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973B1 -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측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측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973B1
KR100697973B1 KR1020050082084A KR20050082084A KR100697973B1 KR 100697973 B1 KR100697973 B1 KR 100697973B1 KR 1020050082084 A KR1020050082084 A KR 1020050082084A KR 20050082084 A KR20050082084 A KR 20050082084A KR 100697973 B1 KR100697973 B1 KR 100697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ss
ubiquitous
effect
area
universa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5668A (ko
Inventor
김태한
조은진
백현미
변재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82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973B1/ko
Priority to US11/514,472 priority patent/US7809596B2/en
Publication of KR20070025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4Market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보편적 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자(제공 사업자)의 역무제공관련 자료 및 인구통계관련 자료들을 입력받아 가공한 후, 편재(Ubiquity)손실을 계량적으로 측정함으로써, 보편적 역무를 제공해야 하는 사업자가 해당 역무를 제공함에 따라 발생하는 편재효과(Ubiquity Effect)로 인해 입게 되는 회계상으로 측정이 곤란한 간접적 손실을 계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장치에 있어서, 인구통계관련 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인구통계관련 자료저장수단; 보편적역무제공관련 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보편적역무제공관련 자료저장수단; 상기 인구통계관련 자료저장수단과 상기 보편적역무제공관련 자료저장수단에서 해당 자료를 읽어와 편재손실 계산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편재손실 계산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대상권역별 편재손실을 계산하기 위한 상기 편재손실 계산수단; 및 상기 편재손실 계산수단에 서 계산한 산정대상권역별 편재손실을 저장하기 위한 편재손실 자료저장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간접적 손실 측정 등에 이용됨.
보편적 역무, 간접적 손실, 편재효과, 고비용권역, 저비용권역, 편재손실, 전기통신사업자

Description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장치 및 그 방법{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Intangible Loss Caused by Ubiquity Effect}
도 1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편재(Ubiquity)손실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계산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인구통계관련 자료저장부 22 : 보편적역무제공관련 자료저장부
23 : 제어부 24 : 편재손실 계산부
25 : 편재손실 자료저장부
본 발명은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편적 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자(제공 사업자)의 역무제공관련 자료 및 인구통계관련 자료들을 입력받아 가공한 후, 편재(Ubiquity)손실을 계량적으로 측정함으로써, 보편적 역무를 제공해야 하는 사업자가 해당 역무를 제공함에 따라 발생하는 편재효과(Ubiquity Effect)로 인해 입게 되는 회계상으로 측정이 곤란한 간접적 손실을 계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기통신사업자의 보편적 역무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간접적 손실의 일예로 편재(Ubiquity)손실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정부는 관련 법령에 의해 특정 사업자를 지정하여 일정한 전기통신역무(보편적 역무)를 의무적으로 제공하도록 하고, 보편적 역무를 제공하지 않는 일정 규모 이상의 전기통신사업자(이하 분담 사업자)는 제공 사업자가 해당 역무를 제공함으로써 입게 되는 손실을 분담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각 사업자가 분담해야 할 손실 보전금을 정확히 산정하기 위해서는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Ubiquity 손 실)을 계량화해야 한다.
즉, 전기통신사업법 등 관련 법령에 따르면, 모든 전기통신사업자는 보편적 역무를 제공하거나 그 제공에 따른 손실을 보전할 의무가 있으며, 정부에 의해 지정된 전기통신사업자가 보편적 역무를 제공하고 나머지 전기통신사업자는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손실을 보전해야 한다.
이러한 손실금의 계산은 고비용권역(동 역무의 제공에 따른 소요비용이 수입을 초과하는 권역)만을 대상으로 하고, 저비용권역(동 역무의 제공에 따른 수입이 소요비용을 초과하는 지역) 내의 적자지역(예컨대 대도시지역 내의 단독 주택 지역)에서의 손실은 제외된다.
따라서, 고비용권역에서의 손실 산정에 있어서는 회계상의 손실뿐만 아니라, 고비용권역에 거주하는 가입자가 저비용권역내의 적자지역으로 이주했을 때, 제공 사업자가 보전받지 못하는 손실(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편재효과는 간접적 손실뿐만 아니라, 고비용권역에 거주하는 가입자가 저비용권역내의 흑자지역으로 이주했을 때 기존에 가입했던 사업자를 선호하는 경향 때문에 보편적 역무 제공사업자의 수입이 증가함을 의미하는 간접적 편익도 유발하게 되는데,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편익의 계산 방법은 컨설팅 기관인 'OVUM'이 호주의 통신사업 규제기관인 ACA(Australian Communications Authority: 현재 Australian Communications and Media Authority로 조직 변경됨)에 제출한 보고서에 잘 나타나 있다.
