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750B1 - speaker unit with inner wire withdrawal structure - Google Patents

speaker unit with inner wire withdrawal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750B1
KR100691750B1 KR1020050073536A KR20050073536A KR100691750B1 KR 100691750 B1 KR100691750 B1 KR 100691750B1 KR 1020050073536 A KR1020050073536 A KR 1020050073536A KR 20050073536 A KR20050073536 A KR 20050073536A KR 100691750 B1 KR100691750 B1 KR 100691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gnet
diaphragm
groove
speak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5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19074A (en
Inventor
최규백
신현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채
Priority to KR1020050073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750B1/en
Priority to PCT/KR2005/002965 priority patent/WO2007018326A1/en
Publication of KR20070019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0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7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의 내부벽면에 형성되는 외부 공기 유입홈에 보이스 코일의 와이어를 본딩하도록 하여 종래 진동판에 본딩하여 외부로 인출하던 방식을 개선한 스피커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배열되며,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그네트; 상기 진동판 및 마그네트가 실장되며, 내측면에 상기 마그네트의 측면을 따라 외부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한개의 유입홈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에 배열되며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는 기판; 및 상기 진동판의 하부 및 상기 마그네트의 중앙부에 배열되며, 상기 유입홈을 따라 와이어가 인출되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이스 코일;을 포함하는 내부 와이어 인출구조를 갖는 스피커 유닛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unit which improves a method of bonding a wire of a voice coil to an external air inlet groove formed on an inner wall of a frame and bonding the wire to a conventional diaphragm to draw out.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aphragm; A magnet arranged in a lower portion of the diaphragm and formed in a ring shape; A frame in which the diaphragm and the magnet are mounted, and at least one inlet groove is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diaphragm to allow the outside air to flow along the side of the magnet; A substrate arranged under the magnet and receiving electrical signals from the outside; And a voice coil arrang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iaphragm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magnet, and having a wire coil drawn out along the inflow groov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스피커, 유입홈, 마그네트, 진동판, 보이스코일, 와이어 Speaker, Groove, Magnet, Diaphragm, Voice Coil, Wire

Description

내부 와이어 인출구조를 갖는 스피커 유닛{speaker unit with inner wire withdrawal structure}Speaker unit with inner wire withdrawal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스피커 유닛의 와이어 인출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re draw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peaker uni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 유닛의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 유닛의 하부에 배열된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 substrate arrang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 유닛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 유닛의 프레임의 조립도이다. 5 is an assembly view of the frame of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rame of FIG. 5.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와이어 15: 마그네트11: wire 15: magnet

21: 진동판 22: 보이스 코일21: diaphragm 22: voice coil

25: 요크 26: 기판25: yoke 26: substrate

31: 상부 프레임 34: 상부 유입홈31: upper frame 34: upper inlet groove

41: 하부 프레임 44: 하부 유입홈41: lower frame 44: lower inlet groove

51: 그릴51: grill

본 발명은 내부 와이어 인출 구조를 갖는 스피커 유닛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의 내부벽면에 형성되는 외부 공기 유입홈에 보이스 코일의 와이어를 본딩하도록 하여 종래 진동판에 본딩하여 외부로 인출하던 방식을 개선한 스피커 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unit having an internal wire drawing structure, wherein a speaker coil is bonded to an external air inlet groove formed in an inner wall of a frame to improve the method of bonding the wire to a conventional diaphragm and drawing it out to the outside. It is about.

종래 이어폰은 귀의 외부측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이러한 이어폰에 사용되는 스피커 유닛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이동통신기기에 사용되는 스피커 역시 도 1과 같은 구조로 형성된다. Conventional earphones were generally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ear, and a speaker unit used for such earphones is shown in FIG. 1. In addition, a speaker used in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also formed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도 1에서, 종래의 스피커 S1(S2)는 요크(1)와 진동발생용 자석(2), 자석판(3), 진동판(다이아프램, 4)과 진동판의 이면에 부착되는 보이스코일(5), PCB(6) 및 이들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프레임(7), 보호캡(8)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이스 코일(5)과 PCB(6)는 보이스 코일로부터 나오는 와이어(9)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In FIG. 1, the conventional speaker S1 (S2) includes a yoke 1, a vibration generating magnet 2, a magnet plate 3, a diaphragm (diaphragm 4), and a voice coil 5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aphragm, It consists of a PCB 6 and a frame 7 supporting these components, a protective cap 8 and the like. The voice coil 5 and the PCB 6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wire 9 coming out of the voice coil.

