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498B1 - 인큐베이터 - Google Patents

인큐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498B1
KR101291498B1 KR1020110010224A KR20110010224A KR101291498B1 KR 101291498 B1 KR101291498 B1 KR 101291498B1 KR 1020110010224 A KR1020110010224 A KR 1020110010224A KR 20110010224 A KR20110010224 A KR 20110010224A KR 101291498 B1 KR101291498 B1 KR 101291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ntamination
water supply
culture chamber
gas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0826A (ko
Inventor
신지 후꾸이
야스히꼬 요꼬이
아끼후미 이와마
히로시 야마모또
지로우 오미시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헬스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헬스케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90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48Holding appliances; Racks;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B01L7/52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with provision for submitting samples to a predetermined sequence of different temperatures, e.g. for treating nucleic acid samp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34Measuring or testing with condition measuring or sensing means, e.g. colony coun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36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including condition or time responsive control, e.g. automatically controlled fermentors
    • C12M1/38Temperature-responsive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4Filters; Permeable or porous membranes or plates, e.g. 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7/00Means for sterilizing, maintaining sterile conditions or avoiding chemical or biological contamination
    • C12M37/02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C12M41/14Incubators; Climatic cha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i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배양실에의 물의 공급이, 배양실의 무균 상태 유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양실(14)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배관(35) 상에 필터(F1)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인큐베이터{INCUBATOR}
본 발명은, 배양물을 배양하는 배양실을 구비하는 인큐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양물을 배양하는 배양실을 구비하고, 이 배양실 내의 습도를 일정한 값 이상으로 유지하는 인큐베이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종류의 인큐베이터에서는, 배양실의 내부에 물을 저류하고, 이 저류한 물에 의해 배양실 내의 습도를 일정한 값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2221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배양실의 내부에 물을 저류하고, 저류한 물에 의해 배양실 내의 습도를 일정한 값 이상으로 유지하는 인큐베이터에서는, 저류해야 할 물을 배양실에 공급할 필요가 있지만, 배양실에의 물의 공급이 배양실의 무균 상태 유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배양실에의 물의 공급이, 배양실의 무균 상태 유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 인큐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양물을 배양하는 배양실을 구비하고, 이 배양실 내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배양실의 습도를 조정하는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배양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경로 상에 필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명의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배양실에 제염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배양실 내를 제염하는 실내 제염 수단과, 이 실내 제염 수단에 의해 상기 배양실에 공급된 제염 가스를 사용하여, 상기 급수 경로 내를 제염하는 경로 제염 수단을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발명의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제염 수단은, 상기 실내 제염 수단에 의해 상기 배양실에 공급된 제염 가스를 사용하여, 상기 배양실에 저류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 경로 내를 재차 제염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발명의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급수 경로의 상기 필터의 배치 위치보다 상류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또한 상기 배수 경로에 타단부가 접속된 기체 경로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배수 경로의 상기 배양실측의 단부에 형성된 배수구로부터, 상기 배수 경로, 상기 기체 경로 및 상기 급수 경로를 통하여, 상기 급수 경로의 상기 배양실측의 단부에 형성된 급수구에 이르는 제1 경로 상에, 상기 배수구로부터 제염 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제1 경로를 통하여 상기 급수구로부터 상기 배양실로 배출하기 위한 펌프를 설치하고, 상기 경로 제염 수단은,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실내 제염 수단에 의해 상기 배양실에 공급된 제염 가스를, 상기 배수구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제1 경로를 통하여 상기 급수구로부터 상기 배양실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제1 경로 내를 제염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발명의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급수 경로의 상기 필터의 배치 위치보다 상류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또한 기체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기체 배출부에 타단부가 접속된 기체 경로를 형성함과 함께 이 기체 경로 상에 상기 급수 경로의 상기 배양실측의 단부에 형성된 급수구로부터 제염 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급수 경로 및 상기 기체 경로를 통하여 상기 기체 배출부로 배출하기 위한 펌프를 설치하고, 상기 경로 제염 수단은,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실내 제염 수단에 의해 상기 배양실에 공급된 제염 가스를, 상기 급수구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급수 경로 및 상기 기체 경로를 통하여 상기 기체 배출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급수 경로 내를 제염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발명의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급수 경로의 상기 필터의 배치 위치보다 상류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또한, 제염액을 저류하는 제염액 탱크에 타단부가 접속된 제염액 공급 경로와, 이 제염액 공급 경로 상에 상기 제염액 탱크로부터, 상기 제염액 공급 경로 및 상기 급수 경로를 통하여, 상기 급수 경로의 상기 배양실측의 단부에 형성된 급수구를 향하여 제염액을 유통시키기 위한 펌프와, 이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제염액 탱크로부터, 상기 제염액 공급 경로 및 상기 급수 경로를 통하여, 상기 급수 경로의 상기 배양실측의 단부에 형성된 급수구를 향하여 제염액을 유통시킴으로써 상기 급수 경로를 제염하는 경로 제염 수단을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양실의 무균 상태를 유지한 후 배양실 내에 용이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인큐베이터의 정면 사시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인큐베이터의 배면 사시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급수 유닛의 분해 사시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인큐베이터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인큐베이터의 기능적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인큐베이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인큐베이터의 기능적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인큐베이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인큐베이터의 기능적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인큐베이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인큐베이터의 기능적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인큐베이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 시스템(1)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큐베이터 시스템(1)은, 인큐베이터(10a)와, 아이솔레이터(11)와, 제염 유닛(12)을 구비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제염이란, 미생물의 혼입(콘터미네이션)을 방지하거나, 미생물을 살균하거나, 제거함으로써 무균 상태로 하기(근접시키기) 위한 처리, 수단, 행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제균, 살균, 멸균이라고 불리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인큐베이터(10a)의 정면 사시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인큐베이터(10a)의 배면 사시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큐베이터(10a)는, 배양물을 배양하는 배양실(14)을 구비하고, 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를 유지한 후, 배양실(14) 내의 온도,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 농도 및 습도를 일정한 범위 내로 유지하며, 배양식(14)에 수납된 세포나 미생물 등의 배양물을 배양하는 장치이다.
배양실(14)은, 금속제의 외부 상자 내에 스테인리스제의 내부 상자가 설치되어 구성된 단열 상자 본체(15)를 구비하고, 이 단열 상자 본체(15)의 정면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에는, 힌지 등의 연결부를 통하여 단열 상자 본체(15)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메인 도어(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메인 도어에는, 시정(施錠) 장치(16)(도 6)가 설치되어 있다. 시정 장치(16)는 후술하는 제어부(17)의 제어 하에서, 메인 도어의 시정이 필요하게 된 경우에 자동으로 메인 도어를 시정한다.
배양실(14)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용기 선반(18)이 설치되어 있고, 이 용기 선반(18)에 배양물이 수납된 용기(19)가 적재된다.
또한, 배양실(14)에는 자동 반송기(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동 반송기(20)는, 유저의 지시에 기초하여, 용기 선반(18)에 적재된 용기(19)를 아이솔레이터(11)로 자동으로 반송하는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반송기(20)는 용기(19)를 파지 가능한 파지부(22)와, 이 파지부(22)를 이동시키는 반송 기구(23)를 구비하고 있으며, 소정의 용기 선반(18)에 적재된 소정의 용기(19)의 반송이 지시된 경우, 자동 반송기(20)는 반송 기구(23)에 의해 파지부(22)를 당해 용기(19)가 배치된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파지부(22)에 의해 당해 용기(19)를 파지하고, 파지부(22)에 의해 당해 용기(19)를 파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당해 용기(19)를 이동대(25)에 이르기까지 반송하고, 이 이동대(25)에 당해 용기(19)를 적재한다.
