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823B1 -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단자함 - Google Patents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823B1
KR100697823B1 KR1020060118438A KR20060118438A KR100697823B1 KR 100697823 B1 KR100697823 B1 KR 100697823B1 KR 1020060118438 A KR1020060118438 A KR 1020060118438A KR 20060118438 A KR20060118438 A KR 20060118438A KR 100697823 B1 KR100697823 B1 KR 100697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rotruding
terminal box
fram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상영
Original Assignee
(주)하림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림기술단 filed Critical (주)하림기술단
Priority to KR1020060118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간격조절이 가능한 전기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공동주택의 벽면내에 가로와 세로로 배근된 철근(1)이 형성하는 사각형의 공간내에 삽입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박스수용부(11)에 삽입결합되는 블럭수용박스(20)와, 상기 블럭수용박스(20)에 삽입되어 일정범위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연결블럭(30)과, 상기 연결블럭(30)의 상부에 볼트결합되는 링크부재(40)와, 상기 링크부재(40)에 일정각도의 요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내부캡(50)과, 상기 내부캡(50)과 함께 철근(1)을 감싸며 상호결합되는 외부캡(60)과, 상기 프레임(10)의 개방된 전면부에 결합되는 커버(70)를 포함하므로, 철근과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회동가능하고 신축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배근된 철근으로 형성된 전기단자함의 설치공간 크기가 다르더라도 일정범위에서 조절이 가능하여 설치공간의 크기 및 철근의 기울기가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전하게 고정장착시킬 수 있다.
공동주택, 전기단자함, 간격조절

Description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단자함{Electric terminal box being able to regulate extent for an apartment ho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단자함이 철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단자함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단자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단자함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단자함의 측단면도 및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일부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단자함과 철근이 연결되는 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일부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일부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단자함을 상하가 넓고 좌우가 좁게 배근된 철근내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단자함의 측단 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단자함의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G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일부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7의 E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철근 10:프레임
11:박스수용부 12:케이블인출구
13:플랜지수용부 14:측면부
20:블럭수용박스 21:수용부
22:플랜지 23:결속구
24:장공 25:단턱
26:연결핀 27:너트
30:연결블럭 31:결속홈
32:핀홀 33:스프링홀
34:스프링 35:돌출너트
40:링크부재 41:링크홈
42:돌출볼트 43:힌지핀
44:고정와셔 45:삽입홈
46:핀홀 50:내부캡
51:철근수용홈 52:링크
53:패킹부재 60:외부캡
61:철근수용홈 62:패킹부재
63:단턱 64:나사
70:커버 71:사각테두리
72:브래킷부 73:나사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간격조절이 가능한 전기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과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회동가능하고 신축가능하게 형성하여 배근된 철근으로 형성된 전기단자함의 설치공간 크기가 다르더라도 일정범위에서 조절이 가능한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의 벽체에 매립하는 전기단자함은 일반적으로 배근된 철근이 형성하는 공간에 고정시킨 다음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매립한다.
종래 전기단자함은 단자함의 좌우측에 수직으로 배근되는 철근이 수직을 이루지 못하고 기울어진 경우 단자함을 그대로 고정시키므로 기울어진 채로 고정되거나 장착이 불완전하게 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단자함의 위치가 변동되어 시공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636571호에 는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특허는 좌우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L형의 브래킷을 단자함의 좌측면과 우측면 상하부에 두 개씩 한조를 이루도록 용접하고, 단자함의 좌우양측에 거리를 두고 배근된 철근에 결합되는 반원홈을 갖는 철근고정블록의 전후면에 장공과 중심이 일치하는 축삽입구멍을 형성하며, 브래킷에 형성된 장공과 철근고정블록에 형성된 축삽입구멍으로 삽입되는 편심축의 양단에 편심캠을 설치하고, 철근고정블록에 형성된 축삽입구멍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나사구멍에 편심축을 가압하기 위한 세트스크류를 결합하며, 철근에 결합되는 반원홈을 갖는 철근고정커버를 철근을 사이에 두고 볼트에 의해 철근고정블록과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배근된 철근으로 형성된 공간들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고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철근의 위치도 정확하게 수평과 수직을 이루지 않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특허에 의하더라도 전기단자함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는 어렵다.
