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670B1 -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직렬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직렬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670B1
KR100694670B1 KR1020060027120A KR20060027120A KR100694670B1 KR 100694670 B1 KR100694670 B1 KR 100694670B1 KR 1020060027120 A KR1020060027120 A KR 1020060027120A KR 20060027120 A KR20060027120 A KR 20060027120A KR 100694670 B1 KR100694670 B1 KR 100694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control processor
multimedia control
s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환
민경철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7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670B1/ko
Priority to PCT/KR2007/001414 priority patent/WO200711144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직렬 전송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촬상된 피사체에 상응하는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생성하여 직렬 전송 방식으로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부,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직렬 전송 방식으로 입력된 원시 데이터를 병렬 비트 배치로 변환하고, 병렬 비트 배치로 변환된 원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속도는 빠르면서도 각 구성 요소간의 데이터 연결선이 줄어들어 휴대 단말을 소형화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직렬, 경로

Description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직렬 전송 방법{Portable device and serial interface method}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직렬 변환부를 중심으로 하는 데이터의 흐름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프리뷰(preview) 모드인 경우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이 캡쳐(capture) 모드인 경우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의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가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경우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의 기저칩부가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경우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이 바이패스(bypass) 모드인 경우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직렬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데이터 처리 과정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 과정과 연산된 데이터를 다른 연산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구성 요소로 전달하는 전송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단위 시간 내 처리 기준에 따라 직렬(serial) 방식과 병렬(parallel) 방식으로 구분되고, 전송 단위 기준에 따라 동기(Synchronous) 방식과 비동기(Asynchronous) 방식으로 구분되며, 전송 방향에 따라 단방향 방식(simplex), 반이중 통신 방식(half-duplex) 및 전이중 통신 방식(full-duplex)으로 구분된다.
데이터 전송 방식 중 병렬 방식은 버스에 올려진 n비트의 데이터가 동일한 시간에 각각 병렬적으로 전송되는 방식이고, 직렬 방식은 전송할 n비트의 데이터가 직렬 스트림(serial stream)으로 전환되어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병렬 전송 방식은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므로 직렬 전송 방식보다 전송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데이터들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나누어 전송되어야 하므로 데이터 전송선로가 복잡(예를 들어, 전송 핀수의 증가)해지고, 휴대 단말의 외형 크기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식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 단말은 이미지 센서부(100),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MCP : Multimedia Control Processor)(110), 기저칩부(Base Band Chip)(120), 디스플레이부(130), 메모리부(140)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부(100)는 카메라에서 촬상된 피사체에 상응하는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110)는 이미지 센서부(100)의 제어 및 이미지 센서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원시 데이터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110)는 입력된 원시 데이터를 YUV 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110)는 변환된 YUV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코딩(encoding)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저칩부(120)로 전달하거나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출력하거나 메모리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110)는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디코딩(decoding) 처리 를 더 수행할 수 있다.
기저칩부(120)는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의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기저칩부(120)는 예를 들어, 베이스밴드 칩(Baseband Chip)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휴대 단말에 필요한 정보,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120)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를 출력한다.
메모리부(Memory)(140)는 촬상된 이미지 정보, 기타 휴대 단말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한다.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110)는 이미지 센서부(100), 기저칩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메모리부(140)와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병렬 전송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주고받게 된다.