여기서, 배양실(14)에 있어서의 아이솔레이터(11)측의 측벽에는, 아이솔레이터(11)로 반송되는 용기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인 반송용 개구(2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반송용 개구(26)에 연통하여 인큐베이터(10a)와, 아이솔레이터(11)를 외부로부터의 기체의 유입을 차단한 상태에서 접속하는 접속부(27)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용 개구(26)에는, 개구를 폐쇄하는 도어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인큐베이터(10a)와 아이솔레이터(11)를 용기(19)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접속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 도어에 의해 반송용 개구(26)가 폐쇄되고, 한편 인큐베이터(10a)와 아이솔레이터(11)를 용기(19)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접속하는 경우는, 이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반송용 개구(26)가 개구되어, 이 반송용 개구(26)를 통하여 인큐베이터(10a)의 배양실(14)과 아이솔레이터(11)의 내부가 연통함과 함께,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대(25)는, 자동 반송기(20)에 의해 배양실(14)로부터 아이솔레이터(11)로 반송되는 용기(19)가 적재되는 스페이스로 된다.
인큐베이터(10a)와 아이솔레이터(11) 사이에서 용기(19)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반송 기구(23)에 의해, 용기(19)가 반송용 개구(26)까지 반송되고, 도어 기구에 의해 개구된 개구부를 통해 인큐베이터(10a)의 외부로 반송된다. 동시에, 이동대(25)가 이동대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반송용 개구(26) 부근으로 이동하고, 반송 기구(23)에 의해 용기(19)가 이동대(25)에 적재되고, 이동대 기구에 의해 작업실 내에 반송된다.
배양실(14)에는, 배양물을 관찰하기 위한 관찰 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관찰 장치(30)는, 용기(19)를 관찰 장치(30) 내의 소정의 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적재함으로써, 용기(19) 내에 수용되어 있는 배양물의 화상을 촬상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찰 장치(30)는 용기(19)에 있어서의 배양물의 수납부 전체의 화상을 촬상함으로써, 배양물 전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나, 용기(19)에 수납된 배양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 등을 구비하고, 이들 촬상 장치에 의해 배양물의 화상을 촬상함으로써 배양물을 관찰한다. 이들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나타내는 신호는, A/D 변환된 후에 후술하는 제어부(17)에 출력되어, 제어부(17)의 제어 하에서, 데이터로서 적절히 보존된다.
관찰 장치(30) 내의 소정의 위치에 관찰이 필요한 용기를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함으로써, 인큐베이터(10a)에 수용되는 모든 용기(19)의 배양물의 관찰이 배양실 내환경을 손상시키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배양실(14)에는 배양실(14)의 습도를 소정의 값(예를 들어 90%)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물(이하, 「가습수」라고 한다)이 저류되는 가습수 저류부(32)가 설치되어 있다. 가습수 저류부(32)는, 천장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의 트레이이며, 배양실(14)의 저면의 대략 전역에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큐베이터(10a)의 배면에는 가습수 저류부(32)에 공급되는 가습수가 저류된 급수 탱크(34)가 설치되어 있고, 이 급수 탱크(34)에는 급수 배관(35)(급수 경로)의 일단부가 접속되고, 이 급수 배관(35)의 타단부는 인큐베이터(10a)에 형성된 급수구(36)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 탱크(34)에 저류된 가습수는 급수 배관(35) 및 급수구(36)를 통하여 가습수 저류부(32)에 공급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배관(35)에 있어서 급수 탱크(34)보다 하류에는, 급수 탱크(34)로부터 가습수 저류부(32)로 공급되는 가습수에 후술하는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급수 유닛(38)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습수 저류부(32)에는, 가습수 저류부(32)에 저류된 가습수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수위 센서(40)(도 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수위 센서(40)의 검출값에 따라 급수 탱크(34)로부터 가습수 저류부(32)에 대하여 적시에 가습수가 공급되고, 이에 의해 가습수 저류부(32)에 있어서의 가습수의 수위가 소정의 범위에서 유지되며 배양실(14)의 습도가 소정의 값 이상으로 유지된다.
또한, 가습수 저류부(32)에는 가습수 저류부(32)에 저류된 가습수를 인큐베이터(10a)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41)가 형성되고, 이 배수구(41)에는 배수 배관(42)(배수 경로)의 일단부가 접속되고, 본 배수 배관(42)의 타단부에는, 배수 배관(42)을 통하여 배수되는 가습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자동 배수기(44)(도 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큐베이터(10a)의 정면 상부에는 조작 패널(45)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45)은, 동작 모드나, 배양실(14)의 현재의 온도, 습도, 소정의 기체의 기체 농도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 가능한 표시 패널(46)(도 6)과,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스위치(47)(도 6)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인큐베이터(10a)에 인접하여 아이솔레이터(11)가 설치되어 있다.
아이솔레이터(11)는 무균 환경에 있는 작업 공간(50)을 그 내부에 갖고, 무균 환경인 것이 요구되는 작업, 예를 들어 세포 조정 등의 생체 유래 재료를 취급하는 작업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아이솔레이터(11)에서는, 인큐베이터(10a)의 배양실(14)에 의해 배양된 배양물에 대하여, 배양물이 무균 상태로 놓여진 상태를 유지한 후, 유저가 직접 배양물에 액세스하여, 각종 실험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아이솔레이터(11)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아이솔레이터(11)의 내부에는, 무균 상태를 유지 가능한 공간이며, 인큐베이터(10a)로부터 용기(19)채 배양물이 반송되는 작업 공간(50)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 공간(50)의 정면을 형성하는 정면벽(49)에는 투명한 창이 설치되어 있고, 이 창을 통하여 작업 공간(50)의 내부를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정면벽(49)에는, 유저의 손을 삽입 가능한 손 삽입부(52)가 횡배열로 3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손 삽입부(52)에는, 작업 공간(50)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에서 글로브(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어 있다. 유저는, 임의의 손 삽입부(52)에 자신의 손을 삽입하고, 자신의 손에 글로브를 끼운 후, 정면벽(49)의 창문으로부터 작업 공간(50)을 참조하면서, 배양물에 대하여 각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인큐베이터(10a)의 배양실(14)과, 아이솔레이터(11)의 작업 공간(50)은 동일한 무균 환경이기는 하지만, 온습도 환경이 상이하다. 작업 공간(50)에 대해서는, 특별한 온습도 관리는 없지만, 배양실(14)은, 무균 환경 외에, 예를 들어 온도가 37℃, 습도가 90%RH 이상인 고습도에서 관리되고 있다.
또한, 배양 중인 배양물에 대하여, 그 온습도 변화가 작은 쪽이 바람직하고, 반송용 개구(26)를 폐쇄하는 도어의 개폐 동작은 필요 최소한으로 그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로 인해, 용기(19)를 반송하는 기구는 반송용 개구(26)를 사이에 두고 2개의 기구에 의해 구성되며, 그들 2개의 기구 사이에서 용기(19)를 전달할 때만, 당해 도어가 개폐 동작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솔레이터(11)에 인접하여 제염 유닛(12)이 설치되어 있다.
제염 유닛(12)은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와, 이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의 하방에 설치된 패스 박스(55)를 구비하고 있다.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는 인큐베이터(10a)의 배양실(14) 내를 제염하는 제염제 용액으로서의 과산화수소수를 초음파에 의해 안개화하여 제염 가스를 발생시키는 제염 가스 발생 기능과, 제염 가스를 포함하는 기체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여 제염 가스를 제거하는 제염 가스 제거 기능의 2개의 기능을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에는 제염 가스 공급 배관(57)의 일단부가 접속되고, 이 제염 가스 공급 배관(57)의 타단부에는, 인큐베이터(10a)의 배양실(14)에 형성된 제염 가스 공급구(58)가 접속되어 있다.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에 의해 발생한 제염 가스는, 동작 모드가 제염 모드(후술)인 경우에, 제염 가스 공급 배관(57) 및 제염 가스 공급구(58)를 통하여 배양실(14)의 내부에 공급된다. 배양실(14) 내에 공급된 제염 가스는, 배양실(14)의 제염 종료 후, 배양실(14)의 내부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자외선이 조사되어, 물과 산소로 분해됨으로써 무해화된다.
또한,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에는, 제염 가스 배출 배관(60)의 일단부가 접속되고, 이 제염 가스 배출 배관(60)의 타단부에는, 인큐베이터(10a)의 배양실(14)에 형성된 제염 가스 배출구(61)가 접속되어 있다. 배양실(14) 내를 제염하기 위해, 배양실(14) 내에 공급된 제염 가스는, 제염 가스 배출구(61) 및 제염 가스 배출 배관(60)을 통하여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로 복귀되어,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에 있어서 제염 가스의 제거가 행해진다.
