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419B1 - Method for high grossy painting using color primer mixture - Google Patents

Method for high grossy painting using color primer mix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419B1
KR100694419B1 KR1020050095034A KR20050095034A KR100694419B1 KR 100694419 B1 KR100694419 B1 KR 100694419B1 KR 1020050095034 A KR1020050095034 A KR 1020050095034A KR 20050095034 A KR20050095034 A KR 20050095034A KR 100694419 B1 KR100694419 B1 KR 100694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layer
primer
pigment
color pr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0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현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5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4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4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05D5/061Special surface effect
    • B05D5/063Reflective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A high gloss painting method using color primer is provided to shorten the process time by 120 minutes, to improve the yield rate by 11.5%, and to decrease the cross-cutting defective rate by improving painting strength characteristic. The high gloss painting method using color primer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primer layer(210) on the surface of a material; forming a color primer layer(220) by using a color primer mixture produced by mixing resin, an additive, and a pigment at the predetermined ratio; and forming a clear layer(230) for securing high gloss, on the color primer layer. A value obtained by a strength test by changing the mixing ratio of components forming the color primer mixture is applied to the mixing ratio of the resin, the additive, and the pigment.

Description

컬러 프라이머를 이용한 고광택 도장 방법{Method for high grossy painting using color primer mixture}Method for high grossy painting using color primer mixture

도 1은 종래의 방법에 따른 고광택 도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high gloss coating metho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프라이머를 이용한 고광택 도장 방법에 따라 형성된 도막층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ating layer formed according to a high gloss coating method using a color pri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프라이머를 이용한 고광택 도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igh gloss coating method using a color pri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는 도장공정에서 건조온도와 시간,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구성하는 레진과 첨가재와 안료의 배합 비율에 따른 도장 강도 측정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Figures 4a to 4c is a view showing the coating strength measurement results according to the drying temperature and time in the coating process, the mixing ratio of the resin and the additive and pigment constituting the color primer mixture

도 5는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구성하는 레진과 첨가제와 안료의 각각의 배합 비율에 따른 도장 강도를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the coating strength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of the resin, the additive and the pigment constituting the color primer mixture

도 6은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 각각의 구성요소별 혼합비에 따른 도장 강도를 나타낸 도면6 is a view showing the coating strength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of each component of the color primer mixture

<도면의 주요 구성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Components of Drawings>

200: 케이스 소재 210: 프라이머 층200: case material 210: primer layer

220: 컬러 층 230: 클리어 층 220: color layer 230: clear layer

본 발명은 컬러 프라이머를 이용한 고광택 도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gloss coating method using a color primer.

일반적으로 냉장고나 세탁기와 같은 가전기기,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 탑 컴퓨터 등의 정보 통신 제품 등의 전자기기 케이스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소재의 경우 외관 디자인의 미감 향상 및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표면에 도장을 하게 되며, 원하는 색상 구현을 위해 적합한 색상을 나타낼 수 있도록 도장 공정 중에 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In general, materials used for electronics cases, such as home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and washing machines, and telecommunications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laptop computers, and desktop computers, may be applied to surfaces for improved aesthetic appearance and protection from external shocks. The coating is performed, and the pigment is mixed and used during the painting process so as to display a suitable color for the desired color.

도 1은 종래의 방법에 따른 고광택 도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igh gloss coating metho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방법에 따른 고광택 도장 방법에서는, 소재 상에 2개의 층으로된 프라이머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110)와, 상기 프라이머 층 위에 컬러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120)와, 상기 컬러 층 위에 고광택을 위한 클리어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130) 및 형성된 도막층을 연마시키는 단계(S140)를 수행하여 도장을 실시한다.Referring to Figure 1, in the high gloss co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forming a primer layer of two layers on the material (S110), and forming a color layer on the primer layer (S120), Coating is performed by forming a clear layer for high gloss on the color layer (S130) and polishing the formed coating layer (S140).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소재 표면의 고광택 도장을 위해서는 마그네슘(Mg) 재질의 소재에 부착성 향상 및 부식 방지를 위해 기저 프라이머(Primer) 층을 도포한 후(S111) 이를 건조시킨다(S112).In more detail, first, for high gloss coating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a base primer (Primer) layer is applied to the magnesium (Mg) material to improve adhesion and to prevent corrosion (S111), and then dry it (S112).

이후, 기저 프라이머 층이 건조된 후 프라이머 층 상에 잔존하는 이물 등의 제거를 위하여 표면가공을 수행한다(S113).Thereafter, after the base primer layer is dried, surface processing is perform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etc. remaining on the primer layer (S113).

