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104B1 - 시소형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시소형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104B1
KR100696104B1 KR1020000020813A KR20000020813A KR100696104B1 KR 100696104 B1 KR100696104 B1 KR 100696104B1 KR 1020000020813 A KR1020000020813 A KR 1020000020813A KR 20000020813 A KR20000020813 A KR 20000020813A KR 100696104 B1 KR100696104 B1 KR 100696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saw
pressing plate
switch device
plate
typ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7059A (ko
Inventor
김공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0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104B1/ko
Publication of KR20010097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wood or with an outer layer of wood
    • E04F13/10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wood or with an outer layer of wood with an outer layer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tiled surfac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umbler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누름스위치와; 상기 지지부의 판면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으로부터 상기 각 누름스위치를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작용돌기와, 상기 각 작용돌기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며 상기 누름판으로부터 상기 지지부를 향해 연장된 시소다리를 갖는 시소노브를 구비한 시소형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소다리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체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내구적 기능을 유지하여 누름판의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점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도 시소 스위칭 동작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시소형 스위치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시소형 스위치장치{SEESAW SWITCH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소형 스위치장치가 마련된 도 1의 컨트롤패널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투시한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3의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4에 대응하는 종래의 컨트롤패널 조립체 영역의 부분확대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에 대응하는 종래의 시소노브가 패널PCB상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케이싱 3 : 도어
10 : 컨트롤패널 조립체 20 : 패널하우징
25 : 관통공 29 : 위치고정돌기
40 : 지지부 44a,44b,44c : 택트스위치
60 : 시소노브 61a,61b : 누름판
69 : 시소다리 70 : 더미다리
71 : 탄성체 74a,74b : 작용돌기
본 발명은, 시소형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적 기능을 유지하여 누름판의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시소형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소형 스위치장치란, 소정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상하방향 혹은 좌우방향을 가압하는 동작을 통해 소정의 신호 및 전기적 동작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을 일컫는다. 이러한 시소형 스위치장치는 주로 전자렌지를 포함한 냉장고, 텔레비젼 및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들에 흔히 이용될 수 있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다양한 전자제품들 중,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전자렌지의 컨트롤패널 조립체 내에 마련된 시소형 스위치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4에 대응하는 종래의 컨트롤패널 조립체 영역의 부분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대응하는 종래의 시소노브가 패널PCB상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컨트롤패널 조립체(110)는, 시소노브가 설치되는 소정의 관통공(125)이 형성된 패널하우징(120)과, 패널하우징(120)의 후방에 결합되며 관통공(125)에 대응되는 위치의 판면에 소정의 이격 간격을 두고 한 쌍의 택트스위치(144a,144b)가 마련된 패널PCB(140)와, 관통공(125)에 결합되어 패널PCB(140)로 소정의 신호를 전달하는 시소노브를 갖는다.
이러한 시소노브는, 패널하우징(120)의 배후에서 관통공(125)으로 삽입되어 패널하우징(12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누름판(161a,161b)와, 누름판(161a,161b)의 중심축선(C/L)을 따라 배면으로부터 패널PCB(140)를 향해 돌출되어 누름판(161a,161b)을 패널PCB(140)에 요동지지하는 한 쌍의 시소다리(169)와, 누름판(161a,161b)의 배면으로부터 각 택트스위치(144a,144b)에 대응되는 위치로 돌출되어 누름판(161a,161b)의 선택적 가압에 의해 각 택트스위치(144a,144b)를 가압하는 한 쌍의 작용돌기(174a,174b)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중심축선(C/L)을 기준으로 상측의 누름판(161a)을 가압했을 경우, 한 쌍의 시소다리(169)에 의해 상측의 누름판(161a)에 해당하는 상측의 작용돌기(174a)는 상측 택트스위치(144a)의 감지부(미도시)를 가압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신호는 패널PCB(140)상에서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측의 누름판(161b)을 가압했을 경우, 요동지지축이 되는 한 쌍의 시소다리(169)로 인해 하측의 작용돌기(174b)는 하측 택트스위치(144b)의 감지부(미도시)를 가압함으로써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시소형 스위치장치에 있어서는, 패널PCB와 작용돌기들은 모두가 강성을 가지므로 장기간에 걸친 시소노브의 누적된 작동에 의해 접촉응력에 의한 피로현상이 발생됨으로써, 패널PCB는 파손 및 변형의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긴 막대상의 작용돌기에는 좌굴이 발생되는 등, 내구성이 비교적 낮게 된다. 