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886B1 -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886B1
KR100697886B1 KR1020050128059A KR20050128059A KR100697886B1 KR 100697886 B1 KR100697886 B1 KR 100697886B1 KR 1020050128059 A KR1020050128059 A KR 1020050128059A KR 20050128059 A KR20050128059 A KR 20050128059A KR 100697886 B1 KR100697886 B1 KR 100697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icopter
monitoring system
displacement measuring
control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주
김성필
권형준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28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54Mechanisms for controlling blade adjustment or movement relative to rotor head, e.g. lag-lead movement
    • B64C27/58Transmitting means, e.g. interrelated with initiating means or means acting on blades
    • B64C27/59Transmitting means, e.g. interrelated with initiating means or means acting on blades mechanical
    • B64C27/625Transmitting means, e.g. interrelated with initiating means or means acting on blades mechanical including rotating masses or servo ro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3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to help an aircraft pilot in the rolling phas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8Control of attitude, i.e. control of roll, pitch, or yaw
    • G05D1/0808Control of attitude, i.e. control of roll, pitch, or yaw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 G08C25/0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by signalling back receiving station to transmitting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ys (AREA)

Abstract

개시된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조종자의 입력에 따라 조종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장치와; 입력장치의 조종입력신호에 따라, 헬리콥터의 조종면을 제어하는 서보모터와; 서보모터의 움직임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장치와; 입력장치의 조종입력 신호와 변위 측정장치의 측정치를 비교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이상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이상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이상 발생을 경고하는 경고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비행도중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큰 고장이 발생하기 전 신속하게 헬리콥터를 착륙시키거나 사람들을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켜 신속하게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무인헬리콥터, 조종면, 변위센서, 모니터링, 고장진단