기저칩부(120)가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1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110)로 전달하면,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110)는 제어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의 출력 경로를 지정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휴대 단말에서는 각 구성 요소간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연산이 병렬 방식으로 처리되며 데이터 전송도 병렬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식은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에서는 빠른 장점이 있어 병렬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전송 방식에서도 역시 병렬 방식 으로 전송하므로 휴대 단말내의 각 구성 요소들간의 데이터 연결선이 많아져 휴대 단말을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많은 데이터 연결선을 작은 면적 내에 집적함으로 인하여 신호들간의 간섭 현상이 발생하여 전자파장애현상(EMI : ElectroMagnetic Interference)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들간의 데이터 연결선이 많아져 구성 요소들별로 반도체 칩을 제작할 때에도 칩의 크기를 줄이는데 제약이 있으며, 반도체 칩의 핀수가 증가하게 되어 패키지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데이터의 연산은 병렬 방식으로 처리하되 연산된 데이터의 전송은 직렬 방식으로 전송하므로 각 구성 요소들간의 데이터 연결선이 줄어들어 휴대 단말을 소형화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직렬 전송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연결선이 줄어들어 간섭이나 EMI 등과 같은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직렬 전송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 요소들간의 데이터 연결선을 줄여 구성 요소들별로 반도체 칩을 제작할 때에도 칩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반도체 칩의 핀수도 줄어들 어 패키지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직렬 전송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에 있어서, 촬상된 피사체에 상응하는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생성하여 직렬 전송 방식으로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부; 및 상기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직렬 전송 방식으로 입력된 상기 원시 데이터를 병렬 비트 배치로 변환하고, 병렬 비트 배치로 변환된 상기 원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직렬 전송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직렬 전송 방식으로 입력되어 병렬 비트 배치로 변환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상응하는 인코딩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는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데이터를 직렬 전송 방식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상응하는 인코딩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독출하여 직렬 전송 방식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로 전송하는 기저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로부터의 데이터 저장 및 독출은 병렬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 및 기저칩부에 각각 결합되는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기저칩부 각각에 대하여 직렬 전송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가 제공된다.
상기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는 메모리부와 더 결합되며, 상기 메모리부로부터의 데이터 저장 및 독출은 병렬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로부터의 데이터 저장 및 독출은 직렬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에서의 데이터 연산은 병렬 방식으로 수행하되, 상기 각각의 구성 요소들간의 데이터 전송은 직렬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휴대 단말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 중 메모리부로의 데이터 저장 및 독출은 병렬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 중 메모리부로의 데이터 저장 및 독출은 직렬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와 기호(예를 들어, 250a, 250b 등)는 동일 또는 유사한 개체를 순차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다.
하기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적용이 특정 유형의 휴대 단말에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디지털 처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처리 과정에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도 1의 종래의 휴대 단말의 구성과 비교하여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휴 대 단말의 구성상의 차이와 특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의 휴대 단말과 달리 이미지 센서부(200)와 기저칩부(220)는 직렬 변환부(parallel to serial converter)(250a 또는 250c)를 더 포함한다. 이는 생성한 데이터를 직렬 전송 방식에 따라 수신단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230)는 병렬 환원부(serial to parallel converter)(260b)를 더 포함한다. 이는 송신단으로부터 직렬 전송 방식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를 위해 병렬 전송 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는 직렬 변환부(250b)와 병렬 환원부(260a)를 모두 더 포함한다. 이는 송신단으로부터 직렬 전송 방식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병렬 전송 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직렬 전송 방식에 따라 수신단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은 이미지 센서부(200),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MCP : Multimedia Control Processor)(210), 기저칩부(Base Band Chip)(220), 디스플레이부(230), 메모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부(200)는 카메라에서 촬상된 피사체에 상응하는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미지 센서부(200)는 예를 들어,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타입의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CMOS와 CCD 타입의 이미지 센서는 모두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카메라에서 촬상된 피사체에 상응하는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생성한다.
이러한 CMOS 또는 CCD 타입의 이미지 센서는 일반적인 이미지 센서의 종류로서 이미지 센서의 종류에 대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는 이미지 센서부(200)의 제어 및 이미지 센서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원시 데이터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한다. 물론, 이미지 센서부(200)는 기저칩부(220)에 의해 제어되거나, 기저칩부(2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가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는 입력된 원시 데이터를 YUV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는 변환된 YUV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코딩(encoding)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저칩부(220) 또는 다른 구성 요소로 출력하거나 메모리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는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디코딩(decoding) 처리를 더 수행할 수 있다.
