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162B1 -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분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분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162B1
KR100698162B1 KR1020050009065A KR20050009065A KR100698162B1 KR 100698162 B1 KR100698162 B1 KR 100698162B1 KR 1020050009065 A KR1020050009065 A KR 1020050009065A KR 20050009065 A KR20050009065 A KR 20050009065A KR 100698162 B1 KR100698162 B1 KR 100698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consumption
present
analyzing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8240A (ko
Inventor
강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9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162B1/ko
Priority to CNA2005101083337A priority patent/CN1815246A/zh
Publication of KR20060088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전력소비량 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단말기에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단말기 내에서의 전력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의 동작 내역과 전력소비량을 부분별 그리고 시간대별로 상호 비교할 수 있어서 단말기에서 큰 전력소비량이 발생한 경우 그 발생 원인 또는 내역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오동작 여부 또는 설계시의 예상값보다 큰 전력소비원인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전력, 소비, 배터리

Description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분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IN A TERMINAL}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종래 기술에 따른 단말기 전력소비량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전력소비량 분석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전력소비량 분석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단말기 본체 20: 단말기 전력소비량 측정장치
23: 측정용 배터리 25: 전원공급기
27: 전류측정계 30: 단말기 전력소비량 분석시스템
33: 동작모니터부 35: 전력소비량 모니터부
37: 비교부
본 발명은 단말기 전력소비량 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 체적으로는 단말기에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단말기 내에서의 전력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임의의 한 장소에서 또는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신을 하거나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개인용 이동통신단말기가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의 대중화 흐름 속에서,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에게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품질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1회 충전 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가능시간도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배터리의 1회 충전 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가능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되는 배터리가 작은 부피 및 무게를 가지면서도 얼마나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계속 개발되고 있는 한편, 단말기 본체에서의 전력소비량도 가능한한 최소로 하기 위한 연구도 계속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단말기 본체의 전력소비량을 줄이는 것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단말기 본체의 전력소비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종래 기술에 따른 단말기 전력소비량 측정 장치(20)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 전력소비량 측정을 위해서, 측정 대상 단말기 본체(10)에는 전류 측정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측정용 배터리(23)가 연결되고, 상기 측정용 배터리(23)에는 직류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기(25)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측정용 배터리(23)에는 상기 전원공급기(25)로부터 상기 측정용 배터리(13)를 통해서 단말기 본체(10)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측정계(27)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다. 즉, 상기 측정용 배터리(23)가 상기 전원공급기(25)에서 전원을 공급받아서 단말기 본체(10)에 공급할 때, 공급되는 양(+) 전원 또는 음(-) 전원 중 하나는 전류측정계(27)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단말기 본체(10)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전류측정계(27)를 통과하는 전류의 크기로부터 단말기 본체(10)에 공급되어 소비되는 전력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단말기 전력소비량 측정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동작내역에 따라 갑자기 큰 전력소비량이 발생했을 때 그 현상은 모니터되지만, 단말기의 어떤 동작내역에 따른 것인지 또는 단말기 내부의 어느 부분의 어떤 동작상태중에 발생되는 것인지를 자세히 파악하기에는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말기에서 큰 전력소비량이 발생한 경우 그 발생 원인 또는 내역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는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분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의 부분별 및 시간대별 동작내역을 모니터하는 동작 모니터부, 상기 