Description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Control surface monitoring system of the unmanned helicopt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흐름도,
도 2는 도 1의 서보모터가 모형헬리콥터에 장착된 개략도,
도 3은 도 1의 변위 측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110...입력장치 120...서보모터
122...조종면 124...링크
130...변위 측정장치 132...몸체
134...봉 140...제어부
150...경고장치
본 발명은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 조종용의 수신기를 탑재하며, 주파수와 입력신호의 변화를 증폭하여 기계적인 변화로 무선조종을 하는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행체는 고정익 항공기와 회전익 항공기가 있다. 이러한 비행선 중에서도 회전익 항공기인 헬리콥터는 불안정한 동체이지만, 고정익 항공기와는 달리 수직이착륙, 전진비행과, 후진비행, 좌우비행, 공중정지 및 빠른 선회 등 탁월한 기동성을 발휘하여 군사용이나, 화재진압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행체는 장시간 비행을 하다 보면 사용자가 예상하지 못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에 따라, 고정익 항공기의 경우에는 활공을 한다. 그렇지만 기본적으로 불안정한 형태를 가진 회전익 항공기인 헬리콥터의 경우는 조종계통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바로 추락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추락한 헬리콥터는 헬리콥터만 파손되는 것이 아니라 추락지점에 있던 기물의 파손과 인명피해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무선조종헬리콥터는 대략 5개 이상의 서보모터 또는 액추에이터의 작동으로 비행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 중 하나만 문제가 발생해도 안전한 비행을 수행할 수 없다. 이러한 종래의 무선조종헬리콥터나 무인헬리콥터는 별도의 시스템이 없이 비행 전 사전점검을 통해 고장을 검출해야하는 번거로움과, 비행 중 고장이 발생한 후에야 사용자가 이를 발견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무인헬리콥터 가 고장이나 이상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하여 사고를 예측할 수 있도록 개선된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장검출을 위한 비행 전 사전점검의 번거로움과 비행중 고장의 발생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조종자의 입력에 따라 조종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의 조종입력신호에 따라, 헬리콥터의 조종면을 제어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의 움직임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장치와; 상기 입력장치의 조종입력 신호와 상기 변위 측정장치의 측정치를 비교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이상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이상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이상 발생을 경고하는 경고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변위 측정장치는, 직선형 변위 측정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선형 변위 측정장치는, 그 길이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로 상하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봉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변위 측정장치는,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 중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나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서보모터가 모형헬리콥터에 장착된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1의 변위 측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입력장치(110)와, 서보모터(120)와, 변위 측정장치(130)와, 제어부(140)와, 경고장치(15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장치(110)는 조종자의 입력에 따라 조종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서보모터(120)는 상기 입력장치(110)의 조종입력신호에 따라, 헬리콥터의 조종면(122)을 제어한다. 여기서 조종면(122)은 엔진스로틀과, 스 와시플레이트 및 테일피치이다.
또한, 상기 변위 측정장치(130)는 상기 서보모터(120)의 움직임의 변위를 측정한다. 상기 변위 측정장치는, 직선형 변위 측정장치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입력장치(110)의 조종입력 신호와 상기 변위 측정장치(130)의 측정치를 비교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이상 경보신호를 발생시킨다.
아울러 상기 경고장치(150)는 상기 제어부(140)의 이상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이상 발생을 경고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값과 실제 조종면의 입력값을 비교하여 무선조종헬리콥터나 무인헬리콥터가 고장이나 이상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하여 사고를 예측할 수 있고, 비행도중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큰 고장이 발생하기 전 신속하게 헬리콥터를 착륙시키거나 사람들을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켜 신속하게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서보모터(120)의 작동과 상기 변위 측정장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서보모터(120)는 그 일 측에 결합되고, 타측에 조종면(122)이 결합된 링크(12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보모터(120)가 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우측으로 회전을 하면 서보모터(120)에 결합된 링크(124)가 우측으로 상승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124)에 결합된 조종면(122)은 앞쪽이 상승되고, 상기 조종면(122)이 전체적으로 뒤쪽이 내려져 기운다.
또한, 상기 변위 측정장치가 직선형 변위 측정장치일 경우, 상기 변위 측정장치(130)는 헬리콥터의 동체(50)에 몸체(132)를 고정하고, 상기 몸체(132) 내부의 통공에 결합된 봉(13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종면(122)에 결합 된다. 상기 조종면(122)에 결합된 상기 봉(134)은 그 길이가 변동되면 전압이나 전류의 변화가 발생한다. 그리고 그 변화된 전압이나 전류의 값을 측정하여 변위 값을 구한다.
여기서, 상기 직선형 변위 측정장치는 내주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132)의 내부로 상하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봉(134)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종면(122)의 상대적 위치가 변형됨으로써 상기 봉(134)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몸체(132)의 안쪽 방향으로 눌러져 외부로 돌출된 봉(134)의 길이가 준다.
아울러 상기 변위 측정장치는,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변위 측정 장치가 로터리 엔코더(미도시)일 경우 상기 서보모터(120)에설치된다. 상기 로터리 엔코더는 그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원판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판의 상하에는 포토센서의 송수가 각각 위치하며, 상기 원판이 회전할 때 상기 통공이 막히고 뚫리는 것을 감지한다. 그래서 상기 로터리 엔코더 내부에서 펄스를 카운트해 변위 값을 측정한다. 서보모터(120) 조작 전기적 신호의 값과 출력단의 엔코저 출력 신호 값을 비교하여 서보모터(120)의 작동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기능이 제어부(140)에서 수행이 되며 서보모터(120)의 조작신호와 출력신호에 유사성이 없는 경우 고장으로 판별하고 경고장치(150)에 신호를 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무선조종헬리콥터나 무인헬리콥터가 고장이나 이상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하여 사고를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고장검출을 위한 비행 전 사전점검 없이 비행 수행중 오동작을 발견할 수 있다.
셋째, 비행도중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큰 고장이 발생하기 전 신속하게 헬리콥터를 착륙시키거나 사람들을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켜 신속하게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4)

