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921B1 -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921B1
KR100692921B1 KR1020040081161A KR20040081161A KR100692921B1 KR 100692921 B1 KR100692921 B1 KR 100692921B1 KR 1020040081161 A KR1020040081161 A KR 1020040081161A KR 20040081161 A KR20040081161 A KR 20040081161A KR 100692921 B1 KR100692921 B1 KR 100692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signal
func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2274A (ko
Inventor
정진섭
이승원
지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to KR1020040081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921B1/ko
Publication of KR20060032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은, 제1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소정 부가기능의 사용이 정지되고, 제2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정지된 상기 소정 부가기능이 재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에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 중 어느 하나를 송출하는 제어신호 송출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되는 제어영역 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정 부가기능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부가기능, PN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System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mobile communc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송출장치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의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5은 운영서버의 운용화면의 일 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통신단말기 200 : 제어신호 송출장치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 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사람과 사람의 커뮤니케이션에서 공간의 제약이 사라지고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사람과 의사소통할 수 있게 됐다. 또한, 기술발전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 기본적인 음성통화 기능외에 다양한 부가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에 추가되는 부가기능으로는, 카메라기능, 캠코더기능, 보이스 레코더기능, 메세지전송기능, 및 무선 인터넷기능 등이 있으며,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더 많은 부가기능이 추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에 다양한 부가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으나, 이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사생활침해나 정보유출 등과 같은 역작용이 문제시 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에 부가된 카메라 기능 등은, 연구소나 정부 주요 기관 등에서 정보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며, 공중목욕탕과 같은 장소에서 개인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어렵게 만든다.
이에 따라, 기업정보 유출로 인한 경쟁력 약화, 정부관련자료 유출을 통한 사회의 혼란, 사생활침해 등을 야기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은 사용을 제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미 이동통신단말기에 추가된 부가기능의 사용을 일방적으로 제한할 수는 없으므로, 정보유출이나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가 우려되는 지역에서 만이라도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정 부가기능의 사용을 제한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지역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소정 부가기능의 동작 여부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제어시스템은, 제1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소정 부가기능의 사용이 정지되고, 제2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정지된 상기 소정 부가기능이 재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 중 어느 하나를 송출하는 제어신호 송출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신호 송출기는,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1 제어신호 송출부, 및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2 제어신호 송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 송출부는, 서로 다른 케이스에 배치되어 각각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는 기지국에서 미사용되는 PN 번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지국에서 미사용되는 PN 코드에 대응하는 신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방법은, 제1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소정 부가기능의 사용이 정지되고, 제2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정지된 상기 소정 부가기능이 재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이동통신단 말기에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소정 부가기능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제2 신호를 송출하여 정지된 상기 부가기능이 재동작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는 기지국에서 미사용되는 PN 번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지국에서 미사용되는 PN 코드에 대응하는 신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PN(Pseudo Noise) 코드가 다중 접속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의 경우, 송수신 양측이 동일한 PN 코드를 가지고 있어야 통신이 가능하다. PN 코드열(15bits)은 주기적으로 반복(26.67ms)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의 시간적 편차를 이용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 512개까지의 기지국을 구분한다. 이 점이 동기식과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차이로써 동기식은 각 기지국이 동일 PN 코드를 가지고 단지 시간적 편차로써 기지국을 구분하며, 비동기식의 경우 각 기지국이 서로 다른 PN 코드를 사용한다. 따라서, CDMA 방식의 경우, 기지국이 사용하지 않는 PN 번호가 존재하게 되므로, 기지국에서 미사용되는 소정 PN 번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신호로 사용하고, 이동통신단말기는 내부 프로그램을 변경하여, 이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 부가기능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혹은 정지된 동작을 원래대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가, 1번 PN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카메라 기능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고, 511번 PN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정지된 카메라 기능이 다시 원래대로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프로그램은 특정 PN 번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의 수신여부에 따라, 특정 부가기능이 정지되거나, 혹은 정지된 기능이 다시 원래대로 동작될 수 있도록 변경되어야 한다.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프로그램의 변경은, 제품 출하시에 미리 변경되거나, 혹은 통신망을 통해 다운받은 프로그램에 의해 변경할 수도 있다.
만일, 비동기식 이동시스템의 경우라면, 각 기지국이 서로 다른 PN 코드를 사용하므로, 기지국이 사용되지 않는 PN 코드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신호로 사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의 동작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특정 부가기능의 사용을 제한하는 제어영역(A)내에 제1 제어신호 송출장치(200a)가 설치되고, 이 제어영역(A)을 벗어나는 영역(B)에 제2 제어신호 송출장치(200b)가 설치된다.
제1 제어신호 송출장치(200a)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소정 부가기능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1 제어신호를 송출하며, 제2 제어신호 송출장치(200b)는 제1 제어신호에 의해 정지된 부가기능이 원래대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 제어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송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제어지역(A) 내로 진입하게 되 면, 제1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되고, 이에 따라 카메라 기능과 같은 소정 부가기능의 사용이 정지된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제어지역(A)을 벗어나게 되면, 제2 제어신호 송출장치(200b)로부터 제2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정지된 부가기능이 원래대로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되는 제어영역(A) 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대하여 소정 부가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신호 송출장치의 일 예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2에서, 제1 및 제2 제어신호 송출장치는, 송출하는 제어신호의 PN 번호만이 상이할 뿐이며, 그 구성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신호 송출장치는, 증폭기(201), 동기신호 획득부(203), CDMA 베이스밴드 생성부(205), 제어부(207), 제1 분배기(209), 제1 내지 제6 업컨버터(211, 213, 214, 215, 217, 219), 제1 결합기(221) 및 HPA(High Power Amplifier)부(223)을 포함한다. 또한, WCDMA(Wideband CDMA) 방식이나 SDMB(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블럭(245)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동기신호 획득부(203)는, 동기식의 경우 각 기지국과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일한 시간적 기준점을 사용하므로, 기지국의 PN 코드 시작점을 GPS를 이용하여 시간적으로 일치되도록 한다. CDMA 베이스밴드 생성부(205)는 CDMA 방식에 사용되는 PN 코드를 생성한다. 제1 분배기(209)는 CDMA 베이스밴드 생성부(205)에서 생성한 PN 코드를 제1 내지 제6 업컨버터(211, 213, 214, 215, 217, 219)에 분배한다.
제1 내지 제6 업컨버터(211, 213, 214, 215, 217, 219)는 이동통신 사업자별로 각각 다른 주파수대역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응한 개수만큼 설치된다. 제1 결합기(221)는 제1 내지 제6 업컨버터(211, 213, 214, 215, 217, 219)의 신호를 결합하고, HPA부(223)는 제1 결합기(221)의 신호를 증폭하여 제어용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송출한다. WCDMA 방식이나 SDMB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블럭(245)의 경우, 제어신호의 주파수 대역만이 상이하며, 동작 과정은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을 사용하여, 연구소와 같은 보안이 필요한 지역에 출입하는 사람들이 소지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되는 제어영역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보안 게이트(speed gate)(410)가 있고, 제어영역내에 제어신호 송출장치(420), 바코더 리더기(430)가 설치되며, 보안 게이트(410) 및 바코더 리더기(430)는 운용서버(440)에 접속된다.
보안 게이트(410)는 제어지역의 입구에 설치되어, 사원증과 같은 출입자의 출입증(310)을 이용하여 보안 게이트(410)를 통해 출입을 등록하면, 이에 대한 출입자 정보가 운영서버(440)에 전달된다. 출입자가 소지한 이동통신단말기(300)가 제어영역내에 진입하게 되면, 제어신호 송출장치(420)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소정 부가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표시창에는 현재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바코더 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동통신단말기(300)의 표시창에 표시된 바코더는 바코더 리더기(430)를 통해 운용서버(440)로 전송되어, 운용서버(440)에는 이동통신단말기(300)의 현재의 동작상태가 데이터 베이스화 되어 저장 및 관리된다.
이동통신 단말기(300)가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되는 제어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또 다른 제어신호 송출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해, 정지된 부가기능이 원래대로 동작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어영역에 츨입하는 사람이 소지한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특정 부가기능의 동작 여부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운용서버(440)의 운용화면의 일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LOCK'으로 표시된 것은 해당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됨을 표시하며, 'UNLOCK'으로 표시된 것은 사용이 제한되어 있지 않음을 표시한다. 운용서버(440)에서는 이와 같은 운용화면을 통해 제한지역내에 있는 이동통신단말기(300)의 현재 동작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되는 제어영역 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정 부가기능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영역내에서 정보의 유출을 등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사생활 침해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8)