이처럼, 작용돌기가 좌굴되거나 패널PCB의 변형이 일어나게 되면 누름판의 한 번 작동시 한 쌍의 택트스위치를 모두 작동시키는 동시동작의 오동작을 유발시켜 소정의 전기적 동작을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품제작의 오차 혹은 조립공차 등으로 인해, 택트스위치의 감지부와 작용돌기의 사이의 길이가 소정의 기준길이 보다도 가깝거나 멀어졌을 경우, 오동작을 일으키는 빈도가 늘게 된다. 더욱이, 종래의 스위치장치에 있어서는, 이러한 스위칭의 오동작 현상이 한 쌍의 작용돌기 사이의 거리가 짧을 경우 더더욱 빈번하게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적 기능을 유지하여 누름판의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시소형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점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도 시소 스위칭 동작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시소형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판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누름스위치와; 상기 지지부의 판면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으로부터 상기 각 누름스위치를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작용돌기와, 상기 각 작용돌기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며 상기 누름판으로부터 상기 지지부를 향해 연장된 시소다리를 갖는 시소노브를 구비한 시소형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소다리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체가 개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형 스위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시소다리가 삽입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삽입홀을 갖는 탄성캡인 것이 제조비용 및 조립공정을 고려할 때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시소다리는 상기 누름판의 시소요동 중심축선을 따라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각 시소다리 사이에 개재되는 더미다리와, 상기 더미다리에 결합되는 탄성캡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시소노브의 시소요동 작용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캡이 결합된 상기 더미다리의 전체길이는 상기 각 시소다리의 길이보다 비교적 길게 형성되는 것이 시소노브의 요동작용을 더욱 원활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캡은 고무인 것이 제조비용을 고려할 때 매우 유리하나 다른 재질로도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지지부의 판면에 고정결합되는 예를 들어, 판스프링과 같은 여타의 수단으로도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소형 스위치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전자렌지의 컨트롤패널 조립체(1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컨트롤패널 조립체(10)의 자세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시소형 스위치장치에 대한 구성 및 작용, 효과를 대체한다. 이 때, 판상의 지지부(40)는 다른 것들로도 충분히 대체가능하나 이하에서는 패널PCB(40)로 대체되어 있고, 누름스위치(44a,44b,44c)는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펄스신호를 송출하도록 이루어진 택트스위치(44a,44b,44c)(Tact Switch)로 대체되어 있으며, 탄성체(71)는 원기둥형상의 탄성캡(71)으로 대체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는, 중간격벽에 의해 음식물을 수용하는 조리실(4)과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는 부품실(6)로 구획된 본체(미도시)와,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역"∪"자 형상의 외부케이싱(1)을 갖는다.
조리실(4)의 전방에는, 조리되는 음식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소정의 투시창(5)이 개재되어 있는 도어(3)가 조리실(4)의 일측 연부면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부품실(6)의 전방에는, 마그네트론 등을 포함한 다수의 부품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직접 전자렌지의 기능을 조작하는 컨트롤패널 조립체(10)가 마련되어 있다.
컨트롤패널 조립체(10)는, 도 2 내지 도 4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판면에 후술할 시소노브(60)가 설치되도록 소정의 관통공(25)이 형성된 패널하우징(21)과, 패널하우징(21)의 후방에 결합되는 패널PCB(40)와, 패널하우징(21)의 관통공(25)에 결합되어 패널PCB(40)로 소정의 신호를 전달하는 시소노브(60)를 갖는다.
패널하우징(21)의 판면에는, 상부측에 조리물의 종류에 따른 시간설정 등이 화면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어 있고, 디스플레이부의 하측에 외부조 작가능한 다수의 조작버튼(23)(Control Button)이 마련되어 있으며, 하부측에 전술한 소정의 관통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패널하우징(21)은, 판면의 둘레단부로부터 각기 부품실(6)측을 향해 절곡된 스커트부(30)를 가지며, 각 스커트부(30)에는 다수의 후크돌기(31)들이 형성되어 전자렌지 본체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패널하우징(21)의 배면에는, 자세히 후술할 패널PCB(4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후판면으로부터 가로로 돌출된 다수의 고정보스(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널하우징(21)의 배면 중, 관통공(25) 영역의 둘레연부면(26)은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시소노브(60)의 플랜지부(67)를 접촉지지하게 되는데, 후술할 누름판(61a,61b)이 소정의 중심축선(C/L)을 기준으로 시소 조작가능하도록 누름판(61a,61b)의 중심축선(C/L)에 대응되는 위치, 즉, 패널하우징(21)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둘레연부면(26)의 양 단에는 한 쌍의 이격돌기(28)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25)의 후방 둘레연부면(26)에는 후술할 플랜지부(67)의 위치고정홀(68)에 삽입됨으로써 시소노브(60)가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돌기(29)가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하고 있는 패널하우징(21)의 외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시소형 스위치장치가 마련된 리모콘 타입의 전자렌지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패널PCB(40)는, 저항 및 콘덴서 등의 칩들이 결합되는 판면과, 각 칩들의 리드가 납땜되는 판면으로 대분될 수 있는데, 보통 리드가 납땜되는 판면에는 동박코팅을 하게 되며, 푸른색 계통의 색상을 띠게 된다. 이러한 패널PCB(40)는 코팅된 면이 패널하우징(21)의 배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코팅된 면을 동박코팅면(41)이라 하고 그 이면을 후배면(42)이라 명명한다.