또한, 패스 박스(55)는, 아이솔레이터(11)의 작업 공간(50) 내에 작업을 위한 도구 등의 부재를 반입할 때에 당해 부재를 제염하는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이솔레이터(11)의 작업 공간(50) 내에 부재를 반입할 때, 우선 패스 박스(55)에 설치된 도어를 개방 상태로 한 후, 패스 박스(55)의 내부에 형성된 부재 수납부(63)에 당해 부재를 수납하고, 도어를 폐쇄 상태로 한다. 패스 박스(55)의 도어가 폐쇄 상태로 되면, 패스 박스(55)의 외부로부터 부재 수납부(63)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완전히 차단된다.
계속해서, 도시하지 않은 기구에 의해, 패스 박스(55) 내의 부재 수납부(63)에 제염 가스를 충만시킴으로써 내부의 부재의 제염이 행해지고, 또한 도시하지 않는 기구에 의해 부재 수납부(63)에 충만한 제염 가스가 제거된다.
계속해서, 유저는, 손 삽입부(52)에 손을 삽입한 후 글로브를 끼고, 글로브를 통하여 아이솔레이터(11)의 작업 공간(50)과, 패스 박스(55)의 부재 수납부(63) 사이에 개재하는 전용의 도어를 개방하여 부재 수납부(63)에 액세스하여, 부재 수납부(63)로부터 부재를 취출하고, 당해 부재를 작업 공간(50) 내에 반입한다. 이에 의해, 아이솔레이터(11)의 작업 공간(50)에 있어서의 무균 상태가 유지되면서, 원하는 도구를 작업 공간(50)에 반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인큐베이터(10a)는, 상술한 기구, 장치 외에, 예를 들어, 배양실(14)의 온도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유지하는 온도 조정 장치나, 배양실(14) 내에 이산화탄소나 산소 등의 소정의 기체를 공급하여 배양실(14) 내의 소정의 기체의 기체 농도를 조정하는 기체 농도 조정 장치, 배양실(14) 내에 공기의 순환을 형성하는 팬, 배양실(14)의 온도나, 소정의 기체의 기체 농도, 습도 등을 검출하기 위한 각종 센서, 배양실(14)에 공급된 제염 가스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제염 가스를 물과 산소에 분해하고, 제염 가스를 무해화하는 자외선 램프 등, 배양물을 배양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기구,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들 기구, 장치에 대해서는, 설명의 명확화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4는, 급수 유닛(38)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유닛(38)은, 판 형상의 부재의 좌우의 양단부가 절곡하여 형성되고, 각종 기기가 설치되는 유닛 기초부(64)와, 유닛 기초부(64)를 덮는 상자 형상의 유닛 덮개부(65)를 구비하고 있다. 급수 유닛(38)은, 유닛 기초부(64)를 덮은 상태에서, 유닛 기초부(64)에 대하여 유닛 덮개부(65)가 설치되는 것에 따라 그 외형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탱크(34)에 접속된 급수 배관(35)은, 공급측 펌프(P1)에 접속된다. 이 공급측 펌프(P1)는 급수 탱크(34)에 저류된 가습수를 가습수 저류부(32)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이며, 당해 공급측 펌프(P1)의 구동에 따라, 급수 탱크(34)로부터 가습수 저류부(32)에의 가습수의 공급이 실행된다. 또한, 이 공급측 펌프(P1)는 급수 배관(35) 상에 후술하는 필터(F1)를 설치했기 때문에, 가습수가 이 필터(F1)를 소정의 유량으로 확실히 통과할 수 있도록, 가습수에 필요한 압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급수 유닛(38) 내의 급수 배관(35)에 있어서 공급측 펌프(P1)의 더욱 하류에는 공급측 전자 밸브(V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급측 전자 밸브(V1)는, 급수 탱크(34)로부터 가습수 저류부(32)를 향하여 흐르는 가습수의 유통을 허가하고, 또한 정지하는 밸브이며, 개방 상태인 경우에 급수 탱크(34)로부터 가습수 저류부(32)에의 가습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한편, 폐쇄 상태인 경우에 급수 탱크(34)로부터 가습수 저류부(32)에의 가습수의 공급이 정지된다.
급수 배관(35)에 있어서 공급측 전자 밸브(V1)의 더욱 하류에는, 필터(F1)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F1)는 당해 필터(F1)를 통과하는 가습수의 멸균을 행하기 위한 필터이며, 기체나 액체와 같은 유체를, 여과에 의해, 여과 전에 존재하는 미립자를 배제하고, 유체를 무진 무균에 한없이 근접시킬 수 있는 필터(예를 들어, 헤퍼 필터, 밀리포어사의 밀리 팩 등)가 사용된다. 즉, 필터(F1)는, 통과하는 가습수를 멸균 함과 함께 통과하는 기체를 멸균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수 배관(35) 상에 가습수를 멸균하는 필터(F1)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습수 저류부(32)에 가습수를 공급할 때에 균을 포함하는 가습수가 가습수 저류부(32)에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의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에 악영향이 미치는 등의 사태가 발생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고 있다. 또한, 급수 배관(35) 상에 설치된 필터(F1)는 통과하는 기체를 멸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가습수를 공급하지 않는 동안에 필터(F1)의 상류로부터, 급수 배관(35)을 통하여 배양실(14) 내에 균을 포함하는 기체가 유입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며, 이에 의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 유지에 만전이 기해지고 있다.
필터(F1)에는, 급수 배관(35)을 통하여 급수구(36)가 접속되어 있고, 필터(F1)를 통과한 가습수는, 급수구(36)를 통하여 가습수 저류부(32)에 공급된다.
도 5는 인큐베이터(10a)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탱크(34)에는, 급수 배관(35)의 일단부가 접속되고, 이 급수 배관(35)의 타단부는, 인큐베이터(10a)의 배양실(14)에 형성된 급수구(36)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 배관(35)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하여 공급측 펌프(P1), 공급측 전자 밸브(V1) 및 필터(F1)가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습수 저류부(32)에는 가습수 저류부(32)에 저류된 가습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4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수구(41)에는, 배수 배관(42)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배수 배관(42)에는, 배수 배관(42)의 가습수의 흐름을 허가하고, 또한 정지하기 위한 배출측 전자 밸브(V2)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측 전자 밸브(V2)가 개방 상태인 경우, 배수 배관(42)을 통하여 가습수 저류부(32)에 저류된 가습수가 배출되고, 한편 배출측 전자 밸브(V2)가 폐쇄 상태인 경우, 가습수 저류부(32)에 저류된 가습수의 배출이 정지된다.