즉, 상기의 특허는 전기단자함을 수직으로 배근된 철근에만 고정시키고 있고, 편심축을 이용하여 적은 범위의 전후방향 조절만 가능하므로 각 공간마다 크기가 다르고 기울기가 다른 경우에 적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철근과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회동가능하고 신축가능하게 형성하여 배근된 철근으로 형성된 전기단자함의 설치공간 크기가 다르더라도 일정범위에서 조절이 가능하여 설치공간의 크기 및 철근의 기울기가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전하게 고정장착시킬 수 있는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측면부의 중앙에서 돌출형성되며 전면과 상부가 개방된 4개의 박스수용부와, 상기 박스수용부 양측의 측면부에 형성된 다수의 케이블인출구와, 상기 박스수용부 양측의 측면부 내측면에 형성된 플랜지수용부를 구비하여, 공동주택의 벽면내에 가로와 세로로 배근되는 철근이 형성하는 사각형의 공간내에 삽입되는 전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프레임;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와, 하부 양측에 수평연장된 플랜지와, 상기 수용부 내부의 전후 측벽에 형성된 다수의 결속구와, 상기 수용부의 좌우 측벽에 각각 형성된 장공과, 상기 양측 장공으로 삽입되는 연결핀을 구비하여, 상기 박스수용부에 삽입되는 4개의 블럭수용박스;
상기 결속구와 맞물리도록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결속홈과, 상기 연결핀이 관통되도록 횡방향으로 천공된 핀홀과, 하부면에 형성된 한쌍의 스프링홀과, 상기 스프링홀에 삽입되는 한쌍의 스프링과, 상부면에 돌출형성된 돌출너트를 구비하여, 상기 블럭수용박스의 수용부에 삽입되고 핀결합되는 육면체형상의 연결블럭;
좌우측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형의 링크홈과, 하부면에서 돌출형성된 돌출볼트와, 원기둥의 축방향으로 상부에 천공된 핀홀과, 상기 핀홀에 삽입되는 힌지핀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블럭의 돌출너트에 볼트결합되는 반원기둥 형상의 링크 부재;
상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통형의 철근수용홈과, 하부에 돌출형성된 한쌍의 링크와, 상기 철근수용홈의 내면에 부착된 패킹부재를 구비하여, 일정범위에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링크부재에 힌지결합되는 내부캡;
하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철근수용홈과, 상기 철근수용홈 내면에 부착된 패킹부재와, 상기 철근수용홈 하부의 양측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단턱을 구비하여, 상기 내부캡을 내부로 수용하여 상호결합되는 외부캡; 및
상기 프레임의 측면부와 일치하도록 형성된 사각테두리와, 상기 박스수용부와 일치하도록 상기 사각테두리의 각 면에서 돌출형성된 브래킷부를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 를 포함하는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단자함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단자함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단자함이 철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단자함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단자함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단자함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단자함의 측단면도 및 부분확대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일부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단자함은, 공동주택의 벽면내에 가로와 세로로 배근된 철근(1)이 형성하는 사각형의 공간내에 삽입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박스수용부(11)에 삽입결합되는 블럭수용박스(20)와, 상기 블럭수용박스(20)에 삽입되어 일정범위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연결블럭(30)과, 상기 연결블럭(30)의 상부에 볼트결합되는 링크부재(40)와, 상기 링크부재(40)에 일정각도의 요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내부캡(50)과, 상기 내부캡(50)과 함께 철근(1)을 감싸며 상호결합되는 외부캡(60)과, 상기 프레임(10)의 개방된 전면부에 결합되는 커버(7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전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부재로서, 각 측면부(14)의 중앙에는 상부가 개방된 4개의 박스수용부(11)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박스수용부(11)의 양 측면부(14)에는 다수의 케이블인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박스수용부(11) 