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018B1 - 수렴다중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렴다중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018B1
KR100695018B1 KR1020050093313A KR20050093313A KR100695018B1 KR 100695018 B1 KR100695018 B1 KR 100695018B1 KR 1020050093313 A KR1020050093313 A KR 1020050093313A KR 20050093313 A KR20050093313 A KR 20050093313A KR 100695018 B1 KR100695018 B1 KR 100695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ground
point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동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희송지오텍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희송지오텍,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희송지오텍
Priority to KR1020050093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E21B49/003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by analysing drilling variables or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각도에서 촬영된 영상들을 조합하여 수개의 2차원의 영상들을 3차원의 하나의 공간좌표로 해석하는 수렴다중촬영 시스템 및 그 장치에 대한 것이다. 수직의 작업면 상에 설정된 3점의 조절점, 지면에 설정된 1점의 지상보조점의 상대적 공간좌표를 측정하는 측량부;와 상기 설정된 3점의 조절점을 모두 포함하는 사진 촬영이 가능한 위치로서, 3점의 조절점 중 가운데 점과 지상보조점을 연결하는 두 직선의 연장선상에 있는 촬영부; 상기 촬영한 영상들의 영상좌표 측정을 위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컴퓨터 내부형식으로 변환하는 영상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영상들을 조합하여 촬영기 내부 및 외부의 매개변수를 정하고, 그를 이용한 공선조건식으로부터 영상의 공간좌표를 유도하여 절리면의 방향을 계산하는 처리부;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수렴다중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굴착면의 절리 구조의 변화 특성을 분석하고 자료를 보존하여 그 활용성을 높이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으며 시공 작업의 효율성 확보 및 현장에서의 객관적인 자료의 보존 및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굴착 절리면 해석 시스템, 굴착 절리면 해석 장치

Description

수렴다중촬영 시스템{multi-photo system for calculating 3d coordinates}
도1은 수렴다중촬영 시스템의 촬영 배열을 나타낸다.
도2는 영상분석을 이용한 절리면 방향성 해석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3a는 촬영기 조절장치의 회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b는 촬영기 조절장치의 촬영기 고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4a는 지상보조점조절장치의 고정부와 조절부의 결합상태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4b는 지상보조점조절장치의 표시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삭제
도4c는 지상보조점 장치의 일실시예로 지상보조점 타깃을 지상보조점 장치에 고정시킨 모습이다.
도5는 촬영기 조절장치와 지상보조점 장치의 일체형 모습인 수렴다중촬영 시스템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5a는 촬영기조절장치의 촬영기 고정부와 지상보조점조절장치의 고정부가 일체화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5b는 촬영기조절장치의 촬영기 고정부와 지상보조점조절장치의 고정부가 일체화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삭제
도6은 수렴다중촬영 시스템 전체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좌우 미동 조절 손잡이 32 : 상하 미동 조절 손잡이
33 : 수직클램프 34: 수평클램프
35 : 촬영기 조절장치의 고정부와 회전부의 연결볼트
36 : 촬영기 고정부 37 : 촬영기 높이 조절부
41, 42 : 나비너트 43 : 상하 미동 조절 나사
44 : 표시부 45 : 회전판
51 : 촬영기 조절장치부 52 : 고정판
53 : 지상조절점 조절장치부
61 : 영상수신부 및 처리부 62 : 촬영기조절장치
63 : 촬영기 64 : 측량기