도 6은, 인큐베이터(10a)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특히,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주요부에 대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어부(17)는 인큐베이터(10a)의 각 부를 중추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연산 실행 수단으로서의 CPU나, 기억 수단으로서의 ROM, CPU의 워크 에리어로서 기능하는 RAM, 기타 주변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수위 센서(40)는, 가습수 저류부(32)에 저류된 가습수의 수위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위보다 실제의 수위가 높은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다. 제어부(17)는, 수위 센서(40)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가습수 저류부(32)에 저류된 가습수의 수위가, 소정의 수위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표시부(53)는 표시 패널(46)을 구비하고, 제어부(17)의 제어 하에서, 표시 패널(46)에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입력부(51)는 조작 스위치(47)에 접속되어, 유저의 조작 스위치(47)에 대한 조작을 검출하여, 당해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신호를 제어부(17)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7)는, 공급측 전자 밸브(V1) 및 배출측 전자 밸브(V2)에 접속되어, 이들 전자 밸브의 개폐 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는, 공급측 펌프(P1)에 접속되어 있어, 이 공급측 펌프(P1)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시정 장치(16)를 제어하여, 적절히 배양실(14)의 정면 개구를 개폐하는 메인 도어를 시정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를 제어하여,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에서 과산화수소수를 초음파에 의해 안개화하여 제염 가스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10a)는, 동작 모드로서 제염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제염 모드란, 제염 가스를 이용하여 배양실(14) 내의 제염을 행하는 동작 모드이다. 예를 들어, 소정의 배양물의 배양이 종료된 후에, 이 제염 모드가 행해져, 배양실(14) 내의 제염이 실행된다. 이에 의해, 배양실(14)에 있어서 새롭게 상이한 배양물을 배양할 때에 이전의 배양물의 배양에 기인하여 금회의 배양물의 배양에 악영향이 미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제염 모드에서는, 가습수 저류부(32)에 저류된 가습수의 배출 및 새로운 가습수의 공급이, 배양실(14)의 제염과 함께 실행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배양실(14)에 있어서의 무균 상태 유지에 악영향이 미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 후, 가습수의 배출 및 새로운 가습수의 공급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제염 모드에 있어서의 인큐베이터(10a)의 동작을 흐름도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제염 모드에 있어서의 인큐베이터(10a)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이하의 흐름도의 전제로서, 자동 급수 기능이 실행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자동 급수 기능이란, 가습수 저류부(32)에 저류된 가습수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일정한 범위 내로 되도록 하는 기능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 급수 기능의 실행 시, 인큐베이터(10a)의 제어부(17)는, 수위 센서(40)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가습수 저류부(32)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위를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여, 가습수 저류부(32)의 수위가 소정의 수위를 상회하고 있는 동안에는 공급측 전자 밸브(V1)를 폐쇄 상태로 한 후, 공급측 펌프(P1)를 구동하지 않음으로써 가습수 저류부(32)에의 가습수의 공급을 정지한다. 한편, 가습수 저류부(32)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수위를 하회한 경우에는, 제어부(17)는 공급측 전자 밸브(V1)를 개방 상태로 한 후, 공급측 펌프(P1)를 구동하여, 급수 탱크(34)로부터 가습수 저류부(32)에 가습수를 소정의 양만큼 공급하여, 가습수 저류부(32)의 수위가 소정의 수위를 상회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자동 급수 기능의 실행 시는, 가습수 저류부(32)에 저류된 가습수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일정한 범위 내로 된다.
또한, 이하의 흐름도의 전제로서, 배양실(14)로부터의 배양물의 취출이나, 급수 탱크(34)에 있어서의 가습수의 보충,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에의 과산화수소수의 보술 등, 제염 모드를 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처리·작업은 사전에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큐베이터(10a)의 제어부(17)는, 유저에 의해 제염 모드의 개시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A1). 제염 모드의 개시의 지시는, 조작 스위치(47)에 대하여 제염 모드의 개시를 지시하는 소정의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행해진다.
제염 모드의 개시가 지시된 경우(스텝 SA1: "예"), 제어부(17)는 자동 급수 기능을 정지한다(스텝 SA2).
계속해서, 제어부(17)는 배출측 전자 밸브(V2)를 개방 상태로 하고(스텝 SA3), 가습수 저류부(32)에 저류된 모든 가습수를 배출하고(스텝 SA4), 다시 배출측 전자 밸브(V2)를 폐쇄 상태로 한다(스텝 SA5). 가습수 저류부(32)에 저류된 모든 가습수의 배출은, 실험 등에 의해 모든 가습수를 배출하기 위해, 배출측 전자 밸브(V2)를 개방 상태로 해야 할 시간이 미리 산출되고, 이 산출한 시간 이상 동안, 배출측 전자 밸브(V2)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행해도 좋고, 또한 모든 가습수가 배출된 것을 검출하는 전용의 센서를 설치하고, 이 센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배출측 전자 밸브(V2)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행해도 좋다.
이어서, 제어부(17)는, 시정 장치(16)를 제어하여, 메인 도어를 시정한다(스텝 SA6). 이하의 스텝에 있어서, 배양실(14) 내에 제염 가스가 공급되게 되지만, 스텝 SA6에 있어서 메인 도어가 시정됨으로써, 배양실(14)에 제염 가스가 공급되고 있는 동안 메인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 방지된다.
계속해서, 제어부(17)는,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 및 이것에 부수되는 장치, 기기 등을 제어하여,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에 있어서 안개화된 제염 가스를 발생시키고, 발생한 제염 가스를 배양실(14)에 공급한다(스텝 SA7).
계속해서, 제어부(17)는,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 및 이것에 부수되는 장치, 기기 등을 제어하여,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로부터 제염 가스 공급 배관(57) 및 제염 가스 공급구(58)를 통하여 배양실(14)에 제염 가스를 공급함과 함께 제염 가스 배출구(61) 및 제염 가스 배출 배관(60)을 통하여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로 제염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와 배양실(14) 사이에서 제염 가스를 순환시키면서, 배양실(14)에 설치된 팬을 구동하여, 안개화된 제염 가스를 배양실(14)의 전역에 널리 퍼지게 하여, 배양실(14)을 제염한다(스텝 SA8). 이 스텝 SA8에 있어서의 배양실(14)의 제염은, 미리 지정된 시간만큼 계속하여 행해진다.
스텝 SA8의 배양실(14)의 제염이 종료된 후, 제어부(17)는, 배양실(14)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 등을 제어함으로써 행해지는 제염 가스의 무해화 등의 처리를 포함하는 제염 후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A9).
계속해서, 제어부(17)는, 공급측 전자 밸브(V1)를 개방 상태로 하고(스텝 SA10), 공급측 펌프(P1)를 구동하고(스텝 SA11), 급수 탱크(34)로부터 가습수 저류부(32)에의 가습수의 공급을 개시하여, 자동 급수 기능을 실행한다(스텝 SA12). 여기서, 급수 탱크(34)로부터 유출된 가습수는, 필터(F1)를 통과한 후 가습수 저류부(32)에 공급된다. 따라서, 새롭게 공급되는 가습수에 균이 포함되고, 이에 의해 배양실(14)에 있어서의 배양에 악영향이 미치는 등의 사태가 발생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10a)에서는, 제염 모드에 있어서, 배양실(14)의 제염이 종료된 후, 외부로부터 배양실(14)로 균이 유입될 가능성을 차단한 상태에서, 필터(F1)에 의해 멸균 처리가 실시된 가습수의 공급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이에 의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를 확실히 유지한 후 가습수의 배출, 공급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양실(14)의 제염에 수반하여 실행되는 가습수의 배출 및 공급이 완전히 자동화되어 있어, 제염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자동으로 실행된다. 따라서, 가습수의 배출, 공급 시에, 유저가 메인 도어(배양실(14)의 정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개폐 등의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 유저에 의한 작업의 삭감과, 이 작업의 삭감에 수반하는 유저의 편리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유저의 작업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 유지에 대하여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10a)에서는, 배양실(14)에 가습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배관(35) 상에 필터(F1)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필터(F1)는, 당해 필터(F1)를 통과하는 가습수의 멸균을 행하기 위한 필터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F1)로서, 가습수 뿐만 아니라, 당해 필터(F1)를 통과하는 기체를 멸균 가능한 필터가 사용되고 있다. 즉, 필터(F1)는 통과하는 가습수를 멸균함과 함께 통과하는 기체를 멸균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수 배관(35) 상에 가습수를 멸균하는 필터(F1)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습수 저류부(32)에 가습수를 공급할 때에 균을 포함하는 가습수가 가습수 저류부(32)에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에 악영향이 미치는 등의 사태가 발생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고 있다. 또한, 급수 배관(35) 상에 설치된 필터(F1)는 통과하는 기체를 멸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가습수를 공급하지 않는 동안에 필터(F1)의 상류로부터, 급수 배관(35)을 통하여 배양실(14) 내에 균을 포함하는 기체가 유입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고, 이에 의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 유지에 만전이 기해지고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10b)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과 도 5의 비교에 있어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수 배관(42)에 있어서, 배출측 전자 밸브(V2)의 상류측에는 배출측 필터(F2)와, 배출측 펌프(P2)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측 필터(F2)는, 당해 배출측 필터(F2)를 통과하는 액체 및 기체를 멸균하는 필터이다. 이와 같이, 배수 배관(42) 상에 배출측 필터(F2)가 설치됨으로써 배출측 필터(F2)보다 하류측으로부터 균을 포함하는 기체가 배양실(14)에 유입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배출측 펌프(P2)는, 가습수 저류부(32)에 저류된 가습수를 배출할 때에 구동되는 펌프이다. 가습수 저류부(32)에 저류된 가습수를 배출하는 경우, 배출측 펌프(P2)가 구동되어, 이 배출측 펌프(P2)에 의해 가습수가 흡입됨으로써, 배출측 필터(F2)를 소정의 유량으로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압력이 가습수에 부가된다.