상기 과정에 따라 이물 등이 제거된 상기 프라이머 층 위에 또 다른 프라이머 층을 다시 도포한 후(S114), 건조시키는 공정을 다시 반복하여 수행한다(S115).After re-coating another primer layer on the primer layer in which foreign matters are removed 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 (S114), the drying process is repeated again (S115).

이후, 외관 색상 구현을 위하여 안료가 포함된 컬러 층을 도포한 후(S121) 건조시킨다(S122).Then, after applying a color layer containing a pigment to implement the appearance color (S121) and dried (S122).

건조된 컬러 층 표면상에 소재 표면의 외관에 미감 형성을 위한 추가 외관 작업으로서 분말 입자 등을 도포시키는 펄 클리어(Pearl Clear) 층을 도포시킨 후(S131) 건조시킨다(S132).As a further appearance work for forming aesthetics on the appearance of the material surface on the dried color layer surface, a pearl clear layer is applied (S131) and then dried (S132).

상기 건조 공정 후 표면 광택(Glossy)을 향상시키기 위한 클리어(Clear) 층을 추가로 도포시킨 후(S133) 건조시킨다(S134).After the drying process is further coated with a clear layer for improving the surface gloss (Glossy) (S133) and then dried (S134).

이 후 연마(Polishing) 공정을 수행함으로써(S140) 소재 표면의 외관 작업으로서의 도장 공정을 마무리한다.Thereafter, by performing a polishing process (S140), the coating process as an appearance work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is finished.

상기와 같이 수행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품 케이스 도장 공정의 경우, 각각의 도막층 형성 단계에서는 도막층 형성을 위한 각각의 물질 도포 공정과 도포된 물질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공정이 수행됨에 따라, 도장 공정 전체로 볼 때 도장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여러 차례의 도막 물질 형성 및 건조 과정에 따라 도막 층 간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도막층 전체적인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product case coa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rried out as described above, in each coating layer forming step, as each of the material coating process for forming the coating layer and the drying process for drying the applied material is performed, the coating process As a who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ime required for painting becomes long, and the stability between coating layers decreases due to the formation and drying process of the coating film material several times, thereby lowering the overall strength of the coating layer.

본 발명은 공정 수율을 향상시켜 원가절감 및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컬러 프라이머를 이용한 고광택 도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 gloss coating method using color primers that can improve process yield and reduce cost and product productivity.

또한, 본 발명은 크로스 컷팅 불량률을 저감시켜 원가절감 및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컬러 프라이머를 이용한 고광택 도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 gloss coating method using a color primer that can reduce the cross-cut defect rate to improve cost reduction and product productivity.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에 따른 컬러 프라이머를 이용한 고광택 도장 방법은, 소재 표면상에 프라이머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레진과 첨가제와 안료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된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이용하여 컬러 프라이머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 층 위에 고광택을 위한 클리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igh gloss coating method using the color pri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y forming a primer layer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using a color primer mixture of a resin, an additive and a pigment in a predetermined ratio Forming a color primer layer, and forming a clear layer for high gloss on the color primer mixture layer.

상기 레진과 첨가제와 안료가 혼합되는 소정의 비율은,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의 혼합비를 달리한 강도실험에 의해 구해진 값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determined ratio in which the resin, the additive, and the pigment are mixed is characterized in that a value obtained by a strength test in which the mixing ratio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lor primer mixture is applied is applied.

상기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은 레진 : 첨가제: 안료 = 46 : 12 : 40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or primer mix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xing ratio of resin: additive: pigment = 46: 12: 40.

상기 안료는 무채색 계통의 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g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gment of achromatic color system.

상기 클리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컬러 프라이머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후 펄 클리어 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efore the step of forming the clear layer, after the step of forming the color primer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applying a pearl clear layer furth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레진과 첨가제와 안료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된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도포하여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 층을 형성함으로써,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건조 공정을 거친 후 다시 외관 색상 처리를 위한 컬러 층을 형성하는 종래 방법에 따르는 경우보다 크로스 컷팅 불량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음과 동시에 도장 공정 수를 줄여 도장 공정에서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by applying a color primer mixture mixed with a resin and an additive and a pigment in a predetermined ratio to form a color primer mixture layer, after applying the primer, after the drying process, the exterior color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forming a color layer for the cross-cutting defect rate can be significantly lowered,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painting process can be improved the yield in the painting proces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프라이머를 이용한 고광택 도장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high gloss coating method using a color pri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종래 기술에 따른 도장 방법에서 도장 공정 수를 줄이기 위하여, 먼저 종래 도장 공정에서 별개로 형성시키는 클리어(Clear) 층과 펄 클리어(Pearl Clear) 층의 재료를 혼합하여 동시에 도포시키는 방법으로 도장 공정을 수행하는 테스트를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상기 클리어(Clear) 층 재료는 입자가 작으므로 마지막 연마(Polishing) 공정 후 입자가 깍이는 현상에 따라서 외관 불량이 발생함에 따라 요구되는 스펙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painting processes in the co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coating process is first performed by mixing and applying the materials of a clear layer and a pearl clear layer which are formed separately in the conventional painting process. Was tested.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clear layer material is small in size, it does not satisfy the required specification as appearance defects occur due to the chipping after the last polishing process.

