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917B1 -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방법 및 그 분류장치 - Google Patents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방법 및 그 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917B1
KR100695917B1 KR1020060047159A KR20060047159A KR100695917B1 KR 100695917 B1 KR100695917 B1 KR 100695917B1 KR 1020060047159 A KR1020060047159 A KR 1020060047159A KR 20060047159 A KR20060047159 A KR 20060047159A KR 100695917 B1 KR100695917 B1 KR 100695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foreign matter
receiving tank
water
class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구
정태성
박승용
송하영
이도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산기공
대한주택공사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산기공, 대한주택공사,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산기공
Priority to KR1020060047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03B5/3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 B03B5/3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using centrifugal force
    • B03B5/34Applications of hydrocycl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03B5/3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 B03B5/36Devices therefor, other than using centrifugal force
    • B03B5/38Devices therefor, other than using centrifugal force of conical receptac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모래에 함유된 이물질을 분류하는 분류방법 및 그 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순환모래에 함유된 이물질을 1,2차를 거쳐 분류함과 아울러 유입되는 량에 따라 이물질이 걸러진 일정 량의 모래와 물을 지속적으로 자동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물질이 함유된 순환모래를 순도 높은 모래만으로 분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순환모래에 함유된 가벼운 이물질을 1차로 분류하고, 상기 1차로 분류되어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를 수용탱크 내의 물 속으로 투입하여 비중차이에 의해 2차적으로 잔여 이물질을 분류시킴과 동시에 그 수용탱크 내로 유입되는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의 양에 따라 배출관의 개폐밸브를 자동으로 개폐시켜 배출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방법 및 그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래, 이물질, 1차 분류, 2차 분류, 감지수단, 자동 배출, 부력 부가수단

Description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방법 및 그 분류장치{method and appatatus for classified impurity of sand}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4는 종래 모래 이물질 분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이크론
20 : 수용탱크
22 : 배출관 25 : 개폐밸브
30 : 감지수단
32 : 가압판 34 : 중량센서
34a : 압력센서 36,36a : 제어부
40 : 부력 부가수단
42 : 물 공급관 44 : 분사노즐
본 발명은 순환모래에 함유된 이물질을 분류하는 분류방법 및 그 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순환모래에 함유된 이물질을 1,2차를 거쳐 분류함과 아울러 유입되는 량에 따라 이물질이 걸러진 일정 량의 모래와 물을 지속적으로 자동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방법 및 그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폐기물 등에서 발생되는 순환모래에 함유된 종이, 나무, 스티로폴, 폐비닐 가루 등과 같은 미세한 이물질을 분류하는 분류장치는 특허등록 제421812호 "이물질 분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중차이에 의해 모래와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첨부된 도면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이 혼합된 순환모래가 공급되는 공급슈트(200)와, 상기 공급슈트와 연결되는 투입구(202)를 통하여 물과 함께 몸체(100)로 공급되고 그 비중 차이에 의해 이물질이 물과 함께 상기 몸체(100)의 바깥쪽으로 오버 플로워되어 제거되며, 이물질이 분류된 모래가 상기 몸체의 하부를 통해 배출되게 구성된다.