배수 배관(42)에 있어서, 배출측 펌프(P2)의 하류측, 또한 배출측 전자 밸브(V2)의 상류측에는 제1 기체 배관(70)(기체 경로)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1 기체 배관(70)의 타단부는, 급수 배관(35)에 있어서의 필터(F1)의 상류측, 또한 공급측 전자 밸브(V1)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제1 기체 배관(70)은,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제염 모드 시에, 제염 가스가 유통하는 배관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10b)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하는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와 도 6의 비교에 있어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부(17)에는, 배출측 펌프(P2)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7)는, 배출측 펌프(P2)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10b)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이하의 동작에 있어서, 제어부(17)는 배양실(14)에 제염 가스를 공급하여 배양실(14) 내를 제염하는 실내 제염 수단 및 배양실(14)에 공급된 제염 가스를 이용하여 급수 경로인 급수 배관(35)과 배수 경로인 배수 배관(42)을 제염하는 경로 제염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우선, 스텝 SB1 내지 스텝 SB3에서는, 도 7의 스텝 SA1 내지 스텝 SA3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B3의 처리를 실행 후, 제어부(17)는 배출측 펌프(P2)를 구동하여(스텝 SB4), 가습수 저류부(32)에 저류된 가습수를 배출한다(스텝 SB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수 배관(42) 상에 배출측 필터(F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측 펌프(P2)를 구동함으로써 가습수 저류부(32)에 저류된 가습수의 배출을 실현할 수 있다.
가습수 저류부(32)에 저류된 가습수의 배출 후, 제어부(17)는, 배출측 전자 밸브(V2)를 폐쇄 상태로 함과 함께, 배출측 펌프(P2)의 구동을 정지한다(스텝 SB6).
계속해서, 제어부(17)는, 시정 장치(16)를 제어하여, 메인 도어를 시정한다(스텝 SB7).
계속해서, 제어부(17)는,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 및 이것에 부수되는 장치, 기기 등을 제어하여,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에 있어서 안개화된 제염 가스를 발생시키고, 발생한 제염 가스를 배양실(14)에 공급한다(스텝 SB8).
계속해서, 제어부(17)는, 배출측 펌프(P2)를 구동한다(스텝 SB9). 이 스텝 SB9에 있어서의 배출측 펌프(P2)의 구동에 의해, 도 8의 화살표 Y1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배양실(14)에 공급된 제염 가스가, 배출측 펌프(P2)에 의해 배수구(41)를 통하여 배수 배관(42)에 흡입되어, 유입됨과 함께 배수 배관(42)에 유입된 제염 가스가, 제1 기체 배관(70) 및 급수 배관(35)을 경유하여, 다시 급수구(36)를 통하여 배양실(14)에 유입된다. 이렇게 제염 가스가, 배수 배관(42), 제1 기체 배관(70) 및 급수 배관(35) 내를 흐름으로써 제염 가스에 의해 이들 배관 내가 제염되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 유지에 만전이 기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배관을 제염 가스가 흐름으로써, 필터(F1)와 급수구(36) 사이 및 배출측 필터(F2)와 배수구(41) 사이에도 제염 가스가 널리 퍼지게 하여 이들 부분의 제염이 확실히 실행되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 유지에 더욱 만전이 기해진다.
이어서, 제어부(17)는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 및 이것에 부수되는 장치, 기기 등을 제어하여 제염 가스 발생 제거기(54)로부터 제염 가스 공급 배관(57) 및 제염 가스 공급구(58)를 통하여 배양실(14)에 제염 가스를 공급함과 함께 제염 가스 배출구(61) 및 제염 가스 배출 배관(60)을 통하여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로 제염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와 배양실(14) 사이에서 제염 가스를 순환시키면서, 배양실(14)에 설치된 팬을 구동하여, 안개화된 제염 가스를 배양실(14)의 전역에 널리 퍼지게 하여 배양실(14)을 제염한다(스텝SB10). 이 스텝 SB10에 있어서의 배양실(14)의 제염은, 미리 지정된 시간만큼 계속하여 행해진다.
계속해서, 제어부(17)는, 배출측 펌프(P2)의 구동을 정지하여, 제염 가스가, 배수 배관(42), 제1 기체 배관(70) 및 급수 배관(35) 내에 유입되는 것을 정지한다(스텝 SB11).
계속되는, 스텝 SB12 내지 스텝 SB15에서는, 도 7의 스텝 SA9 내지 스텝 SA12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17)는 배양실(14)에 제염 가스를 공급하여 배양실(14) 내를 제염하는 실내 제염 수단 및 배양실(14)에 공급된 제염 가스를 사용하여, 급수 배관(35) 내를 제염하는 경로 제염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하면, 급수 배관(35) 내의 제염을 실현할 수 있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 유지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양실(14)에 공급된 제염 가스를 이용하여 급수 배관(35) 내의 제염이 실행되기 때문에, 급수 배관(35)을 제염하기 위한 특별한 설비나, 특별한 공정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로 제염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제어부(17)는, 배양실(14)에 공급된 제염 가스를 사용하여, 배양실(14)에 저류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 배관(42)을 재차 제염한다.
이에 의하면, 배수 배관(42) 내의 제염을 실현할 수 있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 유지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양실(14)에 공급된 제염 가스를 이용하여 배수 배관(42) 내의 제염이 실행되기 때문에, 배수 배관(42)을 제염하기 위한 특별한 설비나, 특별한 공정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10b)는 급수 배관(35)의 필터(F1)의 배치 위치보다 상류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또한 배수 배관(42)에 타단부가 접속된 제1 기체 배관(7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경로 제염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제어부(17)는, 배출측 펌프(P2)를 구동하여, 배양실(14)에 공급된 제염 가스를, 배수구(41)로부터 흡입하여, 배수구(41), 제1 기체 배관(70) 및 급수구(36)의 순서대로 순회시키고, 이에 의해, 이들 배관 내의 제염을 실행한다.
이것에 의하면, 배양실(14)에 공급된 제염 가스를 이용하여 이들 배관 내의 제염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 유지에 만전이 기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배관을 제염 가스가 흐름으로써, 필터(F1)와 급수구(36) 사이 및 배출측 필터(F2)와 배수구(41) 사이에도 제염 가스가 널리 퍼져, 이들 부분의 제염이 확실히 실행되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 유지에 더욱 만전이 기해진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10c)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과 도 5의 비교에 있어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수 배관(35)에 있어서, 필터(F1)의 상류측, 또한 공급측 전자 밸브(V1)의 하류측에, 제2 기체 배관(80)(기체 경로)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2 기체 배관(80)의 타단부는, 기체 배출부(81)에 접속되어 있다. 기체 배출부(81)는 백금 촉매나, 자외선 조사 등을 이용하여, 제염 가스를 무해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제2 기체 배관(80) 상에는, 제3 전자 밸브(V3) 및 제3 펌프(P3)가 상류측부터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수 배관(42) 상에는,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배출측 필터(F2) 및 배출측 펌프(P2)가 설치됨과 함께, 이 배출측 펌프(P2)의 하류측에는, 제2 기체 배출부(8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기체 배출부(82)는 상술한 기체 배출부(81)와 마찬가지로, 백금 촉매나, 자외선 조사 등을 이용하여, 제염 가스를 무해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10c)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와 도 6의 비교에 있어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부(17)에는 배출측 펌프(P2) 및 제3 펌프(P3)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7)는, 이들 펌프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에는 제3 전자 밸브(V3)가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17)는 이 제3 전자 밸브(V3)의 개폐를 제어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10c)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이하의 동작에 있어서, 제어부(17)는, 배양실(14)에 제염 가스를 공급하여 배양실(14) 내를 제염하는 실내 제염 수단 및 배양실(14)에 공급된 제염 가스를 이용하여 급수 경로인 급수 배관(35)과 배수 경로인 배수 배관(42)을 제염하는 경로 제염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우선, 스텝 SC1 내지 스텝 SC8에서는, 도 10의 스텝 SA1 내지 스텝 SA8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C9에 있어서, 제어부(17)는 배출측 펌프(P2)를 구동한다. 이에 의해, 배양실(14)에 공급된 제염 가스가 배수 배관(42)에 유입되고, 제2 기체 배출부(82)에 있어서 무해화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배수 배관(42)에 유입된 제염 가스에 의해 배수 배관(42)의 제염이 행해져, 배양실(14)의 무균 상태 유지에 만전이 기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SC9의 처리에 의해, 배수 배관(42)의 배수구(41)와 배출측 필터(F2) 사이의 제염이 확실히 실행되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 유지에 더욱 만전이 기해진다.
