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174B1 - 자석 놀이완구 - Google Patents

자석 놀이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174B1
KR100696174B1 KR1020060026897A KR20060026897A KR100696174B1 KR 100696174 B1 KR100696174 B1 KR 100696174B1 KR 1020060026897 A KR1020060026897 A KR 1020060026897A KR 20060026897 A KR20060026897 A KR 20060026897A KR 100696174 B1 KR100696174 B1 KR 100696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gnet
shape
connecting rod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휘
Original Assignee
이규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휘 filed Critical 이규휘
Priority to KR1020060026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elastic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groov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rotation, e.g. of bayon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 놀이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인 유아가 직접 제품을 조립하면서 형상에 제한이 없이 보다 다양한 조형물을 만들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헤드부에 자석수용홈(11)이 파여지고, 그 타측으로 연장된 관끼움부(12)의 중앙에 축구멍(13)이 뚫어지는 한쌍의 연결구(10)와;
이 연결구(10)의 자석수용홈(11)에 억지 끼워맞춰 조립되는 영구자석(20)과;
상기 연결구(10)의 축구멍(13)에 억지 끼워 맞춰 조립되는 연결봉(30)이 구비되어 달성된다.
자석놀이, 영구자석, 스틱부재, 연결봉, 관연결부재, 볼, 입체도형

Description

자석 놀이완구{A Magnetic Toy}
도 1은 종래 자석 놀이완구의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자석 놀이완구의 일부 절결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도.
도 4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관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자석 놀이완구를 보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연결봉 형상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관연결부재 형상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조립되는 도형의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구 12 - 관끼움부
20 - 영구자석 30 - 연결봉
40 - 관연결부재 50 - 볼
본 발명은 자석 놀이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인 유아가 직접 제품을 조립하면서 형상에 제한이 없이 보다 다양한 조형물을 만들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종래 알려진 놀이 완구로는 어린이들의 창의성 향상 많은 도움을 주며, 단기간이 아닌 장기간에 걸쳐 갖고 놀기에 적합함으로써 전세계 각국에서 오래도록 널리 판매되고 있는 대표적인 완구로는 레고를 들 수 있다.
레고완구는 다양한 형상의 부품들을 어린이 각자의 취향과 생각에 따라 조립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상상력과 창의력 향상에 매우 도움이 되고 있는 완구로, 나이에 따라 각 부품들의 크기를 달리하면서도 서로 다른 크기의 부품 사이에서도 일정한 비율로 그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크기가 다른 부품들을 함께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유아부터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까지 함께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완구이다.
그러나, 상기 레고는 그 특성상 특정 형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 형상에 맞는 특정 모양의 부품이 반드시 필요한 제약이 따르게 되고, 각 부품들은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기본으로 하는 3차원적인 형상으로서, 테마별 여러 종류의 레고를 갖게 되면 부품들의 부피가 커져 보관에 어려움이 있으며, 모아져 있는 많은 레고 부품들 중에서 특정 부품을 찾기 위한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특정 형상을 조 립하기 위한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레고완구의 단점을 해결하고, 특정 테마와 관련된 정형적인 기본 조형물 형상이 없기 때문에 조형물을 만들때 선입관에 좌우되지 않으면서 기하학적인 창의성을 배양하는데 유익한 자석 놀이 완구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상기 자석 놀이 완구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봉형상으로 된 합성수지재 봉(1)의 양 선단면에 영구자석(2)이 결합된 스틱부재(3)와, 금속재의 구(球)형상으로 된 볼(4)들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볼(4)을 매개로 하여 상기 다수의 자석 스틱부재(3)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모형이나 구조물을 조립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석 스틱 구조에 의하면, 도 1에서와 같이 그 연결 구조가 삼각형 구조로만 연결될 수 밖에 없는 것이 큰 문제점이다.
즉, 1차원 점의 역할을 하는 볼(4)을 꼭지점으로 2차원 선의 역할을 하는 자석 스틱부재(3)를 연결할 때 3각 구조는 나름대로 안정된 연결구조를 갖게 되나, 4개의 스틱부재(3)들과 4개의 볼(4)을 이용해 4각 도형을 연결할 때는 스틱부재(3)의 양단에 위치된 자석(2)이 금속의 볼(4)과 자착되어 있기는 하나, 볼(4)과 유동없이 고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볼(4)의 표면을 따라 자석(2)이 미끄러지게 된다.