한편, 펄 클리어(Pearl Clear) 층과 컬러(Color) 층의 재료를 혼합하여 도장 테스트를 수행한 경우에도 역시 외관 디자인에 요구되는 스펙을 만족시킬 수 없었다. 이는 펄 클리어 층 구성 입자가 컬러 층 재료에 묻히게 됨에 따라 나타나는 결과였다. 더구나 무채색의 경우에는 명도만이 존재함으로써 요구되는 스펙에서 더욱 벗어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paint test was performed by mixing materials of the Pearl Clear layer and the Color layer, the specification required for the exterior design could not be satisfied. This was the result of the pearl clear layer constituent particles buried in the color layer material. Moreover, in the case of achromatic color, only brightness is present, which results in a deviation from the required specification.

최종적으로 프라이머 층과 컬러 층의 재료를 혼합한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사용하여 도장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디자인이 요구하는 색상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혼합물 실험을 통하여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 구성 요소들의 최적의 배합비를 도출하고, 도출된 배합비에 따라 혼합된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Finally, the coating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color primer mixture in which the materials of the primer layer and the color layer were mixed, and the results satisfying the color required by the design were obtained. This is possible by experimenting with mixtures to derive the optimum blending ratio of the color primer mixture components and using the mixed color primer mixture according to the derived blending ratio.

이하에서 상기 프라이머 층과 컬러 층 재료를 혼합한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프라이머를 이용한 도장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ating method using the color pri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ed using the color primer mixture in which the primer layer and the color layer material are mix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프라이머를 이용한 고광택 도장 방법에 따라 형성된 도막층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프라이머를 이용한 고광택 도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ating layer formed according to a high gloss coating method using a color pri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igh gloss coating method using a color pri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프라이머를 이용한 고광택 도장 방법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소재(200) 상에 프라이머 층(210)을 형성시키는 단계(S310)와, 레진과 첨가제와 안료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된 컬러 프라이머 층(220)을 형성시키는 단계(S320)와, 상기 컬러 프라이머 층(220) 위에 고광택을 위한 클리어 층(230)을 형성시키는 단계(S330) 및 형성된 도막층을 연마시키는 단계(S340)를 수행함으로써 달성된다.In the high gloss coating method using the color pri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2 and 3, a step (S310) of forming the primer layer 210 on the material 200, and a resin, an additive, and a pigment are prescribed. Forming a mixed color primer layer 220 at a ratio (S320), forming a clear layer 230 for high gloss on the color primer layer 220 (S330), and polishing the formed coating layer. It is achieved by performing (S340).

상기 각각의 단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Each of these step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케이스 소재(200) 상에 소재에 대한 도막층의 부착성 향상 및 소재의 부식 방지를 위해 프라이머 층(210)을 도포한다(S311). 상기 프라이머 층(210)은 약 20㎛ 정도의 두께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First, the primer layer 210 is coated on the case material 200 to improve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to the material and to prevent corrosion of the material (S311). The primer layer 210 is preferably formed to a thickness of about 20㎛.

이후 상기 도포된 프라이머 층(210)을 약 75 ℃의 온도 조건에서 30분 정도 건조시킨 후(S312), 프라이머 층의 표면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표면가공 처리를 수행한다(S313).Thereafter, the coated primer layer 210 is dried at a temperature of about 75 ° C. for about 30 minutes (S312), and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primer layer (S313).

상기 공정에 따라 프라이머 층(210)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되면, 소재 표면에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레진과 첨가제와 안료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시킨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도포하여 컬러 프라이머 층(220)을 형성한다(S321). 상기 컬러 프라이머 층(320) 역시 평균 20㎛ 정도의 두께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When the foreign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primer layer 210 is removed 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 the color primer layer 220 is formed by applying a color primer mixture obtained by mixing a resin, an additive, and a pigment in a predetermined ratio to realize color on the material surface. (S321). The color primer layer 320 is also preferably formed to a thickness of about 20㎛ average.