이와 같은 구조의 스피커 유닛은 보이스코일(5)에 음성신호를 포함한 전류를 흘리면 전류의 세기에 따라 진동발생용 자석(2)의 자기장 내에 있는 코일이 진동판에 진동을 일으켜 음을 스피커 외부로 방사하게 된다. 이 경우 요크(1)의 중앙은 공기가 순환되어 진동판(4)의 진동을 돕도록 관통홀(10)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In the speaker unit having such a structure, when a current including a voice signal flows through the voice coil 5, a coil in the magnetic field of the vibration generating magnet 2 vibrates on the diaphragm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current to radiate sound to the outside of the speaker. do. In this case, the through hole 1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yoke 1 so that air is circulated to help vibration of the diaphragm 4.

최근 이어폰에 사용되는 스피커 유닛의 크기가 초소형화되어 귀속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고, 또한 이동통신기기에 있어서도 소형의 스피커를 사용하여 부품의 탑재 공간을 줄임으로써 다른 기능을 가진 부품을 추가하거나 또는 전체적인 이동통신기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구조의 종래 스피커 유닛은 스피커 유닛의 크기를 초소형화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 Recently, the size of the speaker unit used in earphones has been miniaturized and developed into a siz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ear. Also,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 small speaker is used to reduce the mounting space of components and thus have different functions. It adds parts or reduces the overall size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However, the conventional speaker unit having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1 has difficulty in miniaturizing the size of the speaker unit.

즉, 마그네트 및 진동판의 크기를 줄인다할지라도 요크(1)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면 중앙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진동판(4)의 진동을 보장하기 위해 새로운 공기순환구조를 갖추어야 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That is, even if the size of the magnet and the diaphragm is reduced, if the size of the yoke 1 is reduced, it is impossible to form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equipped with a new air circulation structure to ensure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4).

더구나, 종래의 스피커 유닛의 와이어(9)는 진동판(4)의 일측에 부착되어 프레임(7)의 외벽을 타고 PCB(6)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진동판(4)의 일측의 무게가 타측의 무게와 다르게 되어 진동판의 상하방향 떨림의 폭이 다르게 되고 이는 불균일한 음의 특성을 발생하게 된다. Moreover, the wire 9 of the conventional speaker unit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iaphragm 4 a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PCB 6 by riding on the outer wall of the frame 7. In this case, the weight of one side of the diaphragm 4 is different from the weight of the other side, and the width of the vertical vibration of the diaphragm is different, which causes non-uniform negative characteristics.

또한 이와 같이 와이어(9)가 배열됨으로 인해 도선이 외부에 노출되고 이는 조립 또는 사용과정에서 단선의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특히 스피커 유닛을 소형화하고 박형의 진동판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큰 어려움이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wires 9 are arranged in this way, the conductive wir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may cause a problem of disconnection during assembly or use. In particular, when the speaker unit is miniaturized and a thin diaphragm is used, it is very difficult to solve this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초소형의 스피커 유닛에 외부 공기 순환유로가 형성된 새로운 구조의 프레임을 제공하고, 외부 공기 순환유로를 통해 보이스 코일의 와이어를 인출하도록 하여, 진동판이 원활히 진동할 수 있도록 공기의 유출입을 가능하게 하며, 진동판에 와이어가 부착되어 무게의 차이에 따른 왜곡진동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frame of a new structure in which the external air circulation passage is formed in the compact speaker unit, and to draw the wire of the voice coil through the external air circulation passage, the diaphragm smooth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so as to vibrate,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istortion vibra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weight by attaching a wire to the diaphragm.

또한 본 발명은 초소형의 스피커 유닛의 진동판에 와이어를 부착하지 않고도 하부의 기판과 와이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진동판의 균일한 상하진동을 얻을 수 있고, 양질의 음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초소형 스피커 유닛의 음질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to connect the lower substrate and the wire without attaching the wire to the diaphragm of the ultra-small speaker unit to obtain a uniform up and down vibration of the diaphragm, can provide a good sound quality, It is an object to make it possible to improve the sou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 compact speaker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배열되며,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그네트; 상기 진동판 및 마그네트가 실장되며, 내측면에 상기 마그네트의 측면을 따라 외부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한개의 유입홈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에 배열되며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는 기판; 및 상기 진동판의 하부 및 상기 마그네트의 중앙부에 배열되며, 상기 유입홈을 따라 와이어가 인출되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이스 코일;을 포함하는 내부 와이어 인출구조를 갖는 스피커 유닛을 제공한다.As a construction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aphragm; A magnet arranged in a lower portion of the diaphragm and formed in a ring shape; A frame in which the diaphragm and the magnet are mounted, and at least one inlet groove is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diaphragm to allow the outside air to flow along the side of the magnet; A substrate arranged under the magnet and receiving electrical signals from the outside; And a voice coil arrang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iaphragm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magnet, and having a wire coil drawn out along the inflow groov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이스 코일의 와이어는 상기 유입홈의 내벽에 본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판은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열되며, 상기 유입홈은 상기 마그네트 및 기판의 측면을 따라 상기 프레임 에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wire of the voice coil is bonded to the inner wall of the inlet groove. In addition, the substrate is arrang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gnet and the inside of the frame, the inlet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rame along the side of the magnet and the substrat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진동판 및 마그네트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소정 길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홈의 입구는 상기 돌출부의 하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판은 4.2 ~ 6 ㎛ 의 두께로 형성되는 이축연신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필름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preferably, the frame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inward direction to secure a space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magnet, and an inlet of the inflow groove may be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protrusion. It is also preferred that the diaphragm be a biaxially stretched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film formed to a thickness of 4.2-6 μm.

