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163B1 - 돌침대 - Google Patents

돌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163B1
KR100691163B1 KR1020050100112A KR20050100112A KR100691163B1 KR 100691163 B1 KR100691163 B1 KR 100691163B1 KR 1020050100112 A KR1020050100112 A KR 1020050100112A KR 20050100112 A KR20050100112 A KR 20050100112A KR 100691163 B1 KR100691163 B1 KR 100691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lvan
stone
generating member
he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군
Original Assignee
도양석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양석재(주) filed Critical 도양석재(주)
Priority to KR1020050100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6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8Silicon, e.g. silicon carbide, magnesium silicide, heating transistors or di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이 공급될 때 맥반석에 열을 공급하는 열원으로 메시형 발열부재 또는 옥매트를 사용하고, 이 발열부재와 맥반석 사이에 박판의 열전달판을 설치하여 맥반석 전면에 걸쳐 균일한 열이 전달되도록 하며, 최하부에 놓여진 바닥부재에 통기공을 형성하여 내부에 습기가 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돌침대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돌침대는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최하부에 설치되고 통기공이 관통되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 상부에 놓여지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 상부에 놓여지고, 전원공급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발열부재;
상기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발열부재 상부에 배치되는 맥반석;
상기 발열부재와 맥반석 사이에 놓여지고, 발열부재에서 발생된 열을 맥반석에 전달하는 열전달판; 및
상기 발열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열부재의 발열 온도 및 시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돌침대, 맥반석, 열전달판, 발열부재, 단열재

Description

돌침대{Stone 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돌침대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돌침대에 다리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돌침대를 단면하여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돌침대의 정단면도
도 5는 도 4의 원내부를 확대한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부재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부재의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부재의 제조공정을 보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부재에 관한 것으로, 실온상태에서 액상실리콘고무 속에 전도성 카본블랙의 미세구조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부재에 관한 것으로, 실온보다 온도가 상승된 상태에서 액상실리콘고무 속에 전도성 카본블랙의 미세구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돌침대 2 : 프레임
3 : 바닥부재 4 : 단열재
5 : 발열부재 6 : 맥반석
7 : 열전달판 8 : 콘틀롤러
9 : 지지대 10 : 채움부재
본 발명은 돌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이 공급될 때 발열부재가 열을 발생하여 맥반석을 가열함으로써 온돌침대로 사용 가능케 하고, 발열부재와 맥반석 사이에 박판의 열전달판을 설치하여 맥반석 전면에 걸쳐 균일한 열이 전달되도록 하며, 최하부에 놓여진 바닥부재에 통기공을 형성하여 내부에 습기가 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돌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돌침대는 건강에 좋다고 알려지면서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많은 제품들이 양산되고 있다.
종래의 돌침대는 최상부에 판상의 돌판이 설치되고, 이 돌판 하부에는 상기 돌판에 열을 공급하는 발열소재가 구비되고, 발열소재의 하부에는 단열재가 설치되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돌침대는 발열소재가 전선으로 구성된 히 터이고, 상기 히터는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돌판 전역에 걸쳐 균일하게 열을 전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최하부에 놓여진 바닥부재에 통기공이 없었기 때문에 여름철과 같이 습한 날씨에 발열소재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관계로 단열재 내부에 습기가 차 발열소재 및 단열재가 부식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돌침대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원이 공급될 때 맥반석에 열을 공급하는 열원으로 사용되는 발열부재를 격자형상으로 배열된 메시형 발열부재 또는 옥매트를 사용하여 맥반석 하부에 균일하게 배치하고, 발열부재와 맥반석 사이에 박판의 열전달판을 설치하여 맥반석 전면에 걸쳐 균일한 열이 전달되도록 하며, 최하부에 놓여진 바닥부재에 통기공을 형성하여 내부에 습기가 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돌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돌침대는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최하부에 설치되고 통기공이 관통되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 상부에 놓여지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 상부에 놓여지고, 전원공급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발열부재; 상기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발열부재 상부에 배치되는 맥반석; 상기 발열부재와 맥반석 사이에 놓여지고, 발열부재에서 발생된 열을 맥반석에 전달하는 열전달판; 및 상기 발열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열부재의 발열 온도 및 시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돌침대의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돌침대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돌침대에 다리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돌침대를 단면하여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돌침대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원내부를 확대한 상세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부재에 관련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돌침대(1)는 프레임(2), 최하부에 설치되고 통기공을 갖는 바닥부재(3), 상기 바닥부재(3) 상부에 놓여지는 단열재(4), 상기 단열재 상부에 놓여지고 전원공급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발열부재(5), 상기 프레임(2) 내부에 수용되고 발열부재(5) 상부에 배치되는 맥반석(6), 상기 발열부재(5)와 맥반석(6) 사이에 놓여지고 발열부재(5)에서 발생된 열을 맥반석(6)에 전달하는 열전달판(7) 및 상기 발열부재(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열부재(5)의 발열 온도 및 시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8)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2)은 천연목재, 목재를 분쇄하여 접착제와 함께 압착시킨 엠디프(MDF), 또는 합성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관의 미려함과 고급스런 분위기를 장식할 수 있도록 천연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천연목재는 잘 건조시켜 오래 사용하여도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목재를 선택하며, 마지막 제조공정에서 그 표면에 수차례 니스칠을 반복하여 광택이 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천연목재는 여러 가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스기목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스기목은 일본산을 삼(杉)나무라하고 미국산을 적삼목이라고 불리우며, 높이 40m, 줄기의 직경은 2m가량이나 되는 침엽수이고 물에 잘 썩지않고 변형이 없을 뿐만 아니라 독특한 향을 발산하고, 또한 재질이 좋고 가공이 용이하여 건축, 토목, 선박, 가구재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프레임(2)은 맥반석(6)의 테두리를 감싸게 되므로 그 내부에 공간을 갖게 되는데, 상기 공간은 맥반석(6)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며, 도면에서는 사각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바닥부재(3)는 판상의 형태로 침대의 최하부에 조립되어 프레임(2) 및 맥반석(6)을 포함한 다른 부품들이 놓여지는 토대가 된다. 상기 바닥부재(3)는 침대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어 내부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몸체에 많은 통기공(3a)이 관통된다.