지하 암반 중에 굴착되는 터널 및 기타 지하구조물의 안정성은 암반 조건에 큰 영향을 받는다. 특히 암반 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불연속면의 특성은 지하 구조물의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불연속면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설계에 반영하는 것은 안정한 지하구조물의 구축에 있어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 비하여 지금까지 굴진 작업면에 대한 절리구조 조사는 소홀하게 다루어져 왔다. 그 이유는 절리구조 조사과정이 굴진 작업의 순환 공정에 지장을 줄 경우 전체 작업성에 막대한 손실을 끼칠 수 있다는 문제와, 조사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신뢰성이 확보되기 어려웠다는 점에 있다. 종래 굴진 작업면의 절리 조사를 위해서는 일단 굴진 작업을 중지하고 수작업에 의해 노출된 절리면의 방향을 실측하거나 절리 부존 형태를 스케치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기록하였다. 이 경우 정밀한 조사를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통상적으로는 개략적인 조사에 그치며, 조사를 시행하는 시간도 현장의 여건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불규칙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터널 시공 작업의 성격상 굴착면은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보존되지 못하고, 터널 주위 벽면 역시 라이닝 등으로 인해 시공 후 지질 상태를 확인할 수 없게 되므로 터널 굴착 작업의 진행에 따라 지질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히 보존할 수 없었다. 자료의 보존 문제에 있어서도 지질 관찰도의 양식과 기재하는 항목들이 통일되지 못하고 각각의 항목들에 대한 판단기준 또한 명확하게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작업환경의 제약을 극복함과 아울러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의 자료를 얻기 위하여 디지털 영상에 의한 절리구조 해석 기법을 터널 굴착 작업면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 및 장비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울러 얻어진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제시할 수 있는 표준적인 자료 처리 체계를 구축하며, 절리구조가 터널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단층 및 파쇄대와 같이 매우 우세한 불연속면의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올바른 해석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여러 각도에서 촬영된 영상들을 조합하여 수개의 2차원의 영상들을 3차원의 하나의 공간좌표로 해석하는 수렴다중촬영 시스템에서, 수직의 작업면 상에 설정된 3점의 조절점과 지면에 설정된 2점의 지상보조점의 상대적 공간좌표를 측정하는 측량부; 상기 설정된 3점의 조절점을 모두 포함하는 사진 촬영이 가능한 위치로서, 3점의 조절점 중 가운데 점과 2점의 지상보조점을 연결하는 두 직선의 연장선상에 각각 배치되는 촬영기; 상기 촬영기 하부에서 촬영기의 받침대 역할을 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나사못으로 상기 촬영기와 연결되는 촬영기 고정부, 상기 고정부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촬영기가 일체로 수직축회전 및 수평축회전을 하도록 적도의식 가대형으로 구성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조절부로 구성되되, 상기 조절부는 상기 회전부의 수직축회전 정도를 조절하는 수직클램프, 상기 회전부의 수평축회전 정도를 조절하는 수평클림프, 상기 회전부의 수직축 미세회전을 조절하는 좌우 미동조절 손잡이 및 상기 회전부의 수평축 미세회전을 조절하는 상하 미동조절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촬영기조절장치; 상기 촬영기에서 촬영한 영상들의 영상좌표 측정을 위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컴퓨터 내부형식으로 변환하는 영상수신부; 및 상기 영상수신부의 수신된 영상들을 조합하여 촬영기 내부 및 외부의 매개변수를 정하고, 그를 이용한 공선조건식으로부터 영상의 공간좌표를 유도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렴다중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렴다중촬영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지상보조점조절장치를 더 포함한 수렴다중촬영 시스템 및 상기 촬영기조절장치와 지상보조점조절장치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수렴다중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렴다중촬영 시스템 및 그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수렴다중촬영 시스템의 촬영 배열을 나타낸다.
수렴다중촬영 기법에 의해 공선조건식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도1과 같이 지상조절점 C1, C2, C3와 지상보조점 G가 해석 공간에서 정의되고 이들 지상조절점과 지상보조점의 상대적 공간좌표를 알고 있어야 한다. 이는 상대 공간좌표계의 원점, O에서 토탈스테이션과 같은 측량기에 의해 측정할 수 있으며, 이들 4점의 공간좌표와 지상조절점 C1, C3가 영상에 투영된 영상좌표 c1, c3는 절리면을 구성하는 다른 공간상의 꼭지점들의 상대 공간좌표를 유도하기 위한 초기 입력요소로써 이용된다.