따라서, 테이블 등의 바닥 위에 놓여진 상태로 4각 도형을 이루는 경우는 형태 어긋남이 발생되지 않고 정상적인 4각 형태를 유지하지만, 정육면체와 같이 입 체 구조물을 이루기 위해 4각형을 만들 경우 자중과 약간의 진동에 의해서도 볼(4)의 표면에서 자석(2)이 미끄러지는 영향으로 사각 입체도형을 만들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3각 구조물 만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모형에만 적합하다.
또, 원형과 같이 만곡된 형상을 만들 수 없거나, 만든다고 하여도 직선형 자석 스틱과 금속구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곡률이 커져 전체적인 형태가 과도하게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자석스틱의 형상 및 길이 등을 자유롭게 변형할 수 없어 보다 다양한 형상을 제작하는데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한편, 종래 상기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된 스틱부재(3)의 양단에 자석(2)이 매립된 구조로 생산되는 경우,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인서트 방식으로 일일이 작업자가 금형의 정확한 위치에 영구자석을 셋팅해야 하는 공정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생산성이 지극히 저하되어 대량생산이 불가능하다.
이는, 생산성 저하로 인한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어 이용자로 하여금 과도한 경제적 부담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영구자석이 봉형상의 합성수지재 스틱부재에 아예 일체로 매립된 상태로 유아들에가 전달되므로 이용자인 유아는 주어진 스틱부재의 일률적인 형상을 벗어나 자유로운 창의력을 발휘하여 다양한 구조물 생산에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쉽게 싫증을 느끼게 하고 창의력 발달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 4각형 및 5각, 6각형 등 다양한 입체도형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자석 놀이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어 제작자는 물론 그 이용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도록 한 자석 놀이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용자가 자석과 연결봉 등을 도형에 알맞은 길이와 형상으로 직접 조립하며 연결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기하학적 도형을 만들 수 있는 자석 놀이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헤드부에 자석수용홈(11)이 파여지는 연결구(10)와;
이 연결구(10)의 자석수용홈(11)에 끼워지는 영구자석(20)과;
상기 연결구(1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들을 연결하는 관연결부재(40)를 더 구비하여 상기 연결구(10)에는 외경이 관연결부재(40)의 내경과 대응하는 크기로 관끼움부(12)를 성형하고, 그 중앙에 상기 연결봉(30)이 억지 끼워맞춰지는 내경 크기로 축구멍(13)이 뚫어지며,
상기 영구자석(20)은 자석수용홈(11)에 억지끼움 맞춰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합성수지재의 연결구(10)와 영구자석(20) 및 연결봉(30)을 각각 별도 공정에서 치수에 맞춰 대량 생산할 수 있으므로 생산원가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크기와 형상에 맞도록 연결봉(30)과 연결구(10)를 끼워가며 도형을 조립할 수 있어 다양한 조형물을 만들 수 있고,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거리를 두고 세워지는 연결봉(30)들 사이를 영구자석(20)이 조립된 연결구(10)와 연결봉(30)을 이용해 횡으로 지지하며 예로서 입체 4각 도형도 쓰러짐 없이 조립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석 놀이완구의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스틱부재(3)의 일부절결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연결봉을 대신하여 관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자석 놀이완구를 보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연결봉 형상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관연결부재 형상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조립되는 도형을 실시예로 보이고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쌍의 연결구(10)에는 각각 영구자석(20)을 강제로 억지 끼워 맞춤 상태에서 봉형상의 연결봉(30) 및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연결부재(40)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연결하며 원하는 기하학적 입체도형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10)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헤드부에 자석수용홈(11)이 파여진다.
그리고, 헤드부의 타측으로는 헤드부 보다 가는 직경의 관끼움부(12)가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그 중앙으로는 축구멍(13)이 뚫어지게 된다.
