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280B1 -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280B1
KR100698280B1 KR1020060043389A KR20060043389A KR100698280B1 KR 100698280 B1 KR100698280 B1 KR 100698280B1 KR 1020060043389 A KR1020060043389 A KR 1020060043389A KR 20060043389 A KR20060043389 A KR 20060043389A KR 100698280 B1 KR100698280 B1 KR 100698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rear panel
bracket
microwave ove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3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 H05B6/6429Aspects relating to mounting assemblies of wall-mounted microwave ov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리어 패널과 캐비티의 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성의 향상과 더불어 품질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아웃 프레임 및 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조리실을 구성하는 캐비티; 상기 본체와 캐비티 사이에 형성되며, 고전압 트랜스 등의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된 전장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와 리어 패널 사이 공간을 차단하면서 캐비티와 리어패널을 연결하는 브라켓; 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레인지, 브라켓, 리어패널, 캐비티.

Description

전자레인지{MICROWAVE OVEN}
도 1은 종래 리어 패널과 캐비티가 일체로 연결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와 리어패널이 브라켓을 통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 구성요소 중 브라켓을 보인 사시도.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본체 22: 베이스 플레이트
25: 리어 패널 27: 아웃프레임
30: 캐비티 32: 트레이
35: 도어 40: 전장실
50: 브라켓 52: 굴절부
54: 플랜지 54a: 볼트 체결공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리어 패널과 캐비티의 연결 구조를 개 선하여 조립성의 향상과 더불어 품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레인지(MWO: Microwave oven)는 고주파를 이용해 음식물의 분자 배열을 교란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분자간 마찰열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종래의 전자 레인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아웃 프레임 및 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본체,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그리고 고전압 트랜스 등의 각종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웃 프레임은 캐비티를 내측으로 수용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리어 패널은 캐비티 후방측에 설치된다.
캐비티와 리어 패널 사이에는 외부 공기를 캐비티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모터 및 송풍기 등이 설치되며, 모터와 송풍기의 작동으로 외부 공기를 캐비티 내측으로 강제 송풍시키게 된다.
이때, 리어 패널과 캐비티의 결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1) 내측에서 후방측으로 스크류(S)를 체결하고, 너트(N)를 캐비티(1) 외측에서 체결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리어 패널(2)을 스크류가 통과하도록 캐비티(1) 후방측에 밀착시키고, 리어패널(2)이 밀착된 후에는 다시 너트(N)를 스크류(S)에 체결하여 리어 패널(2)을 캐비티(1)와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 관계를 통해 전자레인지의 조립이 완료되면, 캐비티(1) 내부에 조리물이 얹혀지는 원판형의 트레이(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트레이의 회전에 따라 마이크로웨이브가 조리물의 각 부위를 균일하게 조사하게 된다.
그러나, 리어 패널(2)은 캐비티(1) 내측에서 외측으로 체결되는 스크류(S)를 통해 고정되는 것임으로, 스크류(S)의 헤드 부분이 캐비티(1) 내부로 노출되어 전자레인지의 작동시 스파크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캐비티(1) 내부에 노출된 스크류(S)의 헤드는 리어 패널(2)과의 결합을 위해 캐비티(1) 내측에서 조여지기 때문에 너트(N)와의 결합이 불편하여 조립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스크류(S) 체결시 캐비티(1) 내면에 굴곡 또는 돌출된 부분이 형성됨으로써 컨백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내포한다.