촬영기의 배치에 따른 기하학적 요소를 정확히 결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장치들이 필요하며 다음과 같은 장치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기: 정확한 디지털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1600×1200 픽셀 이상의 해상도가 필요하다. 1개의 조사면에 대한 1쌍의 사진촬영에 소요되는 시간은 정영상 사진기를 사용할 경우 약 40분이고, 동영상 사진기를 사용할 경우는 약 14분 정도가 소요되어 작업성에 차이가 있으므로 동영상 사진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영상 사진기의 경우 프레임 당 3M pixel 이상, 초당 1 프레임 이상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며 따라서 초당 3M pixel 이상의 이미지 정보를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측량기: 도1과 같이 상대 공간좌표계의 원점 O의 위치에서 지상조절점 C1, C2, C3와 지상보조점 G의 공간좌표의 측량이 가능해야된다. 측량기로서는 토탈스테이션, 세오돌라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반사타깃: 측정점(타깃 부착점)에 발사된 레이저 광파를 다시 측정기에 반사시켜 측점과 측정기 간의 거리와 방향 등을 측정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무타깃 측량이 가능하나 타깃을 사용할 경우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터널 내와 같이 조도가 낮은 경우는 타깃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컴퓨터: 디지털 촬영기에서 고해상도(3.3메가 픽셀)의 디지털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확인이 가능하여야 한다. 펜티엄 386 700MHz 이상의 속도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 장비: 터널 굴진 작업면의 촬영을 위한 조도를 확보하여야 하고, 800lux가 적당하다.
촬영기조절장치: 촬영기를 안정하고 흔들림 없이 고정시킬 수 있어야 하며 좌우, 상하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도1과 같이 촬영기에서 촬영된 영상의 영상 주점을 지상조절점 C2에 정확히 일치시키기 위해서 미세조정이 가능해야한다.
지상보조점조절장치: 도1과 같이 촬영기에서 촬영된 영상의 영상 주점을 지상조절점 C2에 일치시킨 후 영상 주점과 지상보조점(G, guide point)을 일치시키기 위해 지상보조점을 좌우, 상하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하며 미세조절이 가능해야한다.
도2는 영상분석을 이용한 절리면 방향성 해석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수렴다중촬영 기법을 이용하여 절리면의 구성 공간좌표와 방향을 유도하는 작업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분석 대상 및 현장 조건에 따른 촬영 계획을 수립한다. 일반적인 촬영 계획에는 분석대상의 크기와 촬영 거리에 따라 분석 대상을 포함할 수 있는 사진촬영 횟수, 촬영 환경에 따른 촬영기 설치 위치, 지상보조점 위치 등의 결정과 상대 공간좌표계의 원점인 측량원점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2) 좌표측정을 위해 측량기를 측량원점에 설치한다. 측량 원점은 측량기가 위치하는 점으로서 지상조절점과 지상보조점의 시야가 확보되는 위치이다.
(3) 조절점을 분석 대상에 분포시키고 이들의 공간좌표를 측정한다.
(4) 촬영 계획에 따른 촬영기를 설치하고 대상을 촬영한다.
(5) 영상 주점이 조절점 C2와 일치하도록 사진촬영방향을 미세 조정하여 촬영한 영상에서 일치 정도를 확인한다. 영상 주점이 조절점 C2와 일치됨을 확인하면 지상보조점조절장치를 영상 주점과 조절점 C2와 연결한 공선에 위치시킨다. 지상보조점조절장치의 미세 조정을 통해 고정된 영상 주점, 조절점의 공선에 보조점이 위치하도록 한다. 공선에 정확하게 일치된 것이 확인되면, 초기 입력 기하학적 요소들인 지상조절점 C1, C2, C3와 지상보조점 G의 공간좌표를 측정한다.
(6) 촬영한 영상들은 영상좌표 측정을 위해 촬영기로부터 PC로 전송한다.
(7) 각각의 촬영 위치에서의 영상들을 조합한다.
(8) 절리면상의 특징점의 영상좌표를 측정한다.
(9) 분석기법에 의해 촬영된 디지털 영상과 초기 기하학적 입력요소들에 기초하여 촬영기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공선조건식을 구성한다.
(10) 절리면상의 특징점의 공간좌표와 이들에 의해 구성되는 면의 방향을 유도한다.
도3a는 촬영기조절장치의 회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촬영기조절장치는 도1과 같이 촬영기에서 촬영된 영상의 영상 주점을 지상조절점 C2에 일치시키기 위해 개발된 장치로서 사진촬영 방향을 좌우 회전과 상하 이동을 통해 영상주점과 조절점 C2와 일치 시킬 수 있게 제작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 촬영기조절장치를 촬영기의 받침대 역할을 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촬영기가 일체로 수직축회전 및 수평축회전 통해 움직이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로 구분하였다.