이어서, 제어부(17)는, 제3 전자 밸브(V3)를 개방 상태로 한 후, 제3 펌프(P3)를 구동한다(스텝 SC10). 이에 의해, 배양실(14)에 공급된 제염 가스가 급수 배관(35)에 유입되고, 기체 배출부(81)에 있어서 무해화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배수 배관(42)에 유입된 제염 가스에 의해 급수 배관(35)의 제염이 행해져, 배양실(14)의 무균 상태 유지에 만전이 기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SC10의 처리에 의해, 급수 배관(35)의 급수구(36)와 필터(F1) 사이의 제염이 확실히 실행되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 유지에 더욱 만전이 기해진다.
이어서, 제어부(17)는,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 및 이것에 부수되는 장치, 기기 등을 제어하여,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로부터 제염 가스 공급 배관(57) 및 제염 가스 공급구(58)를 통하여 배양실(14)에 제염 가스를 공급함과 함께 제염 가스 배출구(61) 및 제염 가스 배출 배관(60)을 통하여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로 제염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와 배양실(14) 사이에서 제염 가스를 순환시키면서, 배양실(14)에 설치된 팬을 구동하여, 안개화한 제염 가스를 배양실(14)의 전역에 널리 퍼지게 하여, 배양실(14)을 제염한다(스텝 SC11). 이 스텝 SC11에 있어서의 배양실(14)의 제염은, 미리 지정된 시간만큼 계속하여 행해진다.
계속해서, 제어부(17)는, 배출측 펌프(P2)의 구동을 정지하여, 제염 가스가, 배수 배관(42) 내에 유입되는 것을 정지한다(스텝 SC12).
계속해서, 제어부(17)는, 제3 전자 밸브(V3)를 폐쇄 상태로 한 후, 제3 펌프(P3)의 구동을 정지하여, 제염 가스가, 급수 배관(35) 내에 유입되는 것을 정지한다(스텝 SC13).
계속되는, 스텝 SC14 내지 스텝 SC17에서는, 도 10의 스텝 SB12 내지 스텝 SB15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10c)는, 급수 배관(35)에 설치된 필터(F1)의 배치 위치보다 상류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또한 기체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기체 배출부(81)에 타단부가 접속된 제2 기체 배관(8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인큐베이터(10c)에서는, 제2 기체 배관(80) 상에 급수 배관(35)의 배양실측의 단부에 형성된 급수구(36)로부터 제염 가스를 흡입하여, 급수 배관(35) 및 제2 기체 배관(80)을 통하여 기체 배출부(81)로 배출하기 위한 제3 펌프(P3)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경로 제염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제어부(17)는 제3 펌프(P3)를 구동하여, 배양실에 공급된 제염 가스를, 급수구(36)로부터 흡입하여, 급수 배관(35) 및 제2 기체 배관(80)을 통하여 기체 배출부(81)로 배출함으로써, 급수 배관(35) 내를 제염한다.
이에 의하면 배양실(14)에 공급된 제염 가스를 이용하여, 급수 배관(35)의 제염을 확실히 행할 수 있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 유지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급수 배관(35)의 급수구(36)와 필터(F1) 사이의 제염이 확실히 실행되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 유지에 더욱 만전이 기해진다.
<제4 실시 형태>
이어서,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10d)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와 도 5의 비교에 있어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수 배관(35)에 있어서, 공급측 펌프(P1)의 상류측에, 공급측 전자 밸브(V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급측 전자 밸브(V4)에 제염액 공급 배관(90)(제염액 공급 경로)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염액 공급 배관(90)의 타단부는, 제염액 탱크(91)에 접속되어 있다.
제염액 탱크(91)는 제염액으로서의 과산화수소수를 저류하는 탱크이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공급측 전자 밸브(V4)는 삼방 밸브로 되고, 급수 탱크(34)측의 밸브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급수 탱크(34)로부터 급수 배관(35)을 통하여 급수구(36)에 가습수를 유입시키고, 또한 제염액 탱크(91)측의 밸브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제염액 탱크(91)로부터 급수 배관(35)을 통하여 급수구(36)에 제염액을 유입시키고, 또한 상기의 2개의 밸브를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가습수 및 제염액이 급수구(36)를 향하여 흐르는 것을 정지한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10c)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15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와 도 6의 비교에 있어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부(17)에는, 공급측 전자 밸브(V4)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7)는, 공급측 전자 밸브(V4)의 개폐를 제어한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10d)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이하의 동작에 있어서, 제어부(17)는 배양실(14)에 제염 가스를 공급하여 배양실(14) 내를 제염하는 실내 제염 수단 및 배양실(14)에 공급된 제염 가스를 이용하여 급수 경로인 급수 배관(35)과 배수 경로인 배수 배관(42)을 제염하는 경로 제염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우선, 스텝 SD1 내지 스텝 SD7에서는, 도 7의 스텝 SA1 내지 스텝 SA7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D7의 처리를 실행 후, 제어부(17)는 공급측 전자 밸브(V4)의 제염액 탱크 제염액 탱크(91)측을 개방 상태로 한다(스텝 SD8). 이에 의해, 제염액 탱크(91)에 저류된 제염액이 급수 배관(35)을 통하여 급수구(36)에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제어부(17)는, 공급측 펌프(P1)를 구동한다(스텝 SD9). 이 스텝 SD9에 있어서의 공급측 펌프(P1)의 구동에 의해, 제염액 탱크(91)에 저류된 제염액이 제염액 공급 배관(90) 및 급수 배관(35)을 경유하여 급수구(36)를 통하여 배양실(14) 내에 유입된다. 이렇게 제염액이 제염액 공급 배관(90) 및 급수 배관(35)을 흐름으로써 이들 배관이 제염되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 유지에 만전이 기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배관을 제염액이 흐름으로써, 급수 배관(35)의 필터(F1)와 급수구(36) 사이에도 제염액이 널리 퍼져, 이들 부분의 제염이 확실히 실행되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 유지에 더욱 만전이 기해진다.
이어서, 제어부(17)는,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 및 이것에 부수되는 장치, 기기 등을 제어하여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로부터 제염 가스 공급 배관(57) 및 제염 가스 공급구(58)를 통하여 배양실(14)에 제염 가스를 공급함과 함께 제염 가스 배출구(61) 및 제염 가스 배출 배관(60)을 통하여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로 제염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와 배양실(14) 사이에서 제염 가스를 순환시키면서, 배양실(14)에 설치된 팬을 구동하여, 안개화한 제염 가스를 배양실(14)의 전역에 널리 퍼지게 하여, 배양실(14)을 제염한다(스텝 SD10). 이 스텝 SD10에 있어서의 배양실(14)의 제염은, 미리 지정된 시간만큼 계속하여 행해진다.
계속해서, 제어부(17)는 공급측 펌프(P1)의 구동을 정지함과 함께(스텝 SD11), 공급측 전자 밸브(V4)를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스텝 SD12), 제염액 탱크(91)에 저류된 제염액이 제염액 공급 배관(90)에 유입되는 것을 정지한다.
이어서 제어부(17)는, 공급측 전자 밸브(V4)의 급수 탱크(34)측을 개방 상태로 한다(스텝 SD13). 이에 의해, 급수 탱크(34)에 저류된 가습수가 급수 배관(35)을 통하여 급수구(36)에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제어부(17)는, 공급측 펌프(P1)를 구동한다(스텝 SD14). 이 스텝 SD14에 있어서의 공급측 펌프(P1)의 구동에 의해, 급수 탱크(34)에 저류된 가습수가 급수 배관(35)을 경유하여, 급수구(36)를 통하여 배양실(14) 내에 유입된다. 이에 의해 급수 배관(35)이 세정되어, 급수 배관(35)에 잔류된 제염액이 급수 배관(35)으로부터 제거된다(스텝 SD15). 이 급수 배관(35)에 잔류된 제염액의 제거는 미리 정해진 시간 행해진다.
