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329B1 -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 - Google Patents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329B1
KR100695329B1 KR1020040109404A KR20040109404A KR100695329B1 KR 100695329 B1 KR100695329 B1 KR 100695329B1 KR 1020040109404 A KR1020040109404 A KR 1020040109404A KR 20040109404 A KR20040109404 A KR 20040109404A KR 100695329 B1 KR100695329 B1 KR 100695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isolation
transmitting
support
shield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0793A (ko
Inventor
윤재훈
김종면
박웅희
전순익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09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329B1/ko
Priority to PCT/KR2005/004428 priority patent/WO2006068418A1/en
Priority to US11/722,248 priority patent/US8035572B2/en
Publication of KR20060070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9Combinations of different interacting antenna units for giving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01Q1/525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between e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8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rectilinear path
    • H01Q21/12Parallel arrangements of substantially straight elongated conductive units
    • H01Q21/14Adcock antennas
    • H01Q21/18H-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0Two collinear substantially straight active elements; Substantially straight single a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0Element having extended radiating surface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차폐 수단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위치한 안테나를 포함함으로써, 동일 채널 및/또는 동일 편파의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간에 높은 양방향성 송/수신 격리도를 얻어낼 수 있는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간에 높은 격리도를 유지하기 위한 송/수신 격리 안테나에 있어서, 도전체로 구성된 차폐 수단과 상기 차폐 수단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위치하여, 각각 송신 또는 수신 안테나로 동작하는 제1안테나 및 제2안테나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동일 채널 양방향 중계 시스템 등에 이용됨.
격리 안테나, 중계기, 초격리, 양방향 무선 통신, H형 모노폴

Description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H type Monopole Isolation Antenn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소자부의 일실시예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소자부의 일실시예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소자부의 일실시예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의 S파라미터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의 차폐 함체의 크기에 따른 S12 파라미터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의 제1안테나에 의한 H 플랜(Plane) 복사 전기장 패턴(수평편파)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의 제2안테나에 의한 H 플랜(Plane) 복사 전기장 패턴(수평편파)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를 벽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경우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를 콘센트와 일체형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테나소자부 2: 안테나 지지대부
3: 중간차폐 함체 4: 제1안테나
5: 제2안테나 6: 제1안테나 급전부
7: 제2안테나 급전부 8: 안테나소자부 지지대
9: 안테나받침대 10: 전파흡수체
11: 제1안테나 우측 안테나소자 12: 제1안테나 좌측 안테나소자
13: 제1안테나 우측 안테나지지대 14: 제1안테나 좌측 안테나지지대
15: 제1코넥터 16: 제1코넥터핀
17: 제2코넥터 18: 제2코넥터핀
19: 안테나소자 지지대의 개구 20: 제1안테나 소자의 개구
본 발명은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 채널, 동일 편파, 동일 방향에서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분리시키는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송수신 신호를 안테나에서 분리하는 격리 기술은 오래 전부터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격리 기술은 전파방향 관점에서 2가지 기술로 구분이 가능하다.
첫번째로, 동일 채널 방송용 중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술처럼 단방향성 중계기 즉 후방에서 수신신호를 받고 전방으로 증폭된 신호를 전송하는 안테나 기술(이하, 단방향성 격리기술)이 있다. 즉, 수신된 방향으로 송신 신호를 보내지 않는 경우로서, 동일 채널 방송용 중계기가 대표적인 사용예이다. 이러한 기술은 비교적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기술이기도 하다.
이러한 단방향성 격리기술은 지향성이 높은 안테나를 서로 반대로 설치하고 공간적으로 이격시켜 높은 격리도를 얻어내므로 설치 공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피할 수가 없다.
따라서, 종래의 단방향성 격리기술을 사용하는 방송용 중계기는 높은 철탑에 수신안테나를 하단에, 송신안테나는 상단에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두번째 종래 기술로는 양방향성 격리기술로서, 동일 방향으로 재전송하는 격리기술이다.