또한 상기 프레임은 서로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홈은 각각 상부 및 하부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면에는 하부 프레임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삽입부가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 내측 직경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삽입부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출부 하부방향으로 뻗어있는 결합돌기가 적어도 한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삽입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적어도 한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ame is formed of an upper and lower frames that can be fitted to each other, the inlet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frames, respectively,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and the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frame Inserts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s, the lower inner diameter of the upper frame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to be inserted,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extending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and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lower frame may be configured to have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coupled.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진동판과 마그네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를 순환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네트와 진동판 사이에서부터 마그네트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한개의 순환홈이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ram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circulation groove is formed along the side of the magnet from between the magnet and the diaphragm so as to circulate the air located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magne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 유닛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 유닛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31,41)을 포함하고, 프레임(31,41)의 내부에는 진동판(21), 마그네트(15), 요크(25), 기판(26) 등을 포함하고 있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31,41)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outside as shown in Figure 2, the diaphragm 21, magnet 15, yoke inside the frame (31, 41) 25, the substrate 26, and the like.

먼저, 진동판(21)은 박막의 진동필름으로 형성되며, 설계치에 따른 음향 진동수에 맞도록 두께를 선택하게 된다. 진동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사용되며, 특히 이축연신된 폴리에스테르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 Naphthalate, PEN) 필름이 쓰인다. First, the diaphragm 21 is formed of a thin film vibration film, and the thickness is selected to match the acoustic frequency according to the design value. As the vibrating film, a polyester film is used, in particular, a biaxially stretched polyester naphthalate (PEN) film.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강직한 분자사슬 구조로 인해 우수한 인장강도, 충격강도, 파열강도 등을 갖게 되며, 적정한 신장도를 또한 갖는다. 이 필름의 융점은 약 266도이며, 특히 유리전이 온도가 123도로 우수한 열적 치수안정성을 갖는다. The polyester film has excellent tensile strength, impact strength, rupture strength, etc. due to the rigid molecular chain structure, and also has an appropriate elongation. The film has a melting point of about 266 degrees, and particularly has excellent thermal dimensional stability with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23 degrees.

진동판은 설계치의 음향진동수에 따라 4.2 ~ 6 ㎛의 필름이 사용된다. 필름의 두께가 적을수록 깨끗한 음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초소형 스피커 유닛에 관한 것이며, 초소형의 스피커 유닛에 사용되는 진동판의 두께가 4.2 ㎛ 보다 작게 되면 진동시에 찢어지거나 스피커 프레임에 부착되는데 곤란함을 격게 된다. 또한 초소형의 스피커 유닛(통상적으로 스피커 유닛이 장착된 후 귀에 삽입되는 외부 유니트의 직경이 6mm 정도임)에 6 ㎛ 이상의 진동필름을 사용하게 되면 원하는 음 특성을 얻기가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장 바람직하게는 직경 6mm 의 제품에 사용되는 스피커 유닛에 사용되는 진동필름은 4.6 ㎛ 가 된다. The diaphragm uses a film of 4.2 ~ 6 ㎛ depending on the acoustic frequency of the design value. The smaller the thickness of the film, the better the sound qua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ct speaker unit, 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diaphragm used in the compact speaker unit is smaller than 4.2 占 퐉, it is difficult to be torn during vibration or attached to the speaker frame. In addition, if a vibrating film of 6 μm or more is used for a micro speaker unit (normally, the diameter of an external unit inserted into the ear after the speaker unit is mounted is about 6 mm), it is impossible to obtain desired sound characteristics. Most preferably, the vibrating film used for the speaker unit used for the product having a diameter of 6 mm is 4.6 μm.