이후 상기 도포된 컬러 프라이머 층(220)을 약 75 ℃의 온도 조건에서 약 30분 정도 건조시킨다(S322).Then, the applied color primer layer 220 is dried for about 30 minutes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about 75 ℃ (S322).

종래의 방법에 따르는 경우 표면가공 처리된 기저 프라이머 층위에 또 다른 프라이머 층을 추가로 도포한 후 안료가 포함된 컬러 층을 도포하는 반면에, 본원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프라이머 층(210) 상에 레진과 첨가제와 안료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시킨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도포함으로써 컬러 프라이머 층(220)을 단일 공정으로 형성시키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another primer layer is further applied on the surface-treated base primer layer, and then a color layer containing pigment is applied, whereas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sin layer is applied on the primer layer 210. The color primer layer 220 is formed in a single process by applying a color primer mixture in which the additive and the pigment are mixed in a predetermined ratio.

이와 같이 프라이머 층과 컬러 층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레진과 첨가제와 안료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동시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소재의 외관 디자인에 요구되는 색상 및 도장 강도 등이 충족될 수 있도록 상기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구성하는 레진과 첨가제와 안료의 배합 비율 및 도포 및 건조시의 공정 조건을 최적으로 유지시켜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하기로 한다.As such, when the resin layer, the additive layer, and the pigment layer are simultaneously formed using a mixture of resins, additives, and pigments in a predetermined ratio, the color and paint strength required for the exterior design of the material may be satisfied. The mixing ratio of the resin, the additive and the pigment constituting the color primer mixture and the process conditions during application and drying should be maintained optimally.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건조공정(S322) 이후, 건조된 컬러 프라이머 층(220) 표면상에 시각적 특성 및 광택을 부여하기 위한 추가의 외관 작업을 수행한다(S320).After the drying process (S322), an additional appearance work for imparting visual characteristics and gloss on the surface of the dried color primer layer 220 is performed (S320).

이를 위해 먼저 반짝이는 분말 입자층을 추가시키기 위해 펄 클리어(Pearl Clear) 층을 도포한다(S331). 상기 펄 클리어 층은 필요에 따라서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펄 클리어(Pearl Clear) 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약 20㎛ 정도의 두께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도포된 펄 클리어 층은 약 75 ℃의 온도 조건에서 약 30분 정도 건조시킨다(S332).To this end, in order to add a layer of glittering powder particles, a pearl clear layer is applied (S331). The pearl clear layer may be omitted as necessary. In the case of forming the pearl clear layer, it is preferable to form a thickness of about 20 μm. In this case, the coated pearl clear layer is dried for about 30 minutes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about 75 ℃ (S332).

상기 건조 공정 (S332) 이후, 표면 광택(Glossy)을 향상시키기 위한 클리어(Clear) 층(230)을 도포한다(S333). 상기 클리어 층(230)은 약 50㎛ 정도의 두께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후 상기 도포된 클리어 층(230)을 약 75 ℃의 온도 조건에서 약 60분 정도 건조시킨다(S334).After the drying process (S332), to apply a clear layer 230 to improve the surface gloss (Glossy) (S333). The clear layer 230 is preferably formed to a thickness of about 50㎛. Thereafter, the coated clear layer 230 is dried for about 60 minutes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about 75 ℃ (S334).

실버 도장이 수행된 케이스의 경우 광택 지수가 20 내지 25를 나타내는 것에 비해, 상기 클리어 층(230)을 형성함으로써 광택 지수 100 이상의 고광택(High Grossy)을 나타내게 된다.In the case where the silver coating is performed, the gloss index is 20 to 25, whereas the clear layer 230 forms high glossiness of 100 or more.

상기 클리어 층(230)을 형성한 후에 연마(Polishing) 공정(S340)을 수행함으로써 소재 표면의 외관 작업으로서의 도장 공정이 마무리된다.After the clear layer 230 is formed, a polishing process S340 is performed to finish the painting process as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material surface.

상기와 같이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프라이머를 이용한 고광택 도장 방법에서는 프라이머 층 재료와 컬러 층 재료가 최적의 비율로 혼합되어야 하는데, 이하에서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의 적정 조성비를 구하기 위한 실험 방법 및 그 결과를 설명한다.In the high gloss coating method using the color pri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rried out as described above, the primer layer material and the color layer material should be mixed at an optimal ratio. Hereinafter, an experimental method and results of obtaining an appropriate composition ratio of the color primer mixture will be described. Explain.