이러한 종래의 양방향성 격리기술은 구체적으로 편파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방안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즉, 송신신호의 편파와 수신신호 편파를 생성하여 송신신호와 수신신호의 격리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양방향성 격리기술도 수신안테나(수평편파)와 송신안 테나(수직편파) 사이에 이격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서, 실용시스템에 적용은 되지 않았지만 패치 안테나에서 급전을 서로 수직하게 설정하여 편파가 서로 수직인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두 단자 사이에 격리도를 유지하는 기술이 있다(참조 문서 : IEE National Conference on Antennas and Propagation, pp. 49~52, Karode, April 1999).
또한, 하오(Hao)는 포토밴드갭(PBG) 구조를 활용한 패치안테나의 편파 발생을 달리하여 격리 기술을 구현하기도 하였다(참조 문서 : IEE,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ntenna Propagation, pp. 86~89, April 2001).
그러나, 이러한 결과에서 제시되었듯이 송수신 신호에 대한 동일 주파수에 대한 격리도는 매우 낮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동일 주파수에 대한 높은 격리도를 요구하는 각종 이동통신, 근거리 통신, 방송 중계기, 위성 통신 분야 등에서 동일 채널 양방향 통신용 안테나로는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다.
카로도(Karodo) 및 하오(Hao)가 제안한 종래 기술의 결과에서도 송수신 주파수대역이 서로 다르거나, 편파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약 60dB 이하의 격리도를 얻고 있다.
따라서, 동일 채널 무선 LAN 소출력 중계기, RF리더기 안테나, RCS(Radar Cross Section) 시험용 안테나, 동일채널 양방향 통신기기에 반드시 필요한 동일채 널, 동일편파, 양방향의 통신이 가능한 격리안테나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발명은 차폐 수단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위치한 안테나를 포함함으로써, 동일 채널 및/또는 동일 편파의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간에 높은 양방향성 송/수신 격리도를 얻어낼 수 있는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간에 높은 격리도를 유지하기 위한 송/수신 격리 안테나에 있어서, 도전체로 구성된 차폐 수단과 상기 차폐 수단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위치하여, 각각 송신 또는 수신 안테나로 동작하는 제1안테나 및 제2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안테나의 급전 방향은 상기 차폐 수단과 접합한 면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안테나의 급전 방향은 상기 차폐 수단과 접합한 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폐 수단의 중앙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차폐 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 및 상기 지지 수단을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하기 위한 받침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는 복사전자파를 발생시키거나 전자파를 수신하는 안테나소자부(1) 및 안테나소자부(1)를 지지하기 위한 안테나 지지대부(2)로 전체적인 구성을 구분할 수 있다.
안테나소자부(1)는, 금, 은, 알루미늄, 동과 같은 도전체로 밀봉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차폐 함체(3)와 차폐 함체(3)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제1안테나(4) 및 제2안테나(5)를 포함한다.
제1안테나(4)는 H형의 모노폴 안테나로서, 차폐 함체(3) 위에 수직으로 위치한다.
또한, 제1안테나(4)는 H형태 모양의 중심부에 안테나 급전을 위한 제1안테나 급전부(6)를 포함한다. 이 때, 제1안테나 급전부(6)를 통한 급전은 차폐 함체(3)에 수평으로 급전한다.
제2안테나(5)는 일반 모노폴 안테나로서, 차폐 함체(3)와 접하는 지역에 위치하고 차폐 함체(3)에 수직으로 급전하기 위한 제2안테나 급전부(7)를 포함한다.
안테나 지지대부(2)는 안테나소자부(1)를 지지하기 위한 안테나소자부 지지대(8) 및 안테나 받침대(9)를 포함한다.
이 때, 안테나소자부 지지대(8)는 속이 비어있는 파이프 형태로서, 도 1처럼 안테나소자부(1) 중심에 설치한다.
도 1의 본 실시예는 지면에 대해 수평편파를 발생하고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바닥에 의한 반사가 수직편파에 비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반사파는 송수신 격리도를 저하하는 요인이 되므로, 이러한 반사파를 제거할 수 있도록 안테나 받침대(9)는 반사파를 억제시키기 위한 전파흡수체(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파흡수체(10)를 설치하는 것 뿐만아니라 안테나소자부 지지대(8)의 높이를 크게 함으로써 반사율을 낮출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소자부의 일실시예 정단면도로서, 제1안테나 급전부의 상세 구조 또한 나타내고 있다.
