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180B1 -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180B1
KR100696180B1 KR1020060046473A KR20060046473A KR100696180B1 KR 100696180 B1 KR100696180 B1 KR 100696180B1 KR 1020060046473 A KR1020060046473 A KR 1020060046473A KR 20060046473 A KR20060046473 A KR 20060046473A KR 100696180 B1 KR100696180 B1 KR 100696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ndow
plate
sliding window
guar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순
Original Assignee
박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순 filed Critical 박영순
Priority to KR1020060046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54Portable devices, e.g. wedges; wedges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문용걸림장치는, 소정 크기의 박스형태로 구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이 창문유리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흡착수단과, 하우징의 일측면에 이격 배치되는 가아드판과 상기 가아드판과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가아드판을 통해 하우징 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흡착수단은, 하우징의 일측방에 배치된 유연재질의 흡착반과, 흡착반을 덮는 커버판과, 흡착반과 커버판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적인 반발력을 가하는 압축스프링과, 흡착반의 상단과 연결되어 커버판 및 하우징을 관통하는 나사봉과, 하우징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나사봉과 나사결합되는 조작너트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에 의하면, 흡착수단에 의해 설치되는 특성상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위치의 변경이 자유롭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창문의 개방정도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달리할 수 있는 등, 사용편의성이 높고, 동일한 규격으로 모든 종류의 미닫이창문에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활용성 및 생산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window locking unit}
도 1은 일반적인 미닫이창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3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의 구조 및 흡작상태를 나타낸 예시단면도이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의 부착상태 및 작동례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의 구성 및 작동례를 나타낸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내창 101: 창틀
12: 외창 121: 창틀
40: 하우징 41: 흡착반
42: 커버판 43: 나사봉
44: 조작너트 45: 압축스프링
46: 가아드판 47: 압축스프링
48: 흡습라이너 50: 경보음발생장치
52: 전원공급장치 54: 푸시스위치
본 발명은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닫이 창문의 개폐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창문은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내창(10)과 외창(12)이 서로 엇갈리게 평행이동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어 내창(10) 내지는 외창(12)이 서로 겹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작동된다. 미닫이창문에는 대게 크리센트(Crescent)라고 불리우는 회전식 잠금장치(20)가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회전식 잠금장치(20)는 내창(10)과 외창(12)의 창틀(101)(121)이 겹치는 부분에 구성되어 내창(10)과 외창(12)을 서로 결속/해제 하는 방식으로 잠금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식 잠금장치(20)에 의하면 해제상태에서는 미닫이창문의 내창(10)과 외창(12)이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내창(10) 내지는 외창(12)을 일측으로 밀어서 창문을 개방할 수 있으며, 결속상태에서는 내창(10)과 외창(12)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창문을 개방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이러한 회전식 잠금장치(20)에 의하면 미닫이창문의 잠금조작을 손쉽게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나, 잠금상태에서는 내창(10)과 외창(12)이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되기 때문에 창문을 통한 환기작용 등이 불가능하게 되며, 열림상태에서는 실외에서도 창문을 완전히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닫이창문을 일부만 개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걸림장치(30)가 안출되었는 바, 상기 걸림장치(30)는 외창(12)의 창틀(121) 하단에 고정되는 가이드편(32)과, 내창(10)의 창틀(101) 하단에 부착되는 지지브라켓(34)과, 상기 지지브라켓(3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편(32)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록킹아암(36)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편(32)은 두께가 얇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걸림슬롯(32a)이 형성된 패널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록킹아암(36)은 그 선단이 가이드편(32)의 걸림슬롯(32a)에 삽입/이탈가능토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에 의하면, 록킹아암(36)이 가이드편(32)의 걸림슬롯(32a)에 인입된 상태 즉, 걸림상태에서는, 내창(10) 및 외창(12)이 걸림슬롯(32a)의 길이 만큼만 움직이기 때문에 창문의 개방범위가 제한됨으로써 환기도 가능하고, 외부인이 창문을 완전히 열고 무단 침입하는 것도 막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는 구조적인 특성상 몇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에 대해 말하자면 다음과 같다.