  1. 조종자의 입력에 따라 조종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의 조종입력신호에 따라, 헬리콥터의 조종면을 제어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의 움직임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장치와;
    상기 입력장치의 조종입력 신호와 상기 변위 측정장치의 측정치를 비교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이상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이상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이상 발생을 경고하는 경고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측정장치는, 직선형 변위 측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변위 측정장치는,
    그 길이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로 상하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측정장치는,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050128059A 2005-12-22 2005-12-22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0697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059A KR100697886B1 (ko) 2005-12-22 2005-12-22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059A KR100697886B1 (ko) 2005-12-22 2005-12-22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7886B1 true KR100697886B1 (ko) 2007-03-23

Family

ID=41563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059A KR100697886B1 (ko) 2005-12-22 2005-12-22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8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150B1 (ko) 2012-12-27 2014-03-2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작동기 변위 측정 장치
CN104238502A (zh) * 2014-08-26 2014-12-24 中国直升机设计研究所 一种无人直升机智能监控的方法
KR20180020512A (ko) 2016-08-18 2018-02-28 드림스페이스월드주식회사 드론의 고장복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6143A (ja) 2000-04-21 2001-11-02 Yamaha Motor Co Ltd 無人ヘリコプタの飛行制御システム
JP2001306144A (ja) 2000-04-21 2001-11-02 Yamaha Motor Co Ltd 無人ヘリコプタの飛行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6143A (ja) 2000-04-21 2001-11-02 Yamaha Motor Co Ltd 無人ヘリコプタの飛行制御システム
JP2001306144A (ja) 2000-04-21 2001-11-02 Yamaha Motor Co Ltd 無人ヘリコプタの飛行制御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150B1 (ko) 2012-12-27 2014-03-2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작동기 변위 측정 장치
CN104238502A (zh) * 2014-08-26 2014-12-24 中国直升机设计研究所 一种无人直升机智能监控的方法
CN104238502B (zh) * 2014-08-26 2018-05-25 中国直升机设计研究所 一种无人直升机智能监控的方法
KR20180020512A (ko) 2016-08-18 2018-02-28 드림스페이스월드주식회사 드론의 고장복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00065A1 (en) Automatic recovery systems and methods for unmanned aircraft systems
CA3004547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distributed aircraft actuation system
CN109240073B (zh) 具有使用状态比较的冗余处理器的旋转飞行器
US20120290153A1 (en) Flight control system with alternate control path
KR101700746B1 (ko) 비행체 고장안전 장치 및 방법
US8755956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the jamming of an aircraft control surface
US20100258678A1 (en) Aircraft stall protection system
WO2002006116A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ctuators on a vehicle
CN105644800A (zh) 一种起飞警告系统
KR100697886B1 (ko) 무인 헬리콥터의 조종면 작동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US11392142B2 (en) Safe method and a safe system for controlling a position of an aircraft relative to the authorized flight envelope
CN110580050A (zh) 用于旋翼飞行器高度控制的系统和方法
EP330902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aircraft brake operation
EP3521175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thrust produced by a plurality of engines on an aircraft for assisting with certain flight conditions
WO2019078094A1 (ja) 墜落検知装置、飛行体の墜落を検知する方法、パラシュートまたはパラグライダーの展開装置、およびエアバッグ装置
KR20170037552A (ko) 회전익기 로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그러한 장치를 구비한 회전익기, 및 관련된 조절 방법
US4017045A (en) Flap compensation system for use when controlling the pitch attitude of an aircraft
US10322816B2 (en) Slat skew detection system and method
EP4021801B1 (en) Aircraft system
EP3388332B1 (en) Laser reflection aerodynamic control surface movement monitoring system
CN103693190B (zh) 防止对飞行器的方向舵脚蹬不恰当操作的警报方法和设备
EP37446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kew level
CN115092383A (zh) 用于飞行器的主飞控系统及其控制方法
WO2021078546A1 (en) Aircraft system
CN117533506A (zh) 控制方法、控制装置、电动飞行器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