제1안테나(4)는 금, 은, 동,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의 도전체 재질로 구성되는 파이프 모양의 우측 안테나소자(11) 및 좌측 안테나소자(12)가 모노폴처럼 차폐 함체(3)에 수직으로 놓이고, 이들 사이에 우측안테나지지대(13)와 좌측안테나지 지대(14)가 서로 마주치는 지점에 급전을 위한 제1안테나 급전부(6)가 위치한 구조이다.
제1안테나 급전부(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코넥터(15) 및 제1코텍터핀(16)을 포함한다.
여기서, 우측안테나지지대(13) 및 좌측안테나지지대(14)도 역시 도전체의 파이프 모양으로 제작된다.
제1코넥터(15)의 암머리부분은 우측안테나지지대(13)의 속으로 놓이도록 하고, 제1코넥터핀(16)은 좌측안테나지지대(14)에 용접된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제1안테나(4)는 차폐 함체(3)의 금속면에 수평으로 급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제1코넥터(15)에 연결되는 동축케이블은 우측안테나지지대(13)의 내부 및 우측 안테나소자(11)의 내부를 경유하여 내부가 비어있는 차폐 함체(3) 내부로 연결된다.
한편, 차폐 함체(3)는 안테나소자 지지대의 개구(19)를 통해 안테나소자 지지대(8)와 막힘없이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소자부의 일실시예 측단면도로서, 제2안테나 급전부(7)의 상세 구성 또한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안테나 급전부(7)는 제2코넥터(17)가 차폐 함체에 설치되고 제2코텍터핀(18)이 제2안테나에 연결된 구조이다.
제2코넥터(17)의 암머리 부분은 차폐 함체(3) 내부에 놓이게 되어 동축케이 블이 연결이 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도면에는 표기하지 않았지만 바람 등 외부환경에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해 안테나 급전부 지점을 유전체를 이용하여 모두 감싸면서 고정시켜도 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제1안테나의 안테나소자(11, 12)는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형태로서, 제1안테나 소자의 개구(20)를 통해 차폐함체(3)의 내부와 막힘없이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소자부의 일실시예 평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안테나의 우측 안테나소자(11)의 우측안테나지지대(13)와 좌측 안테나소자(12)의 좌측안테나지지대(14)의 위치를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안테나 급전부에 연결되는 제1코넥터(15)가 동측케이블을 통해 차폐 함체(3)내부에서 연결이 가능함을 볼 수가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H형모노폴 안테나인 제1안테나의 우측 안테나소자(11)와 좌측 안테나소자(12)가 서로 대칭적으로 놓이는 안테나소자부(1)의 중심에 안테나소자부 지지대(8)가 위치하기 위하여, 안테나소자부 지지대(8)는 안테나소자부(1)의 하단부 중앙에 위치하여야 한다.
이는 두가지 목적을 위한 것이다.
첫째, 제2안테나를 송신부로 여기시키는 경우, 복사전자파가 각각 우측 안테나소자(11)와 좌측 안테나소자(12)에 도달하는 위상 및 세기가 같도록 하고 안테나 소자 지지대(8)에 의한 산란파도 역시 우측 안테나소자(11)와 좌측 안테나소자(12)에 동위상 및 동일한 세기로 도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우측안테나지지대(13)와 좌측안테나지지대(14) 사이에 전위차를 동일하게 하므로 제1안테나인 H형모노폴 안테나에서는 서로 상쇄되어 수신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둘째, 제1안테나에 의해서 여기된 복사파는 바닥에 의해 산란파를 형성하여 제2안테나에 도달하게 되는데, 상기 제1안테나의 우측 안테나소자와 좌측 안테나소자에서 발생되는 전류는 서로 세기가 같고 그 방향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이들로부터 발생된 산란파가 바닥에 부딪쳐 제2안테나에 도달할 때의 위상지연 및 감쇠세기를 동일하게 하여 전기장이 서로 상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안테나소자 지지대(8)도 금, 은, 동, 알루미늄 등과 같은 도전체로 파이프 모양(19)으로 제작될 수 있다. 파이프 속으로 제1안테나와 제2안테나에 연결되는 동출케이블을 지면 밑으로 보내 중계기 혹은 통신시스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1안테나의 좌/우측 안테나소자(11,12), 좌/우측 안테나지지대(13,14), 안테나소자부 지지대(8)는 단면이 원인 원통형 파이프 모양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의 S파라미터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측정을 위해 사용한 안테나의 규격은 다음과 같다.