일반적으로 마그네슘(Mg) 소재를 전자기기 등의 배면 케이스 소재로 사용하기 위해 도장하는 경우, 도장 작업 환경 변수로서 환경온도 및 습도 등은 조절이 불가능한 인자로서 외부 노이즈(Noise) 요인으로 분류되고, 건조시간, 건조온도 등은 도장 품질을 결정지을 수 있는 조절 가능한 인자로서 작업 조건으로서 설정가능한 작업 변수에 해당된다.In general, when magnesium (Mg) material is applied for use as a back case material such as an electronic device, environmental temperature and humidity, etc., as a coating work environment variable are classified as external noise factors as non-adjustable factors and dried. The time, drying temperature and the like correspond to a work variable that can be set as a work condition as an adjustable factor that can determine the paint quality.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설정가능한 작업 변수와 함께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구성하는 레진과 첨가제와 안료의 배합 비율을 변화시켜가며 최적의 배합 비율을 탐색하는 도장 테스트를 실시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도장 공정 시간 단축과 함께 최적의 도장 강도를 나타낼 수 있는 도장 공정 조건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mixing ratio of the resin, the additive and the pigment constituting the color primer mixture together with the above settable working parameters, the coating test is performed to search for the optimum mixing ratio and to reduce the overall coating process time and to achieve optimal coating. It was made to calculate the coating process conditions which can show intensity | strength.

도 4a 내지 도 4c는 도장공정에서 건조온도와 시간,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구성하는 레진과 첨가재와 안료의 배합 비율에 따른 도장 강도 측정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s 4a to 4c is a view showing the test results of the coating strength according to the drying temperature and time, the mixing ratio of the resin and the additive and the pigment constituting the color primer mixture in the coating process.

도장 강도 측정을 위한 실험으로서 도장 강도 측정은 크로스 컷팅 테이프 테스트(Cross sutting tape test)에 의하고 그 측정된 결과를 y축으로 나타내었다. 즉, 케이스 소재의 도장 표면에 가로 및 세로 각각 2mm 씩의 흠집을 생성시킨 후 테이프를 해당 흠집 영역에 부착시킨 후 떼어낼 때 해당 흠집 부분이 고착 상태를 유지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불량인 영역의 면적 값을 Y로 나타낸다. 따라서 측정된 Y 값이 적을수록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낸다.As an experiment for measuring the coating strength, the coating strength measurement was performed by a cross sutting tape test, and the measured result is represented by the y-axis. That is, after creating a scratch of 2 mm width and length, respectively, on the surface of the case material and attaching the tape to the scratch area, it is judged whether the scratch portion is fixed or not when it is detached. The area value is represented by Y. Therefore, the smaller the measured Y value, the more preferable the result.

실험 방법으로는 7가지 측정 조건을 설정하여 각각의 측정조건 당 5회의 실험 결과를 측정토록 하였다.As an experimental method, seven measurement conditions were set to measure five experiment results for each measurement condition.

공정 환경 변수로서 건조시간 및 건조 온도를 독립 변수로 하고, 건조시간에 대해서는 15분/90 분, 건조온도에 대해서는 70℃/90℃ 내의 일정 구간 값을 적용하였다. 또한 안료 혼합물을 구성하는 레진과 첨가제와 안료가 혼합물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또 다른 독립변수로써 설정하고 상기 각각의 비율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도장막에 대해 도장막 강도를 측정하였다.Drying time and drying temperature were independent variables as process environment variables, and a predetermined section value within 15 minutes / 90 minutes for drying time and 70 ° C / 90 ° C for drying temperature was applied.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resin, the additive, and the pigment constituting the pigment mixture in the mixture was set as another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coating film strength was measured for the coating film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ratio.

공정환경에서의 온도 및 습도는 노이즈(Noise) 요인으로 하여 무시하였다.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process environment were ignored as noise factors.

한편, 최적의 공정 조건 도출을 위하여 크롬 코팅(Choromate coating) 부분은 완전히 배제한 크롬 코팅 완전 박리 상태에서의 조건을 유지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erive the optimal process conditions, the chromium coating (Choromate coating) portion was maintained in the chromium coating completely peeled state completely excluded.

상기 실험 결과,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건조온도와 건조시간에 따라서 성분비에 따른 반응을 확인한 결과 공정조건에 따라 큰 차이는 보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레진(RESIN)의 함량이 많을수록 강도는 높아지며, 첨가재(ADD)와 안료(ANRO)의 비율이 높아질 수록 강도는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referring to Figures 4a to 4c,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reaction according to the component ratio according to the drying temperature and drying time it can be seen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rocess conditions. However, the more the content of the resin (RESIN) the higher the strength, the higher the ratio of the additive (ADD) and the pigment (ANRO) was confirmed that the lower the strength.