그리고, 캐비티(1) 내부에 노출된 스크류(S)는 전자레인지의 도어(미도시)를 개방시켰을 경우, 외부에서도 캐비티(1) 내부의 스크류(S) 헤드를 쉽게 발견할 수 있어 상품성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리어 패널과 캐비티의 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성의 향상과 더불어 품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목적은, 캐비티 내부로 스크류가 노출되지 않도록 리어 패널과 캐비티를 브라켓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컨백션 기능의 향상과 더불어 상품성 , 조립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아웃 프레임 및 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조리실을 구성하는 캐비티; 상기 본체와 캐비티 사이에 형성되며, 고전압 트랜스 등의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된 전장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와 리어 패널 사이 공간을 차단하면서 캐비티와 리어패널을 연결하는 브라켓; 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은 양단부에 연장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와 리어패널에 플랜지가 밀착된 후 스크류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캐비티와 리어패널 사이의 높이차에 대응하도록 중앙 부분이 굴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와 리어패널이 브라켓을 통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 구성요소 중 브라켓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 내부에 설치되는 캐비티(30)와 상기 본체(20)와 캐비티(30) 사이에 형성되는 전장실(40)과 상기 본체(20)와 캐비티(30)를 결합 고정하는 브라켓(5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본체(20)는 크게 베이스 플레이트(22)와 아웃 프레임(27) 및 리어 패널(25)로 구성될 수 있다.
아웃 프레임(27)과 리어 패널(25)은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상측과 후측에 각각 설치된다. 이들은 모두 경도와 내식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성 패널로 이루어지며, 전체 형상이 박스형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본체(20) 내부에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30)가 설치된다. 캐비티(30)는 베이스 플레이트(22)에 안착 설치되며, 도어(35)가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조리실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캐비티(30)의 조리실 내부에는 트레이(32)가 설치될 수 있다. 트레이(32)는 조리실 내부에 단순히 놓여진 상태로 배치되거나 회전가능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22)에 트레이 회전장치(미도시)가 설치되고, 트레이 회전장치와 트레이가 착탈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면 트레이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이렇게 캐비티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면, 캐비티와 본체의 아웃 프레임 사이에는 전장실이 형성되며, 전장실에는 고전압 트랜스와 마이크로 웨이브와 같은 각종 전장 부품이 설치된다.
이때, 본체의 베이스 플레이트(22)에 설치된 캐비티(30)는 리어 패널(25)과 브라켓(50)을 통해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브라켓(50)은 케비티(30)의 양측면 모서리 길이와 동일 또는 그보다 긴 형태로 이루어지며, 캐비티(30)와 리어 패널(25) 모서리에 밀착되며 설치된다.
또한 브라켓(50)의 중앙부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굴절부(52)가 형성되어 있 다. 이 굴절부(52)는 캐비티(30)와 리어 패널(25) 사이에 발생되는 높이차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이들 사이에 높이차이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브라켓(50)을 평판 패널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캐비티(30)의 경우 리어 패널(25) 후방으로 돌출되며 설치되는 것이 보통임으로 그 높이차에 해당하는 만큼 브라켓(50)의 중앙부위를 굴곡시키게 된다.
브라켓(50)의 양단부에는 플랜지(54)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54)에는 스크류 체결이 가능하도록 한쌍의 볼트 체결공(54a)이 형성되어 있다.
리어패널(25)과 캐비티(30)에 브라켓(50)이 설치될 때에는 볼트 체결공(54a)이 리어패널(25)과 캐비티(30)에 각각 하나씩 위치되어 있어서 스크류(S)를 통해 고정된다.
따라서, 브라켓(50)은 리어패널(25)과 캐비티(30)를 연결하는 하나의 매개체가 되며, 스크류(S)를 캐비티(30) 내부에서 브라켓(50)에 결합하지 않더라도 리어패널(25)과 캐비티(30)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브라켓의 설치 순서 및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라켓(50)의 설치는 캐비티(30)가 베이스 플레이트(22)에 설치되고, 아웃프레임(27)이 베이스 플레이트(2)에 고정된 다음, 리어 패널(27)이 케비티(30)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동시에 진행된다.
이때, 물론 작업 공정에 따라 리어 패널(25)이 베이스 플레이트(22)에 설치 된 다음, 아웃 프레임(27)이 설치될 수도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2)에 설치된 캐비티(30) 후방으로 리어 패널(25)이 밀착된 후에는 브라켓(50)이 리어 패널(25)과 캐비티(30) 사이에 위치된다.