하지만, 상기 보고서에는 간접적 편익을 계량화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에 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으며, 계량화에 필요한 각종 기초 데이터들은 상당 부분 가정에 의존하고 있어서 해당 규제기관에서 보고서를 채택하지 않았다.
한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의 계량화에 관해서도 아직 법제화된 규정은 없으며, 문서화된 계산방법도 존재 않는다. 따라서,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손실보전금 산정을 위해서는 이러한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의 계량화가 요구되며, 이러한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의 계량화가 실현되어야 고비용권역의 권역별 손실을 보다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보편적 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자(제공 사업자)의 역무제공관련 자료 및 인구통계관련 자료들을 입력받아 가공한 후, 편재(Ubiquity)손실을 계량적으로 측정함으로써, 보편적 역무를 제공해야 하는 사업자가 해당 역무를 제공함에 따라 발생하는 편재효과(Ubiquity Effect)로 인해 입게 되는 회계상으로 측정이 곤란한 간접적 손실을 계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장치에 있어서, 인구통계관련 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인구통계관련 자료저장수단; 보편적역무제공관련 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보편적역무제공관련 자료저장수단; 상기 인구통계관련 자료저장수단과 상기 보편적역무제공관련 자료저장수단에서 해당 자료를 읽어와 편재손실 계산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편재손실 계산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대상권역별 편재손실을 계산하기 위한 상기 편재손실 계산수단; 및 상기 편재손실 계산수단에서 계산한 산정대상권역별 편재손실을 저장하기 위한 편재손실 자료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방법에 있어서, 권역별 수입과 비용 자료를 이용하여 모든 권역을 저비용권역(편재효과권역) 또는 고비용권역(산정대상권역)으로 구분하는 권역 구분 단계; 편재효과권역에서의 제공 사업자의 전체 시장점유율을 이용하여 상기 구분한 편재효과권역 중에서 경쟁도입권역을 구분하는 단계; 하나의 산정대상권역을 기준으로 하나의 경쟁도입권역을 매칭시켜 편재손실을 계산하는 제 1 편재손실 계산 단계; 상기 하나의 산정대상권역을 기준으로 모든 경쟁도입권역을 매칭시켜 편재손실을 계산하는 제 2 편재손실 계산 단계; 상기 구분한 모든 산정대상권역에 대해 상기 제 1 및 제 2 편재손실 계산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산정대상권역별 편재손실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도면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리하기로 한다.
1. '보편적 역무'는 모든 이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적정한 요금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기본적인 전기통신역무(관련 법령에는 보편적 역무의 종류로 여러 가지가 나열되어 있으나, 그 중 "시내전화서비스"에 편재손실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함)를 의미한다.
2. '보편적 역무 제공 사업자'는 전기통신사업법 등 관련 법령에 의해 보편적 역무를 제공할 의무가 있는 사업자를 의미한다.
3. '보편적 역무 분담 사업자'는 전기통신사업법 등 관련 법령에 의해 보편적 역무를 제공함에 따른 손실을 보전할 의무가 있는 사업자를 의미한다.
4. '권역'은 시내전화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보편적역무 손실보전금 산정 등에 기준이 되는 지역으로서 통화권을 말한다.
5. '고비용권역'은 보편적 역무를 제공함에 따른 소요비용이 수입을 초과하 는 권역을 의미한다.
6. '저비용권역'은 보편적 역무를 제공함에 따른 수입이 소요비용을 초과하는 권역을 의미한다.
7. '지역'은 "권역"의 하위 개념으로서(여러 개의 지역이 한 권역을 이룸),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권역을 아파트인 지역과 아파트가 아닌 지역으로 구분한다.
8. '경쟁도입권역'은 보편적 역무 제공사업자 이외의 다른 사업자도 보편적 역무에 해당하는 역무를 제공하고 있는 권역을 의미한다.
9. '편재효과(Ubiquity Effect)'는 고비용권역에 거주하던 가입자가 경쟁이 도입된 저비용권역으로 이동하더라도 기존에 가입했던 전기통신사업자를 선호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10. '편재효과로 인한 손실(Ubiquity 손실)'은 고비용권역에 거주하던 가입자가 경쟁이 도입된 저비용권역 내의 적자지역으로 이주했을 때 편재효과로 인해 보편적 역무 제공사업자가 보전받지 못하는 손실을 의미한다.