즉, 도 4a 내지 도 4c 에서 가로축의 기준선(x좌표: 0.00)은 도장막이 최적의 강도를 나타낼 수 있는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구성하는 레진과 첨가제와 안료의 각각의 구성 비율을 나타낸다.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레진과 첨가제와 안료의 배합 비율을 일정 구간 내에서 변화시켜 형성한 도장막에 대해 도장막 강도 측정을 함으로써 최적의 강도를 나타낼 수 있는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의 각각의 구성요소의 조성비를 구할 수 있다.That is, the reference line (x coordinate: 0.00) of the horizontal axis in FIGS. 4a to 4c represents the respective composition ratios of the resin, the additive, and the pigment constituting the color primer mixture in which the coating film can exhibit the optimum strength. Each component of the color primer mixture capable of exhibiting optimal strength by measuring the coating film strength of the coating film formed by varying the mixing ratio of the resin, the additive, and the pigment constituting the color primer mixture within a certain period. The composition ratio of can be obtained.

도 5는 혼합물의 레진과 첨가제와 안료의 각각의 배합 비율에 따른 도장 강 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는 강도 실험에서 각각의 독립 변수 인자에 따른 도장 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coating strength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of the resin, the additive and the pigment of the mixture,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coating strength according to each independent variable factor in the strength test.

도 5를 참조하면, 도장 강도를 역으로 계량화시킨 값 Y(강도 계량 값)는 레진(RESIN)의 혼합 비율이 높은 영역에서 Y(강도 계량 값)가 적은 값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양호한 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value Y (strength metering value) quantified inversely to the paint strength indicates that Y (strength metering value) is low in a region where the mixing ratio of resin (RESIN) is high, indicating a relatively good strength. can see.

도 6에서, D는 자유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실험의 신뢰도를 나타낸 값으로 그 값이 "1"에 가까울수록 바람직한 값이다. 즉 D가 "1"인 경우는 임의의 실험 수행자에 의해 실험이 수행에 실행되더라도 이전의 실험값과 동일한 결과 값을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실험에서는 D가 0.98115로서 98% 이상의 신뢰도를 가진 실험데이터임을 알 수 있다.In FIG. 6, D is a value representing degrees of freedom, indicating reliability of an experiment, and the closer the value is to "1", the more preferable value is. That is, when D is "1", it means that even if the experiment is performed by any experiment operator, the same result value as the previous experiment value can be obtained. In this experiment, it can be seen that D is 0.98115, which is an experimental data with more than 98% reliability.

도 6를 참조하면, 공정시간(time) 및 공정온도(temp)는 각각의 변화 범위인 15.0분에서 30.0분 사이, 건조온도 70℃에서 90℃ 사이에서 공정시간 및 공정온도에 대한 조건 변화에 따라 강도 특성 변화가 별 차이가 없다.Referring to Figure 6, the process time (temp) and the process temperature (temp) i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conditions for the process time and the process temperature between 15.0 minutes to 30.0 minutes, each drying range of 70 ℃ to 90 ℃ The change in strength characteristics is not much different.

그러나, 혼합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인 레진(RESIN), 첨가재(ADD) 및 안료(ANRO)는 그 함량비 변화에 따라 강도 특성이 크게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그 함량비가 달라짐에 따라 Y(강도 계량 값)가 크게 변화되는 것을 치명인자라고 하면, 상기 치명인자는 레진*안료, 레진*첨가재, 첨가재*안료 및 레진*첨가재*안료 등이 될 수 있다.However, the resins (RESIN), additives (ADD) and pigments (ANRO), which are components of the mixture, appear to change greatly in strength characteristics as the content ratio changes. When the fat factor is a large change in the Y (strength measurement value) as the content ratio is changed as described above, the fatal factor may be a resin * pigment, a resin * additive, an additive * pigment and a resin * additive * pigment. .