양측의 측면부(14) 하부에는 각각 플랜지수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단자함과 철근이 연결되는 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일부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전기단자함과 철근이 연결되는 부분인 도 4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일부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7의 E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블럭수용박스(20)는 박스수용부(11)에 삽입되는 4개의 부재로서, 그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2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양측에는 한쌍의 플랜지(22)가 수평으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21) 내부의 전후 측벽에는 다수의 결속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22)는 프레임(10)의 플랜지수용부(13)에 수용되어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21)의 좌우 측벽에는 장공(24)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핀(26)이 양측 장공(24)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장공(24)의 내부에는 단턱(25)이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핀(26)이 삽입될 때 헤드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분의 반대쪽에는 볼트가 형성되어 있어서 너트(27)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블럭(30)은 상기 블럭수용박스(20)의 수용부(21)에 삽입되어 핀결합되는 육면체형상의 부재로서, 다수의 결속홈(31)이 돌출형성되어 있어서 연결블럭(30)이 블럭수용박스(20)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블럭수용박스(20)의 결속구(23)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블럭(30)에는 횡방향으로 천공된 핀홀(3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장공(24)과 함께 연결핀(26)이 관통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블럭(30)의 하부면에는 한쌍의 스프링홀(33)이 형성되어 있어서 스프링(34)이 각각 삽입되며, 상부면에는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너트(3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40)는 상기 연결블럭(30)의 돌출너트(35)에 볼트결합되는 반원기둥 형상의 부재로서, 좌우측에는 반원형의 링크홈(41)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에는 돌출볼트(42)가 하 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에는 핀홀(46)이 원기둥의 축방향으로 천공되어 있어서, 힌지핀(43)이 상기 핀홀(46)에 삽입결합된다. 상기 힌지핀(43)의 헤드부분 반대쪽의 단부에는 원주방향의 삽입홈(45)이 형성되어 있어서 핀홀(46)을 관통한 후 고정와셔(44)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내부캡(50)은 일정범위에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링크부재(40)에 힌지결합되는 부재로서, 상부에는 반원통형의 철근수용홈(51)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한쌍의 링크(5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핀(43)에 의해 핀홀(46)과 링크(52)가 관통되어 고정와셔(44)로 고정되므로, 상기 링크부재(40)는 링크홈(41)에 의해 유도되는 일정각도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철근수용홈(51)의 내면에는 고무 등의 완충재로 형성된 패킹부재(53)가 부착되어 있어서, 철근(1)과 밀착될 경우 완충작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캡(60)은 상기 내부캡(50)을 내부로 수용하여 상호결합되는 부재로서, 하부에는 철근수용홈(61)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철근수용홈(61) 내면에는 상기와 같이 철근(1)과 밀착될 경우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고무 등의 완충재로 형성된 패킹부재(6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철근수용홈(61)의 하부 양측에는 단턱(63)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내부캡(50)이 철근(1)의 일측을 감싸면서 상부캡(60)에 삽입될 때 양측 상단부가 상기 단턱(63)에 밀착된다. 상기 내부캡(50)과 외부캡(60)은 다수의 나 사(64)에 의해 상호결합된다.
