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981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981B1
KR100691981B1 KR1020050080397A KR20050080397A KR100691981B1 KR 100691981 B1 KR100691981 B1 KR 100691981B1 KR 1020050080397 A KR1020050080397 A KR 1020050080397A KR 20050080397 A KR20050080397 A KR 20050080397A KR 100691981 B1 KR100691981 B1 KR 100691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alue
unit
display unit
display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3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24846A (en
Inventor
정성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0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981B1/en
Publication of KR20070024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8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9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표시부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표시부와, 표시부에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픽셀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메모리 영역인 비유효 영역의 초기 데이터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표시부가 온(ON)되면, 비유효 영역의 초기 데이터 값을 확인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비유효 영역의 데이터 값이 저장부에 기저장된 초기 데이터 값과 달라지는 경우에 해당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모니터링부 및 모니터링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표시부를 초기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전원을 오프한 후 다시 온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편리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unit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itial data values of an invalid area which is a display memory area corresponding to a pixel which does not display a screen on the display unit, and a display unit on ( ON), checks and stores the initial data value of the invalid area in the storage unit, and monitors and monitors to output the corresponding signal to the controller when the data value of the invalid area is different from the initial data value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for initializing the display unit 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unit. Accordingly, the user does not have to turn the power off and then turn it on again, thereby providing a convenient effect.

이동통신 단말기, LCD, 표시부, 구동 칩, 메모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CD, display unit, driving chip, memory,

Description

표시부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Method}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its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uni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메모리 영역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2 is a plan view showing a portion of a display memor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3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키입력부 12 : 표시부10: key input unit 12: display unit

14 : 모니터링부 18 : 제어부14: monitoring unit 18: control unit

14 : 저장부14: storage uni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다양한 기능이 부 가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되고 있다.Recently, as the deman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reases rapid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various functions have been provided.

이러한 다양한 기능 중 하나가 사진, 그림, 영화 또는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는 중에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One of these various functions is to download content such as photos, pictures, movies, or videos so that users can enjoy them while on the go.

이와 같은 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활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부 예컨대, 액정표시소자(LCD : Liquid Crystal Display)등의 크기 및 화소를 개선하려는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size and pixels of a display unit on which a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in order to allow a user to enjoy such contents smoothly.

그러나, 이러한 표시부는 메인 보드에 장착된 LCD 커넥터 핀들간의 접지 불량으로 인해 LCD 구동 칩(Driver integrated circuit)의 디스플레이 메모리에 불필요한 값으로 채워져 더 이상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such a display part is filled with unnecessary values in the display memory of the LCD driver chip due to a ground failure between the LCD connector pins mounted on the main board, which causes data to no longer be updated.

이로 인해, 표시부는 화면이 정지된 상태가 되어,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OFF)한 후 다시 온(ON)해서 해당 컨텐츠를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result, the display unit is in a state where the screen is stopped, so that users have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n turn it on again to check the corresponding contents.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메모리의 비유효 영역의 데이터 값을 저장하고, 비유효 영역의 데이터 값이 저장된 값과 다른 경우에 표시부를 제어하는 표시부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has a display unit control function for storing a data value of an invalid area of a display memory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when the data value of the invalid area is different from the stored valu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표시부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표시부와, 표시부에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픽셀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메모리 영역인 비유효 영역의 초기 데이터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표시부가 온(ON)되면, 비유효 영역의 초기 데이터 값을 확인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비유효 영역의 데이터 값이 저장부에 기저장된 초기 데이터 값과 달라지는 경우에 해당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모니터링부 및 모니터링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표시부를 초기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unit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itial data values of an invalid area which is a display memory area corresponding to a pixel which does not display a screen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n, the initial data value of the invalid area is check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data value of the invalid area is different from the initial data value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corresponding signal is controlled. And a control unit for initializing the display unit 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monitoring unit and the monitoring unit.