11. '가중평균자본비용'은 자기자본비용과 타인자본비용을 가중평균한 값으로, 기업의 투자결정을 위한 기준으로 쓰이며, 본 발명에서는 미래의 현금흐름을 현재 가치로 환산하기 위한 할인율로 쓰인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편재(Ubiquity)손실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비용이 총수입을 초과하는 권역인 고비용권역, 즉 편재효과 산정대상권역에 거주하는 가입자가 총수입이 총비용을 초과하는 권역 인 저비용권역(편재효과권역) 중 다른 전기통신사업자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쟁도입권역 내의 적자지역(지역내 총비용이 총수입을 초과하는 지역)으로 이동한 후, 이동 전에 가입하고 있던 제공 사업자에게 계속 가입할 경우, 편재효과로 인해 제공 사업자의 적자는 늘어나게 되지만, 해당 저비용권역의 전체 수입이 전체 비용을 초과하므로, 이러한 적자는 보전받지 못하게 되어 편재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총비용이 총수입을 초과하는 권역인 고비용권역에 거주하는 가입자가, 저비용권역 중 다른 전기통신사업자가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권역인 경쟁미도입권역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해당 가입자에게 사업자를 선택할 수 있는 여지가 없으므로 편재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며, 저비용권역 중 경쟁도입권역으로 이동했다 할지라도 흑자지역(지역내 총수입이 총비용을 초과하는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해당 가입자가 제공사업자의 수익을 증대시켜 주므로 편재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장치는, 권역별 인구수, 권역별 인구이동자료, 주거형태별 인구비율 등 인구통계관련 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인구통계관련 자료저장부(21), 권역별 및 주거형태별 가입자수, 수입, 비용, 시장점유율, 가중평균자본비용 등 보편적역무제공관련 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보편적역무제공관련 자료저장부(22), 상기 인구통계관련 자료저장부(21)와 보편적역무제공관련 자료저장부(22)에서 해당 자료를 읽어와 편재손실 계산부(24)로 전달하고, 상기 편재손실 계산부(24)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3), 상기 제어부(23)로부터 전달받은 자료를 이용하여 편재손실을 계산하기 위한 상기 편재손실 계산부(24), 및 상기 편재손실 계산부(24)에서 계산한 산정대상권역별 편재손실을 저장하기 위한 편재손실 자료저장부(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구통계관련 자료저장부(21)는 구체적으로 산정대상권역에서 편재효과권역으로 이동한 인구수, 산정대상권역의 전체 인구수, 및 편재효과권역에서 아파트가 아닌 곳의 주거비율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보편적역무제공관련 자료저장부(22)는 구체적으로 편재효과권역에서 아파트가 아닌 곳의 전체 소요비용, 전체 수입, 전체 가입자수, 제공 사업자의 시장점유율 및 편재효과권역에서 제공 사업자의 전체 시장점유율, 그리고 산정대상권역의 가입자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인구통계관련 자료저장부(21)와 보편적역무제공관련 자료저장부(22)가 외부에 위치하는 인구통계 관리장치 및 보편적역무 관리장치에서 각각 관리되고 있을 경우, 제어부(23)는 통신망을 통해 인구통계 관리장치 및 보편적역무 관리장치에 접속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인구통계관련 자료저장부(21)와 상기 보편적역무제공관련 자료저장부(22)에서 해당 자료를 읽어 올 수 있다.
반면, 인구통계관련 자료저장부(21)와 보편적역무제공관련 자료저장부(22)가 본 발명에 따른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장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와 같은 복잡한 과정없이 바로 해당 자료를 읽어 올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보편적역무제공관련 자료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권역별 수입과 비용 자료를 이용하여 모든 권역을 저비용권역 또는 고비용권역으로 구분한다(301). 이때, 저비용권역은 수입이 비용을 초과하는 권역으로, 수입에서 비용을 감하여 순이익을 얻을 수 있고, 고비용권역은 비용이 수입을 초과하는 권역으로, 비용에서 수입을 감하여 순손실을 얻을 수 있다.