제2안테나는 굵기가 1 cm x 1 cm이고 전체의 길이가 15 cm, 제1안테나는 굵 기에 있어 제2안테나와 동일하고 좌/우측 안테나소자(11,12)는 길이가 13cm 이며, 좌/우측 안테나소자(11,12)간의 떨어진 거리가 6cm이며, 차폐 함체는 2cm x 16cm x 20cm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안테나는 550MHz에서 공진이 발생하며, 제2안테나 역시 550MHz에서 공진이 발생하고 있음을 볼 수가 있다.
이 때, S11, S22 파라미터 값은 모두 - 10dB 이하를 유지하고 있어 임피던스 정합이 잘되어 있음을 볼 수가 있다.
본 측정 결과는 제1안테나인 H형모노폴 안테나가 독립적으로 동작하여도 송수신안테나로 사용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또한, 도 5는 제2안테나인 모노폴 안테나를 송신안테나로 사용되는 경우, 송신안테나를 통해 복사되는 전자파가 제1안테나인 H형모노폴 안테나에 유기되는 비율인 즉 격리도인 S12 특성이 -75 dB이하를 유지하고 있음을 볼 수가 있다.
즉, 차폐 함체의 크기가 반파장 길이(550MHz의 반파장은 27cm)보다도 작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격리도를 얻어내고 있음을 볼 수가 있다.
이러한 격리도는 차폐 함체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차폐 함체의 크기를 20cm ~ 80cm까지 변화시켰을 때, 안테나소자부 자체에 의한 격리도가 변화되는 것을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의 차폐 함체의 크기에 따른 S12 파라미터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함체의 크기를 20cm에서 80cm로 증가시키는 경우 격리도 향상율이 약 30 dB임을 볼 수가 있다.
또한, 차폐 함체의 크기가 60cm인 경우, 약 -100dB를 유지하고 있음을 볼 수가 있다. 즉, 차폐 함체가 약 1파장 길이를 유지할 경우 -100dB를 유지는 특성을 관찰할 수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의 제1안테나에 의한 H 플랜(Plane) 복사 전기장 패턴(수평편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득이 1.8dBi를 유지하고 있으며, H평면에 대해 준 전방향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 때, 도시된 편파는 φ방향의 전기장 성분에 대한 패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의 제2안테나에 의한 H 플랜(Plane) 복사 전기장 패턴(수평편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안테나를 급전하는 경우, 모노폴을 수평으로 놓은 구조이므로 이득은 약2.6dBi이고 좌우의 패턴을 형성한다.
이 때, 패턴이 제1안테나가 향한 방향으로 크게 발생하고 있음은 제1안테나에서 유기되는 산란파에 기인한 것이다.