우선, 종래 걸림장치(30)는 가이드편(32) 및 지지브라켓(34)이 창틀에만 고정되는 방식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설치위치의 제약이 심하고, 가이드편(32) 및 지지브라켓(34)을 나사결합 등의 방법으로 창틀에 고정하기 위해 창틀에 나사홀을 뚫어야 하는 등, 설치과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앞서말한 바와 같이 가이드편(32)에 형성된 걸림슬롯(32a)의 길이 만큼만 창문이 열리게 되는 특성상 창문의 자유개방범위가 한정되기 때문에 창문의 자유개방정도를 달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가이드편(32)은 그 두께가 외창(12)의 유리(122)와 내창(10)의 창틀(101) 사이 간격 즉, 외창(12)의 창틀(121) 두께의 약 반에 못미치는 정도로 한정되어야 하는데, 이는 가이드편(32)의 두께가 이보다 두꺼우면 외창(12)의 창틀(121)에 걸려서 창문이 개방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창틀의 두께가 창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가이드편(32)의 두께가 충분이 얇게 이루어지는 것이 다양한 창문에 대한 적용성면에서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편(32)은 창문의 개폐시 록킹아암(36)을 통해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견딜 수 있도록 일정치 이상의 구조적인 강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창문의 크기에 비해 지나치게 얇은 가이드편이 적용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구조적인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쉽게 파손됨으로써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종래의 걸림장치(30)는 가이드편(32)의 두께를 비롯한 여러 구조적인 조건이 설치될 창문의 크기와 창틀의 두께 등의 조건에 맞아야 하기 때문에 그 규격이 다양해져야하는 만큼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간단히 탈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미닫이창문의 크기에 상관없이 적용가능한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 하여 제공되는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는, 소정 크기의 박스형태로 구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창문유리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흡착수단과, 하우징의 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흡착수단은 하우징의 일측방에 배치된 유연재질의 흡착반과, 흡착반을 덮는 커버판과, 흡착반과 커버판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적인 반발력을 가하는 압축스프링과, 흡착반의 상단과 연결되어 커버판 및 하우징을 관통하는 나사봉과, 하우징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나사봉과 나사결합되는 조작너트로 이루어진다.
완충수단은, 하우징의 일측면에 이격 배치되는 가아드판과 상기 가아드판과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2부터 도 5b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는, 대략 육면체 박스형태로 이루어지는 하우징(40), 상기 하우징(40)을 창문유리에 부착하기 위한 흡착수단, 하우징(40)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수단은,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우징(40)의 일측방에 배치된 유연재질의 흡착반(41)과, 흡착반(41)을 덮는 커버판(42)과, 흡착반(41)의 상단과 연결되어 커버판(42) 및 하우징(40)을 관통하는 나사봉(43)과, 하우징(40)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나사봉(43)의 선단과 나사결합되는 조작너트(44)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흡착반(41)과 커버판(42)은 가장자리가 겹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흡착반(41)과 커버판(42) 사이에는 압축스프링(45)이 나사봉(43)에 끼워진 형태로 개재되어 있다.