기저칩부(220)는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의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기저칩부(220)는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메모리부(240)에 기록한 후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로 표시 명령을 입력하면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가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저칩부(220)가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로 입력하면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가 바이패스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23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저칩부(220)가 디스플레이부(230)의 동작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데이터 전송 방식과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기저칩부(220)와 디스플레이부(230)간에 별도의 데이터 연결선이 구현되어 기저칩부(220)는 구현된 데이터 연결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3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표시할 데이터를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230)는 휴대 단말에 필요한 정보,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120)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230)는 바람직하게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메모리부(240)는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 휴대 단말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는 이미지 센서부(200), 기저칩부(220), 디스플레이부(230) 및 메모리부(240)와 결합된다.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기저칩부(220)에서 생성되고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에 전달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이미지 센서(200)에서 생성된 원시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30)로 전송할 것인지 메모리부에 저장할 것인지 데 이터의 경로를 지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프리뷰(Preview, 피사체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캡쳐)하기 이전의 미리 보기 상태) 모드의 경우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는 처리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30)로 전달할 것이고, 캡쳐(Capture, 프리뷰 상태 중 촬영 명령에 의해 피사체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태) 모드의 경우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는 처리한 데이터를 메모리부(240)로 전달할 것이다. 물론, 메모리부(240)에 저장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부(230) 또는 기저칩부(22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연산 과정과 전송 과정에 있어 데이터 처리를 위한 연산은 종래와 같이 병렬 방식으로 수행하되 처리된 데이터를 상응하는 구성 요소로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를 직렬 비트로 배치하여 직렬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특징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인코딩, 디코딩 등의 처리를 위한 연산 과정은 병렬 방식으로 처리되고 처리된 데이터는 병렬 비트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n(임의의 자연수)비트의 데이터를 n비트 CPU로 연산하여 처리하는 경우 병렬 방식에서는 단 1회의 연산에 의해 데이터가 처리된다.
처리된 데이터는 다른 구성 요소의 병렬 연산 처리를 위해 적어도 n개의 경로(예를 들어, n개의 데이터 입출력 핀)를 통해 후속하는 구성 요소들로 전송되고, 후속하는 구성 요소는 입력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요한 연산 과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데이터 경로는 적어도 n개가 필요하게 되므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 이터 경로선이 복잡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연산은 병렬 방식으로 처리하되 처리된 데이터는 직렬 방식으로 전송하므로 한번에 처리된 데이터를 그 데이터를 구성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비트를 순차적으로 데이터 전송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
직렬 방식으로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비트를 전송받은 구성 요소에서는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연산을 위해서는 다시 병렬 방식으로 데이터를 배치하여 병렬 방식에 의한 연산에 의해 데이터를 처리한다.
구성 요소에 포함된 직렬 변환부(250a, 250b 및 250c)는 처리된 데이터를 다른 구성 요소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병렬 방식으로 연산 처리되어 병렬 비트로 배치된 데이터를 직렬 비트로 배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 변환부(250a, 250b 및 250c)는 임의의 데이터를 다른 구성 요소로 전달하는 구성 요소(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부(200) 등)가 포함한다.
병렬 환원부(260a 및 260b)는 직렬로 전송받은 데이터를 해당 구성 요소에서 다시 데이터의 연산 처리가 필요한 경우 전송받은 직렬 비트로 배치된 데이터를 다시 병렬 비트로 환원 배치하여 전송받은 데이터를 해당 구성 요소에서 병렬 연산 처리가 가능하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 변환부(260a 및 260b)는 직렬 전송 방식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병렬 방식으로 변환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구성 요소(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 등)가 포함한다.
즉, 데이터의 송수신 여부와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 과정 여부에 따라 직렬 변환부(250a, 250b 및 250c)와 병렬 환원부(260a 및 260b)는 각각의 구성 요소에 선택적으로 포함되어 휴대 단말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가 구성된다.
그러므로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여 전송하기만 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시 수신한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지는 않는 이미지 센서부(200)와 기저칩부(220)에는 직렬 변환부(250a 또는 250c)만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타 구성 요소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연산 처리하거나 그러한 필요가 있는 경우라면 병렬 변환부(260)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마찬가지로, 연산 처리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230)의 표시부(미도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230)는 병렬 환원부(260b)만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는 이미지 센서부(200)에서 원시 데이터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수신한 원시 데이터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등의 연산 처리 과정도 수행하므로 직렬 변환부(250b)와 병렬 변환부(260a)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특별한 데이터의 처리 프로세스가 존재하지 않고 단순히 처리된 데이터를 일정한 영역에 저장하는 메모리(240)부와의 데이터 전송 선로는 종전과 같이 병렬 방식의 데이터 전송 선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메모리부(240)에 직렬 변환부(250d)와 병렬 환원부(260d)를 더 포함하여 메모리부(240)가 다른 구성 요소 특히 메모리부(240)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독 출할 수 있는 기저칩부(220) 또는 멀티미디어컨트롤 프로세서부(22)와 데이터를 직렬로 송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메모리부(240)도 다른 구성 요소간에 데이터의 직렬 송수신이 수행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 메모리부(240)에 직렬 변환부(250d)와 병렬 환원부(260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240)에 직렬 변환부(250d)와 병렬 환원부(260d)를 더 포함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직렬 변환부(250b)에서 직렬 비트로 배치되어 메모리부(240)에 직렬 방식으로 전송된다.