이때도 역시 편파는 도 7과 동일하게 φ방향의 전기장 성분에 대한 패턴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과 도 8의 빔 방향이 일치하는 구간이 발생하고 있음을 볼 수가 있다. 즉, 100도 ~ 145도, 215도 ~ 260도에서 양쪽 모두 빔의 방향이 일치하고 있음을 볼 수가 있는데, 이는 이러한 빔 구간에 있는 단말기와 동일채널로 통신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다시 말하면, 양방향 중계기 시스템, RFID 리더기 안테나, 무선LAN 소출력 양방향 중계기 안테나, RCS 측정용 안테나 등으로 사용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외에도 제1안테나로 φ=180 방향에서 수신된 신호를 제2안테나로 φ가 100도~145도 방향, 215도~260도 방향으로 송신이 가능한 단방향 수평편파 중계기 안테나로도 사용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를 벽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경우의 구성도로서, 수직편파 통신에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는 건물벽과 같은 곳에 독립적으로 설치하거나, 혹은 건물내부에 있는 통신시스템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벽(22)에 고정쇠(21)를 고정하여 그 곳에 안테나소자 지지대(8)를 설치하고 사용하면 앞서 제시된 격리도를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안테나소자부를 90도 위 혹은 아래로 회전시면 수평편파에 대한 통신시시템 지원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를 콘센트와 일체형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는 안테나 소자소자부 지지대(8)의 끝단에 콘센트(23)를 장착함으로써, 수직편파 통신에서 전원을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는 시스템(양방향 중계기 시스템, RFID 리더기 시스템, 무선LAN 소출력 양방향 중계기 시스템, 감시장치시스템 등)을 차폐 함체 내부에 모든 회로를 장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간단하게 전원코드인 콘센트가 있는 곳이면 언제나 별도로 설치 가능하도록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를 인접에 설치하여도 동일 채널에서 동일 편파, 동일 방향으로 작은 차폐 함체를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75dB이상의 매우 높은 격리도를 얻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방향 중계기 혹은 무선LAN , RFID리더, 감시장치시스템, RCS측정시스템, 동일채널 이동통신 등처럼 높은 양방향 송수신 격리도가 요구되는 안테나에 적용이 가능하며, 작은 안테나로도 높은 격리도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걸이 혹은 콘센트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협소한 공간에 시스템을 독립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간에 높은 격리도를 유지하기 위한 송/수신 격리 안테나에 있어서,
    도전체로 구성된 차폐 수단; 및
    상기 차폐 수단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위치하여, 각각 송신 또는 수신 안테나로 동작하는 제1안테나 및 제2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안테나의 급전 방향은
    상기 차폐 수단과 접합한 면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이고,
    상기 제2안테나의 급전 방향은
    상기 차폐 수단과 접합한 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격리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는,
    H형태의 모노폴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격리 안테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테나는,
    모노폴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격리 안테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수단은,
    내부가 비어있는 함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격리 안테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는,
    상기 차폐 수단에 수직으로 부착된 좌측안테나소자;
    상기 차폐 수단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상기 좌측안테나소자와 인접하여 위치한 우측안테나소자;
    상기 좌측안테나소자 및 우측안테나소자 각각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좌측안테나소자 및 우측안테나소자를 서로 평행하게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지지대; 및
    상기 이격지지대의 중앙 부근에 위치한 제1안테나 급전 수단
    을 포함하는 송수신 격리 안테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안테나소자, 우측안테나소자 및 이격지지대는,
    내부가 비어있는 도전체의 파이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격리 안테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 급전수단은,
    상기 차폐 수단의 내부에서 급전 선로와 연결되기 위하여, 급전 선로와의 연결 부분이 상기 이격지지대의 내부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격리 안테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 급전수단은,
    코넥터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격리 안테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 급전수단은,
    유전체로 감싸인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격리 안테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테나는,
    코넥터를 이용한 구조이고, 상기 차폐 수단의 내부를 통해 급전 선로와 연결되는 구조인 제2안테나 급전수단
    을 포함하는 송수신 격리 안테나.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수단의 중앙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차폐 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송수신 격리 안테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을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하기 위한 받침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송수신 격리 안테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수단은,
    상부에 전파를 흡수하기 위한 전파 흡수 수단을
    포함하는 송수신 격리 안테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일단에 전원 접속 수단
    을 포함하는 송수신 격리 안테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격리 안테나.