상기 바닥부재(3)는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아 통기공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그 하부 테두리에 받침대(3b)가 설치된다.
상기 바닥부재(3)는 견고하고 단열성능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엠디에프재질을 사용하였다.
상기 단열재(4)는 그 위에 발열부재(5)가 놓여지게 되므로, 발열부재(5)에서 발생된 열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열에 강하면서 열차단 효과가 우수한 재질을 사용한다. 이러한 단열재는 공지의 기술이다.
상기 발열부재(5)는 맥반석(6)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고 2가지 형태가 제시된다.
첫 번째 제시된 것은 메시형 발열부재(50)로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태로 구성된다. 즉, 씨줄(50a)과 날줄(50b)로 직조되고 상기 씨줄(50a) 또는 날줄(50b)의 양 단부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부(50c)(50d)가 위치한다. 상기 단자부(50c)(50d)는 전도성이 우수한 주석도금동선, 은선 등의 양호한 도체 금속선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메시형 발열부재(50)는 액상실리콘고무(50e)를 사용함으로써 유연성이 탁월하여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메시형 발열부재(50)의 제조는 도 8의 공정 흐름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처음 혼합단계에서는 액상실리콘고무(50e)와 카본블랙(50f)이 혼합되는데, 액상실 리콘고무(50e)와 카본블랙(50f)의 혼합비율은 질량비를 기준으로 하여 약 100 : 1∼15으로 혼합된다.
액상실리콘고무(50e)를 사용하는 이유는 고분자 피티시(PTC :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에 사용되는 고분자 플라스틱 재료보다 <표 1>의 열적성질표와 같이 내열성, 내한성, 내오존성, 전기절연성이 우수하며, 또한 유연성이 탁월한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표 1>
항목 액상실리콘고무 폴리에틸렌(HDPE)
비중 1.04 0.94∼0.97
유리전이온도(Tg) -118∼-132℃ -30℃
결정용융온도(Tm) - 137℃
열팽창계수(10-6/k-1) 270 150
연속사용온도 190℃ 80∼90℃
특히, 액상실리콘고무(50e)의 열팽창계수(270×10-6·K-1)가 폴리에틸렌의 열팽창계수(PE, 150×10-6·K-1)보다 2배 정도 높기 때문에 상기 메시형 발열부재(50)는 자기제어저항발열 기능을 갖게 된다.
상기 카본블랙(50f)의 대표적 물성은 <표 2>와 같이 입자의 크기가 40nm이하이며, 고전도성 구조 형태의 물성을 필요로 한다.
<표 2>
항목 Air Space Rate(%) Primary Particle Diameter Number of Primary Particle(×1015piece/g)
전도성 카본블랙 60 40 38
이와 같이 혼합된 후, 교반단계에서는 상기 액상실리콘고무(50e)의 질량비를 기준으로 하여 약 0∼100%로 하여 희석제(톨로엔 등)를 첨가한 후에 교반을 하게 되는데, 여기서 카본블랙(50f) 함유량이 적으면 희석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상기 도전성 조성물의 유동성이 확보된다. 희석제를 첨가하는 이유는 교반시 도전성 조성물의 유동성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교반단계를 거친 후에 상기 교반된 도전성 조성물은 일정한 형상의 구조를 갖는 틀에 0.1mm 전도의 두께로 코팅하여 <표 3>과 같은 경화시간에 따라 경화시킨다.