직렬 방식으로 전송된 데이터는 메모리부(240)의 병렬 환원부(260d)에서 병렬 비트로 배치되어 저장 영역에 저장된다. 병렬 환원부(260d)는 메모리부(240) 내의 구성 요소로서, 예를 들어 외부 구성 요소와의 인터페이스 등을 담당하는 내부 제어기(internal controller)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경우, 메모리부(240)로부터의 데이터 독출은 기저칩부(220)가 수행하여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로 전송하거나 기저칩부(22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가 메모리부(240)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
기저칩부(220)가 메모리부(240)에서 데이터를 독출하는 경우 메모리부(240)의 직렬 변환부(250d)는 병렬 비트로 배치된 데이터를 직렬 비트로 배치하고 기저칩부(220)로 데이터를 직렬 전송한다.
기저칩부(220)는 수신한 직렬 비트로 배치된 데이터를 직접 처리하지 않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로 변환 과정 없이 직렬 방식으로 전송한다.
그러나 기저칩부(220)에서 메모리부에서 독출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 직렬 비트로 배치된 데이터를 기저칩부(220)의 병렬 환원부(260c)에서 병렬 비트로 배치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기저칩부(220)가 메모리부(240)에서 독출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는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에서의 처리 과정이 필요없는 경우로 예를 들면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되는 문자 정보 등의 정보일 수 있다.
반면 기저칩부(22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가 메모리부(240)에서 데이터를 독출하는 경우 메모리부(240)의 직렬 변환부(250d)는 병렬 비트로 배치된 데이터를 직렬 비트로 배치하고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로 데이터를 직렬 전송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저칩부(220) 내의 직렬 변환부(250c)와 디스플레이부(230) 내의 병렬 환원부(260b)가 표시될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상호 결합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직렬 변환부(250a, 250b, 250c 및 250d)와 병렬 환원부(260a, 260b, 260c 및 260d)는 n비트로 구성된 데이터를 직렬에서 병렬 또는 병렬에서 직렬로 배치하는 구성 요소이다.
따라서 n비트로 구성된 데이터를 직렬 또는 병렬로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 으면 직렬/병렬(serial to parallel) 또는 병렬/직렬(parallel to serial) 변환 회로이거나 별도의 장치 또는 프로그램 등에 한정되지 않고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병렬 처리되는 데이터를 직렬 비트로 배치하는 이러한 데이터의 직렬 변환부에서의 데이터의 흐름을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직렬 변환부를 중심으로 하는 데이터의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 변환부로 인입되는 데이터가 M 비트로 직렬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M비트로 가정한다. 인입되는 데이터의 양인 M비트는 다수의 전송 선로로 인입되므로 하나의 전송 선로로 출력되는 데이터의 양인 N비트보다 작다. 따라서 인입되는 데이터의 양보다 출력되는 데이터의 양이 작으므로 전송 속도는 늦어지게 되지만 전송 선로는 단순해진다.
예를 들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입되는 병렬 비트의 데이터의 처리 속도를 A라고 가정하면 출력되는 직렬 비트의 데이터 처리 속도는 (M/N)*A로 M<N이므로 (M/N)<1이 되어 종래의 전송속도 A에 비해 전송속도는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인입되는 데이터가 병렬 비트인 경우 전송선로가 증가하지만 직렬 비트인 경우 전송선로는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의 직렬 전송 방식에 의하면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감소하지만 휴대 단말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간의 데이터 전송선로가 줄어들어 휴대 단말의 구성(예를 들면 칩의 핀 수 등)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직렬 전송 방법에서 데이터가 처리되는 순서와 흐름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휴대 단말이 preview 모드인 경우 데이터 흐름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preview 모드란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피사체를 촬상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촬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확인하는 경우를 말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가 피사체를 촬상하면 카메라를 통해 인입된 빛 신호는 이미지 센서부(200)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원시 데이터를 생성한다(S300).