또한, 모니터링부는 표시부가 온(ON)되면, 특정 영역에 임의의 데이터 값을 설정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비유효 영역의 데이터 값이 저장부에 기저장된 임의의 데이터 값과 달라지는 경우에 해당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n, the monitoring unit sets an arbitrary data value in a specific area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and a corresponding signal when the data value of the invalid area is different from any data value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to the control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제어방법은, 표시부가 온(ON)되면,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픽셀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메모리 영역인 비유효 영역의 초기 데이터 값을 확인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비유효 영역의 데이터 값이 저장단계에서 기저장된 초기 데이터 값과 달라지는 경우에 표시부를 초기화하는 초기화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n, confirms and stores an initial data value of an invalid region, which is a display memory region corresponding to a pixel that does not display a screen. And an initialization step of initializing the display unit when the data values of the storage step and the invalid area are different from the initial data values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step.

이때, 저장단계에서는 표시부가 온(ON)되면, 특정 영역에 임의의 데이터 값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초기화단계에서는 비유효 영역의 데이터 값이 저장단계에서 기저장된 임의의 데이터 값과 달라지는 경우에 표시부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in the storing step, whe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n, an arbitrary data value is set and stored in a specific area, and in the initialization step, the display unit is used when the data value of the invalid area is different from any data value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ing step. Characterized in that the initialization.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unit control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 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입력부(10), 표시부(12), 모니터링부(14), 제어부(16) 및 저장부(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uni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input unit 10, a display unit 12, a monitoring unit 14, a control unit 16, and a storage unit ( 18).

먼저, 키입력부(10)는 숫자키 및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등의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6)로 출력한다.First, the key input unit 10 includes a numeric key and various function keys,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key input signal when the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key such as turning on / off the power. Output to 16).

표시부(12)는 키입력부(10)에서 발생되는 키입력 신호 및 제어부(16)로부터입력되는 각종 정보신호 등을 화면에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2 displays a key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key input unit 10 and various information signals input from the control unit 16 on the screen.

모니터링부(14)는 표시부(12)가 온(ON)되면, 디스플레이 메모리의 특정 영역의 데이터 값을 읽어 저장부(18)에 저장하고, 특정 영역의 값이 저장부(18)에 저장된 값과 다른지 확인하여, 다를 경우에 해당 신호를 제어부(16)로 출력한다.When the display unit 12 is turned on, the monitoring unit 14 reads data values of a specific region of the display memory in the storage unit 18 and stores the values of the specific region and the valu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 Check if different, and if different, output the corresponding signal to the controller 16.

이때, 모니터링부(14)는 표시부(12)가 온(ON)되면, 특정 영역에 임의의 데이터 값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when the display unit 12 is turned on, the monitoring unit 14 may set an arbitrary data value in a specific area.

즉, 모니터링부(14)는 특정 영역에 임의의 데이터 값을 설정한 후, 이 값을 읽어서 저장부(18)에 저장하고, 특정 영역의 값이 저장부(18)에 저장된 값과 다른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다를 경우에 해당 신호를 제어부(16)로 출력한다.That is, the monitoring unit 14 sets an arbitrary data value in a specific area, reads this value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18, and continuously whether the value of the specific area is different from the valu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 It monitors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16, if different.

여기서, 특정 영역이란,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픽셀로 이루어진 비유효 영역을 말한다. Here, the specific area refers to an invalid area formed of pixels that do not display a screen.

제어부(16)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모니터링부(14) 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부(12)를 초기화한다.The controller 16 controls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a signal from the monitoring unit 14, and initializes the display unit 12.

저장부(18)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모니터링부(14)가 특정 영역에 임의의 데이터 값을 설정하면 이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8 stores a predetermine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es the data when the monitoring unit 14 sets an arbitrary data value in a specific area.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 보드(Main Board) 상에 장착된 표시부(12)의 구동 칩이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메모리 영역을 살펴 보면 도 2와 같다.The display memory area used by the driving chip of the display unit 12 mounted on the main boar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llustrated in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메모리 영역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display memory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메모리는, 유효 영역(20)과 비유효 영역(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display memo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lid area 20 and an invalid area 22.

여기서 유효 영역(20)이란, 구동 칩이 전압을 인가한 픽셀에 대응하는 메모리의 영역을 말하고, 비유효 영역(22)이란,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픽셀에 대응하는 메모리의 영역을 말한다.Here, the effective area 20 refers to the area of the memory corresponding to the pixel to which the driving chip has applied voltage, and the invalid area 22 refers to the area of the memory corresponding to the pixel to which no voltage is applied.