아래의 표는 Y(강도 계량 값)에 대한 회귀 계수의 측정값을 나타낸다.The table below shows the measurement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for Y (strength metric).

termterm CoefCoef SE CoefSE Coef TT PP VIFVIF RESINRESIN 3.23.2 6.1506.150 ** ** 1.5991.599 ADDADD 146.2146.2 6.1506.150 ** ** 1.5991.599 ANROANRO 146.2146.2 6.1506.150 ** ** 1.5991.599 RESIN*ADDRESIN * ADD -156.6-156.6 69.75169.751 -2.25-2.25 0.0360.036 4.8264.826 RESIN*ANRORESIN * ANRO -309.6-309.6 69.75169.751 -4.44-4.44 0.0000.000 4.8264.826 ADD*ANROADD * ANRO -207.6-207.6 69.75169.751 -2.98-2.98 0.0070.007 4.8264.826 ADD*ANRO*timeADD * ANRO * time -61.0-61.0 31.75231.752 -1.92-1.92 0.0690.069 1.0001.000 ADD*ANRO*tempADD * ANRO * temp -49.2-49.2 31.75231.752 -1.55-1.55 0.1370.137 1.0001.000

이때 R-Sq(Regression-Square: 결정계수)는 96.94%, R-Sq(pred)(예측 결정 계수)는 93.76%, R-Sq(adj)(수정 결정계수)는 95.87%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회귀식의 적합성을 잘 뒷받침하여 준다.At this time, R-Sq (Regression-Square) was 96.94%, R-Sq (pred) was 93.76%, R-Sq (adj) was 95.87%. These results support the suitability of the regression equation.

도 6를 참조하면, Y(강도 계량 값)의 최소 값이 1.1697 ㎟를 나타낼 때의 레진*첨가재*안료의 배합비가 최적의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구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공정시간 22.5분, 온도 80 ℃ 를 공정조건으로 할 때, 전체 혼합물에 대한 레진의 비율이 0.4631(약 46%), 첨가제의 비율은 0.1280(약12%), 안료의 비율은 0.4088(약 40%)일 경우에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조성하는 각각의 레진과 첨가제와 안료의 혼합 비율이 레진 : 첨가제: 안료 = 46 : 12 : 40일 경우 최적의 도장 강도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6, it can be judged that the blending ratio of resin * additive * pigment when the minimum value of Y (strength measurement value) represents 1.1697 mm 2 constitutes an optimal color primer mixture. When the process time is 22.5 minutes and the temperature is 80 ° C, the resin is 0.4631 (about 46%), the additive is 0.1280 (about 12%), and the pigment is 0.4088 (about 40%). It can be seen that optimal results can be obtained in the case of). Therefore, the optimum paint strength is exhibited when the mixing ratio of each resin and the additive and the pigment constituting the color primer mixture is resin: additive: pigment = 46: 12: 40.

상기와 같은 혼합비에 의한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이용하여 마그네슘(Mg) 재질의 케이스 소재에 본 발명에 따른 도장을 실시한 결과, 종래와 비교하여 공정시간이 120분 정도 단축되고, 수율 역시 종래의 68.5%에서 80.0%로 11.5%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As a result of coating the case material of magnesium (M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color primer mixture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time is shortened by about 120 minut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and the yield is also at 68.5% of the conventional case. It was effective to improve 11.5% to 80.0%.

또한, 크로스 컷팅 불량율이 종래의 90% 에서 0%에 근접할 정도로 도장 강도 특성이 향상되고, 케이스 소재의 외관 색상에 있어서 유채색뿐만 아니라 백색, 회색과 같은 무채색의 경우에도 원하는 디자인 스펙 값을 만족시키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the paint strength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to the point where the cross-cutting defect rate is close to 0% from the conventional 90%, and satisfies the desired design specification value even in the achromatic colors such as white and gray in the appearance color of the case material. It could be confirm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장 공정에서 상기 최적의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 조성비에 따라 도장을 실시하는 경우 최적의 강도 및 수율 증대를 나타낼 수 있지만, 실제 도장 공정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서 요구되는 도장 강도 및 색상 스펙에 따라서 상기 최적의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 조성비로부터 일정 범위 내의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 배합비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When applying the coating according to the optimal color primer mixture composition ratio in the coa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exhibit an optimum strength and yield increase, but in the actual painting proces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aint strength and color specification requir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the color primer mixture blending ratio within a certain range from the optimal color primer mixture composition ratio.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프라이머를 이용한 고광택 도장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기초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 및 수정을 하더라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며, 그러한 사실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The high gloss coating method using the color pri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such fac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고광택을 위한 12공정 도장 방법과 비교하여 공정시간이 120분 정도 단축되고, 수율이 종래의 68.5%에서 80.0%로 11.5%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time is shortened by about 120 minute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12-step coating method for high gloss, and the yield is improved by 11.5% from 68.5% to 80.0%.

그리고 도장 강도 특성이 향상됨으로써 크로스 컷팅 불량율이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And by improving the coating strength characteristic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ross-cut failure rate is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케이스 소재의 외관 색상에 있어서 유채색뿐만 아니라 백색, 회색과 같은 무채색의 경우에도 원하는 디자인 스펙 값을 만족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appearance color of the case material, not only the chromatic color but also the achromatic color such as white and gray can satisfy the desired design specification value.