상기에서, 몸체(100)는 상부가 개방된 외부몸체(110)와, 상기 외부몸체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성된 내부몸체(120)로 분리 구성되되, 상기 외부몸체(110)는 개방된 상부의 바깥쪽을 따라 형성된 배출구(112)를 갖는 배출가이드(114)를 구비하고, 그 하부에 배출조절구(115)를 갖는 배출슈트(116)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몸체(120)에는 상하단이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다수개의 간격유 지바(122)(122a)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투입구(202)는 하부에 하단이 개방된 투입가이드(204)를 상기 내부몸체(120)의 내벽에 대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다수개의 고정바(206)(206a)로 고정되며, 상기 외부몸체의 하단 내측에는 다수개의 고정부재(132)(132a)로 고정된 원뿔형태의 분사판(130)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모래의 이물질 분류장치는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를 몸체로 투입하는 과정에서 그 비중차이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되면서 표면으로 떠오르도록 함과 아울러 표면으로 떠오른 이물질이 물과 함께 오버 플로워 되면서 제거된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 모래의 이물질 분류장치에 있어서는, 비중이 작은 이물질 입자의 크기가 커서 무게가 무거운 상태라면 제대로 분류가 되지 않고 모래와 함께 배출슈트를 통하여 배출되는 문제점과, 비중이 무거운 모래라도 입자가 작아 무게가 가볍다면 모래로 분류되지 않고 이물질과 함께 분류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물을 포함하여 유입되는 모래 및 이물질의 양이 적어지면 전혀 분리되지 않고 이물질 전량이 하부의 배출슈트를 통하여 모래에 포함되어 분류되거나, 유입되는 양이 많아지면 이물질에 섞여서 분류되는 모래의 양이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도 초래되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물질이 걸러진 모래와 물이 상기 배출조절구의 개방에 따라 배출되어지는 데, 상기 배출조절구는 작업자의 수동작업에 의해 개폐해야 하는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물질이 함유된 순환모래를 가벼운 이물질부터 1차로 분류한 후 분류되지 않은 잔여 이물질을 비중차이에 의해 2차적으로 분류함과 동시에 수용탱크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분류되지 않은 모래와 물의 양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는 개폐밸브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모래와 물의 일정 량이 지속적으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의 유입되는 량을 중량 또는 압력에 의해 자동 배출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래와 이물질의 분리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물질이 함유된 순환모래를 순도 높은 모래만으로 분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순환모래에 함유된 가벼운 이물질을 1차로 분류하고, 상기 1차로 분류되어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를 수용탱크 내의 물 속으로 투입하여 비중차이에 의해 2차적으로 잔여 이물질을 분류시킴과 동시에 그 수용탱크 내로 유입되는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의 양에 따라 배출관의 개폐밸브를 자동으로 개폐시켜 배출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 량의 조절은, 그 수용탱크 내로 유입되는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의 중량 또는 압력에 따라 배출관의 밸브를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탱크의 내부에는 하부로 쌓여지는 모래로 물을 분사하여 부력을 부가시켜 그 모래에 포함된 미세한 잔여 이물질까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물질이 함유된 순환모래를 순도 높은 모래만으로 분류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순환모래에 함유된 가벼운 이물질을 1차로 분류하는 사이크론과; 상기 1차로 분류된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가 투입되어 비중차이에 의해 잔여 이물질과 모래가 분류되도록 물이 담수되는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로 유입되는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수용탱크의 배출관에 구비되어 그 감지수단에 의해 배출 량을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개폐되는 개폐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수단은 수용탱크의 외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그 수용탱크로 유입되는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의 중량에 따라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중량센서와, 상기 중량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개폐밸브를 개폐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수단은 수용탱크의 내부와 통하도록 구비되어 그 수용탱크로 유입되는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개폐밸브를 개폐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탱크의 내부에는 하부로 쌓여지는 모래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 을 분사하여 부력을 부가시켜 그 모래에 포함된 미세한 잔여 이물질까지 분리되도록 하는 부력 부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력 부가수단은 수용탱크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물 공급관과, 상기 물 공급관의 밑면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분사노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나무, 스티로폴, 폐비닐 가루 등과 같은 이물질이 함유된 건축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순환모래를 순도 높은 모래만으로 분류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이물질이 함유된 순환모래를 가벼운 이물질부터 1차로 분류한 후 분류되지 않은 잔여 이물질을 비중차이에 의해 2차적으로 분류함과 동시에 수용탱크 내로 유입되는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의 양에 따라 배출관의 개폐밸브를 자동으로 개폐시켜 배출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순환모래에 함유된 가벼운 이물질을 1차로 분류하는 통상적인 분류기의 일종인 사이크론(10)과;