진동판(21)의 상부측은 도 2의 단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형의 볼록부가 중앙 및 중앙주위의 원주에 형성되며, 하부에는 보이스코일(22)이 형성된다. 보이스코일(22)에는 전류가 입력되어 마그네트와 전자기장을 만들며 진동판의 진동을 일으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As shown in the cross section of FIG. 2, the upper side of the diaphragm 21 has semi-circular convex portion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er, and the voice coil 22 is formed in the lower part. The voice coil 22 is a current is input to create a magnet and an electromagnetic field to function to cause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보이스 코일(22)은 마그네트(15)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마그네트(15)는 중앙에 보이스코일(22)이 위치하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프레임(31,41)의 내면에 접촉하면서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마그네트(15)는 특히 바닥부에서 요크(25)를 통해 지지된다. 요크(25)는 중앙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링형의 마그네트(15) 중앙에 삽입되어 지지하게 되며, 요크의 중앙부와 마그네트 사이에 상기 보이스 코일(22)이 위치한다. The voice coil 22 is located in a spac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agnet 15. The magnet 15 is formed in a ring shape so that the voice coil 22 is positioned at the center thereof, and is formed to be supported while contacting the inner surfaces of the frames 31 and 41. The magnet 15 is supported via the yoke 25, in particular at the bottom. The yoke 25 has a central portion projecting upward to be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center of the ring magnet 15, and the voice coil 22 is positioned between the center portion of the yoke and the magnet.

요크의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의 입력을 받아 보이스코일에 전달하게 되는 기판(26)이 배열된다. 또한 진동판(21)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그릴(51)이 배열된다. The lower part of the yoke is arranged with a substrate 26 that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s it to the voice coil. In addition, the grill 51 having a plurality of holes i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21.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 유닛 프레임은 내측면에 마그네트의 측면을 따라서 외부의 공기를 유입(또는 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입홈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와 같은 유입홈 외에도 순환홈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각각 상부 및 하부 프레임으로 분리형성하여 이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프레임을 형성하게 된다. The speaker uni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let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o allow the inflow (or outflow) of the outside air along the side of the magnet.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inlet groove, the circulation groove may be additionally formed, and each frame is formed by separat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and combining them.

도 5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프레임은 각각 상부 프레임(31)과 하부 프레임(41)으로 분리되어 조립될 수 있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Th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ssembled by separating the upper frame 31 and the lower frame 41, respectively.

상부 프레임(31)은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링형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돌출부(35)가 형성된다. 돌출부(35)는 진동판(21)과 마그네트(15)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돌출부(35)의 상부에 진동판(21)이 접착배열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frame 3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protrusion 35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ring shape is formed inside. The protrusion 35 functions to partition the space to form a space between the diaphragm 21 and the magnet 15, and the diaphragm 21 is adhesively arrang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35.

상부 프레임(3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유입홈(34)이 형성된다. 유입홈(34)은 상부 프레임(31)의 하부면에서부터 상기 돌출부(35)의 하측 일부에까지 소정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홈으로써,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또는 진동판과 마그네트 사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즉, 마그네트(15)가 돌출부(35)의 하부면 및 프레임의 내면에 접촉하게 되면 프레임의 내면에만 유입홈(34)이 형성되었을 때 마그네트에 의해 유입홈이 막혀서 공기 유입(유출) 효과를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돌출부에 유입홈 입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유입홈(34)은 돌출부 일부에서부터 프레임 하부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least one upper inflow groove 34 is formed in the upper frame 31. The inflow groove 34 is a groov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from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31 to a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35, and air from the outside is introduced or air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magnet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It acts as a passage through which it can be discharged. That is, when the magnet 1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when the inflow groove 34 is formed on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the inflow groove is blocked by the magnet to provide an air inflow (outflow) effect. You will not be able to. Therefore, in order to form the inlet groove inlet to the protrusion, the inlet groove 34 is preferably formed from a portion of the protrusion to the lower frame.

하부 프레임(41)은 상부 프레임과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결합되었을 때 하나의 원통 외면을 이루도록 상부 프레임과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프레임(41)의 상부면에는 상부 프레임(31)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가 형성된다. 삽입부(42)는 내경이 하부 프레임(41)의 내경과 동일하고, 외경이 하부 프레임(41)의 외경보다 작은 구조로 형성되며, 특히 삽입부(42)의 외경은 상기 상부 프레임(31) 하부측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한다. 따라서 하부 프 레임(41)의 삽입부(42)가 상부 프레임(31)의 하부에 삽입되어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형성하게 된다. The lower frame 4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like the upper frame, and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diameter as the upper frame so as to form one cylindrical outer surface when combined.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41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31. The insertion part 42 has an inner diameter that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frame 41, and the outer diameter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frame 41. In particular,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art 42 is the upper frame 31. It is formed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side. Therefore, the insertion portion 42 of the lower frame 41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31 to be fitted.