이후, 상기 구분한 고비용권역을 기준으로 상기 저비용권역을 각각 매칭시킨 후 편재손실이 발생하는 경우를 판단하여 편재손실을 계산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구분한 고비용권역 중에서 임의의 고비용권역(일예로 '산정대상권역'이라 함)을 선택한다(302).
이후, 상기 구분한 저비용권역 중에서 임의의 저비용권역(일예로, '편재효과권역)을 선택한다(303).
이후, 상기 선택한 편재효과권역이 경쟁도입권역인지 확인한다(304).
상기 확인 결과(304), 상기 선택한 편재효과권역이 경쟁도입권역이면, 편재손실을 계산한다(305). 즉, 상기 선택한 편재효과권역이 경쟁도입권역일 경우에 상기 선택한 산정대상권역에서 상기 선택한 편재효과권역으로 이주한 가입자와 관련한 편재손실을 계산한다.
이때, 경쟁도입권역이 아니면 편재손실을 계산하지 않는다. 즉, 상기 선택한 편재효과권역이 경쟁도입권역이 아닐 경우에 편재효과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편재손 실을 계산하지 않는다.
이후, 모든 편재효과권역을 선택했는지 확인한다(306)
상기 확인 결과(306), 모든 편재효과권역을 선택하지 않았으면, 상기 "303" 과정으로 진행하여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고, 모든 편재효과권역을 선택하였으면 일 산정대상권역을 기준으로 모든 편재효과권역을 각각 매칭시켜 계산한 편재손실을 합산한다(307).
이후, 모든 산정대상권역에 대해서 편재손실을 계산했는지 확인한다(308).
상기 확인 결과(308), 모든 산정대상권역에 대해서 편재손실을 계산하지 않았으면, 상기 "302" 과정으로 진행하여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고, 모든 산정대상권역에 대해서 편재손실을 계산했으면, 산정대상권역별 편재손실을 저장한다(309).
이를 요약해 보면, 해당 산정대상권역과 관련하여 편재손실이 계산되지 않은 편재효과권역이 있는지, 즉 해당 산정대상권역과 관련한 모든 편재손실이 계산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모든 편재손실이 계산되었다면 해당 산정대상권역과 관련한 편재효과권역별 편재손실을 모두 더하여 해당 산정대상권역의 편재손실을 계산하며, 아직 계산되지 않은 편재효과권역이 있다면 다른 편재효과권역을 선택하여 편재손실을 계산한다.
이상과 같이, 하나의 산정대상권역과 관련한 편재손실이 계산되었다면, 모든 산정대상권역의 편재손실 계산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모든 산정대상권역의 편재손실 계산이 완료되었다면 산정대상권역별 편재손실을 편재손실 자료저장부(25)로 전송하고, 아직 편재손실 계산이 완료되지 않은 산정대상권역이 있다면 다 른 산정대상권역을 선택하여 편재손실을 계산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계산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아파트가 아닌 곳을 가입자당 회선설치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이 높은 적자지역으로 가정하고, 아파트가 아닌 곳의 가입자 1인당 순손실(
Figure 112005049473703-pat00001
)을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한다(401).
Figure 112005049473703-pat00002
여기서,
Figure 112005049473703-pat00003
는 해당 편재효과권역에서 아파트가 아닌 지역의 전체 소요비용을 나타내고,
Figure 112005049473703-pat00004
는 해당 편재효과권역에서 아파트가 아닌 지역의 전체 수입을 나타내며,
Figure 112005049473703-pat00005
는 해당 편재효과권역에서 아파트가 아닌 지역의 전체 가입자수를 나타낸다.
이때, 가입자 1인당 순손실이 0보다 크지 않을 경우, 해당 지역은 적자지역이 아니므로 편재손실 계산을 종료하며, 가입자 1인당 순손실이 0보다 클 경우, 해당 지역은 적자지역이므로 하기의 과정을 수행한다(402).
시장점유율의 차이(
Figure 112005049473703-pat00006
)를 하기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한다(403).
Figure 112005049473703-pat00007
여기서,
Figure 112005049473703-pat00008
는 해당 편재효과권역에서 아파트가 아닌 곳에서의 제공 사업자의 시장점유율을 나타내고,
Figure 112005049473703-pat00009
는 해당 편재효과권역에서 제공 사업자의 전체 시장점유율을 나타낸다.
이때, 시장점유율의 차이가 0보다 크지 않을 경우, 해당 지역은 편재효과가 존재하지 않는 지역이므로 편재손실 계산을 종료하며, 시장점유율의 차이가 0보다 클 경우, 해당 지역은 편재효과가 존재하는 지역이므로 하기의 과정을 수행한다(404).