그리고,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70)는 상기 프레임(10)의 개방된 전면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프레임(10)의 측면부(14)와 일치하는 사각테두리(7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각테두리(71)의 각 면 중앙에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브래킷부(72)를 구비하고 있어서, 다수의 나사(73)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에 고정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단자함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단자함을 상하가 넓고 좌우가 좁게 배근된 철근내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단자함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9의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단자함의 정단면도이고, 또한, 도 12는 도 11의 G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일부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단자함을 배근된 철근(1)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캡(60)과 내부캡(50)을 사방의 철근(1)에 각각 맞물린 후 나사(64)로 고정결합시키고, 상기 내부캡(50)의 링크(52)를 링크부재(40)의 링크홈(4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힌지핀(43)으로 핀홀(46)과 링크(52)를 관통시킨 후 고정와셔(44)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링크(52)와 링크부재(40)는 일정각도 내에서 전후로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링크부재(40)의 돌출볼트(42)를 연결블럭(30)의 돌출너트(35)에 나사결합한 다음, 연결블럭(30)의 스프링홀(33)에 스프링(34)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블럭(30)을 블럭수용박스(20)에 삽입시킨다. 이때, 결속구(23)는 결속홈(31)에 삽입되므로 연결블럭(30)은 블럭수용박스(20) 내에서 상하로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핀(26)을 장공(24)과 핀홀(32)을 통하여 삽입한 후 반대쪽에서 너트(27)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핀(26)의 헤드부분과 너트(27)는 장공(24) 내의 단턱(25)에 각각 수용된다. 상기 결합은 상하방향의 이동범위를 장공(24)의 길이내로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블럭(30)은 장공(24)의 범위에서 블럭수용박스(20) 내에서의 탄성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결합된 사방의 부재들을 프레임(10)의 박스수용부(11)에 삽입시키는데, 이 경우 플랜지(22)가 프레임(10)의 플랜지수용부(13)에 안착되도록 삽입한 후 상기 플랜지(22)와 플랜지수용부(13)를 상호 나사결합시키며, 이 경우 철근(1)과의 거리가 각각 다르더라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블럭(30)이 블럭수용박스(20) 내에서 일정범위의 탄성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철근(1)이 수직방향의 철근(1)보다 철근의 굵기만큼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사방의 결합부재들의 전후위치가 서로 다르더라도, 내부 및 외부캡(50,60)이 링크부재(40)의 힌지핀(43)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10)을 결합시키는데 문제가 없다.
마지막으로,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에 커버(70)를 배치시킨 다음 다수의 나 사(73)로 고정시키면 설치가 완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단자함에 의하면, 철근과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회동가능하고 신축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배근된 철근으로 형성된 전기단자함의 설치공간 크기가 다르더라도 일정범위에서 조절이 가능하여 설치공간의 크기 및 철근의 기울기가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전하게 고정장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각 측면부(14)의 중앙에서 돌출형성되며 전면과 상부가 개방된 4개의 박스수용부(11)와, 상기 박스수용부(11) 양측의 측면부(14)에 형성된 다수의 케이블인출구(12)와, 상기 박스수용부(11) 양측의 측면부(14) 내측면에 형성된 플랜지수용부(13)를 구비하여, 공동주택의 벽면내에 가로와 세로로 배근되는 철근(1)이 형성하는 사각형의 공간내에 삽입되는 전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프레임(10);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21)와, 하부 양측에 수평연장된 플랜지(22)와, 상기 수용부(21) 내부의 전후 측벽에 형성된 다수의 결속구(23)와, 상기 수용부(21)의 좌우 측벽에 각각 형성된 장공(24)과, 상기 양측 장공(24)으로 삽입되는 연결핀(26)을 구비하여, 상기 박스수용부(11)에 삽입되는 4개의 블럭수용박스(20);
    상기 결속구(23)와 맞물리도록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결속홈(31)과, 상기 연결핀(26)이 관통되도록 횡방향으로 천공된 핀홀(32)과, 하부면에 형성된 한쌍의 스프링홀(33)과, 상기 스프링홀(33)에 삽입되는 한쌍의 스프링(34)과, 상부면에 돌출형성된 돌출너트(35)를 구비하여, 상기 블럭수용박스(20)의 수용부(21)에 삽입되고 핀결합되는 육면체형상의 연결블럭(30);
    좌우측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형의 링크홈(41)과, 하부면에서 돌출형성된 돌출볼트(42)와, 원기둥의 축방향으로 상부에 천공된 핀홀(46)과, 상기 핀홀(46)에 삽입되는 힌지핀(43)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블럭(30)의 돌출너트(35)에 볼트결합되는 반원기둥 형상의 링크부재(40);
    상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통형의 철근수용홈(51)과, 하부에 돌출형성된 한쌍의 링크(52)와, 상기 철근수용홈(51)의 내면에 부착된 패킹부재(53)를 구비하여, 일정범위에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링크부재(40)에 힌지결합되는 내부캡(50);
    하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철근수용홈(61)과, 상기 철근수용홈(61) 내면에 부착된 패킹부재(62)와, 상기 철근수용홈(61) 하부의 양측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단턱(63)을 구비하여, 상기 내부캡(50)을 내부로 수용하여 상호결합되는 외부캡(60); 및
    상기 프레임(10)의 측면부(14)와 일치하도록 형성된 사각테두리(71)와, 상기 박스수용부(11)와 일치하도록 상기 사각테두리(71)의 각 면에서 돌출형성된 브래킷부(72)를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10)의 개방된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70); 을 포함하는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단자함.