축구멍(13)은 연결봉(30)이 억지 끼워맞춤 될 수 있는 치수로 뚫어지며, 자석수용홈(11)과 관통되게 뚫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이 연결구(10)의 자석수용홈(11)에는 영구자석(20)을 사용자가 망치나 간단한 수공구를 이용해 가볍게 타격하는 것에 의해 억지 끼워맞춰 조립된다.
상기 연결구(10)는 가는 봉 형상으로 축구멍(13)에 억지 끼워 맞춰지는 직경으로 생산되는데, 그 길이는 정사각형의 도형을 위해 대부분 일정한 길이로 생산되나, 다양한 형상 변형을 위해 길이가 상이한 것을 한조로 제공하게 된다.
또,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연결봉(30)을 '??'형상 및 '∩' 형, '〈' 형상 등 보다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된 것을 제공하여 이용자가 다양한 모양으로 입체도형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 연결봉(30)과는 별도로 관연결부재(40)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관연결부재(40)는 속이 빈 관형상으로 그 내경이 상기 연결구(10)의 관끼움부(12)에 대응되는 치수로 제작된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한 쌍의 연결구(10)를 양측에 두고 관끼움부(12)에 관연결부재(40)를 끼우는 것에 의해 양단에 영구자석(20)이 매립된 스틱부재를 사 용자가 즉석에서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 8에서와 같이 이 관연결부재(40)의 중간에 접힘이 가능한 자바라부(41)를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 자바라부(41)는 사용자가 약간의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절곡이 가능하고, 그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각도와 형상으로 스틱부재를 변형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이 관연결부재(40)는 각각의 다양한 길이로 그 중간부분에 자바라부(41)가 있는 경우와, 없는 부품들을 별도 제작하여 판매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관연결부재(40)를 음료 섭취시에 흔히 사용되는 스트롱(일명 빨대)을 이용해 사용자가 원가 부담 없이 재활용 개념으로 놀이 완구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 하다.
통상적으로 유통되는 스트롱(일명 빨대)의 치수는 대부분 일정하므로, 이 관연결부재(40)의 외경을 스트롱 내경에 대응하는 치수로 설계, 제작하는 것에 의해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스트롱에도 절첩이 자유롭게 하기 위해 자바라부(41)가 형성된 제품과, 이 자바라부(41)가 없는 제품이 각각 유통되나,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아주 저렴하게 구입하거나 재활용하여 놀이 완구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봉(30)은, 영구자석(20)에 의해 자착이 가능한 재질로 생산하여 제공하게 되나, 그 연결봉(30)의 직경을 통상적으로 유통되는 이쑤시게와 유 사한 크기로 설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따라서, 영구자석(20)의 자착이 불필요하면서도 나무 질감이 필요한 부분에서는 이쑤시게를 활용하여 그 양측에 연결구(10)를 각각 끼워 다수의 볼(50)들을 매개체로 다양한 입체 도형을 연결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0은 예로서 제작되는 입체 도형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영구자석(20)과 연결봉(30)이 연결부재(40)에 각각 끼워진 상태의 스틱부재를 사각도형으로 세우고, 그 꼭지점 위치마다 볼(50)들을 위치시켜 영구자석(20)들과 자착되어 연결시키게 된다.
그리고, 철금속으로 된 연결봉(30)에 횡으로 또 다른 스틱부재를 위치시켜 양측에 세워진 연결봉(30)들에 영구자석(20)이 자착되어 4각 형태를 이루게 하는 지지대 역할을 갖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틱부재 중간으로 또 다른 스틱부재를 지지대로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형태 변형없이 다양한 입체 도형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유아들로 하여금 건축물의 보강지지대 개념 등도 이해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와 같이 두개의 연결구(10)를 나란히 거리를 두고 세운 상태에서 그 사이를 횡바(16)로 일체로 연결시킨 부품을 제공하면 보다 다양하면서도 견고한 입체 도형을 완성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연결구(10)들이 횡바(16)에 의해 일체로 거리를 두고 고정되어 있고 이 부품을 쌍으로 타측에 위치한 상태로 그 사이를 연결봉(30) 또는 관연결부 재(40)로 끼워 조립할 경우, 견고한 사각형태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별도로 연결봉(30) 사이를 가로 질러서 지지대 역할을 하는 스틱부재의 설치 없이도 견고한 4각 형태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의 연결구(10)와 영구자석(20) 및 연결봉(30)을 각각 별도 공정에서 치수에 맞춰 대량 생산할 수 있으므로 생산원가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크기와 형상에 맞도록 연결봉(30)과 연결구(10) 및 관연결부재(40)를 끼워가며 도형을 조립할 수 있어 다양한 조형물을 만들 수 있고,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관연결부재(40)는 음료수 섭취용으로 무료 제공되는 부품을 재활용하여 완구 조립에 사용될 수 있다.