생성된 원시 데이터는 이미지 센서부(200)에서 병렬 방식으로 연산 처리되어 생성되므로 병렬 비트로 배치된다.
병렬 비트로 배치된 원시 데이터는 이미지 센서부(200)에 포함된 직렬 변환부(250a)에서 직렬 비트로 배치된다(S302). 이미지 센서부(200)는 직렬 비트로 배치된 원시 데이터를 직렬 전송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로 전송한다(S304).
직렬 비트로 배치된 원시 데이터를 수신한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는 원시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에 포함된 병렬 환원부(260a)에서 다시 병렬 비트로 환원하여 배치한다(S306).
병렬 비트로 환원 배치된 원시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에서 디스플레이부(230)의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할 수 있는 예를 들어 YUV와 같은 형식으로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S308).
YUV는 색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YUV방식은 사람의 눈이 색상보다는 밝기에 민감하다는 사실에 착안한 방식이다. 색을 밝기(Luminance)인 Y성분과 색상(Chrominance)인 U와 V성분으로 구분한다. Y성분은 오차에 민감하므로 색상 성분인 U와 V보다 많은 비트를 인코딩하는 방식이다.
원시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에서의 병렬 방식으로 연산 처리되어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는 병렬 방식으로 연산 처리되어 생성되므로 병렬 비트로 배치된다.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의 직렬 변환부는 병렬 비트로 배치된 이미지 데이터를 직렬 비트로 배치한다(S310).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는 직렬로 배치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30)로 직렬 전송 방식으로 전송한다(S312).
직렬 비트로 배치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 디스플레이부(230)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30)에 포함된 병렬 환원부(260b)에서 다시 병렬 비트로 환원하여 배치한다(S314).
병렬 비트로 배치된 이미지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230)에서 디스플레이부(230)의 표시부(미도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병렬 방식의 연산 처리 과정을 거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210)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S316).
다음으로 휴대 단말에서 이미지를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부(240)에 저장하는 경우의 데이터 흐름을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이 capture 모드인 경우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에 장착된 카메라(미도시)가 피사체를 촬상하면 카메라를 통해 인입된 빛 신호는 이미지 센서부(200)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원시 데이터를 생성한다(S400).
생성된 원시 데이터는 이미지 센서부(200)에서 병렬 방식으로 연산 처리되어 생성되므로 병렬 비트로 배치된다.
병렬 비트로 배치된 원시 데이터는 이미지 센서부(200)에 포함된 직렬 변환부(250ㅁ)에서 직렬 비트로 배치된다(S402). 이미지 센서부(200)는 직렬 비트로 배치된 원시 데이터를 직렬 전송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로 전송한다(S404).
직렬 비트로 배치된 원시 데이터를 수신한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는 원시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에 포함된 병렬 환원부(260a)에서 다시 병렬 비트로 환원하여 배치한다(S406).
병렬 비트로 환원 배치된 원시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에서 메모리부(240)에 저장할 수 있는 예를 들어 JPEG와 같은 형식으로 이미지 데 이터를 생성한다(S408).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는 사진과 같은 정지화상 정보를 통신하기 위하여 압축하는 기술의 표준으로 이미지를 만드는 사람이 이미지의 질과 파일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데이터 포맷이다.
전술한 YVG와 JPEG 등의 데이터의 형식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의 형식을 예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JPEG 등의 형식으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는 병렬 방식의 연산 처리에 의해 생성되었으므로 병렬 비트로 배치된다.
병렬 비트로 배치된 이미지 데이터는 병렬 방식으로 메모리부의 일정 영역에 전송되어 저장된다(S410).
휴대 단말의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경우 데이터 흐름에 대해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휴대 단말의 메모리부(2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와 기저칩부(220)에 모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 또는 기저칩부(220)에서 모두 독출이 가능하다. 즉, 기저칩부(220)에서는 제어 신호만을 생성하고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가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240)에서 해당 데이터를 독출하거나, 기저칩부(220)가 메모리부(240)에서 해당 데이터를 독출하고 해당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 (21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전자의 경우 데이터의 흐름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 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의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가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경우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가 독출하는 경우, 기저칩부(220)에서 제어 신호만을 생성하고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는 제어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240)의 해당 데이터가 저장된 영역에서 데이터를 독출한다(S500).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데이터는 도 4의 설명에서와 같이 JPEG 등의 형식으로 생성되어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는 JPEG 등의 형식의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30)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YUV와 같은 데이터 형식으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S502).