이와 같은 끼워맞춤구조를 이루기 위해 상부 프레임(31)의 하부측의 내경과 돌출부와의 사이부분의 내경은 달라지게 된다. 즉, 상부 프레임(31)의 하부측에는 삽입부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으로 형성되고 그 윗부분은 하부 프레임(41)의 삽입부 상부면과 접촉하도록 하부 프레임 삽입부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단차를 이루며 형성된다.(도면번호 33) 이 단차를 이루며 삽입부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는 부분에 상부 유입홈(34)이 형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such a fitting structure, the inner diameter of the portion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rame 31 and the protrusion is changed. That is,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rame 31 is formed with an inner diameter into which the insertion portion can be inserted,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forms a step with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frame insertion portion so as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lower frame 41. (No. 33) The upper inlet groove 34 is formed in a portion which forms a step and is formed with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하부 프레임(41)에도 상부 프레임(31)에서와 같이 공기순환을 위한 하부 유입홈(44)이 형성된다. 하부 유입홈(44)은 상부 프레임의 상부 유입홈(34)과 연결되어 하나의 공기순환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하부 유입홈(44)은 하부 프레임(41)의 상부면에서부터 하부면까지 내측면에 상부 유입홈(34)과 같은 폭과 깊이를 갖고 형성된다.The lower inflow groove 44 for air circulation is formed in the lower frame 41 as in the upper frame 31. The lower inlet groove 44 is connected to the upper inlet groove 34 of the upper frame to form one air circulation passage. The lower inflow groove 44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nd depth as the upper inflow groove 34 on the inner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41.

또한,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유입홈(34,44)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즉 하부 프레임이 삽입되면서 유입홈들이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개 이상의 결합돌기(32)가 상부 프레임(31)에 형성되고, 또한 결합돌기(32)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43)이 하부 프레임(41)의 삽입부(42)에 형성된다. In addition,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32 is provided on the upper frame 31 to fix the positions of the inflow grooves 34 and 44 of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that is, to prevent the inflow grooves from being shifted from each other while the lower frame is inserted. ) Is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42 of the lower frame 41 is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 43 which can als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jection (32).

이와 같은 결합돌기(32) 및 결합홈(43)의 끼움 구조에 의해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이 하나의 공기순환유로를 형성하도록 유입홈들의 위치가 정확하게 맞춰질 수 있게 된다. The fitting structure of the coupling protrusion 32 and the coupling groove 43 allows the inlet grooves to be accurately positioned so that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form one air circulation passage.

이때 결합돌기(32)는 상부 프레임의 하부측(삽입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윗부분에서부터 돌출부까지는 유입홈(34)을 제외하고는 막혀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At this time, the engaging projection 32 is preferab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rame (part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has a structure block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protrusion except the inlet groove 34. .

본 발명의 스피커 유닛은 도 5에서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을 갖게 된다. 프레임이 상하로 분리되어 제작되고 이를 결합시킴으로써 하나의 외부 프레임을 형성하게 되며, 이로 인해 하우징 내부의 공기순환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즉, 마그네트 측면으로 공기순환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우징 내부에 유입홈을 형성하게 되는데, 프레임을 각각 상부 프레임(31) 및 하부 프레임(41)으로 분리하여 형성하고, 이를 결합하게 되어 내부의 복잡한 형상에 따른 사출의 어려움을 피할 수 있게 된다. The speak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rame formed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as shown in FIG. The frame is separated and manufactured up and down to form a single outer frame, thereby making it easy to form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inside the housing. That is, inlet grooves are formed in the housing in order to form an air circulation path to the magnet side, and the frames are formed by separating the upper frame 31 and the lower frame 41, respectively, and combined to form a complex inside. The difficulty of injection can be avoided.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으로 외부 프레임을 구성하고, 프레임 내측면에 공기순환을 위한 유입홈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초소형 스피커 유닛에서 공기순환을 위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유입홈 외에 공기순환을 위한 순환홈(37)을 추가적으로 형성하였다.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frames constitute an outer frame, and an inlet groove for air circula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Accordingly, the micro speaker unit provides a structure capable of forming a flow path for air circula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inlet groove, a circulation groove 37 for air circulation is additionally formed.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 유닛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부 프레임(31)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돌출부(35)가 형성된다. 돌출부의 하부에는 소정 폭으로 유입홈(34)이 형성되 며, 결합돌기(32)가 하부 프레임(41)과의 결합을 위하여 형성된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upper frame 31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35. An inflow groove 34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and a coupling protrusion 32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frame 41.

제2 실시예의 상부 프레임(31)은 유입홈(34)외에 공기순환을 위한 순환홈(37)을 추가적으로 형성하게 된다. 순환홈(37)은 결합돌기(32)를 사이에 두고 유입홈(34)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순환홈(37)은 바람직하게는 유입홈(34)의 양측 및 유입홈의 맞은편에 각각 형성할 수 있다. The upper frame 31 of the second embodiment additionally forms a circulation groove 37 for air circulation in addition to the inflow groove 34. The circulation groove 37 is formed adjacent to the inflow groove 34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32 therebetween. The circulation groove 37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flow groove 34 and the opposite of the inflow groove, respectively.