단말기에서 소비되는 시간대별 전력소비량을 모니터하는 전력소비량 모니터부, 및 상기 모니터된 상기 단말기의 동작내역 및 전력소비량을 시간대별로 상호 비교함으로써, 단말기에서 비정상적인 전력소비량이 발생했을 때 상기 단말기는 어느 부분에서 어떤 동작을 수행하고 있었는지를 파악하여 단말기 부분별 오동작 여부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의 부분별 및 시간대별 동작내역을 모니터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소비되는 시간대별 전력소비량을 모니터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된 상기 단말기의 동작 내역 및 전력소비량을 시간대별로 상호 비교함으로써 단말기에서 비정상적인 전력소비량이 발생했을 때 상기 단말기는 어느 부분에서 어떤 동작을 수행하고 있었는지를 파악하여 단말기 부분별 오동작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분석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 및 단말기 전력소비량 측정 장치(2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분석시스템(30)이 장착된다. 단말기 전력소비량 측정장치(20)에 대해서는 앞서서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이에 대한 자세한 언급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분석시스템(30)은 동작 모니터부(33), 전력소비량 모니터부(35), 및 비교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작 모니터부(33)는 단말기 본체(10)로부터 단말기의 부분별 및 시간대별 동작내역을 입력받는다. 동작 모니터부(33)에는 검사대상 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서로 다른 단말기 동작 모니터 소프트웨어가 내장될 수 있다. 예컨대, 검사대상 단말기가 퀄컴(Qualcomm)사의 MSM칩을 장착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동작 모니터부에는 퀄컴사의 진단 모니터 소프트웨어인 QXDM이 내장될 수 있다. 물론, QXDM이 아닌 임의로 제작된 소프트웨어라도 QXDM에서 사용하는 진단 패킷 정의를 만족시킨다면 퀄컴사의 MSM칩을 내장한 단말기의 동작 모니터를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동작 모니터부(33)에는 별도의 저장부가 연결되어, 동작 모니터부(33)에 의해 모니터되는 단말기의 동작내역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력소비량 모니터부(35)는 단말기 전력소비량 측정장치(20)로부터 단말기 본체(10)에 공급되는 시간대별 전력소비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도 2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력소비량 모니터부(35)에도 별도의 저장부가 연결되어, 전력소비량 모니터부(35)에 의해 모니터되는 단말기(10)의 시간대별 전력소비량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된 단말기의 부분별 시간대별 동작내역에 관한 정보 및 단말기 본체에 공급되는 시간대별 전력소비량에 관한 정보는 전력소비량 분석시스템(30)의 비교부(37)에 입력된다. 상기 비교부(37)는 양 정보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단말기(10)에서 비정상적인 전력소비량이 발생했을 때 단말기(10)는 어느 부분에서 어떤 동작을 수행하고 있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서 단말기(10)의 부분별 오동작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분석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전술한 내용만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분석 방법이 충분히 유추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나, 도 3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간략히 한번더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기 본체(10)로부터 단말기의 부분별 그리고 시간대별 동작내역을 모니터한다(S310).
그 다음, 상기 단계와 동시에 단말기 본체(10)에 공급되어 소비되는 시간대별 전력소비량을 모니터한다(S330).
그 다음, 상기 모니터된 상기 단말기의 동작 내역 및 전력소비량을 시간대별로 상호 비교함으로써, 단말기에서 비정상적인 전력소비량이 발생했을 때 단말기는 어느 부분에서 어떤 동작을 수행하고 있었는지를 파악하여 단말기 부분별 오동작 여부를 분석한다(S350).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단말기 전력소비량 분석시스템(30)의 전력소비량 모니터부(33)는 단말기 전력소비량 측정장치(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상으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뿐만 아니라 전력소비량의 측정이 필요한 다른 여러 전자장치에도 적용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 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의 동작 내역과 전력소비량을 부분별 그리고 시간대별로 상호 비교할 수 있어서 단말기에서 큰 전력소비량이 발생한 경우 그 발생 원인 또는 내역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오동작 여부 또는 설계시의 예상값보다 큰 전력소비원인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Claims (4)

  1. 단말기 각 부분의 동작 상태를 시간대별로 모니터하는 동작 모니터부;
    상기 단말기에서 소비되는 전력소비량을 시간대별로 모니터하는 전력소비량 모니터부; 및
    상기 모니터된 상기 단말기 각 부분의 동작 상태 및 상기 단말기의 전력소비량을 시간대별로 상호 비교함으로써, 단말기에서 비정상적인 전력소비량이 발생했을 때 상기 단말기는 어느 부분에서 어떤 동작을 수행하고 있었는지를 파악하여 단말기 부분별 오동작 여부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진단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각 부분의 동작 상태에 관한 데이터 및 상기 단말기의 전력소비량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진단 시스템.
  3. 단말기 각 부분의 동작 상태를 시간대별로 모니터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소비되는 전력소비량을 시간대별로 모니터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된 상기 단말기 각 부분의 동작 상태 및 상기 단말기의 전력소비량을 시간대별로 상호 비교함으로써, 단말기에서 비정상적인 전력소비량이 발생했을 때 상기 단말기는 어느 부분에서 어떤 동작을 수행하고 있었는지를 파악하여 단말기 부분별 오동작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진단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각 부분의 동작 상태에 관한 데이터 및 상기 단말기의 전력소비량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진단 방법.