이 과정에서 메모리부(240)로부터 독출한 데이터는 병렬 비트로 배치되므로 독출된 데이터를 병렬 비트로 변환하는 과정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데이터를 변환하는 디코딩 작업이 완료된 변환 데이터는 병렬 방식의 연산 처리과정에 의해 생성되었으므로 병렬비트로 배치된다.
병렬 비트로 배치된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의 직렬 변환부(250b)에서 직렬 비트로 변환되어 배치된다(S504).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는 직렬로 배치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30)로 직렬 전송 방식으로 전송한다(S506).
직렬 비트로 배치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 디스플레이부(230)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30)에 포함된 병렬 환원부(260b)에서 다시 병렬 비트로 환원하여 배치한다(S508).
병렬 비트로 배치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230)에서 디스플레이(230)의 표시부(미도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병렬 방식의 연산 처리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210)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S510).
기저칩부(220)가 메모리부(240)에서 해당 데이터를 독출하고 해당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로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의 흐름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살펴 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의 기저칩부(220)가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경우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기저칩부(220)가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면(S600), 독출된 데이터는 병렬 비트로 배치되고 기저칩부(220)의 직렬 변환부(250c)는 독출된 데이터를 병렬 비트로 변환하여 배치한다(S602).
기저칩부(220)는 직렬 비트로 배치된 데이터를 직렬 전송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로 전송한다(S604).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는 수신한 직렬 비트로 배치된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의 병렬 환원부(250b)에서 병렬 비트로 환원 배치되고(S606),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는 병렬 비트로 배치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30)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YUV와 같은 데이터 형식으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S608).
따라서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는 디코딩 작업은 병렬 방식의 연산 처리에 의해 수행되므로 디코딩된 데이터는 병렬 비트로 배치된다.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의 직렬변환부(250b)는 디코딩되어 병렬 비트로 배치된 데이터를 직렬 비트로 변환하여 배치한다(S610).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는 직렬 비트로 배치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30)로 직렬 전송 방식으로 전송한다(S612 ).
직렬 비트로 배치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 디스플레이부(230)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30)에 포함된 병렬 환원부(260b)에서 다시 병렬 비트로 환원하여 배치한다(S614).
병렬 비트로 배치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230)에서 디스플레이부(210)의 표시부(미도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병렬 방식의 연산 처리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230)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S616).
도 6에서는 기저칩부(22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에서 연산 처리하는 과정이 있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나 기저칩부(22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에서 연산 처리하는 과정없이 디스플레이부(230)로 전송하는 bypass 모드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이 bypass 모드인 경우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칩부(220)가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면(S700), 독출된 데이터는 병렬 비트로 배치되고 기저칩부(220)의 직렬 변환부(250c)는 독출된 데이터를 직렬 비트로 변환하여 배치한다(S702).
직렬 비트로 배치된 데이터를 수신한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부(210)는 아무런 데이터 처리 과정없이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210)와 디스플레이부(230)와의 직렬 방식의 데이터 전송 선로를 통해 직렬 방식으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30)로 전송한다(S704).
직렬 비트로 배치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 디스플레이부(230)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30)에 포함된 병렬 환원부(250c)에서 다시 병렬 비트로 환원하여 배치한다(S706).