순환홈(37)은 진동판(21)과 마그네트(15) 사이의 공기를 순환시켜 음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여러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돌출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사이에 각각 유입홈 및 순환홈을 형성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돌출부(35)의 하부에 입구가 형성되는 유입홈(34)만 형성되었으나, 제2 실시예에서는 유입홈(34)과 마찬가지로 돌출부의 하부측에 입구가 형성되는 순환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이들 유입홈과 순환홈의 경계는 결합돌기(32)가 이루게 된다. The circulation groove 37 may be formed in plural so as to improve the sound characteristics by circulating air between the diaphragm 21 and the magnet 15. To this end, inflow grooves and circulation grooves are formed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s formed at the lower portions of the protrusions. In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inlet groove 34 in which the inlet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35 is formed, but in the second embodiment, as in the inlet groove 34, the inlet i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protrusion in the plurality. The dogs are formed, and the boundary between these inflow grooves and the circulation grooves is formed with the engaging protrusion 32.

결합돌기(32)는 상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순환홈 및 유입홈에 의해 자연적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게 된다. 결합돌기(32)의 상부면은 돌출부의 하부면과 접해있으며, 이에 의해 결합돌기(32)는 마치 단차를 형성한 것과 같은 형상이 된다. Coupling protrusion 3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it has a shape that naturally protrudes by the circulation groove and the inlet groove. The upper surface of the engaging projection 32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whereby the engaging projection 32 is shaped as if forming a step.

하부 프레임(41)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면에 상부 프레임에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42)를 포함하며, 삽입부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43)이 형성된다. 하부 프레임(41)에는 상부 프레임(31)의 유입홈(34)과 연결되어 하나의 공기순환구조를 이루도록 하부 유입홈(44)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에 삽입부의 상부면은 상부 프레임(31)의 순환홈(37)의 하부면을 이루게 된다. The lower frame 41,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n inserting portion 4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frame, and the inser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43 into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can be inserted. . The lower frame 41 is formed with a lower inlet groove 44 to be connected to the inlet groove 34 of the upper frame 31 to form one air circulation structure.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 part is the upper frame 31.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lation groove 37 is made.

즉, 제2 실시예에서의 순환홈(37)은 하부면이 하부 프레임(41)의 삽입부 상부면에 의해 막혀있는 형상을 갖는다. 이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서, 우측 유입홈(34,44)은 마그네트(15)의 측면에서 외부와 마그네트 및 진동판 사이의 공간을 연결하게 되고, 좌측의 순환홈(37)은 마그네트 및 진동판 사이의 공간부와 마그네트의 측면 일부에 형성되어 외부와 순환되는 구조는 아니다. 순환홈(37)은 상기 공간부의 공기 순환경로를 확장하여 공기순환을 좀더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That is, the circulation groove 37 in the second embodiment has a shape in which the lower surface is block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 portion of the lower frame 41. This is shown in FIG. In FIG. 11, the right inlet grooves 34 and 44 connect the space between the outside and the magnet and the diaphragm at the side of the magnet 15, and the circulation groove 37 on the left side is the space between the magnet and the diaphragm and the magnet. Is formed on the side portion of the structure is not circulated with the outside. The circulation groove 37 functions to expand the air circulation path of the space portion to make the air circulation more smooth.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 유닛의 기판에 보이스 코일의 와이어가 인출되어 솔더링 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 유닛의 보이스 코일이 프레임에 배열된 상태와, 보이스 코일에서의 와이어가 프레임의 유입홈을 따라 인출되어 기판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re of the voice coil is drawn out and soldered to the substrate of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oice coil of a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a frame, and a state in which a wire in the voice coil is drawn out along an inflow groove of the frame and connected to a substrate.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피커 유닛은 프레임에 유입홈(34,44)이 형성된다. 프레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상부 프레임(31) 및 하부 프레임(41)이 결합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aker uni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inlet grooves 34 and 44 formed in the fram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rame has been described as combining the upper frame 31 and the lower frame 41 to form one frame. However, the frame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frame may be used.

프레임(31,41)의 내측면에는 외부와 공기를 순환할 수 있는 유입홈(34,44)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홈을 따라 보이스 코일(22)에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11)가 하부의 기판(26)으로 연결된다. Inner surfaces 34 and 44 are formed on inner surfaces of the frames 31 and 41 to circulate air with the outside. Along the inlet groove, the wire 11 drawn from the voice coil 22 is connected to the lower substrate 26.

즉, 도 4에서와 같이, 진동판(21)의 하부 중앙에 배열되는 보이스 코일(22)에서 와이어(11)가 인출된다. 와이어(11)는 보이스 코일(22)에서부터 수평으로 유입홈(34)을 향해 뻗어있게 되며, 유입홈(34)의 내벽에서 거의 수직으로 절곡되어 하방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와이어(11)는 마그네트(도4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유입홈(34,44)의 전방면이 막혀지게 되므로 특별히 고정하지 않더라도 다른 부품에 의한 간섭을 받을 염려가 없고, 와이어에 힘이 가해져서 단락이 되는 경우도 발생하지 않는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wire 11 is drawn out of the voice coil 22 arrang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diaphragm 21. The wire 11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voice coil 22 toward the inflow groove 34, and is bent almost vertically from the inner wall of the inflow groove 34 to descend downward. At this time, since the front surfaces of the inlet grooves 34 and 44 are blocked by the magnet (not shown in FIG. 4), the wire 11 may not be interfered with by other components even if it is not specially fixed. It does not occur when a short circuit is applied.

