측과 연결되며 하방을 따라서 폭이 확장되는 제2테이퍼유로부(212ac)를 포함한다.
상기 팬(22)은 상기 덕트의 유로(211a,212a,213a)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팬(22)은 상기 제2유로의 평행유로부(212aa)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팬(22)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성이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팬(22)의 회전시, 상기 작업공간(116)의 공기는 도 2 및 도 3에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을 따라서 순환하게 되므로, 상기 유출구들(112a,114a)을 통해서 유출된 공기는 상기 덕트(21)로 유입되어 순환된 후에 상기 유입구(111a)를 통해서 상기 작업공간(116)으로 다시 유입되게 된다.
상기 밸브(23)는 상기 덕트의 유로(211a,212a,213a) 상에 배치되며,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23)는 고무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밸브는 상기 평행유로부(212aa)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23)의 일측은 상기 유로형성부재(214)의 내측면에 고정된 고정단(231)이다. 그리고, 상기 밸브의 타측은 상기 팬(22)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고정단(2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자유단(232)이다. 따라서, 상기 팬(22)의 회전시 상기 밸브(23)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평행유로부(212aa)를 개방하게 되며 공기는 상방으로 순환하게 된다.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30)는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116)에 수용된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30)는 이산화탄 소(CO2)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그 구성이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30)는 상기 제2덕트의 브라켓(215)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30)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는,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30)와 연결된 파이프(31)를 통해서 상기 제2유로의 평행유로부(212aa)로 공급되며, 상기 순환수단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상기 유입구(111a)를 통해서 상기 작업공간(116)에 유입된다.
상기 수분공급부(40)는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116)에 수용된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분공급부(40)는 상기 제2덕트의 브라켓(215)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40)는 물을 증발시켜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기이다. 상기 수분공급부(40)에서 발생된 수분은 상기 수분공급부(40)와 연결된 파이프(41)를 통해서 상기 제2유로의 평행유로부(212aa)로 공급되며, 상기 순환수단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상기 유입구(111a)를 통해서 상기 작업공간(116)에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유로(212a)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30) 및 수분공급부(40)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 및 수분이 상기 평행유로부(212aa)에 직접 공급되게 되므로, 발생된 이산화탄소 및 수분은 상기 팬의 구동시 상기 공기와 효과적으로 혼합되어 순환되게 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116)에 수용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작업공간의 공기를 가열하는 필름히터(51)와, 상기 유입구(111a)를 통해서 상기 작업공간(116)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52)를 구비한다. 상기 필름히터(51)는 상기 함체의 하면(112)에 배치되며,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함체의 하면(112)과 후술하는 제1덕트(21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필름히터(51)에는 상기 함체의 하면에 형성된 각 유출구(112a)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5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름히터(51)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압 인가시 발열하는 것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89363호 등에 잘 개시되어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히터(52)는 상기 팬(22)과 상기 유입구(111a) 사이의 상기 덕트의 유로(211a,212a,213a) 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히터(52)는 전압 인가시 발열하는 열선이다.
상기 필터부(60)는 상기 공기의 순환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116)에 수용된 공기를 정화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60)는 필터부하우징(61)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60)는 상기 유입구(111a)의 상측에 배치된 헤파필터이다. 따라서, 상기 작업공간(116)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유입되기 전에 상기 필터부(60)를 통과하여 정화된다.
상기 살균부(70)는 상기 공기의 순환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116)에 수용된 공기를 살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70)는 상기 팬(22)과 상기 유입구(111a) 사이의 상기 덕트의 제3유로(213a) 상에 배치된 복수의 자외선 램프(70)이다. 따라서, 상기 작업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유입되기 전에 상기 자외선 램프(70)들을 통과하여 살균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부재(15)를 상기 커버부재(12)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슬롯(123)과, 돌기(152)를 포함한다.