계속해서, 제어부(17)는, 공급측 펌프(P1)의 구동을 정지함과 함께(스텝 SD16), 공급측 전자 밸브(V4)를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스텝 SD17), 급수 배관(35)에 저류된 가습수의 유입을 정지한다.
계속해서, 제어부(17)는, 제염 가스의 무해화 외에 배출측 전자 밸브(V2)를 개방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한 가습수 저류부(32)에 저류된 액체(스텝 SD15에 있어서 급수 배관(35)의 세정에 제공한 가습수)의 배출을 수반하는 제염 후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D18).
계속되는, 스텝 SD19 내지 스텝 SD21에서는, 도 7의 스텝 SA10 내지 스텝 SA12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큐베이터(10d)에는 급수 배관(35)의 필터(F1)의 배치 위치보다 상류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또한 제염액을 저류하는 제염액 탱크(91)에 타단부가 접속된 제염액 공급 배관(90)과, 이 제염액 공급 배관(90) 상에 제염액 탱크(91)로부터, 제염액 공급 배관(90) 및 급수 배관(35)을 통하여 급수 배관(35)의 배양실(14)측의 단부에 형성된 급수구(36)를 향하여 제염액을 유통시키기 위한 제4 펌프(P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경로 제염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제어부(17)는, 제4 펌프(P4)를 구동하여, 제염액 탱크(91)로부터, 제염액 공급 배관(90) 및 급수 배관(35)을 통하여, 급수 배관(35)의 배양실(14)측의 단부에 형성된 급수구(36)를 향하여 제염액을 유통시킴으로써 급수 배관(35)을 제염한다.
이에 의하면, 제염액 탱크(91)에 저류된 제염액을 이용하여, 급수 배관(35)의 제염을 확실히 행할 수 있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 유지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급수 배관(35)의 급수구(36)와 필터(F1) 사이의 제염이 확실히 실행되어, 배양실(14)의 무균 상태 유지에 더욱 만전이 기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인큐베이터(10a, 10b, 10c, 10d)는 자동 반송기(20)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이 자동 반송기(20)를 구비하지 않은 인큐베이터(10a)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배양실(14)을 갖고, 배양실(14)에 가습수를 공급하고, 이 가습수에 의해 배양실(14) 내의 습도를 조정하는 모든 인큐베이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자동 반송기(20)로서 파지부(22)를 갖는 타입의 자동 반송기(20)를 설명했지만, 자동 반송기(20)의 타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용기(19)를 다이에 실어 전후 좌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타입의 자동 반송기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는 과산화수소수를 초음파에 의해 안개화하여 제염 가스를 발생시키고 있었지만, 과산화수소수를 가열 기화하여 제염 가스를 발생시키도록 해도 좋고, 또한, 초음파와 가열 기화의 양쪽을 이용하여 과산화수소수로부터 제염 가스를 발생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인큐베이터(10a, 10b, 10c, 10d)를 아이솔레이터(11)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인큐베이터(10a)의 사용 형태는 이것에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큐베이터(10a, 10b, 10c, 10d) 내를 제염할 수 있는 인큐베이터(10a, 10b, 10c, 10d)의 연결부(27)를 통하여 연결 가능한 바이오해저드 대응 캐비넷 등에 연결하여 사용해도 좋고, 또한 인큐베이터(10a, 10b, 10c, 10d)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다. 이들의 경우, 각각에 적합한 제염 유닛을 병용함으로써, 제염 기능을 갖게 할 수 있어,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인큐베이터(10a, 10b, 10c, 10d)가 구비하는 제어부(17)가 제염 가스 발생·제거기(54) 등을 제어하여, 배양실(14)을 제염하는 제염 기능을 실행하고 있었지만, 제염 기능의 실행 방법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제염 유닛(12)에 제어 기구를 설치하고, 이 제어 기구와 제어부(17)를 통신 가능하게 접속한 후, 이들 제어 기구와 제어부(17)가 협동하여 제염 기능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 5, 도 8, 도 11에서는, 급수 배관(35)에 있어서, 공급측 펌프(P1)의 하류에, 공급측 전자 밸브(V1)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공급측 전자 밸브(V1)의 하류에 공급측 펌프(P1)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도 11에서는, 제2 기체 배관(80)에 있어서, 제3 전자 밸브(V3)의 하류에 제3 펌프(P3)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제3 펌프(P3)의 하류에 제3 전자 밸브(V3)를 설치해도 좋다.
10a, 10b, 10c, 10d : 인큐베이터
14 : 배양실
17 : 제어부(실내 제염 수단, 경로 제염 수단)
35 : 급수 배관(급수 경로)
36 : 급수구
41 : 배수구
42 : 배수 배관(배수 경로)
70 : 제1 기체 배관(기체 경로)
80 : 제2 기체 배관(기체 경로)
81 : 기체 배출부
82 : 제2 기체 배출부(기체 배출부)
90 : 제염액 공급 배관(제염액 공급 경로)
91 : 제염액 탱크
F1 : 필터
F2 : 배출측 필터(필터)
P2 : 배출측 펌프(펌프)
P3 : 제3 펌프(펌프)
P4 : 제4 펌프(펌프)

Claims (6)

  1. 인큐베이터로서,
    배양물을 배양하는 배양실;
    급수 경로를 통해 상기 배양실 내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배양실 내부의 습도를 조정하는 급수 제어 유닛 - 상기 급수 제어 유닛은, 가습수 저류부, 급수 탱크, 급수 배관, 수위 센서, 및 배수 배관을 포함함 - ; 및
    상기 급수 경로 상에 제공되는 필터 - 상기 필터는 당해 필터를 통과하는 물을 멸균(sterilize)하고, 상기 멸균된 물은 상기 배양실 내에 공급됨 -
    를 포함하는 인큐베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실에 제염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배양실 내를 제염하는 실내 제염 수단과,
    이 실내 제염 수단에 의해 상기 배양실에 공급된 제염 가스를 사용하여, 상기 급수 경로 내를 제염하는 경로 제염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제염 수단은, 상기 실내 제염 수단에 의해 상기 배양실에 공급된 제염 가스를 사용하여, 상기 배양실에 저류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 경로 내를 재차 제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경로의 상기 필터의 배치 위치보다 상류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또한 상기 배수 경로에 타단부가 접속된 기체 경로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배수 경로의 상기 배양실측의 단부에 형성된 배수구로부터, 상기 배수 경로, 상기 기체 경로 및 상기 급수 경로를 통하여, 상기 급수 경로의 상기 배양실측의 단부에 형성된 급수구에 이르는 제1 경로 상에 상기 배수구로부터 제염 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제1 경로를 통하여 상기 급수구로부터 상기 배양실로 배출하기 위한 펌프를 설치하고,
    상기 경로 제염 수단은,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실내 제염 수단에 의해 상기 배양실에 공급된 제염 가스를, 상기 배수구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제1 경로를 통하여 상기 급수구로부터 상기 배양실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제1 경로 내를 제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경로의 상기 필터의 배치 위치보다 상류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또한, 기체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기체 배출부에 타단부가 접속된 기체 경로를 형성함과 함께,
    이 기체 경로 상에 상기 급수 경로의 상기 배양실측의 단부에 형성된 급수구로부터 제염 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급수 경로 및 상기 기체 경로를 통하여 상기 기체 배출부로 배출하기 위한 펌프를 설치하고,
    상기 경로 제염 수단은,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실내 제염 수단에 의해 상기 배양실에 공급된 제염 가스를, 상기 급수구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급수 경로 및 상기 기체 경로를 통하여 상기 기체 배출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급수 경로 내를 제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경로의 상기 필터의 배치 위치보다 상류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또한 제염액을 저류하는 제염액 탱크에 타단부가 접속된 제염액 공급 경로와,
    이 제염액 공급 경로 상에 상기 제염액 탱크로부터, 상기 제염액 공급 경로 및 상기 급수 경로를 통하여, 상기 급수 경로의 상기 배양실측의 단부에 형성된 급수구를 향하여 제염액을 유통시키기 위한 펌프와,
    이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제염액 탱크로부터, 상기 제염액 공급 경로 및 상기 급수 경로를 통하여, 상기 급수 경로의 상기 배양실측의 단부에 형성된 급수구를 향하여 제염액을 유통시킴으로써 상기 급수 경로를 제염하는 경로 제염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터.