상기 촬영기조절장치의 회전부 및 조절부는 천체를 관찰할 때 경통을 고정하고 회전시킬 때 쓰이는 적도의식 가대를 응용하였다. 즉, 촬용기조절장치의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촬영기가 일체로 수직축회전 및 수평축회전을 하도록 적도의식 가대형으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촬영기조절장치의 조절부는 상기 회전부의 수직축회전 정도를 조절하는 수직클램프(33), 상기 회전부의 수평축회전 정도를 조절하는 수평클림프(34), 상기 회전부의 수직축 미세회전을 조절하는 좌우 미동조절 손잡이(31) 및 상기 회전부의 수평축 미세회전을 조절하는 상하 미동조절 손잡이(3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취하면 상기 회전부의 큰 조정은 수직클램프(33) 또는 수평클램프(34)를 풀어 움직이며, 영상 주점 o를 조절점 C2에 일치시키기 위해선 미세한 움직임이 필요하므로 상기 수직클램프(33) 및 상기 수평클램프(34)를 고정한 후 좌우 미세회전은 좌우 미동 조절 손잡이(31)에 의해 미세 조정이 가능하며, 상하 미세회전은 상하 미동 조절 손잡이(32)에 의해 미세 조정이 가능하다. 이 적도의식 가대형으로 구성된 회전부의 하부는 지상에 고정하기 위한 삼각대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3a에 도시된 촬영기조절장치의 고정부와 회전부의 연결볼트(35)는 상기 촬영기조절장치의 회전부를 촬영기가 장착된 촬영기 조절장치 고정부와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3b는 촬영기조절장치의 촬영기 고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촬영기 고정부(36)는 촬영기를 나사 등을 이용해 촬영기 조절장치에 연결시키는 부분이고, 촬영기 높이 조절부(37)는 상기 촬영기 고정부(36)에 촬영기를 고정시킬 때 나사길이를 조절하여 촬영기의 높이 조절을 하는 부분이다.
도4는 지상보조점조절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4a는 지상보조점조절장치의 고정부와 조절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4b는 지상보조점조절장치의 표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4c는 지상보조점 장치의 설계도면에 따른 일실시예로 지상보조점 타깃을 지상보조점 장치에 고정시킨 모습이다.
상기 촬영기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촬영기에서 촬영된 영상의 영상주점이 지상조절점 C2와 일치되면 공간상에 이들 두 점 사이를 연결한 공선에 지상보조점 G가 위치하여야 한다. 영상주점과 지상보조점을 일치 시킨 후 다시 재촬영 시 영상주점과 지상조절점 C2 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또다시 이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영상주점과 지상보조점의 일치 문제가 가장 시간이 걸리며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영상주점과 지상조절점 C2 사이의 공선에 지상보조점을 보다 쉽게 위치시키고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지상보조점 장치를 개발하였다.
좌우 방향 미세 조정은 나비너트(41, 42)를 이용하여 조절하며, 상하 방향 미세 조정은 상하 미동 조절 나사(43)를 이용하여 미세 조정하여 일치시킨다. 회전판(45)은 미세한 조정을 하기 위해 마찰, 강성이 뛰어나며 장기 유지가 가능한 LM 가이드(LM Guide)를 사용할 수 있다. LM 가이드는 가이드에 부착된 물체가 고정밀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로서 본 발명에 LM 가이드가 아닌 일반 레일을 사용할 경우 직선운동의 정밀도가 떨어지므로 LM 가이드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44)는 360°회전이 가능하도록하여 측량기가 어느 위치에 있어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표시부에는 반사타깃을 사용하거나 무타깃으로 할 수도 있다. 반사타깃은 측정점인 타깃 부착점에 발사된 레이저 광파를 다시 측정기에 반사시켜 측점과 측정기 간의 거리와 방향 등을 측정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타깃을 사용할 경우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터널 내와 같이 조도가 낮은 경우는 특히 타깃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도5는 촬영기조절장치와 지상보조점조절장치의 일체형 모습인 수렴다중촬영 시스템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5a는 촬영기조절장치의 촬영기 고정부와 지상보조점조절장치의 고정부가 일체화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5b는 촬영기조절장치의 촬영기 고정부와 지상보조점조절장치의 고정부가 일체화된 상태의 평면도로서, 상기 촬영기 조절장치(51)의 고정판(52)이 연장되어 지상보조점조절장치의 촬영기 고정부(53)와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을 촬영기 조절장치의 회전부에 연결하여 사용한 유형이다. 이러한 유형을 이용할 때는 우선 촬영시 영상주점과 지상조절점 C2를 일치시키는 과정에서는 지상보조점 타깃을 분리한 후 촬영을 시행하고, 영상주점과 지상조절점 C2가 일치된 것이 확인되면 지상보조점 타깃을 지상보조점조절장치에 장착한다. 이후 영상주점과 지상보조점을 일치시키기 위해 미세조절나사를 이용하여 맞추어 고정하면 위치가 일정하기 때문에 다음 촬영시 영상주점과 지상보조점을 일치시키는 작업이 불필요하다.