상기 슬롯(123)은 상기 커버부재(12)에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123)들 사이에는 상기 관통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슬롯(123)은 상기 이동부재(15)의 이동방향,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152)는 상기 이동부재(15)에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152)들은 각각 상기 슬롯(123)들에 끼워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돌기(152)는 상기 이동부재(15)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된 볼트(152)이다. 그리고, 상기 각 볼트(152)에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너트(N)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15)는 상기 볼트(152)들이 상기 슬롯(123)들에 끼워져서 상기 슬롯(12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12)에 대해서도 슬라이딩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15)를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에는, 상기 너트(N)를 죄여서 상기 커버부재(12)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작업장치에는 센서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작업공간(116)의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를 탐지하고, 그 탐지된 결과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탐지한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15a)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지 결과를 토대로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30), 수분공급부(40) 및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작업공간(116)의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를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업장치(100)에 있어서는, 종래와 달리 이산화탄소공급부(30), 수분공급부(40) 및 가열부에 의해 작업공간(116)의 이산화탄소 농도, 습도 및 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온도, 습도, 특히 이산화탄소농도에 매우 민감한 세포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작업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신뢰성 높은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살균부(70) 및 필터부(60)를 통해서 작업공간의 공기를 살균 및 정화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작업공간(116)의 공기를 작업공간의 외부에서 도 2에 화살표 방향으로 순환시킬 수 있게 되므로, 커버부재(12)를 개방하거나 접근부(121)에 손을 넣어서 작업공간(116)에 접근하는 경우 등과 같이 작업공간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 가능한 상황에 있어서도, 작업공간(116)을 원하는 환경수준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작업공간의 공기가 유출구(112a,114a)를 통해서 하방으로 유출되어, 가열, 가습, 살균 및 정화와 이산화탄소 첨가가 이루어진 후 유입구(111a)를 통해서 상방으로 유입되게 되므로, 작업공간(116)에 있어서 상측과 하측 및 그 사이의 공기의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서로 적층된 한 쌍의 막이판(14)들이 각 접근부(14)를 막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하나의 막이판의 관통슬릿(141)들이 각각 다른 하나의 막이판의 관통슬릿(141)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관통슬릿(141)로 손을 넣어서 작업공간(116)에 접근하는 경우에도 외부의 공기가 상기 작업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동부재(15)가 커버부재(12)에 대해 상대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공간(116)에 현미경(117)을 배치하는 경우에 이동부재에 끼워진 현미경의 경통(117a)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동부재(15)에 나사결합된 볼트(152)에 너트(N)를 결합하게 되며, 이동부재(15)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현미경의 접압렌즈(117b)를 통해서 관찰하는 경우에 보다 안정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작업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작업공간의 산소 농도도 조절 가능하도록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공급부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근부를 막기 위해 복수의 막이판이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접근부를 막도록 단지 하나의 막이판만이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이산화탄소공급부, 수분공급 부 및 가열부에 의해 작업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 습도 및 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살균부 및 필터부를 통해서 작업공간의 공기를 살균 및 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공간의 공기가 유출구를 통해서 하방으로 유출되어, 가열, 가습, 살균 및 정화와 이산화탄소 첨가가 이루어진 후 유입구를 통해서 상방으로 유입되게 되므로, 작업공간에 있어서 상측과 하측 및 그 사이의 공기의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업공간에 손을 넣는 경우에도 외부의 공기가 작업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공간에 현미경을 배치하는 경우에, 현미경의 접안렌즈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관찰시 접안렌즈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할 수도 있게 된다.