패널PCB(40)의 판면에는 패널하우징(21)의 배면에 형성된 고정보스(33)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나사공(43)과, 각 조작버튼(23)의 조작신호를 감지하는 다수의 택트스위치(44a,44b,44c)(Tact Switch)가 마련되어 있다. 각 택트스위치(44a,44b,44c)는,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펄스신호를 송출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사각박스 형상의 본체부(45a,45b)는 후배면(42)에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가압되는 감지부(46a,46b)는 동박코팅면(41)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관통공(25)에 대응되는 위치의 패널PCB(40) 판면에도 역시, 소정의 이격 간격을 두고 한 쌍의 택트스위치(44a,44b)가 마련되어 시소노브(60)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한 쌍의 택트스위치(44a,44b) 사이에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47)가 마련되어 시소노브(60)의 동작에 의해 발광되면서 후술할 누름판(61a)의 발광창(64)으로 소정의 빛을 발산시키게 된다.
한편, 패널하우징(21)과 패널PCB(40) 사이, 좀 더 구체적으로 패널하우징(21)의 관통공(25)에는 시소노브(60)가 개재되어 한 쌍의 택트스위치(44a,44b)를 작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시소노브(60)란, 일반적인 시소와 같은 원리로 소정의 중심축선(C/L)을 기준으로 상하방향 혹은 좌우방향으로의 스위치 동작을 가능케 하는 것을 일컫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축선(C/L)이 수평축선으로 되어 있으므로 시소노브(60)는 상하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시소노브(60)는, 패널하우징(21)의 배후에서 관통공(25)으로 삽입되어 적어 도 일부분이 관통공(25)을 통해 패널하우징(21)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누름판(61a,61b)과, 누름판(61a,61b)의 중심축선(C/L)을 따라 배면으로부터 패널PCB(40)를 향해 돌출되어 누름판(61a,61b)을 패널PCB(40)에 요동지지하는 한 쌍의 시소다리(69)와, 소정의 탄성캡(71)이 결합되어 각 시소다리(69) 사이의 중앙영역에 개재되어 패널PCB(40)의 동박코팅면(41)에 접촉유지되며 누름판(61a,61b)의 시소회동 중심점을 형성하는 더미다리(70)와, 누름판(61a,61b)의 배면으로부터 각 택트스위치(44a,44b)에 대응되는 위치로 돌출되어 누름판(61a,61b)의 선택적 가압조작에 의해 각 택트스위치(44a,44b)를 가압하는 한 쌍의 작용돌기(74a,74b)를 갖는다.
누름판(61a,61b)은, 중심축선(C/L)을 기준으로 상하 영역 모두를 패널PCB(40)를 향해 가압할 수 있는 원형상을 이루며, 중심축선(C/L)을 기준으로 상측에는, 판면에 소정의 발광창(64)이 마련되어 있다. 이 발광창(64)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PCB(40)의 발광다이오드(47)로부터의 빛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발광다이오드(47)로부터의 빛을 발광창(64)으로 안내하기 위해 발광창(64)의 배면, 즉, 누름판(61a)의 배면에는 발광창(64)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발광다이오드(47)에 인접하게 돌출된 중공의 안내보스(65)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누름판(61a,61b)의 후방 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패널하우징(21)의 배면, 즉, 관통공(25)의 둘레연부면(26)에 접촉유지됨으로써 누름판(61a,61b)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부(6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67)에는, 전술한 위치고정돌기(29)가 삽입유지되는 소정의 위치 고정홀(68)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시소다리(69)는, 누름판(61a,61b)이 좌우방향으로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누름판(61a,61b)의 중심축선(C/L)을 따라 플랜지부(67)에 양 단에 형성되어 패널PCB(40)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데, 그 길이는 시소노브(60)가 설치되었을 경우, 패널PCB(40)의 동박코팅면(41)에 접촉되지 않는 범위 내로 제한된다.