완충수단은 하우징(40)의 일측면에 이격 배치되는 가아드판(46)과, 가아드판(46)과 하우징(40)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47) 등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는 흡착반(41)이 유리에 부 착된 상태에서 흡착반(41) 측으로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흡습라이너(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흡습라이너(48)는 소정폭을 갖는 긴 밴드형태로서, 스폰지내지는 부직포 등의 흡습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40)의 유리와 접하는 면의 테두리에 부착되어 흡착반(41)을 둘러싸는 배치구조로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는, 미닫이창문의 외창의 유리에 실내 측에서 부착되어 내창과 걸리게 됨으로써 내창과 외창의 개방범위를 제한하게 되는데, 그 작동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걸림장치는 앞서 말한바와 같이 흡착수단을 이용하여 미닫이창문의 외창의 유리에 부착되는데, 부착위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창문의 개방정도를 예측하여 선정하게 되며, 부착방향은 완충수단의 가아드판(46)이 내창측으로 향하도록 하게 된다.(도 4a 참조)
여기서, 상기 흡착수단에 의하면, 흡착반(41)을 유리에 밀착시킨 상태(도 3a 참조)에서 조작너트(44)를 조임방향으로 돌릴 경우, 나사봉(43)과 조작너트(44)의 나사결합구조에 의해 나사봉(43)이 끌려오면서 흡착반(41)을 하우징(40)측으로 당기게 되어 진공이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조작나사가 하우징(40)을 흡착반(41)측으로 압박하게 되어 커버판(42)이 하우징(40)에 의해 흡착반(41) 측으로 밀림으로써 커버판(42)의 가장자리가 흡착반(41)의 가장자리를 유리측에 대해 압박밀착하게 되어 견고한 흡착상태가 유지된다.(도 3b 참조)
반대로, 조작너트(44)를 풀림방향으로 돌리면, 조작너트(44)가 나사봉(43)의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흡착반(41)과 커버판(42) 사이에서 압축되 었던 압축스프링(45)이 탄성적으로 확장반발되면서 커버판(42)을 흡착반(41)으로부터 들어올림으로써 흡착반(41)에 대한 압박밀착상태가 해제되어 유리와 분리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창문의 개방작동시 내창(10)의 창틀(101)이 우선 가아드판(46)에 부딪히게 되고, 가아드판(46)을 통해 가해지는 충격이 압축스프링(47)의 탄성작동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걸림장치가 창문에서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도 4b 참조)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걸림장치가 외창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하우징(40)의 일측면에 부착된 흡습라이너(48)가 유리와 밀착되어 흡착반(41)을 둘러싸게 되는데, 이에 따르면, 실내외의 온도차이가 심한 동절기 등에 결로(結露)현상으로 인하여 창문의 유리에 맺힌 물방울이 흘러내리더라도 상기 흡습라이너(48)에 흡수됨으로써 흡착반(41)으로는 흘러들지 않기 때문에 물기에 의해 흡착반(41)의 밀착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걸림장치는, 흡착수단에 의해 자유로이 탈부착 가능한 특성상 그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창문의 개방정도를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게 되며, 동일한 규격으로 거의 모든 종류의 미닫이창문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는, 창문의 개방에 따른 과도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 이에 따른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경보수단은,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진 경보음발생장치(50)와, 상기 경보음발생장치(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의 전원공급장치(52)와, 상기 전원공급장치(52)로부터 경보음발생장치(5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연결함으로써 경보음 발생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하우징(40)의 일측면과 가아드판(46) 사이에 개재되어 가아드판(46)의 압박작동에 의해 온/오프되는 푸시스위치(54)로 구성된다.(도 5a, 5b 참조)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걸림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 침입자 등이 제한된 간격이상으로 억지로 창문을 열려고 하는 과정에서, 내창 창틀(101)을 통해 가아드판(46)에 큰 압력(가아드판과 하우징 사이에 개재된 탄성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정도)이 가해질경우, 가아드판(46)이 하우징(40) 측으로 움직여 푸시스위치(54)를 누르게 되면, 푸시스위치(54)가 온(on)상태가 됨으로써 전원공급장치(52)와 경보음발생장치(50)를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전원공급장치(52)로부터 경보음발생장치(50)로 전원이 인가되면 경보음발생장치(50)가 작동하여 경보음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외부인의 침입의도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는, 첫째, 흡착수단에 의해 설치되는 특성상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위치의 변경이 자유롭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창문의 개방정도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달리할 수 있는 등, 사용편의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완충수단을 통한 충격흡수작용 및 흡습라이너를 통한 흡습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동안성성이 높으며, 경보수단이 구비된 경우에는 외부침입자에 대한 경보작동도 가능하다는 이점도 있다.