Claims (23)

  1. 외부와 격리되도록 내부에 형성되며 세포가 배치되는 작업공간을 가지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으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공급부와,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함체에는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 및 상기 공기가 상기 작업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순환수단은,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가 유동 가능한 유로를 가지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을 구비하며,
    상기 덕트의 유로는, 상기 공기의 순환방향을 따라서 상기 유로의 폭이 일정하게 형성된 평행유로부와, 상기 평행유로부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공기의 순환방향을 따라서 상기 유로의 폭이 확장되는 제1테이퍼유로부와, 상기 평행유로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공기의 순환방향의 반대방향을 따라서 상기 유로의 폭이 확장되는 제2테이퍼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함체의 하면 및 배면에 각각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유출구는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유입구는 상기 함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유로에는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밸브는 상기 덕트에 고정된 고정단과, 상기 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고정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자유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평행유로부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는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가 상기 평행유로부로 직접 공급되도록 상기 덕트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함체의 하면에 배치되며 전압 인가시 발열하는 필름히터와, 상기 팬과 상기 유입구 사이의 상기 덕트의 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상기 공기의 순환 경로 상에 배치된 필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입구의 상측에 배치된 헤파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를 살균하기 위해 상기 공기의 순환 경로 상에 배치된 살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팬과 상기 유입구 사이의 상기 덕트의 유로 상에 배치된 자외선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16. 삭제
  17. 외부와 격리되도록 내부에 형성되며 세포가 배치되는 작업공간을 가지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으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공급부와,
    상기 함체는 상기 작업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작업공간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결합된 커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작업공간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작업공간을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함체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작업공간에 배치되는 현미경의 접안렌즈가 상기 함체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접안렌즈가 결합된 경통이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현미경의 경통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현미경의 경통이 끼워지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커버부재의 관통공을 막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결합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커버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이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관통공을 사이에 두고 일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슬롯과, 상기 이동부재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슬롯들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각각 상기 이동부재에 나사 결합된 볼트이며,
    상기 볼트에는 상기 커버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에는 관통 형성된 접근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함체에는, 각각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근부를 막도록 적층된 복수의 막이판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막이판에는,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접근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된 관통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슬릿은 상기 각 막이판에 방사형을 이루도록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막이판에 형성된 관통슬릿들은 각각 일측이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막이판들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막이판 중 어느 하나의 막이판의 관통슬릿들이 각각 다른 하나의 막이판의 관통슬릿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KR1020060051412A 2006-06-08 2006-06-08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KR100700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412A KR100700503B1 (ko) 2006-06-08 2006-06-08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412A KR100700503B1 (ko) 2006-06-08 2006-06-08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265U Division KR200422055Y1 (ko) 2006-05-09 2006-05-09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0503B1 true KR100700503B1 (ko) 2007-03-28

Family

ID=41564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412A KR100700503B1 (ko) 2006-06-08 2006-06-08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5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2830A (en) * 1987-04-02 1990-01-09 Baylor College Of Medicine Environmentally controlled in vitro incubator
KR20020006498A (ko) * 2001-10-11 2002-01-19 김정희 세포 배양용 인큐베이터
KR20030044469A (ko) * 2001-11-30 2003-06-09 양남웅 글러브 박스형 배양기
KR20060028996A (ko) * 2004-09-30 2006-04-04 박경철 휴대형 이산화탄소 배양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2830A (en) * 1987-04-02 1990-01-09 Baylor College Of Medicine Environmentally controlled in vitro incubator
KR20020006498A (ko) * 2001-10-11 2002-01-19 김정희 세포 배양용 인큐베이터
KR20030044469A (ko) * 2001-11-30 2003-06-09 양남웅 글러브 박스형 배양기
KR20060028996A (ko) * 2004-09-30 2006-04-04 박경철 휴대형 이산화탄소 배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498B1 (ko) 인큐베이터
US9464265B2 (en) Incubator for isolator
KR20200005538A (ko) 인큐베이터
JP4694489B2 (ja) 顕微鏡用環境室及び環境制御手段
US9464266B2 (en) Sensor unit and constant-temperature device
US20080057568A1 (en) Culture apparatus
AU2006246263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media to cell culture modules
JP2012170364A (ja) 生体細胞の培養容器、及び培養装置
EP1382670A4 (en) CELL AND STRUCTURE INCUBATOR
WO2014046008A1 (ja) 動物用集中治療装置
JP2003107364A (ja) 顕微鏡観察用培養器
US10918755B2 (en) Housing apparatus
KR200422055Y1 (ko)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KR100700503B1 (ko) 세포 실험 및 관찰용 작업장치
KR102357162B1 (ko) 바이오 3차원 프린터용 챔버 환경 제어 장치
KR20230002312A (ko) 인큐베이터
JP2004524046A (ja) 温度調節を備えた細胞および組織培養装置
CN207659459U (zh) 一种生化培养箱
WO2019207818A1 (ja) 安全キャビネット
WO2011010125A2 (en) Gas flow rate and liquid level monitoring apparatus
JP2006166747A (ja) 培養装置
KR101835422B1 (ko) 세포 배양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장치
JP2006075088A (ja) 培養・育成装置
JP2017063618A (ja) インキュベータ
JP2017063617A (ja) 培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