작용돌기(74a,74b) 역시, 누름판(61a,61b)의 중심축선(C/L)에 대해 가로방향을 따라 플랜지부(67)에 양 단에 형성되어 패널PCB(40)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데 각 작용돌기(74a,74b)의 말단은 한 쌍의 택트스위치(44a,44b)의 감지부(46a,46b)에 각각 대응배치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택트스위치(44a,44b)의 감지부(46a,46b)는 패널PCB(40)의 크기를 고려할 때, 비교적 작게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감지부(46a,46b)를 가압하는 작용돌기(74a,74b)의 말단 역시 감지부(46a,46b)의 크기에 맞추어 두께가 비교적 얇게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작용돌기(74a,74b)의 길이는 시소다리(69)의 길이보다는 비교적 길게 형성되어 컨트롤패널 조립체(10)에 시소노브(60)가 설치되었을 경우, 감지부(46a,46b)에 거의 근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름판(61a,61b)을 과도하게 가압하지 않더라도 그 신호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탄성캡(71)이 결합된 더미다리(70)는, 각 작용돌기(74a,74b)와 각 시소다리(69) 사이의 거의 중앙영역, 보다 상세하게는 시소다리(69)의 중심축선(C/L) 중앙에 돌출배치되어 컨트롤패널 조립체(10)에 시소노브(60)가 설치되었을 경우, 패널PCB(40)의 동박코팅면(41)에 접촉유지됨으로써 누름판(61a,61b)의 시소회동 중 심점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탄성캡(71)을 각 시소다리(69)에 결합시키고 별도의 더미다리(70)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다리(70)를 추가로 형성시키고 이에 탄성캡(71)을 결합시키는 것이 보다 우수한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더미다리(70) 자체가 소정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에는, 별도의 탄성캡(71)을 사용할 필요는 없으나, 전술한 시소노브(60)의 각 부분별 요소들은 플라스틱의 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더미다리(70) 역시, 시소다리(69) 및 작용돌기(74a,74b)와 마찬가지로 봉형상의 사출물로 되는 것이 유리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더미다리(70)에는 동박코팅면(41)에 접촉유지되는 탄성캡(7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탄성캡(71)은 더미다리(7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삽입홀(73)을 가지며, 패널PCB(40)에 접촉되는 단부는 라운딩처리된 원기둥형상을 갖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소노브(60)가 패널PCB(40)의 택트스위치(44a,44b)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측의 누름판(61a)을 가압했을 경우, 더미다리(70)에 결합된 탄성캡(71)이 동박코팅면(41)에 탄성적으로 접촉변형됨으로써, 상측의 누름판(61a)에 해당하는 상측의 작용돌기(74a)는 원활하게 상측의 택트스위치(44a)의 감지부(46a)를 가압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신호는 패널PCB(40)상에서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부품제작의 오차 혹은 조립공차 등으로 인해, 감지부(46a,46b)와 작용돌기(74a,74b)의 사이의 길이가 소정의 기준길이 보다 더 벌여졌을 경우가 발생되더라도, 누름판(61a,61b)을 가압하는 가압 동작거리를 좀 더 길게 한다면 탄성캡(71)의 탄성변형력에 의해 상측의 작용돌기(74a)는 역시 원활하게 상측의 감지부(46a)를 가압하여 소정의 신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만일, 상측의 누름판(61a)을 가압했을 경우, 패널PCB(40)상의 발광다이오드(47)가 작동되도록 한다면 누름판(61a)의 작동에 의해 발광다이오드(47)로부터의 빛은 안내보스(65)를 통해 누름판(61a)의 발광창(64)을 경유하여 외부로 발산됨으로써 사용자는 버튼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졌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하측의 누름판(61b)을 가압했을 경우 역시, 상기의 방법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패널PCB(40)로 되어 있는 지지부(40)와 시소다리(69) 사이에 소정의 탄성체(71)를 마련함으로써, 종래의 기술에서 빈번히 발생되던 누름판(61a,61b)의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점의 거리가 짧거나 긴 경우에도 시소 스위칭 동작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시소다리(69) 사이에 더미다리(70)를 추가로 형성한 다음, 이 더미다리(70)에 탄성캡(71)을 결합시키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고는 있으나, 더미다리(70)를 형성하지 않고 시소다리(69)에 직접 탄성캡(71)을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패널PCB(40)의 판면과 같은 지지부(40)의 판면에 소정의 판스프링(미 도시)을 설치하고, 이 판스프링에 시소다리(69)가 탄성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고무재질의 탄성체(71)를 직접 지지부(40)의 판면에 고정설치하여 각 시소다리(69)를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구적 기능을 유지하여 누름판의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시소형 스위치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점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도 시소 스위칭 동작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시소형 스위치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6)

  1. 판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누름스위치와; 상기 지지부의 판면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으로부터 상기 각 누름스위치를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작용돌기와, 상기 각 작용돌기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며 상기 누름판으로부터 상기 지지부를 향해 연장된 시소다리를 갖는 시소노브를 구비한 시소형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소다리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누름판의 시소회동 중심점을 형성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시소다리가 삽입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삽입홀을 갖는 탄성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형 스위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다리는 상기 누름판의 시소요동 중심축선을 따라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시소다리 사이에 개재되는 더미다리와, 상기 더미다리에 결합되는 탄성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형 스위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캡이 결합된 상기 더미다리의 전체길이는 상기 각 시소다리의 길이보다 비교적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형 스위치장치.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캡은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형 스위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지지부의 판면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형 스위치장치.