즉, 유효 영역(20)은 인가된 신호의 전압 크기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어 화면을 표시하는 픽셀에 대응하는 메모리의 영역이고, 비유효 영역(22)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음으로써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픽셀에 대응되는 메모리의 영역이다.That is, the effective area 20 is an area of the memory corresponding to the pixel displaying the screen by adjusting the brightness according to the voltage level of the applied signal, and the invalid area 22 does not display the screen because no voltage is applied. Is the area of memory that corresponds to a pixel.

예를 들면, 표시부(12)의 전체 픽셀 수가 128*128 인 경우에, 실제 구동 칩이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메모리는 전체 픽셀 수인 128*128 보다 더 크다.For example, when the total number of pixels of the display portion 12 is 128 * 128, the display memory used by the actual driving chip is larger than the total number of pixels 128 * 128.

이에 따라서, 전체 픽셀 수인 128*128에 대응하는 메모리는 유효 영역(20)으 로 사용되고, 그 외의 여분의 메모리는 비유효 영역(22)으로 사용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memory corresponding to 128 * 128 which is the total number of pixels is used as the effective area 20, and the remaining extra memory is used as the invalid area 22.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용을 살펴 보면 도 3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제어방법은, 표시부(12)가 온(ON)되면, 디스플레이 메모리의 특정 영역의 데이터 값을 읽어 저장하는 단계; 특정 영역의 값이 저장된 값과 다른지 확인하여, 다를 경우에 표시부(12)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reading and storing data values of a specific area of a display memory when the display unit 12 is turned on; Checking whether a value of a specific region is different from a stored value, and initializing the display unit 12 when it is different.

먼저, 사용자가 키입력부(10)를 통하여 전원을 온(ON)하면, 표시부(12)가 온(ON)된다(S30).First, when the user turns on the pow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 the display unit 12 is turned on (S30).

이와 같이, 표시부(12)가 온(ON)되면, 모니터링부(14)는 디스플레이 메모리의 비유효 영역(22)의 데이터 값을 읽어 저장부(18)에 저장한다(S32).As such, when the display unit 12 is turned on, the monitoring unit 14 reads the data value of the invalid area 22 of the display memory and stores the data value in the storage unit 18 (S32).

이 후, 모니터링부(14)는 디스플레이 메모리의 비유효 영역(22)의 데이터 값이, 저장부(18)에 저장한 값과 다른지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S34).Thereafter, the monitoring unit 14 periodically monitors whether the data value of the invalid area 22 of the display memory is different from the valu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 (S34).

여기서, 모니터링부(14)가 모니터링한 비유효 영역(22)의 데이터 값이 저장부(18)에 저장된 값과 다른 경우에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16)로 출력한다(S36).Here, when the data value of the invalid area 22 monitored by the monitoring unit 14 is different from the valu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 a corresponding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ler 16 (S36).

이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6)는 표시부(12)를 리셋하여 초기화한다(S38).The control unit 16 having received this signal resets and initializes the display unit 12 (S38).

여기서는 표시부(12)가 온(ON)되면, 모니터링부(14)는 디스플레이 메모리의 비유효 영역(22)의 데이터 값을 읽어 저장부(18)에 저장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display unit 12 is ON, the monitoring unit 14 has been described only to read the data value of the invalid area 22 of the display memory to store in the storage unit 18, but is not limited thereto. .

모니터링부(14)는 표시부(12)가 온(ON)되면, 디스플레이 메모리의 비유효 영역(22)에 임의의 데이터 값을 설정하고, 이값은 저장부(18)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display unit 12 is turned on, the monitoring unit 14 can set an arbitrary data value in the invalid area 22 of the display memory, and store this value in the storage unit 18.

예를 들면, 모니터링부(14)가 비유효 영역(22)에 설정할 수 있는 데이터 값이 16 비트 데이터라면, 데이터 값은 0000에서 FFFF 사이에서 어떠한 값을 임의로 선택하여 설정한다.For example, if the data value that the monitoring unit 14 can set in the invalid area 22 is 16-bit data, the data value is arbitrarily selected and set between 0000 and FFFF.