KR1020050009065A 2005-02-01 2005-02-01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0698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065A KR100698162B1 (ko) 2005-02-01 2005-02-01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NA2005101083337A CN1815246A (zh) 2005-02-01 2005-10-12 终端的功率消耗量分析系统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065A KR100698162B1 (ko) 2005-02-01 2005-02-01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분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240A KR20060088240A (ko) 2006-08-04
KR100698162B1 true KR100698162B1 (ko) 2007-03-26

Family

ID=3690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065A KR100698162B1 (ko) 2005-02-01 2005-02-01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98162B1 (ko)
CN (1) CN18152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0060A3 (en) * 2009-08-14 2011-04-28 Google Inc. Providing a user with feedback regarding power consumption in battery-operated electronic devices
US8280456B2 (en) 2009-08-14 2012-10-02 Google Inc. Providing a user with feedback regarding power consumption in battery-operated electronic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567B1 (ko) * 2008-07-04 2010-07-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정상적인 배터리 소모 검출 방법 및장치
KR101865365B1 (ko) * 2017-02-28 2018-06-05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639A (ko) * 2002-05-06 2003-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예상 통화 대기 시간 및 연속 통화가능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639A (ko) * 2002-05-06 2003-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예상 통화 대기 시간 및 연속 통화가능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0060A3 (en) * 2009-08-14 2011-04-28 Google Inc. Providing a user with feedback regarding power consumption in battery-operated electronic devices
US8280456B2 (en) 2009-08-14 2012-10-02 Google Inc. Providing a user with feedback regarding power consumption in battery-operated electronic devices
US8285340B2 (en) 2009-08-14 2012-10-09 Google Inc. Providing a user with feedback regarding power consumption in battery-operated electronic devices
US8538484B2 (en) 2009-08-14 2013-09-17 Google Inc. Providing a user with feedback regarding power consumption in battery-operated electronic devices
AU2010282293B2 (en) * 2009-08-14 2014-07-31 Google Llc Providing a user with feedback regarding power consumption in battery-operated electronic devices
KR101525965B1 (ko) * 2009-08-14 2015-06-04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배터리 동작형 전자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에 따른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US9880920B2 (en) 2009-08-14 2018-01-30 Google Llc Providing a user with feedback regarding power consumption in battery-operated electron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240A (ko) 2006-08-04
CN1815246A (zh)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8909B2 (en) Detecting status of an application program running in a device
CN103176132B (zh) 电池电量的估算方法及终端设备
EP217420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terminal
US20150032394A1 (en) Power management system
Wang et al. Power estimation for mobile applications with profile-driven battery traces
EP35106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attery management
US8874393B2 (en) Battery pack, electronic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of battery pack
US116866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omaly detection and total capacity estimation of a battery
KR100698162B1 (ko)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분석 시스템 및 방법
Lajara et al. Predicting the batteries' state of health in wireless sensor networks applications
Schulman et al. Phone power monitoring with battor
Baek et al. Exploiting multi-cell battery for mobile devices: Design, management, and performance
KR20140071060A (ko) 배터리 충전 상태 및 건강 상태에 대한 온라인 판단 방법 및 장치
JP2015127676A (ja) 蓄電池検査装置、蓄電池検査方法、蓄電池検査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8278744A (ja) 充電装置
de Sousa et al. A novel non-invasive method to measure power consumption on smartphones
Bedregal et al. Optimizing energy consumption per application in mobile devices
Ionascu et al. Energy profiling for different Bluetooth low energy designs
JP4769227B2 (ja) 充電回路及び携帯型電子機器
Hoque et al. Accurate Online Full Charge Capacity Modeling of smartphone batteries
KR20090101742A (ko) 휴대용 장치 및 이에 적합한 전력 소비 감소 방법
CN114487886B (zh) 一种电芯胀气检测方法、装置、电池管理系统及电子设备
CN111551867B (zh) 电池寿命检测方法及装置,和电池更换提醒方法及装置
KR10047431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 예측방법
CN117647740A (zh) 一种电池失效监测方法及便携式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