브라켓(50)을 리어패널(25)과 캐비티(30) 사이에 설치할 때에는 리어 패널(25)과 캐비티(30) 사이에 그 양단부가 억지 끼움되도록 설치하여 이들을 연결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리어 패널(25)과 캐비티(30) 후면에 각각 결합홈(미도시)을 형성해야 함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따라, 리어 패널(25)과 캐비티(30)의 결합은 브라켓(50) 양단부에 각각 플랜지(54)를 일체로 형성하고, 플랜지(54)에 한쌍의 볼트 체결공(54a)을 형성한 다음 각각의 볼트 체결공이 리어 패널(25)과 캐비티(30)에 위치된 상태에서 스크류(S)를 체결하여 이들을 서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리어 패널(25)과 캐비티(30)를 브라켓(50)을 통해 간단하게 조립하게 되면, 전자레인지의 조립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레인지의 심미감 또한 개선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리어 패널과 캐비티의 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성의 향상과 더불어 품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캐비티 내부로 스크류가 노출되지 않도록 리어 패널과 캐비티를 브라켓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컨백션 기능의 향상과 더불어 상품성 , 조립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베이스 플레이트와 아웃 프레임 및 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조리실을 구성하는 캐비티;
    상기 본체와 캐비티 사이에 형성되며, 고전압 트랜스 등의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된 전장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와 리어 패널 사이 공간을 차단하면서 캐비티와 리어패널을 연결하는 브라켓; 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양단부에 연장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와 리어패널에 플랜지가 밀착된 후 스크류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캐비티와 리어패널 사이의 높이차에 대응하도록 중앙 부위에 굴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KR1020060043389A 2006-05-15 2006-05-15 전자레인지 KR100698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389A KR100698280B1 (ko) 2006-05-15 2006-05-15 전자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389A KR100698280B1 (ko) 2006-05-15 2006-05-15 전자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280B1 true KR100698280B1 (ko) 2007-03-22

Family

ID=41564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389A KR100698280B1 (ko) 2006-05-15 2006-05-15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2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0691A (ja) 2000-10-26 2002-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電子レン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0691A (ja) 2000-10-26 2002-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電子レン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31286A (ko) 전자렌지
KR100698280B1 (ko) 전자레인지
KR100200798B1 (ko) 전자레인지
CN1260518C (zh) 微波炉
KR20050005022A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판넬 브라켓 구조
KR960016633B1 (ko) 트레이 모터용 커버
JPH0722079Y2 (ja) 誘導加熱機能付き高周波加熱装置
JP3503147B2 (ja) 加熱調理器の外箱の取付構造
KR20060098733A (ko) 전자오븐레인지의 컨벡션 커버 체결 구조
KR100395641B1 (ko) 전자렌지
KR100562102B1 (ko) 전자레인지의 케비티어셈블리
KR0126703Y1 (ko) 전자렌지의 히터 체결구조
KR0122405Y1 (ko) 전자렌지의 히터 결합구조
KR100285860B1 (ko) 전자렌지의 마그네트론 고정 구조
KR100299826B1 (ko) 전자렌지의푸트구조
KR0140615Y1 (ko) 트레이 모터용 커버
KR100265625B1 (ko) 전자렌지의 고압 콘덴서 고정구조
KR200142139Y1 (ko) 전자렌지의 도어-힌지 취부구조
US20090134154A1 (en) Device for Preventing Leakage of Microwave for Microwave Oven
KR100595231B1 (ko) 컨벡션형 전자 레인지의 컨벡션부 구조
KR100562103B1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판넬 결합구조
KR200307045Y1 (ko) 전자레인지용 블로워유니트 커버어셈블리
KR20050005026A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글라스 고정구조
JPH05231646A (ja) ヒーター付き高周波加熱装置
KR20010057192A (ko) 전자레인지의 전장실저면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