다만, 기판에 와이어(11)가 솔더링된 후 와이어의 흔들림에 의해 솔더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입홈(34,44)의 내벽에 접착수단을 통해 본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However, after the wire 11 is soldered to the substrate, it is more preferable to bond the inner wall of the inflow grooves 34 and 44 through an adhesive means to prevent the solder part from being damaged by the shaking of the wire.

공기순환을 위한 유입홈(34,44)이 프레임의 하부까지 형성되어 외부와 연결되기 때문에 프레임의 하부 맨 바닥부에 배열되는 기판에 바로 연결될 수 있다. 즉, 기판(26) 측면까지 내려온 와이어(11)는 거의 수직으로 절곡되어 기판(26)에 솔더링된다. 이때 와이어는 바람직하게는 2가닥(11a,11b)이며, 각각 양극과 음극에 연결된다. Since the inlet grooves 34 and 44 for air circulation are formed to the bottom of the frame and connected to the outside, the inlet grooves 34 and 44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arranged at the bottom bottom of the frame. That is, the wire 11 lowered to the side of the substrate 26 is bent almost vertically and soldered to the substrate 26. At this time, the wire is preferably two strands (11a, 11b),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 유닛은 상부 프레임(31) 및 하부 프레임(41)으로 형성되어 이들의 내측면에 공기순환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유입홈(34,44)이 형성되고, 이러한 유입홈(34,44)을 통해 보이스 코일(22)의 와이어(11)를 인출하게 된다.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the upper frame 31 and the lower frame 41 is formed in the inlet grooves 34, 44 for form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on their inner surface, these inlet grooves 34, The wire 11 of the voice coil 22 is led through 44.

이와 같은 유입홈을 따라 프레임 하부에서부터 돌출부까지 공기가 유입(또는 유출)될 수 있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순환되어 진동판의 진동을 원활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되며, 음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ir may flow in (or outflow) from the lower part of the frame to the protrusion along the inflow groove, such that air is circulated from the outside to smoothly ensure vibration of the diaphragm and improve sound characteristics.

또한, 진동판의 하부에 배열되는 보이스 코일의 인출선을 종래의 경우 진동판의 측면으로 진동판에 부착하여 인출하고, 이 인출되는 와이어를 프레임의 외부로 빼내어 하부의 기판과 연결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이 와이어가 내부에 형성되는 유입홈을 통해 하부의 기판과 연결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lead wire of the voice coil arranged in the lower part of the diaphragm is conventionally attached to the diaphragm with the side of the diaphragm, the lead wire is pulled out, and the lead wire is pulled out of the frame and connected to the lower substrate. The wire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ubstrate through the inlet groove formed therein.

이에 의해 진동판에 와이어가 부착되어 무게의 차이로 인한 진동특성의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진동판의 상하진동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양질의 음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wires are attached to the diaphragm to prevent imbalance of vibration characteristics due to differences in weight. In other words,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can be made uniformly up and down, thereby providing a good sound quality.

본 발명은 초소형의 스피커 유닛에 외부 공기 순환유로가 형성된 새로운 구조의 프레임을 제공하고, 외부 공기 순환유로를 통해 보이스 코일의 와이어를 인출하도록 하여, 진동판이 원활히 진동할 수 있도록 공기의 유출입을 가능하게 하며, 진동판에 와이어가 부착되어 무게의 차이에 따른 왜곡진동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ame of a new structure in which an external air circulation flow path is formed in a micro speaker unit, and draws out the wire of the voice coil through the external air circulation flow path, so that air flows in and out so that the diaphragm can vibrate smoothly. In addition, the wire is attached to the diaphragm to provide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distortion vibra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weight.