또, 거리를 두고 세워지는 연결봉(30)들 사이를 영구자석(20)이 조립된 연결구(10)와 연결봉(30)을 이용해 횡으로 지지하며 예로서 입체 4각 도형도 쓰러짐 없이 조립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유아들로 하여금 건축물 보강 지지원리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헤드부에 자석수용홈(11)이 파여지는 연결구(10)와;
    이 연결구(10)의 자석수용홈(11)에 끼워지는 영구자석(20)과;
    상기 연결구(1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들을 연결하는 관연결부재(40)를 더 구비하여 상기 연결구(10)에는 외경이 관연결부재(40)의 내경과 대응하는 크기로 관끼움부(12)를 성형하고,
    그 중앙에 상기 연결봉(30)이 억지 끼워맞춰지는 내경 크기로 축구멍(13)이 뚫어지며,
    상기 영구자석(20)은 자석수용홈(11)에 억지끼움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놀이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부재(40)에는 자바라부(4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놀이완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가 연결구(10)는 두 개가 거리를 두고 횡바(16)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놀이완구.
KR1020060026897A 2006-03-24 2006-03-24 자석 놀이완구 KR100696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897A KR100696174B1 (ko) 2006-03-24 2006-03-24 자석 놀이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897A KR100696174B1 (ko) 2006-03-24 2006-03-24 자석 놀이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6174B1 true KR100696174B1 (ko) 2007-03-20

Family

ID=41563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897A KR100696174B1 (ko) 2006-03-24 2006-03-24 자석 놀이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1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635B1 (ko) * 2012-08-30 2014-12-22 김연태 빨대를 이용한 조립 완구
CN112460107A (zh) * 2021-01-18 2021-03-09 闫新 磁吸式连接组件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26897 - 677177
한국 등록실용 20-0325669호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635B1 (ko) * 2012-08-30 2014-12-22 김연태 빨대를 이용한 조립 완구
CN112460107A (zh) * 2021-01-18 2021-03-09 闫新 磁吸式连接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2414B1 (en) Universal blocks
KR101079505B1 (ko) 유아용 블록완구
JP2009125169A (ja) 組み付け玩具
US9457288B2 (en) Magnetic block toy
US5928052A (en) Cube toy blocks
KR101471335B1 (ko) 자석블록 완구
KR100696174B1 (ko) 자석 놀이완구
KR101506114B1 (ko) 조립식 관절완구
KR101312367B1 (ko) 자석퍼즐
KR200399428Y1 (ko) 1면 다극 자석이 결합된 자석 완구
KR20130057531A (ko) 유아용 변형완구
KR200384320Y1 (ko) 자석놀이완구의 관절 연결 구조
CN203710699U (zh) 一种可三维拼接的积木
KR200399450Y1 (ko) 자석블록완구용 스틱 및 그를 구비한 자석블록완구
CN202036792U (zh) 一种形状可变的组合式摇铃
KR101927033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WO2021141504A1 (en) A multi-dimensional building block toy
KR101255484B1 (ko) 유아용 블록완구
CN210205891U (zh) 磁吸积木
CN205460920U (zh) 磁力拼接玩具棒
KR20140141989A (ko) 조립식 블록 세트
WO2006057471A1 (en) Magnetic toy capable of changing length and shape thereof
KR200479878Y1 (ko) 블록 지지대를 갖는 블록완구
KR20190001186A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200422014Y1 (ko) 자석놀이 완구용 베이스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