삭제
도6은 수렴다중촬영 시스템 전체를 나타낸 모습이다.
촬영기(63)가 삼각대로 지지되는 촬영기조절장치(63)에 장착되어 영상을 촬영하고, 측량부(64)에서는 공간좌표를 측정한다. 상기 촬영된 영상과 측정된 공간좌표는 영상수신부 및 처리부(64)로 전송된다.
본 발명으로서 터널 현장 등의 굴착 작업면에 대한 암반의 지질 상태에 대한 기록 및 정보에 정밀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어, 설계 변경이나 추후 보수보강에 활용될 수 있는 수준의 자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렴다중촬영 시스템이 굴진작업 공정에 포함되어 지속적으로 시행된다면, 자료의 축적으로 굴진 예정 구간에 대한 지질구조의 예측이나 시공구간에 대한 지질조사, 물리탐사 결과 등과 비교함으로서 설계에 대한 보완이나 안전 시공 등에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수행 결과 디지털 영상을 자료로 얻게 되므로, 자료 보관이 용이하고 객관적인 시각에서의 자료의 재해석이나 이후 터널의 보수 보강이 필요한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겠다. 또 본 발명은 최소한의 작업 시간 내에 굴진 작업면의 영상 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시스템이므로 이를 매 굴진 사이클에 정규적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현장 적용에 용이하다.

Claims (4)

  1. 여러 각도에서 촬영된 영상들을 조합하여 수개의 2차원의 영상들을 3차원의 하나의 공간좌표로 해석하는 수렴다중촬영 시스템에서,
    수직의 작업면 상에 설정된 3점의 조절점과 지면에 설정된 2점의 지상보조점의 상대적 공간좌표를 측정하는 측량부;
    상기 설정된 3점의 조절점을 모두 포함하는 사진 촬영이 가능한 위치로서, 3점의 조절점 중 가운데 점과 2점의 지상보조점을 연결하는 두 직선의 연장선상에 각각 배치되는 촬영기;
    상기 촬영기 하부에서 촬영기의 받침대 역할을 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나사못으로 상기 촬영기와 연결되는 촬영기 고정부, 상기 고정부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촬영기가 일체로 수직축회전 및 수평축회전을 하도록 적도의식 가대형으로 구성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조절부로 구성되되,
    상기 조절부는 상기 회전부의 수직축회전 정도를 조절하는 수직클램프, 상기 회전부의 수평축회전 정도를 조절하는 수평클림프, 상기 회전부의 수직축 미세회전을 조절하는 좌우 미동조절 손잡이 및 상기 회전부의 수평축 미세회전을 조절하는 상하 미동조절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촬영기조절장치;
    상기 촬영기에서 촬영한 영상들의 영상좌표 측정을 위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컴퓨터 내부형식으로 변환하는 영상수신부; 및
    상기 영상수신부의 수신된 영상들을 조합하여 촬영기 내부 및 외부의 매개변수를 정하고, 그를 이용한 공선조건식으로부터 영상의 공간좌표를 유도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렴다중촬영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측량부의 지상보조점의 설정시에 지상보조점 타깃이 나타나도록 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가 360°수직축회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표시부와 연결되어 표시부를 지지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촬영기의 영상주점과 3점의 지상조절점 중 가운데 점을 잇는 직선상에 지상보조점이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부 전체를 상하좌우방향으로 조절이 가능케 하는 조절부; 로 구성된 지상보조점조절장치를 부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렴다중촬영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지상보조점조절장치의 고정부가 상기 촬영기조절장치의 촬영기 고정부와 연속된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렴다중촬영 시스템.