편재손실 계산 대상 가입자수(
Figure 112005049473703-pat00010
)를 하기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한다(405).
Figure 112005049473703-pat00011
여기서,
Figure 112005049473703-pat00012
는 해당 산정대상권역의 가입자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05049473703-pat00013
는 해당 산정대상권역에서 편재효과권역으로 이동한 인구수를 나타내며,
Figure 112005049473703-pat00014
는 해당 산정대상권역의 전체 인구수를 나타낸다.
또한,
Figure 112005049473703-pat00015
는 해당 편재효과권역에서 아파트가 아닌 곳의 주거비율을 나타내고,
Figure 112005049473703-pat00016
는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정의된 시장점유율의 차이를 나타낸다.
이어, 연간 편재손실(
Figure 112005049473703-pat00017
)을 하기의 [수학식 4]를 이용하여 계산한다(406).
Figure 112005049473703-pat00018
여기서,
Figure 112005049473703-pat00019
는 상기 [수학식 3]에 의해 정의된 편재손실 계산 대상 가입자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05049473703-pat00020
는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된 가입자 1인당 순손실을 나타낸다.
최종적으로, 해당 산정대상권역 및 편재효과권역과 관련한 편재손실(
Figure 112005049473703-pat00021
)을 하기의 [수학식 5]를 이용하여 계산한다(407).
Figure 112005049473703-pat00022
여기서, WACC는 가중평균자본비용을 나타내고,
Figure 112005049473703-pat00023
는 상기 [수학식 4]에 의해 정의된 연간 편재손실을 나타낸다.
이때, 연간 편재손실이 영원히 지속되는 것으로 간주하면, 연간 편재손실의 현재가치의 합계는 초항이
Figure 112005049473703-pat00024
이고 공비가 1/(1+WACC)인 무한등비급수가 되며, 이 무한급수는 상기 [수학식 5]에 나타난 바와 같은 값으로 수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보편적 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자(제공 사업자)의 역무제공관련 자료 및 인구통계관련 자료들을 입력받아 가공한 후, 편재(Ubiquity)손실을 계량적으로 측정함으로써, 보편적 역무를 제공해야 하는 사업자가 해당 역무를 제공함에 따라 발생하는 편재효과(Ubiquity Effect)로 인해 입게 되는 회계상으 로 측정이 곤란한 간접적 손실을 계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편적 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자(제공 사업자)의 역무제공관련 자료 및 인구통계관련 자료들을 입력받아 가공한 후, 편재(Ubiquity)손실을 계량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제공 사업자가 보전받아야 하는 총 금액을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계산하고, 이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시키며, 각 전기통신사업자간에 생길 수 있는 분쟁의 소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장치에 있어서,
    인구통계관련 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인구통계관련 자료저장수단;
    보편적역무제공관련 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보편적역무제공관련 자료저장수단;
    상기 인구통계관련 자료저장수단과 상기 보편적역무제공관련 자료저장수단에서 해당 자료를 읽어와 편재손실 계산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편재손실 계산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대상권역별 편재손실을 계산하기 위한 상기 편재손실 계산수단; 및
    상기 편재손실 계산수단에서 계산한 산정대상권역별 편재손실을 저장하기 위한 편재손실 자료저장수단
    을 포함하는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재손실 계산수단은,
    권역별 수입과 비용 자료를 이용하여 모든 권역을 저비용권역(편재효과권역) 또는 고비용권역(산정대상권역)으로 구분하고, 편재효과권역에서의 제공 사업자의 전체 시장점유율을 이용하여 상기 구분한 편재효과권역 중에서 경쟁도입권역을 구분한 후, 상기 구분한 고비용권역을 기준으로 상기 저비용권역을 각각 매칭시킨 후 편재손실이 발생하는 경우를 판단하여 편재손실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재손실 계산수단은,
    적자지역의 가입자 1인당 순손실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가입자 1인당 순손실이 0보다 큼에 따라 시장점유율의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시장점유율의 차이가 0보다 큼에 따라 편재손실 계산 대상 가입자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가입자 1인당 순손실과 편재손실 계산 대상 가입자수를 이용하여 연간 편재손실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연간 편재손실을 이용하여 해당 산정대상권역 및 편재효과권역과 관련한 편재손실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구통계관련 자료저장수단은,
    권역별 인구수, 권역별 인구이동자료, 주거형태별 인구비율 정보를 포함하되, 구체적으로 산정대상권역에서 편재효과권역으로 이동한 인구수, 산정대상권역의 전체 인구수, 및 편재효과권역에서 적자지역의 주거비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편적역무제공관련 자료저장수단은,
    권역별 및 주거형태별 가입자수, 수입, 비용, 시장점유율, 가중평균자본비용 정보를 포함하되, 구체적으로 편재효과권역에서 적자지역의 전체 소요비용, 전체 수입, 전체 가입자수, 제공 사업자의 시장점유율 및 편재효과권역에서 제공 사업자의 전체 시장점유율, 그리고 산정대상권역의 가입자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장치.