상기 1차로 가벼운 이물질이 분류된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가 투입되어 비중차이에 의해 잔여 이물질과 모래가 분류되도록 물이 담수되는 통상의 콘형태로 형성된 수용탱크(20)와;
상기 수용탱크로 유입되는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수단(30)과;
상기 수용탱크(20)의 배출관(22)에 구비되어 그 감지수단에 의해 배출 량을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개폐되는 통상의 핀치밸브(pinch valve) 등과 같은 개폐밸브(25)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감지수단(30)은 수용탱크(20)의 외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가압판(32)과, 상기 가압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그 수용탱크로 유입되는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의 중량에 따라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통상의 로드셀 등과 같은 중량센서(34)와, 상기 중량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개폐밸브(25)를 개폐시키는 통상적인 제어방식에 의해 제어하는 제어부(36)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수용탱크의 상단 외측면에는 오버 플로워되는 물과 이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통상의 배출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먼저 순환모래에 함유된 가벼운 이물질은 사이크론을 통하여 1차적으로 분류되어 지고, 이렇게 가벼운 이물질이 걸러져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는 사이크론에서 물이 담수되어 있는 수용탱크로 투입되면서 그 잔여 이물질과 모래의 비중차이에 의해 2차적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모래는 수용탱크의 하부로 낙하되고 잔여 이물질은 상부로 부상되면서 물과 함께 수용탱크의 상 단에서 오버 플로워되어 배출가이드를 거쳐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용탱크의 배출관에 구비된 개폐밸브는 감지수단에 의해, 즉 그 수용탱크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압판과, 그 가압판의 하부에 구비된 중량센서와 상기 중량센서와 연결된 제어부를 통하여 사이크론에서 투입되어 유입되는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의 중량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를 자동으로 개폐하여 일정 량을 지속적으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상기 수용탱크로 유입되는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에 의해 발생되는 수직하중, 즉 수용탱크의 처리 용량 이상이 초과되는 모래와 물이 유입되어질 때 수용탱크에서는 수직하중이 발생하게 되고 그 발생된 수직하중에 의해 가압판이 중량센서와 접촉되어 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그 발생된 신호는 제어부로 송신되어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수용탱크의 처리 용량 치의 데이터와 비교하면서 처리 용량 이상의 신호가 제어부로 수신될 경우에 상기 개폐밸브를 조절하여 배출 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개폐밸브가 많이 열리게 되면 많은 양의 물과 이물질이 걸러진 모래가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어지고,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물과 비중차이에 의해 걸러진 잔여 이물질이 수용탱크의 상부로 넘치면서 분리되어지게 되는 것이며, 상기 개폐밸브가 적게 열리게 되면 적은 량의 물과 이물질이 걸러진 모래가 배출되면서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잔여 이물질과 물이 수용탱크의 상부로 넘쳐 분리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수용탱크로 유입되는 물과 모래 및 이물질의 양이 감지수단에 의해 그 수용탱크의 처리 용량과 비교되면서 개폐밸브의 개폐를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므로서, 모래와 이물질 간의 분리가 항시 최적의 조건에서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순환모래에 함유된 이물질을 1,2차적으로 분류시킴과 동시에 유입되 는 양에 따라 이물질이 걸러진 물과 모래의 배출되는 일정 량을 지속적으로 자동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모래에 함유된 이물질을 항시 최적의 조건에서 분리하여 순도 높은 모래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수용탱크로 유입되는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의 양을 감지하는 것을 중량이 아닌 그 수용탱크로 유입되는 양으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으로 개폐밸브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수단(30)은 수용탱크(20)의 내부와 통하도록 구비되어 그 수용탱크로 유입되는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의 압력을 감지하는 통상의 압력센서(34a)와, 상기 압력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개폐밸브(25)를 개폐시키는 제어부(36a)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이는 전술한 수용탱크로 유입되는 양의 중량에 따라 개폐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수용탱크로 유입되는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 차이에 의해 개폐밸브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개폐밸브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상기 수용탱크의 처리 용량시 발생되는 내부의 압력과 그 수용탱크의 처리 용량 이상의 모래와 물이 유입되어질 때 수용탱크 내부의 압력이 높이지게 되고 그 높아진 압력으로 인해 압력센서에 압저항이 발생되면서 신호발생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그 발생된 신호는 제어부에 수신된 후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처리 용량시의 압력과 비교하면서 처리 용량 이상의 초과된 압력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개폐밸브를 개폐시켜 배출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감지수단에서 전술한 중량센서 보다 정확하고 민감하게 감지가 이루어지는 압력센서를 사용함에 따라 중량센서에 비해 개폐밸브의 제어가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이물질이 함유된 순환모래를 1차 및 2차를 거쳐 잔여 이물질까지 걸러져 상기 수용탱크의 하부로 쌓여진 모래의 미세한 잔여 이물질까지 분리시켜 이물질의 