KR1020050093313A 2005-10-05 2005-10-05 수렴다중촬영 시스템 KR100695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313A KR100695018B1 (ko) 2005-10-05 2005-10-05 수렴다중촬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313A KR100695018B1 (ko) 2005-10-05 2005-10-05 수렴다중촬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5018B1 true KR100695018B1 (ko) 2007-03-14

Family

ID=3810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313A KR100695018B1 (ko) 2005-10-05 2005-10-05 수렴다중촬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5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502B1 (ko) 2008-12-24 2009-07-21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수평배열이 용이하도록 4-포인트 타깃을 이용하는 이격된 두 카메라 마운트와 이를 이용한 카메라 마운트 배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4015A1 (en) 1995-10-12 1997-04-17 Metronor A/S A system for point-by-point measuring of spatial coordinates
JPH10267624A (ja) 1997-03-27 1998-10-09 Ono Sokki Co Ltd 三次元形状測定装置
JP2000039310A (ja) 1998-07-22 2000-02-08 Sanyo Electric Co Ltd 形状測定方法および形状測定装置
KR20010087493A (ko) * 2000-03-07 2001-09-21 황상기 암반절취면의 형상을 측량하는 장치(영상측량기) 및 방법
KR20040006595A (ko) * 2002-07-12 2004-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영상에 의한 암반사면 절리의 기하학적 특성조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4015A1 (en) 1995-10-12 1997-04-17 Metronor A/S A system for point-by-point measuring of spatial coordinates
JPH10267624A (ja) 1997-03-27 1998-10-09 Ono Sokki Co Ltd 三次元形状測定装置
JP2000039310A (ja) 1998-07-22 2000-02-08 Sanyo Electric Co Ltd 形状測定方法および形状測定装置
KR20010087493A (ko) * 2000-03-07 2001-09-21 황상기 암반절취면의 형상을 측량하는 장치(영상측량기) 및 방법
KR20040006595A (ko) * 2002-07-12 2004-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영상에 의한 암반사면 절리의 기하학적 특성조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502B1 (ko) 2008-12-24 2009-07-21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수평배열이 용이하도록 4-포인트 타깃을 이용하는 이격된 두 카메라 마운트와 이를 이용한 카메라 마운트 배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9005B2 (en) Indoor surveying apparatus
US8639025B2 (en) Measur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EP2752657B1 (en) System and methods for stand-off inspection of aircraft structures
US71840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3D images
US9322652B2 (en) Stereo photogrammetry from a single station using a surveying instrument with an eccentric camera
CN109425307B (zh) 测量装置以及利用其将光图案投影到场景上的方法
US6782123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pping radiation sources
WO2008107720A1 (en) Colour enhanced laser imagery
KR101193076B1 (ko) 3차원 사진측정을 이용한 실시간 파일 관입량 측정 시스템
KR101308744B1 (ko) 항공촬영 영상의 지형대비 기준점 합성형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JP6251142B2 (ja) 測定対象物の非接触検知方法及びその装置
EP0523166A1 (en) Computer assisted video surveying and method therefor
JP2004163292A (ja) 測量装置と電子的記憶媒体
JP4052382B2 (ja) 非接触画像計測装置
CN113155100B (zh) 大地测量仪器、其基座模块及勘测和/或投影模块
JP4649192B2 (ja) ステレオ画像作成方法及び3次元データ作成装置
Feng Novel methods for 3-D semi-automatic mapping of fracture geometry at exposed rock faces
KR100695018B1 (ko) 수렴다중촬영 시스템
US10929575B2 (en) Modelling system and method
KR20180069546A (ko) 면구성 지질정보의 좌표기반 모델구성방법
KR101809655B1 (ko) 공간영상도화 데이터 이미지를 입체적 이미지로 확보하는 시스템
Wagner¹ et al. Monitoring concepts using image assisted total stations
White et al. A cost-efficient solution to true color terrestrial laser scanning
KR101830296B1 (ko) 기준점과 항공촬영 이미지를 합성한 공간영상도화 제작 시스템
JP4135934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