또한 본 발명은 초소형의 스피커 유닛의 진동판에 와이어를 부착하지 않고도 하부의 기판과 와이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진동판의 균일한 상하진동을 얻을 수 있고, 양질의 음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초소형 스피커 유닛의 음질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to connect the lower substrate and the wire without attaching the wire to the diaphragm of the ultra-small speaker unit to obtain a uniform up and down vibration of the diaphragm, can provide a good sound quality, The sound quality of the compact speaker unit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articular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Claims (8)

진동판;tympanum;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배열되며,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그네트;A magnet arranged in a lower portion of the diaphragm and formed in a ring shape; 상기 진동판 및 마그네트가 실장되며, 내측면에 상기 마그네트의 측면을 따라 외부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한개의 유입홈이 형성되는 프레임;A frame in which the diaphragm and the magnet are mounted, and at least one inlet groove is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diaphragm to allow the outside air to flow along the side of the magnet;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에 배열되며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는 기판; 및A substrate arranged under the magnet and receiving electrical signals from the outside; And 상기 진동판의 하부 및 상기 마그네트의 중앙부에 배열되며, 상기 유입홈을 따라 와이어가 인출되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이스 코일;을 포함하고, And a voice coil arrang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iaphragm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magnet, and having a wire drawn out along the inflow groov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상기 프레임은 서로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열되며, 상기 유입홈은 상기 마그네트 및 기판의 측면을 따라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와이어 인출구조를 갖는 스피커 유닛.The frame is formed of an upper and a lower frame that can be fitted to each other, the substrate is arrang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gnet and the inside of the frame, the inlet groove is the upper and lower sides along the sides of the magnet and the substrate Speaker unit having an inner wire draw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의 와이어는 상기 유입홈의 내벽에 본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와이어 인출구조를 갖는 스피커 유닛. The speaker unit of claim 1, wherein the wire of the voice coil is bonded to an inner wall of the inflow groov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진동판 및 마그네트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소정 길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 입홈의 입구는 상기 돌출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와이어 인출구조를 갖는 스피커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ram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inward direction to secure a space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magnet, the inlet of the inlet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rotrusion A speaker unit having an internal wire drawing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4.2 ~ 6 ㎛ 의 두께로 형성되는 이축연신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와이어 인출구조를 갖는 스피커 유닛.The speaker unit of claim 1, wherein the diaphragm is a biaxially stretched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film formed to a thickness of 4.2 to 6 μm.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면에는 하부 프레임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삽입부가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is formed with an insert portion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frame protruding upwards,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 내측 직경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삽입부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The lower inner diameter of the upper frame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lower frame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can be inserted,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출부 하부방향으로 뻗어있는 결합돌기가 적어도 한개 형성되고,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extends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protrusion. 상기 하부 프레임의 삽입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적어도 한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와이어 인출구조를 갖는 스피커 유닛.The speaker unit having an internal wire draw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coupled is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lower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rame, 상기 진동판과 마그네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를 순환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네트와 진동판 사이에서부터 마그네트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한개의 순환홈이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와이어 인출구조를 갖는 스피커 유닛.And at least one circulation groove formed along a side surface of the magnet from the magnet and the diaphragm so as to circulate air located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magnet.
KR1020050073536A 2005-08-11 2005-08-11 speaker unit with inner wire withdrawal structure KR1006917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536A KR100691750B1 (en) 2005-08-11 2005-08-11 speaker unit with inner wire withdrawal structure
PCT/KR2005/002965 WO2007018326A1 (en) 2005-08-11 2005-09-08 Speaker unit with air flow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536A KR100691750B1 (en) 2005-08-11 2005-08-11 speaker unit with inner wire withdrawal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074A KR20070019074A (en) 2007-02-15
KR100691750B1 true KR100691750B1 (en) 2007-03-12

Family

ID=4162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536A KR100691750B1 (en) 2005-08-11 2005-08-11 speaker unit with inner wire withdrawal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175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094A (en) * 2021-04-14 2022-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Speake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074A (en)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5250B2 (en) Speaker device, audiovisual apparatus,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oving object, and earphone
CN101142850B (en) Speaker
CN105704625A (en) Slim microspeaker
JP5049883B2 (en) Speaker
KR100550972B1 (en) Earphone
US20170099536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flexible coilwire connection
JP2018512014A (en) Mobile frameless acoustic transducer with optional coil wire and lead support
CN103796140B (en) Vibration module for sonic transducer
KR101381255B1 (en) Hybrid microspeaker
JP4159408B2 (en) Speaker
KR102023685B1 (en) Slim type speaker
KR100691746B1 (en) speaker unit with air flow structure
KR100691750B1 (en) speaker unit with inner wire withdrawal structure
CN110798781A (en) Miniature loudspeaker
WO2022006922A1 (en) Loudspeaker
KR101759065B1 (en) Speaker having tinsel wire insertion type damp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damper
KR101760428B1 (en) Micro speak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1822186B1 (en) Speaker having tinsel wire insertion type damp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damper
US20070223769A1 (en) Speaker and method making the same
KR102562106B1 (en) Slim Speaker
KR20040079038A (en) Lead unity type damper for speaker
CN218830516U (en) Sound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570857B1 (en) Diaphragm for micro speak and micro speak having thereof
WO2007018326A1 (en) Speaker unit with air flow structure
KR102491847B1 (en) Microspeaker with a structre for preventing magnet s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305

Effective date: 20090114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