분리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용탱크(20)의 내부에는 하부로 쌓여지는 모래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여 부력을 부가시켜 1,2차적으로 이물질이 걸러진 모래에 포함된 미세한 잔여 이물질까지 분리되도록 하는 부력 부가수단(40)을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부력 부가수단(40)은, 수용탱크(20)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물 공급관(42)과, 상기 물 공급관의 밑면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분사노즐(4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부력 부가수단의 물 공급관을 거쳐 분사노즐로 분사되는 물의 양과 압력을 그 수용탱크 내의 압력 보다 높게 조절하므로서, 상기 1,2차로 이물질이 걸러진 후 수용탱크의 하부로 쌓여진 모래와 그 모래에 포함된 미세한 잔여 이물질의 개개의 입자들에 압력을 주게 되고 이는 개개의 입자에 부력이 부가되면서 모래와 이물질의 분리 효과를 극대화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수용탱크의 하부로 쌓여진 모래와 미세한 잔여 이물질의 모든 개개의 입자들은 개별 입자의 부피에 비례하여 부력을 받게 되고, 그 부력은 개별 입자를 탱크의 상부로 띄우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개별 입자의 비중이 크면 부피가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부력 또한 작게 작용하게 되고 입자의 무게는 무거우므로 수용탱크의 하부로 가라 앉게 되고, 개별 입자의 비중이 작으면 부피가 커지고 부력 또한 커지게 되어 무게가 가벼워 입자들은 수용탱크의 상부로 부상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에서 모래의 비중은 2.4~2.7 정도의 상당히 무거운 물질이며, 이물질은 종이, 비닐, 나무 등의 비중이 1.0 이하인 가벼운 물질과, 석탄, 아스팔 트, 시멘트 가루 등의 비중이 1.2~1.8 정도의 비교적 무거운 물질로 구분되어 진다.
그에 따라 비중차이에 의해 모래와 그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잔여 이물질까지 부력 부가수단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개개의 입자에 부력을 부가시키므로서, 모래와 미세한 잔여 이물질의 분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물질이 함유된 순환모래를 가벼운 이물질부터 1차로 분류한 후 분류되지 않은 잔여 이물질을 비중차이에 의해 2차적으로 분류함과 동시에 수용탱크로 유입되는 양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는 개폐밸브에 의해 일정 량을 지속적으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이물질 포함되지 않은 순도 높은 모래만을 원활하게 분류시킴과 아울러 그에 따른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이물질이 함유된 순환모래와 물의 유입되는 량에 따라 중량 또는 압력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모래와 물의 일정 량을 지속적으로 자동 배출되어지도록 하므로서, 모래와 이물질이 최적의 조건에서 분리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또, 수용탱크 내부에 구비되는 부력 부가수단에 의해 모래와 이물질의 분리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더욱더 높은 순도를 갖는 모래를 얻을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8)

  1. 이물질이 함유된 순환모래를 순도 높은 모래만으로 분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순환모래에 함유된 가벼운 이물질을 1차로 분류하고, 상기 1차로 분류되어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를 수용탱크 내의 물 속으로 투입하여 비중차이에 의해 2차적으로 잔여 이물질을 분류시킴과 동시에 그 수용탱크 내로 유입되는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의 양에 따라 배출관의 개폐밸브를 자동으로 개폐시켜 배출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량의 조절은, 그 수용탱크 내로 유입되는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의 중량 또는 압력에 따라 배출관의 밸브를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탱크의 내부에는 하부로 쌓여지는 모래로 물을 분사하여 부력을 부가시켜 그 모래에 포함된 미세한 잔여 이물질까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방법.
  4. 이물질이 함유된 순환모래를 순도 높은 모래만으로 분류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순환모래에 함유된 가벼운 이물질을 1차로 분류하는 사이크론(10)과;
    상기 1차로 분류된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가 투입되어 비중차이에 의해 잔여 이물질과 모래가 분류되도록 물이 담수되는 수용탱크(20)와;
    상기 수용탱크로 유입되는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수단(30)과;
    상기 수용탱크(20)의 배출관(22)에 구비되어 그 감지수단에 의해 배출 량을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개폐되는 개폐밸브(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30)은 수용탱크의 외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가압판(32)과, 상기 가압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그 수용탱크로 유입되는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의 중량에 따라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중량센서(34)와, 상기 중량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개폐밸브를 개폐시키는 제어부(3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30)은 수용탱크의 내부와 통하도록 구비되어 그 수용탱크로 유입되는 잔여 이물질이 함유된 모래와 물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34a)와, 상기 압력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개폐밸브를 개폐시키는 제어부(36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탱크(20)의 내부에는 하부로 쌓여지는 모래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여 부력을 부가시켜 그 모래에 포함된 미세한 잔여 이물질까지 분리되도록 하는 부력 부가수단(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부가수단(40)은 수용탱크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물 공급관(42)과, 상기 물 공급관의 밑면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분사노즐(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장치.