  1. 제1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소정 부가기능의 사용이 정지되고, 제2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정지된 상기 소정 부가기능이 재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서로 다른 케이스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1 제어신호 송출부와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2 제어신호 송출부로 이루어진 제어신호 송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는 기지국에서 미사용되는 PN 번호 또는 PN 코드에 대응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소정 부가기능의 사용이 정지되고, 제2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정지된 상기 소정 부가기능이 재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소정 부가기능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제2 신호를 송출하여 정지된 상기 부가기능이 재동작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제어신호는 기지국에서 미사용되는 PN 번호 또는 PN 코드에 대응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040081161A 2004-10-12 2004-10-12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92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161A KR100692921B1 (ko) 2004-10-12 2004-10-12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161A KR100692921B1 (ko) 2004-10-12 2004-10-12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274A KR20060032274A (ko) 2006-04-17
KR100692921B1 true KR100692921B1 (ko) 2007-03-12

Family

ID=37141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161A KR100692921B1 (ko) 2004-10-12 2004-10-12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9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117B1 (ko) 2009-12-15 2013-08-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그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447438B1 (ko) 2013-02-07 2014-10-08 (주)오픈벡스 이종 망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7554A (ja) * 2000-07-07 2002-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機能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7554A (ja) * 2000-07-07 2002-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機能制御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402755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274A (ko) 2006-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797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restriction device, repeater and base station
US7697689B2 (en) Secure transmission system for a digital trunked radio system
US77983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tricting use of additional functions in a mobile terminal
US5260967A (en) CDMA/TDMA spread-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20040005872A1 (en) Jamming-resistant wireless transmission of security data
CN101523781A (zh) 减轻同步丢失
RU2121231C1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двухпунктовой связи в системах, предназначенных для скрытой связи
US20060039337A1 (en) Wireless LAN system, wireless LAN access point, wireless LAN terminal and activation control method for use therewith
EP09708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in by radio
CN102084608A (zh) 支持位置隐私的方法
US201503127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forcing communication policies
EP1587276A2 (en) Universal microphone for secure radio communication
KR10069292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0330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휴대폰 기능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10069690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the protection of ad-hoc wireless device operation
GB2392583A (en) Providing an access key for a wireless data network to a wireless node
US9319126B2 (en) Wireless relay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ing the same
JP2007067503A (ja) 無線端末装置及び無線端末装置における発呼方法
RU2425455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информации в радиосети с пакетной передачей данных
KR10072742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
JP2005051368A (ja) 通信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100654717B1 (ko) 무선 단말기 기능제어 시스템 및 방법
EP2044782A2 (en) Processor, method and terminal for use in communications
KR100762926B1 (ko)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
GB2412274A (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recording communications ther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