이 후, 모니터링부(14)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 비유효 영역(22)의 데이터 값이 저장부(18)에 저장된 값과 달라지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메모리에 오류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여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16)로 출력하면, 제어부(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12)를 초기화한다.Thereafter, the monitoring unit 14 determines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display memory when the data value of the non-effective area 22 that is periodically monitored differs from the valu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 and controls the corresponding signal. Outputting to (16), the control unit 16 initializes the display unit 12 a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메모리의 비유효 영역의 데이터 값을 저장하고, 비유효 영역의 데이터 값이 저장된 값과 다른 경우에 표시부를 초기화하므로써, 사용자가 전원을 오프한 후 다시 온하지 않아도 되므로써 편리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toring the data value of the invalid area of the display memory and initializing the display unit when the data value of the invalid area is different from the stored value, the user turns on the power again after the power is turned off. You do not have to have a convenient effect.

Claims (7)

표시부;A display unit; 상기 표시부에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픽셀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메모리 영역인 비유효 영역의 초기 데이터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initial data value of an invalid area that is a display memory area corresponding to a pixel that does not display a screen on the display unit; 상기 표시부가 온(ON)되면, 상기 비유효 영역의 초기 데이터 값을 확인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비유효 영역의 데이터 값이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초기 데이터 값과 달라지는 경우에 해당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모니터링부; 및Whe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n, the initial data value of the invalid area is check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corresponding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data value of the invalid area is different from the initial data value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A monitoring unit outputting the control unit; And 상기 모니터링부로부터 상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를 초기화하는 제어부;A controller which initializes the display unit when the signal is input from the monitoring unit; 를 포함하는 표시부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including a.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니터링부는,The monitoring unit, 상기 표시부가 온(ON)되면, 상기 특정 영역에 임의의 데이터 값을 설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비유효 영역의 데이터 값이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임의의 데이터 값과 달라지는 경우에 해당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Whe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n, an arbitrary data value is set in the specific area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data value of the invalid area is different from any data value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삭제delete 표시부가 온(ON)되면,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픽셀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메모리 영역인 비유효 영역의 초기 데이터 값을 확인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A storage step of, whe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n, identifying and storing an initial data value of an invalid area that is a display memory area corresponding to a pixel that does not display a screen; And 상기 비유효 영역의 데이터 값이 상기 저장단계에서 기저장된 초기 데이터 값과 달라지는 경우에 상기 표시부를 초기화하는 초기화단계;An initialization step of initializing the display unit when a data value of the invalid area is different from an initial data value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ing step;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제어방법.Display unit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저장단계에서는,In the storing step, 상기 표시부가 온(ON)되면, 상기 특정 영역에 임의의 데이터 값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초기화단계에서는 상기 비유효 영역의 데이터 값이 상기 저장단계에서 기저장된 임의의 데이터 값과 달라지는 경우에 상기 표시부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제어방법.Whe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n, an arbitrary data value is set and stored in the specific area, and in the initialization step, when the data value of the invalid area is different from any data value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step, Display unit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initializing the display unit. 삭제delete
KR1020050080397A 2005-08-30 2005-08-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Method KR1006919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397A KR100691981B1 (en) 2005-08-30 2005-08-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397A KR100691981B1 (en) 2005-08-30 2005-08-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846A KR20070024846A (en) 2007-03-08
KR100691981B1 true KR100691981B1 (en) 2007-03-09

Family

ID=38099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397A KR100691981B1 (en) 2005-08-30 2005-08-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198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846A (en)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683B1 (en) Video display apparatus
CN111937063B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timing of signal
RU2656729C2 (en) Liquid crystal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TWI470462B (en) Panel parameter setting method and related control chip
US11335229B2 (en) Display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gamma block on basis of indication of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id display
WO2016017635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KR20030069050A (en) Display device
KR102429801B1 (en) Method for adaptively controlling low power display mod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6100886A (en) Help service function control device added to a multi-channel monitor of a personal computer
KR10069198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isplay Control Function and Method
KR20180020830A (en) Videowall system, the control method and a display apparatus
KR20160006138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16253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20060015946A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20050041008A1 (en) Electronic system having backlight adjustment function and method of adjusting backlight
CN112002276B (en) Control method for display panel
US2008017459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04586B1 (en) Display chang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13079410B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99406B1 (en)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tv boot logo
TWI650744B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creen on liquid crystal panel
JP5008088B2 (en) Display system,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KR101000461B1 (en) Image signal proces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076934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2021043403A (en) Semiconductor device, automobile us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