KR1020060047159A 2006-05-25 2006-05-25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방법 및 그 분류장치 KR100695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159A KR100695917B1 (ko) 2006-05-25 2006-05-25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방법 및 그 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159A KR100695917B1 (ko) 2006-05-25 2006-05-25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방법 및 그 분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5917B1 true KR100695917B1 (ko) 2007-03-20

Family

ID=4156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159A KR100695917B1 (ko) 2006-05-25 2006-05-25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방법 및 그 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59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1622A (zh) * 2013-11-27 2014-03-05 辽宁福犇食品有限公司 一种鲜玉米粒漂选机
KR20160010111A (ko) 2014-07-18 2016-01-27 하용간 충격스크린 및 충격 선별 방법
KR102283646B1 (ko) * 2020-08-31 2021-07-30 한정근 건설폐기물을 파쇄하여 순환잔골재로 재활용하거나, 부순 모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이물질 제거장치를 부착시켜 양질의 모래를 안전하게 회수하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206Y1 (ko) 2000-02-26 2000-09-01 해오름이천주식회사 연못용 원심분리형 여과기
KR100496199B1 (ko) 2004-11-19 2005-06-20 주식회사 광산기공 부유비중차를 이용한 모래 선별장치
KR100589610B1 (ko) 2004-10-13 2006-06-19 경동기계 주식회사 경비중 이물질 분류장치
KR100589755B1 (ko) 2004-12-22 2006-06-19 (주)거산기계 제트 순환류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206Y1 (ko) 2000-02-26 2000-09-01 해오름이천주식회사 연못용 원심분리형 여과기
KR100589610B1 (ko) 2004-10-13 2006-06-19 경동기계 주식회사 경비중 이물질 분류장치
KR100496199B1 (ko) 2004-11-19 2005-06-20 주식회사 광산기공 부유비중차를 이용한 모래 선별장치
KR100589755B1 (ko) 2004-12-22 2006-06-19 (주)거산기계 제트 순환류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1622A (zh) * 2013-11-27 2014-03-05 辽宁福犇食品有限公司 一种鲜玉米粒漂选机
KR20160010111A (ko) 2014-07-18 2016-01-27 하용간 충격스크린 및 충격 선별 방법
KR102283646B1 (ko) * 2020-08-31 2021-07-30 한정근 건설폐기물을 파쇄하여 순환잔골재로 재활용하거나, 부순 모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이물질 제거장치를 부착시켜 양질의 모래를 안전하게 회수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1738B2 (en) Technique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slurried dense media separations
US7891496B2 (en) Hindered-settling fluid classifier
CN201052473Y (zh) 煤泥分选机
RU2711695C1 (ru) Магнитный микрофлюидный концентратор и комплект оборудования для обогащения, в котором он используется
US4120783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ordinary and submarine mineral beneficiation
KR100695917B1 (ko)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방법 및 그 분류장치
US6666335B1 (en) Multi-mineral/ash benefication process and apparatus
IT9021163A1 (it) Procedimento per selezionare materiale plastico eterogeneo proveniente da recupero in frazioni omogenee ed apparecchiatura adatta allo scopo
CN109746113B (zh) 一种颗粒物料水选装置
JP2006281184A (ja) 浮上比重物湿式選別装置
CN113578515B (zh) 一种大鳞片石墨保护性分选设备及方法
KR100421812B1 (ko) 이물질 분류기
RU2342196C1 (ru) Тяжелосредный сепаратор
CN202343312U (zh) 三产品干扰床分选机
CN109201317B (zh) 一种洗煤过程中的中煤和矸石清洁利用工艺
US20230001426A1 (en) Fluid-borne particle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CN220657874U (zh) 一种干扰床层分选机
KR100589755B1 (ko) 제트 순환류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기
CN209697148U (zh) 一种水力分级机
CN218609835U (zh) 一种粗细分级磁选柱及选矿系统
KR20230128870A (ko) 폴리실리콘 순도 향상을 위한 이물제거 선별장치
US3012669A (en) Flotation method and apparatus
RU2690078C1 (ru) Флотационный классификатор
KR100856910B1 (ko) 순환골재 생산과정의 부유물 처리장치
KR100509001B1 (ko) 써지빈호퍼의 죽탄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