  16. 삭제
KR1020040109404A 2004-12-21 2004-12-21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 KR100695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404A KR100695329B1 (ko) 2004-12-21 2004-12-21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
PCT/KR2005/004428 WO2006068418A1 (en) 2004-12-21 2005-12-21 H-type monopole isolation antenna
US11/722,248 US8035572B2 (en) 2004-12-21 2005-12-21 H-type monopole isolation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404A KR100695329B1 (ko) 2004-12-21 2004-12-21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793A KR20060070793A (ko) 2006-06-26
KR100695329B1 true KR100695329B1 (ko) 2007-03-15

Family

ID=3660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404A KR100695329B1 (ko) 2004-12-21 2004-12-21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35572B2 (ko)
KR (1) KR100695329B1 (ko)
WO (1) WO2006068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8446B2 (en) * 2006-08-09 2011-05-24 Barone James V XYZ isotropic radiator antenna
JP2013527329A (ja) 2010-03-25 2013-06-27 レンツィング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セルロース繊維の使用
CN109728411B (zh) * 2018-11-27 2020-09-11 广州创锦通信技术有限公司 应用在无线局域网的终端天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343A (ko) * 2003-04-21 2004-10-28 (주)더블유엘호스트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0148A (ja) * 1991-09-20 1993-04-02 Sharp Corp 非接触情報伝達装置
US5262793A (en) * 1991-11-18 1993-11-16 Winegard Company Low profile television antenna for vehicles
US5291211A (en) * 1992-11-20 1994-03-01 Tropper Matthew B A radar antenna system with variable vertical mounting diameter
KR100192375B1 (ko) 1996-11-15 1999-06-15 구자홍 다이폴 안테나
US6005518A (en) * 1997-12-31 1999-12-21 Kallina; Henry D. Coaxial cable RF leakage detector
IL137078A (en) * 1999-07-20 2005-05-17 Andrew Corp Side-to-side repeater and adaptive cancellation for repeater
SE515453C2 (sv) * 1999-10-29 2001-08-06 Ericsson Telefon Ab L M Dubbelpolariserad antennelement förfarande för att mata ström till två ortogonala polarisationer i ett dylikt antennelement samt förfarande för att uppnå nämnda element
US20020135523A1 (en) * 2001-03-23 2002-09-26 Romero Osbaldo Jose Loop antenna radiation and reference loops
KR100447252B1 (ko) 2001-09-10 2004-09-07 (주)씨앤드에스 마이크로 웨이브 송수신이 분리된 안테나
KR100454103B1 (ko) 2002-01-30 2004-10-26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광대역 특성을 갖는 비대칭 평판형 다이폴 안테나 및 이를이용한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구조
KR20020046238A (ko) 2002-04-16 2002-06-20 신동호 복편파 패치의 격리도를 개선시킨 패치 안테나
US20040056818A1 (en) 2002-09-25 2004-03-25 Victor Aleksandrovich Sledkov Dual polarised antenn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343A (ko) * 2003-04-21 2004-10-28 (주)더블유엘호스트 궤환제어 중계기용 일체형 안테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01922A1 (en) 2010-01-07
US8035572B2 (en) 2011-10-11
WO2006068418A1 (en) 2006-06-29
KR20060070793A (ko) 200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5330B1 (ko) 중계기용 격리 안테나
US11128370B2 (en) Device and method for guiding electromagnetic waves
US6646618B2 (en) Low-profile slot antenna for vehicular communica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designing same
US7868837B2 (en) Ultra isolation antenna
KR100957852B1 (ko) 고격리 무선 중계기용 광대역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
US9105972B2 (en) Directional planar spiral antenna
US9793607B2 (en) Antenna with quarter wave patch element, U-Slot, and slotted shorting wall
EP2467899B1 (en) Directional planar log-spiral slot antenna
US5999141A (en) Enclosed dipole antenna and feeder system
US3613098A (en) Electrically small cavity antenna
KR100753532B1 (ko) 이중 편파 격리 안테나
JP4980327B2 (ja) 2周波共用アンテナ装置
KR100695329B1 (ko) H형 모노폴 격리 안테나
KR20160091846A (ko) 저주파 송신 안테나
US5973654A (en) Antenna feed having electrical conductors differentially affecting aperture electrical field
KR101001664B1 (ko) 수직 편파 및 수평 편파의 동시 송수신이 가능한 안테나
US20100045533A1 (en) Dual-polarized antenna
KR100653183B1 (ko)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Nikkhah et al. Wide-band and low sidelobe array of rectangular dielectric resonator antennas with parasitic elements
CN211789450U (zh) 高增益射频前端装置
CN211789443U (zh) 立体式高增益射频前端装置
Ochal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High-Gain Compound Yagi Antenna
CN113517539A (zh) 立体式高增益射频前端装置
KR101318660B1 (ko) 고격리 중계기용 이중대역 안테나
KR200239005Y1 (ko) 소형 수신 안테나의 감도 향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