KR1020060118438A 2006-11-28 2006-11-28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단자함 KR100697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438A KR100697823B1 (ko) 2006-11-28 2006-11-28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438A KR100697823B1 (ko) 2006-11-28 2006-11-28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7823B1 true KR100697823B1 (ko) 2007-03-20

Family

ID=41563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438A KR100697823B1 (ko) 2006-11-28 2006-11-28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82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21B1 (ko) 2007-09-19 2008-03-19 (주)하나기연 각도 및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KR100827604B1 (ko) * 2007-12-17 2008-05-07 석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건축물용 전기단자함 구조
KR100831196B1 (ko) 2007-12-12 2008-05-22 주식회사 21세기엔지니어링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101180922B1 (ko) 2012-07-26 2012-09-07 주식회사 수창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분전함 고정구
KR20200112383A (ko) * 2019-03-22 2020-10-05 주식회사 미성 매립박스 고정용 브래킷
KR102382922B1 (ko) * 2021-06-18 2022-04-08 조영진 전기공사의 콘센트박스 고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489B1 (ko) 2006-10-16 2007-01-25 (주)원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489B1 (ko) 2006-10-16 2007-01-25 (주)원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21B1 (ko) 2007-09-19 2008-03-19 (주)하나기연 각도 및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KR100831196B1 (ko) 2007-12-12 2008-05-22 주식회사 21세기엔지니어링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100827604B1 (ko) * 2007-12-17 2008-05-07 석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건축물용 전기단자함 구조
KR101180922B1 (ko) 2012-07-26 2012-09-07 주식회사 수창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분전함 고정구
KR20200112383A (ko) * 2019-03-22 2020-10-05 주식회사 미성 매립박스 고정용 브래킷
KR102163109B1 (ko) 2019-03-22 2020-10-07 주식회사 미성 매립박스 고정용 브래킷
KR102382922B1 (ko) * 2021-06-18 2022-04-08 조영진 전기공사의 콘센트박스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823B1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단자함
JP3655863B2 (ja) 保管庫、特に器具保管庫
KR101767628B1 (ko) 무게하중을 이용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US20200176962A1 (en) Watertight box and adapter
KR101708339B1 (ko) 내진부재를 구비한 내진형 수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mcc반, 분전반)
NO177689B (no) Beskyttelsesdeksel for strömskinner
KR101817623B1 (ko) 조립식 전기 컨트롤 박스
EP2312707B1 (de) Stromversorgungs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m Montieren einer Stromversorgungseinrichtung
KR100814721B1 (ko) 각도 및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CA2847271C (en) Swing out mount
KR100615855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1870912B1 (ko) 내진형 수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mcc반, 분전반)
KR101884646B1 (ko) 앵커 연결유닛을 구비한 조명레일 시스템
KR101660885B1 (ko) 공동주택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KR20180120956A (ko) 설치가 간편한 분전반
KR100892265B1 (ko) 전동차의 케이블 고정장치
KR100696233B1 (ko) 공동주택용 텐션 단자함 고정구
JP5751000B2 (ja) 配電盤
KR101472037B1 (ko) 회전관절 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JP4496832B2 (ja) 電気機器収納ボックス
KR20120067845A (ko)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
JP6035532B2 (ja) 車両用充電装置
KR101711400B1 (ko) 슬림화 단자부 커버를 구비한 릴레이 소켓
KR20110010708U (ko) 옥외 설치용 함체 및 그 옥외 설치용 함체에 사용된 함체 보호 커버
JP2022120873A (ja) 地上設置型変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