셋째, 동일한 규격으로 모든 종류의 미닫이창문에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활용성 및 생산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소정 크기의 박스형태로 구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이 창문유리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흡착수단;
    하우징의 일측면에 이격 배치되는 가아드판과 상기 가아드판과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가아드판을 통해 하우징 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미닫이창문 외창의 실내측면에 부착되어 내창의 개방시 내창에 걸리어 창문의 개방정도를 제한할 수 있는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은
    하우징의 일측방에 배치된 유연재질의 흡착반과,
    흡착반을 덮는 커버판과,
    흡착반과 커버판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적인 반발력을 가하는 압축스프링과,
    흡착반의 상단과 연결되어 커버판 및 하우징을 관통하는 나사봉과,
    하우징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나사봉과 나사결합되는 조작너트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소정폭을 갖는 긴 밴드형태로서, 스폰지내지는 부직포 등의 흡습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유리와 접하는 면의 테두리에 부착되어, 실내외의 온도차 등으로 유리에 맺혀서 흘러내리는 물방울을 흡수함으로써 물방울이 흡착반에 묻어 그 흡착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습라이너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구비되는 경보음발생장치와,
    상기 경보음 발생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경보음 발생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연결함으로써 경보음 발생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하우징의 일측면과 가아드판 사이에 개재되어 가아드판의 압박작동에 의해 온/오프되는 푸시스위치로 구성되며;
    창문개방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가아드판이 압박되어 푸시스위치가 온(ON)될 경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경보음 발생장치로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경보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
KR1020060046473A 2006-05-24 2006-05-24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 KR100696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473A KR100696180B1 (ko) 2006-05-24 2006-05-24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473A KR100696180B1 (ko) 2006-05-24 2006-05-24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608U Division KR200415860Y1 (ko) 2006-02-20 2006-02-20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6180B1 true KR100696180B1 (ko) 2007-03-20

Family

ID=4156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473A KR100696180B1 (ko) 2006-05-24 2006-05-24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1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3091A (ja) * 1995-05-01 1996-11-19 Kaoru Ikeda 安全器具
KR20000004940A (ko) * 1996-03-22 2000-01-25 안자키 사토루 가스레이저 장치
KR20020089797A (ko) * 2001-05-24 2002-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소자 제조용 노광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3091A (ja) * 1995-05-01 1996-11-19 Kaoru Ikeda 安全器具
KR20000004940A (ko) * 1996-03-22 2000-01-25 안자키 사토루 가스레이저 장치
KR20020089797A (ko) * 2001-05-24 2002-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소자 제조용 노광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8303091
2002897970000
202000000494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9014Y1 (ko) 창문용 자동잠금장치
JP2010518293A (ja) 可動家具部の押出器
WO2009017048A1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696180B1 (ko)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
KR200415860Y1 (ko) 미닫이창문용 걸림장치
KR100717370B1 (ko) 공동주택의 회전형 창문
KR20080086599A (ko) 창문설치구조
TWI599710B (zh) Fan with the door and window frame structure
KR100718290B1 (ko) 자동방범기능을 갖춘 건축용 창구조
JP5371899B2 (ja) 蝶番付き扉ユニット
KR20100009897U (ko) 밀폐형 창문용 환기장치
KR100721979B1 (ko) 롤스크린 조립체
KR200473168Y1 (ko) 개폐형 커버를 갖는 수납박스
KR101310495B1 (ko) 창호용 호차
CA2677416A1 (en) Rubber while-in-use weatherproof cover
KR100720186B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EP2717003A1 (en) Door-closure structure for rotary type refrigerator door and side-by-side refrigerator having it
JP2018053440A (ja) ドア構造
KR102022411B1 (ko) 롤형 방충망의 양방향 잠금해제장치
KR20070113779A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CN212752845U (zh) 机柜
CN215705605U (zh) 一种汽车电动尾门的脚踢控制装置
CN204929486U (zh) 一种防水防尘型音视一体化警报控制器
CN210948753U (zh) 一种煤矿用通风安全监控设备
KR102139294B1 (ko) 자동 잠금 시간 설정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