  6.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방법에 있어서,
    권역별 수입과 비용 자료를 이용하여 모든 권역을 저비용권역(편재효과권역) 또는 고비용권역(산정대상권역)으로 구분하는 권역 구분 단계;
    편재효과권역에서의 제공 사업자의 전체 시장점유율을 이용하여 상기 구분한 편재효과권역 중에서 경쟁도입권역을 구분하는 단계;
    하나의 산정대상권역을 기준으로 하나의 경쟁도입권역을 매칭시켜 편재손실을 계산하는 제 1 편재손실 계산 단계;
    상기 하나의 산정대상권역을 기준으로 모든 경쟁도입권역을 매칭시켜 편재손실을 계산하는 제 2 편재손실 계산 단계;
    상기 구분한 모든 산정대상권역에 대해 상기 제 1 및 제 2 편재손실 계산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산정대상권역별 편재손실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권역 구분 단계는,
    수입이 비용을 초과하는 권역을 저비용권역으로 구분하고, 비용이 수입을 초과하는 권역을 고비용권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재손실 계산 단계는,
    적자지역의 가입자 1인당 순손실(
    Figure 112005049473703-pat00025
    )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한 가입자 1인당 순손실이 0보다 큼에 따라 시장점유율의 차이(
    Figure 112005049473703-pat00026
    )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한 시장점유율의 차이가 0보다 큼에 따라 편재손실 계산 대상 가입자수(
    Figure 112005049473703-pat00027
    )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한 가입자 1인당 순손실과 편재손실 계산 대상 가입자수를 이용하여 연간 편재손실(
    Figure 112005049473703-pat00028
    )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한 연간 편재손실을 이용하여 해당 산정대상권역 및 편재효과권역과 관련한 편재손실(
    Figure 112005049473703-pat00029
    )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1인당 순손실(
    Figure 112005049473703-pat00030
    )은,
    하기의 [수학식 a]를 통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방법.
    [수학식 a]
    Figure 112005049473703-pat00031
    여기서,
    Figure 112005049473703-pat00032
    는 해당 편재효과권역에서 적자지역의 전체 소요비용을 나타내고,
    Figure 112005049473703-pat00033
    는 해당 편재효과권역에서 적자지역의 전체 수입을 나타내며,
    Figure 112005049473703-pat00034
    는 해당 편재효과권역에서 적자지역의 전체 가입자수를 나타낸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장점유율의 차이(
    Figure 112005049473703-pat00035
    )는,
    하기의 [수학식 b]를 통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방법.
    [수학식 b]
    Figure 112005049473703-pat00036
    여기서,
    Figure 112005049473703-pat00037
    는 해당 편재효과권역에서 적자지역의 제공 사업자의 시장점유율을 나타내고,
    Figure 112005049473703-pat00038
    는 해당 편재효과권역에서 제공 사업자의 전체 시장점유율을 나타낸다.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편재손실 계산 대상 가입자수(
    Figure 112005049473703-pat00039
    )는,
    하기의 [수학식 c]를 통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방법.
    [수학식 c]
    Figure 112005049473703-pat00040
    여기서,
    Figure 112005049473703-pat00041
    는 해당 산정대상권역의 가입자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05049473703-pat00042
    는 해당 산정대상권역에서 편재효과권역으로 이동한 인구수를 나타내며,
    Figure 112005049473703-pat00043
    는 해당 산정대상권역의 전체 인구수를 나타낸다.
    또한,
    Figure 112005049473703-pat00044
    는 해당 편재효과권역에서 적자지역의 주거비율을 나타내고,
    Figure 112005049473703-pat00045
    는 시장점유율의 차이를 나타낸다.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간 편재손실(
    Figure 112006082731506-pat00046
    )은,
    하기의 [수학식 d]를 통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방법.