KR1020000020813A 2000-04-19 2000-04-19 시소형 스위치장치 KR100696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813A KR100696104B1 (ko) 2000-04-19 2000-04-19 시소형 스위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813A KR100696104B1 (ko) 2000-04-19 2000-04-19 시소형 스위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059A KR20010097059A (ko) 2001-11-08
KR100696104B1 true KR100696104B1 (ko) 2007-03-20

Family

ID=19665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813A KR100696104B1 (ko) 2000-04-19 2000-04-19 시소형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10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2973A (en) * 1977-07-20 1979-10-30 Fujisoku Electric Co., Ltd. Seesaw switch with light emitting diode element
KR960018840U (ko) * 1994-11-23 1996-06-19 시소 스위치
KR0121986B1 (ko) * 1994-03-29 1997-11-13 배순훈 전자렌지용 버튼식 2단 출력선택장치
KR19980037971U (ko) * 1996-12-18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속도조절 스위치
KR19980066794U (ko) * 1997-05-20 1998-12-05 이영서 전자렌지의 택트(Tact)스위치 조립구조
KR0134126Y1 (ko) * 1996-02-23 1999-01-15 김광호 전자렌지의 스위치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2973A (en) * 1977-07-20 1979-10-30 Fujisoku Electric Co., Ltd. Seesaw switch with light emitting diode element
KR0121986B1 (ko) * 1994-03-29 1997-11-13 배순훈 전자렌지용 버튼식 2단 출력선택장치
KR960018840U (ko) * 1994-11-23 1996-06-19 시소 스위치
KR0134126Y1 (ko) * 1996-02-23 1999-01-15 김광호 전자렌지의 스위치 구조
KR19980037971U (ko) * 1996-12-18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속도조절 스위치
KR19980066794U (ko) * 1997-05-20 1998-12-05 이영서 전자렌지의 택트(Tact)스위치 조립구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1341260000
201998006679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059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4287B2 (en) Capacitive touch switch
US8168908B2 (en) Capacitive touch switch
EP1387378B1 (en) Rotary-push type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appliance using the same
US9954525B2 (en) Touch- and/or proximity-sensitive input device, and household appliance having the input device
KR101662941B1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US8937261B2 (en) Operator control apparatus for a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KR100696104B1 (ko) 시소형 스위치장치
KR101680969B1 (ko) 컨트롤 어셈블리 및 컨트롤 어셈블리가 구비된 조리 기기
US11087938B2 (en) Switch device
CN110349789B (zh) 操纵装置
US11328881B2 (en) Key module for a keyboard and keyboard
CN220381959U (zh) 开关装置
KR100971627B1 (ko) 터치 감지 장치
KR100863311B1 (ko)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JP2018088370A (ja) 厨房機器用のスイッ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厨房機器
KR101811766B1 (ko) 리모콘용 스위치
KR19990017335U (ko) 전자렌지용 버튼의 구조
SU1334201A1 (ru) Кнопочны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со световой индикацией
US20070217180A1 (en) Control panel
CN117747332A (zh) 一种智能开关
CN117650021A (zh) 一种操控组件以及智能墙壁开关
KR19980024462U (ko)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 구조
KR20050041686A (ko) 버튼유니트
KR20040045676A (ko) 누름 작동형 스위치
KR20090019245A (ko) 버튼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