Claims (5)

소재 표면상에 프라이머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Forming a primer layer on the material surface; 레진과 첨가제와 안료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된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이용하여 컬러 프라이머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Forming a color primer layer using a color primer mixture in which a resin, an additive, and a pigment are mixed in a predetermined ratio; 상기 컬러 프라이머 층 위에 고광택을 위한 클리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Forming a clear layer for high gloss on the color primer layer;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프라이머를 이용한 고광택 도장 방법.High gloss coating method using a color prime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과 첨가제와 안료가 혼합되는 소정의 비율은,The predetermined ratio of claim 1, wherein the resin, the additive, and the pigment are mixed. 컬러 프라이머 혼합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의 혼합비를 달리한 강도실험에 의해 구해진 값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프라이머를 이용한 고광택 도장 방법.A high gloss coating method using color prim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obtained by the intensity test in which the mixing ratio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lor primer mixture is applied is appli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igment, 무채색 계통의 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프라이머를 이용한 고광택 도장 방법.High gloss coating method using a color prim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igment of achromatic color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전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prior to forming the clear layer, 상기 컬러 프라이머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후 펄 클리어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프라이머를 이용한 고광택 도장 방법.And forming a pearl clear layer after the forming of the color primer layer is further performed.
KR1020050095034A 2005-10-10 2005-10-10 Method for high grossy painting using color primer mixture KR1006944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034A KR100694419B1 (en) 2005-10-10 2005-10-10 Method for high grossy painting using color primer mix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034A KR100694419B1 (en) 2005-10-10 2005-10-10 Method for high grossy painting using color primer mix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4419B1 true KR100694419B1 (en) 2007-03-12

Family

ID=3810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034A KR100694419B1 (en) 2005-10-10 2005-10-10 Method for high grossy painting using color primer mix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441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4072A (en) 1996-07-22 1998-02-10 Aisin Chem Co Ltd Decorative coating method
KR19980703484A (en) * 1995-04-27 1998-11-05 사사끼요시오 Multi-Layer Coating Method
JP2002020694A (en) 2000-07-11 2002-01-23 Kansai Paint Co Ltd Color primer and repair coating process using this
JP2002273321A (en) 2001-03-16 2002-09-24 Nippon Paint Co Ltd Method for forming coating film with pearl-like luster and coated art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3484A (en) * 1995-04-27 1998-11-05 사사끼요시오 Multi-Layer Coating Method
JPH1034072A (en) 1996-07-22 1998-02-10 Aisin Chem Co Ltd Decorative coating method
JP2002020694A (en) 2000-07-11 2002-01-23 Kansai Paint Co Ltd Color primer and repair coating process using this
JP2002273321A (en) 2001-03-16 2002-09-24 Nippon Paint Co Ltd Method for forming coating film with pearl-like luster and coated art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101931A4 (en) Interference coloring of thick, porous, oxide films
Kirchner et al. Setting tolerances on color and texture for automotive coatings
KR10182306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 Steel Sheet Having Polished Stainless Steel Texture and Color Steel Sheet Manufactured by the Method
CN1903532A (en) Method for producing multiple color ancient-imitation wood floorings
CN109803508B (en) Shell of electronic equipment, preparation method of shell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60347970A1 (en) Liquefied wood coating
KR100811241B1 (en) Coating method for surface of furniture
US8894777B2 (en) Surface treatment method of magnesium alloy article and structure thereof
KR100694419B1 (en) Method for high grossy painting using color primer mixture
US768696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oor mold and door produced using the same
CN114918120A (en) Novel furniture coating process
US3708318A (en) Metallic paint
KR101431342B1 (en) Dual-pattern coloring method for furniture using rattan
JPH08145797A (en) Color tone judging method for coating film containing brightening pigment
US20190194794A1 (en) Ceramic coloring method and a ceramic piece for electronic products
US20060169105A1 (en) Button structure with three-dimensional stripes
JP5338644B2 (en) Resin molded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resin molded product
JP2010106201A (en) Resin composition, resi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resin composition
JP7475044B2 (en) Decorative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A30782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plurality of color quality indicators for controlling the color of a coating
KR101770290B1 (en) Method for coating a coating material on a color board
CN110633536A (en) Method for improving metamerism performance by using computer system
KR20110106588A (en) Decoration panel for furni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7084721A (en) Resin material for molding colored resin and resin molding thereof
JP2008307476A (en) Coating color determination method of primer surfacer and repaired coating film form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