    [수학식 d]
    Figure 112006082731506-pat00047
    여기서,
    Figure 112006082731506-pat00048
    는 편재손실 계산 대상 가입자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06082731506-pat00049
    는 가입자 1인당 순손실을 나타낸다.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산정대상권역 및 편재효과권역과 관련한 편재손실(
    Figure 112005049473703-pat00050
    )은,
    하기의 [수학식 e]를 통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방법.
    [수학식 e]
    Figure 112005049473703-pat00051
    여기서, WACC는 가중평균자본비용을 나타내고,
    Figure 112005049473703-pat00052
    는 연간 편재손실을 나타낸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간 편재손실이 영원히 지속될 경우,
    연간 편재손실의 현재가치의 합계는 초항이
    Figure 112005049473703-pat00053
    이고, 공비가 1/(1+WACC)인 무한등비급수가 되며, 이 무한급수는 수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 측정 방법.
KR1020050082084A 2005-09-05 2005-09-05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697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084A KR100697973B1 (ko) 2005-09-05 2005-09-05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측정 장치 및 그 방법
US11/514,472 US7809596B2 (en) 2005-09-05 2006-09-01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indirect loss caused by ubiquity eff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084A KR100697973B1 (ko) 2005-09-05 2005-09-05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측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668A KR20070025668A (ko) 2007-03-08
KR100697973B1 true KR100697973B1 (ko) 2007-03-23

Family

ID=3809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084A KR100697973B1 (ko) 2005-09-05 2005-09-05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09596B2 (ko)
KR (1) KR100697973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46A (ko) 1999-11-08 2000-02-07 노권형 무선인터넷 게시판기반 실시간 통화 서비스 방법
US7813952B2 (en) * 2002-06-04 2010-10-12 Sap Ag Managing customer loss using customer groups
CA2494122A1 (en) * 2002-07-31 2004-02-12 Truecontext Corporation Contextual computing system
KR101015323B1 (ko) 2003-12-03 2011-02-15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통신 서비스의 접속료 정산 시스템 및 방법
US8073720B2 (en) * 2006-04-18 2011-12-06 Cerlon Optimization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tion of cost of ownership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09596B2 (en) 2010-10-05
KR20070025668A (ko) 2007-03-08
US20070130033A1 (en)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ceres et al. Inferring origin–destination trip matrices from aggregate volumes on groups of links: a case study using volumes inferred from mobile phone data
KR101829895B1 (ko) 컨텐츠 플랫폼 장치 및 그의 리워드 관리 방법
TW201233099A (en) Method and system for carrying out predictive analysis relating to nodes of a communication network
Goetz Dynamic bargaining and size effects in the broadband industry
KR102331949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로밍 요금 정산을 위한 장치 및 방법
Tölösi et al. Toward improved benchmarking indicators
Lyons Timing and determinants of local residential broadband adoption: evidence from Ireland
Gerpott et al. Choosing a wrong mobile communication price plan: An empirical analysis of predictors of the degree of tariff misfit among flat rate subscribers in Germany
KR100697973B1 (ko) 보편적 역무 제공에 따른 편재효과로 인한 간접적 손실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N109151747B (zh) 业务兑换处理方法、运营服务器和业务服务器
Nguyen et al. Blockchain and stackelberg game model for roaming fraud prevention and profit maximization
CN108259363B (zh) 一种阶梯式业务流量控制的方法及装置
Pattanavichai et al. A pricing model and sensitivity analysis for MNO's investment decision making in 3G UMTS networks
CN110677446A (zh) 一种家庭群组用户的识别方法及装置
US8625758B2 (en) Method, a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a network node for sponsoring a communication service
CN115996412A (zh) 无线网络评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ultan et al. Mobile phone price as a proxy for socio-economic indicators
Lisičar et al. Implementation of GDPR Transparency Principle in Personal Data Processing by Croatian Online News Sites
Jain et al. A framework for assessing universal service obligations: A developing country perspective
Akdemir et al. Telecommunications policy reform in Turkey
CN113132991A (zh) 一种养卡识别方法、系统及装置
Gabel et al. Promoting innovation and the deployment of advanced telecommunications services to businesses
CN115208831B (zh) 请求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0727749B1 (ko)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방법
CN117788067B (zh) 一种营销广告反馈数据监测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