병렬 비트로 배치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230)에서 디스플레이부(230)의 표시부(미도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병렬 방식의 연산 처리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30)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S708).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에 의하면 특별한 연산 처리 과정을 가지지 않고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40)와의 데이터 전송 선로를 제외하고는 각 구성 요소간의 데이터 전송은 직렬 전송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각 구성 요소에서의 데이터의 연산 처리는 종래와 같이 병렬 방식의 연산 처리에 의하므로 데이터의 처리 속도는 종전과 같지만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전송 경로는 단순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직렬 전송 방법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 속도는 빠르면서도 각 구성 요소간의 데이터 연결선이 줄어들어 휴대 단말을 소형화할 수 있고, 데이터 연결선이 줄어들어 간섭이나 EMI 등과 같은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들간의 데이터 연결선을 줄여 구성 요소별로 반도체 칩을 제작할 때에도 칩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반도체 칩의 핀수도 줄어들어 패키지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휴대 단말에 있어서,
    촬상된 피사체에 상응하는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생성하여 직렬 전송 방식으로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부; 및
    상기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직렬 전송 방식으로 입력된 상기 원시 데이터를 병렬 비트 배치로 변환하고, 병렬 비트 배치로 변환된 상기 원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직렬 전송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직렬 전송 방식으로 입력되어 병렬 비트 배치로 변환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상응하는 인코딩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는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데이터를 직렬 전송 방식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상응하는 인코딩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독출하여 직렬 전송 방식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부로 전송하는 기저칩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로부터의 데이터 저장 및 독출은 병렬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6. 이미지 센서 및 기저칩부에 각각 결합되는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기저칩부 각각에 대하여 직렬 전송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는 메모리부와 더 결합되며, 상기 메모리부로부터의 데이터 저장 및 독출은 병렬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는 메모리부와 더 결합되며, 상기 메모리부로부터의 데이터 저장 및 독출은 직렬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트롤 프로세서.
  9.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에서의 데이터 연산은 병렬 방식으로 수행하되, 상기 각각의 구성 요소들간의 데이터 전송은 직렬 방식으로 전송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 중 메모리부로의 데이터 저장 및 독출은 병렬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 중 메모리부로의 데이터 저장 및 독출은 직렬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060027120A 2006-03-24 2006-03-24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직렬 전송 방법 KR100694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120A KR100694670B1 (ko) 2006-03-24 2006-03-24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직렬 전송 방법
PCT/KR2007/001414 WO2007111440A1 (en) 2006-03-24 2007-03-22 Portable device and serial interfac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120A KR100694670B1 (ko) 2006-03-24 2006-03-24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직렬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4670B1 true KR100694670B1 (ko) 2007-03-14

Family

ID=38103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120A KR100694670B1 (ko) 2006-03-24 2006-03-24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직렬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94670B1 (ko)
WO (1) WO20071114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671B1 (ko) * 2007-04-27 2008-12-18 엠텍비젼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075A (ko) * 2001-12-05 2003-06-1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
US20040235413A1 (en) * 2003-01-21 2004-11-25 Min Dong Uk Mobile terminal having image processing function and method therefor
KR100994343B1 (ko) * 2003-04-29 201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직렬신호 전송장치 및 방법
KR100537549B1 (ko) * 2003-06-17 2005-12-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데이터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671B1 (ko) * 2007-04-27 2008-12-18 엠텍비젼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11440A1 (en)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4022B2 (en) Camera system,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camera apparatus
US8269899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responding to message, and program
US6784941B1 (en) Digital camera with video input
US8237980B2 (en) Serial interfac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60092835A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wo separate terminals and method thereof
JP2004215238A (ja) 移動通信端末機の映像オーバーレイ装置
JP2000333081A (ja) シリアルデータ伝送機能付cmosセンサユニット、それを用いた撮像ユニット及び画像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US2009004136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Reducing JPEG Image Capturing Time And JPEG Image Capturing Method Performed By Using Same
JP2001282714A (ja) マルチカメラデータ転送方式及びデータ転送方式
US8180398B2 (en) Multimedia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CN101690173B (zh) 用于没有时间延迟地显示所捕获的图像的图像处理设备和方法
US7818484B2 (en) Multimedia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20220272208A1 (en) Transmitter, receiver,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770835B1 (ko)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953017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050043057A1 (en) Transferring device for transmitting images captured by a digital camera to a mobile phone
KR100694670B1 (ko)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데이터 직렬 전송 방법
CN111491100B (zh) 一种在嵌入式平台降低图像处理功耗的方法
US7215367B2 (en) Image data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displaying an original image of an object
KR100827680B1 (ko) 썸네일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EP1798964A1 (en) Image sensor coprocessor
US7656433B2 (en) Web camera
US20190325842A1 (en) Display adaptor device for wearable device
CN114297110B (zh) Mipi信号解码方法、装置及其芯片
KR200246472Y1 (ko)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