KR1020110010224A 2010-02-04 2011-02-01 인큐베이터 KR101291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23606 2010-02-04
JP2010023606A JP5587629B2 (ja) 2010-02-04 2010-02-04 インキュベー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826A KR20110090826A (ko) 2011-08-10
KR101291498B1 true KR101291498B1 (ko) 2013-08-01

Family

ID=4398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224A KR101291498B1 (ko) 2010-02-04 2011-02-01 인큐베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53877B2 (ko)
EP (1) EP2354216B1 (ko)
JP (1) JP5587629B2 (ko)
KR (1) KR101291498B1 (ko)
CN (1) CN1021911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1087B2 (ja) * 2013-02-15 2017-04-05 株式会社エアレックス 除染システム
AU2013202805B2 (en) * 2013-03-14 2015-07-16 Gen-Probe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the capabilities of a diagnostic analyzer
JP6271224B2 (ja) 2013-11-18 2018-01-31 澁谷工業株式会社 インキュベータおよびインキュベータの除染方法
WO2015083638A1 (ja) 2013-12-04 2015-06-11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培養器搬送システム、培養器保管庫、アイソレータシステム
WO2015108027A1 (ja) * 2014-01-17 2015-07-23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連結ボックスおよびこれを備えた細胞培養システム
WO2015111544A1 (ja) * 2014-01-24 2015-07-30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インキュベー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細胞培養システム、加湿水の供給方法
JP6122207B2 (ja) * 2014-02-27 2017-04-26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キュベー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細胞培養システム
DE102014106877B4 (de) 2014-05-15 2016-03-24 Ert Optik Dr. Thiel Gmbh Modulares Inkubatorsystem
JP6471853B2 (ja) 2015-01-26 2019-02-20 澁谷工業株式会社 インキュベータ
CN105985906B (zh) * 2015-02-04 2018-05-11 上海力申科学仪器有限公司 高温灭菌水套式培养箱
CN105706783B (zh) * 2015-03-23 2019-06-25 阜阳市农业科学院 一种定时监控记录的大豆培育装置
JP6805537B2 (ja) * 2016-04-28 2020-12-23 富士電機株式会社 水供給装置
JP6713344B2 (ja) * 2016-05-09 2020-06-24 株式会社エアレックス インキュベータ
CN106367344B (zh) * 2016-08-27 2019-07-05 上海交通大学 一种细胞微尺度加热培养控制装置
DE102017104508B3 (de) 2017-03-03 2018-03-08 Adolf Kühner Ag Verfahren zur Befeuchtung eines Inkubators und Inkubator
JP6886693B2 (ja) 2017-05-15 2021-06-16 株式会社エアレックス インキュベータ
CH715184A1 (de) * 2018-07-18 2020-01-31 Pharma Integration S R L Anordnung zum kontaminationsfreien Einschleusen eines sterilen Objektes aus einem Behältnis in ein Containment und Verfahren dazu.
DE102019121639A1 (de) * 2019-08-12 2021-02-18 Adolf Kühner Ag Wasserbad zum Befeuchten eines Innenraums eines Inkubators
CN110551627A (zh) * 2019-09-09 2019-12-10 金琰哲 一种便于调节培养环境的医学细菌培养装置
JP6870873B2 (ja) * 2020-03-12 2021-05-12 株式会社エアレックス インキュベータ
CN115244170A (zh) 2020-04-30 2022-10-25 株式会社爱瑞思 培养箱
USD1030146S1 (en) 2020-09-25 2024-06-04 Church & Dwight Co., Inc. Nail trimming device
CN113583840A (zh) * 2021-08-05 2021-11-02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八医学中心 一种活菌培育检验箱
JPWO2023176216A1 (ko) * 2022-03-17 2023-09-21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4828A (ja) 2004-11-29 2006-07-06 Olympus Corp 生体試料培養観察システム、インキュベータボックス、供給手段、および培養容器
KR20080106538A (ko) * 2006-03-06 2008-12-08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아이솔레이터용 인큐베이터
US20090098641A1 (en) 2007-09-20 2009-04-16 Paul Simon Grant Incubator humidity control
EP2067849A1 (en) 2007-12-03 2009-06-10 Sanyo Electric Co., Ltd. Incubat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24446C2 (de) * 1979-06-18 1982-09-16 W.C. Heraeus Gmbh, 6450 Hanau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ultivieren von Zellen und Geweben von Menschen und Tieren oder von Mikroorganismen
US4701415A (en) * 1984-03-02 1987-10-20 Mallinckrodt, Inc. Controlled atmosphere enclosure
JPS6229968A (ja) * 1985-07-31 1987-02-07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動物細胞培養用組成物の製造法
US4742798A (en) * 1986-02-05 1988-05-10 State Of Alaska Incubator and method of incubation and hatching fish eggs and fry
JP2893086B2 (ja) * 1989-08-02 1999-05-17 朝日ライフサイエンス株式会社 培養器における培養室内雰囲気の制御方法
JPH04236034A (ja) * 1991-01-11 1992-08-25 Kuraray Co Ltd 超音波加湿器
US6013119A (en) * 1997-05-15 2000-01-11 Genx International, Inc. Filtering system and method for incubators
JP3670876B2 (ja) * 1998-09-29 2005-07-13 三洋電機株式会社 培養装置
JP2003126224A (ja) * 2001-10-29 2003-05-07 Shibuya Kogyo Co Ltd アイソレータの滅菌装置
JP2006000054A (ja) * 2004-06-17 2006-01-05 Olympus Corp 培養容器および生体試料観察システム
JP2006166748A (ja) * 2004-12-14 2006-06-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給水機能付き培養装置
JP4916201B2 (ja) * 2006-03-27 2012-04-11 三洋電機株式会社 培養装置
JP2009022221A (ja) 2007-07-20 2009-02-05 Nikon Corp インキュベータシステム
JP2009136232A (ja) * 2007-12-10 2009-06-25 Nikon Corp 培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4828A (ja) 2004-11-29 2006-07-06 Olympus Corp 生体試料培養観察システム、インキュベータボックス、供給手段、および培養容器
KR20080106538A (ko) * 2006-03-06 2008-12-08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아이솔레이터용 인큐베이터
US20090098641A1 (en) 2007-09-20 2009-04-16 Paul Simon Grant Incubator humidity control
EP2067849A1 (en) 2007-12-03 2009-06-10 Sanyo Electric Co., Ltd. Incub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91163A (zh) 2011-09-21
JP2011160672A (ja) 2011-08-25
JP5587629B2 (ja) 2014-09-10
EP2354216A1 (en) 2011-08-10
KR20110090826A (ko) 2011-08-10
US8753877B2 (en) 2014-06-17
CN102191163B (zh) 2014-06-18
EP2354216B1 (en) 2019-04-03
US20110189765A1 (en)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498B1 (ko) 인큐베이터
US9086225B2 (en) Isolator system
KR101357418B1 (ko) 세포 배양 장치
EP1992684B1 (en) Incubator for isolator
JP4924570B2 (ja) アイソレータシステム
WO2012141055A1 (ja) 細胞培養装置、及び搬送装置
JP5140095B2 (ja) 自動培養装置、及び培養容器設置方法
US10232363B2 (en) Safety cabinet
JP6271224B2 (ja) インキュベータおよびインキュベータの除染方法
KR102316664B1 (ko) 무균 작업 시스템
JP5694277B2 (ja) 自動培養装置
JP5814594B2 (ja) 細胞培養装置
JP2018204881A (ja)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無菌装置およびクリーンルーム
JP6471853B2 (ja) インキュベータ
JP2008054603A (ja) 細胞培養装置
JP2011160840A (ja) 骨膜再生医療用クリーンシステム
JP6145050B2 (ja) 内視鏡保管庫
CZ21069U1 (cs) Zařízení pro sterilizaci předmětů i kapal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