<표 3>
경화온도 경화시간
실온 4일∼1주일
150℃ 5∼10분
200℃ 1∼5분
이와 같이 제조된 메시형 발열부재(50)는 도전성 카본블랙(50f) 10% 함유량으로 구성된 제 1시편과, 도전성 카본블랙(50f) 8% 함유량으로 구성된 제 2시편을 측정하여 온도-저항특성을 도출하여 이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온도(℃) 저항률(ρ·㎝)
실시예1 실시예2
20 91 -
30 129 150
40 144 220
50 156 267
60 170 312
70 187 416
80 208 468
90 250 625
100 267 939
110 312 1300
120 407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메시형 발열부재(50)는 온도-저항특성이 온도가 상승되면 체적적으로 저항이 상승하는 자기제어저항발열 특성을 나 타내고 있어 본 발명의 돌침대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자기제어저항발열 메카니즘을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에는 실온상태에서 액상실리콘고무(50e)속에 전도성 카본블랙(50f)의 미세구조로 배향정도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실온보다 온도가 상승된 상태에서 액상실리콘고무(50e)속에 전도성 카본블랙(50f)이 미세구조로 배향정도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기전도성은 전도성 카본블랙(50f) 입자간에 액상실리콘고무(50e)와 미세한 공간을 두고 카본블랙(50f) 구조가 응집되어 있는데, 이 때의 미세한 공간이 포텐셜 장벽역할을 하며 열적동요(thermal fluctuation)에 의해 전자가 이 미세한 공간을 넘어 터널링(tunneling current)됨으로서 발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제어저항발열 기능은 터널링 전류(tunneling current)를 이용한다. 이것은 미세한 공간의 사이가 1nm이내로 접근한 상태로 유지될 때 그 공간 사이를 흐르게 되며 거리에 매우 민감해서 거리의 변화에 지수함수적으로 반비례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도 10과 같이 온도가 상승되면 미세한 공간의 사이가 넓어져 전기전도성이 낮아지고 저항값이 상승하게 되므로 맥반석(6)에 열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시형 단열부재(50)는 카본블랙(50f)에서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이 발생되는데, 상기 음이온은 바닥부재(3)의 통기공(3a)을 통해 침대 외부로 배출되어 침대 주변의 공기에 음이온을 제공하게 된다.
두 번째 제시된 발열부재는 옥매트(51)이다.
상기 옥매트(51)는 전원이 공급되면 그 내부에 수납된 전선에서 열이 발생하는 공지의 의료용 또는 가정용 매트를 사용한다.
옥매트는 그 표면에 많은 옥(51a)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공급에 의해 내부에 배치된 전선(51b)이 열을 발생하여 옥(51)을 가열시키게 된다. 따라서, 가열된 옥(51)은 그와 접촉하고 있는 맥반석(6)에 열을 전달함과 동시에 옥(51)의 특성을 전달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이롭게 한다.
옥은 생명 에너지인 氣를 발산하는 특수 광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을 비롯한 많은 연구기관에서 옥의 효능을 활발히 연구.실험하고 있다. 옥은 인체에 매우 적합한 파장 8-14um을 발산하여 인체의 기(氣)와 공명 흡수됨으로써 인체에 잠재된 氣를 활성화시켜 주고, 현대의학으로 해결되지 않는 각종 현대병, 성인병 등에 자연치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옥의 구체적인 효능을 자세히 설명하면, 옥은 광범위하게 인체에너지 및 기를 강화해주고, 산소를 풍부하게 활성화(약30%)하고 맑은 피를 공급해주며,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해주고, 혈액의 점도를 균형있게 회복하고 알카리성화 해둔다.
또한, 옥은 이상세포의 증식을 방지하고 정상세포로의 회복을 돕고, 통증경감 및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체내 유해 축적물(노폐물,수은,납 등)을 배출해주며, 머리를 맑게 하고 눈,귀를 밝게 한다고 알려져 중국의 각 병원에서는 연옥을 "암 정복의 별"이라 불리우고 있다.
상기 열전달판(7)은 발열부재(5)와 맥반석(6) 사이에 위치되어 발열부재(5)에서 발생된 열을 맥반석(6) 전역에 걸쳐 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얇은 박판형태로 구성되고, 열전달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한다.
이러한 열전달판(7)은 은판, 동판, 알루미늄판, 마그네슘판과 같이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값이 싸고 부식되지 않고 또한 전차파를 차단하는 기능이 있는 동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맥반석(6)은 상기 프레임(2)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판상의 형태로 가공되며, 그 면적이 너무 클 경우에는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구분하여 이들을 끼워맞춤식으로 조립하여 침대를 제조한다.
이러한 맥반석(6)은 화성암류 중 화강섬록반암에 속하며, 석영과 장석이 촘촘하게 섞여 있다. 누런 백색, 연한 누런 갈색, 옅은 회색, 짙은 녹색 또는 옅은 녹색 암석에 빨간 점 또는 하얀 점이 고르게 섞여 있는 모습이 보리밥과 같다고 하여 맥반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주성분은 무수규산과 산화알루미늄이고, 산화제2철이 소량 함유되어 있다. 약석으로 알려진 것은 누런 백색을 띤 맥반석으로 예전에는 환약을 정제하는 여과제, 등에 나는 부스럼 또는 종기 등 피부질병을 치료하는 소염제로 사용하였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그 성질은 달고, 따뜻하며, 독이 없다고 한다.
또한, 맥반석은 1㎤당 3~15만 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어 흡착성이 강하 고, 약 2만 5000종의 무기염류를 함유하고 있으며, 중금속과 이온을 교환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해금속 제거제로도 사용하며, 이 암석에 열을 가하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침대뿐만 아니라 찜질방·식기·의료기 등 여러 산업 부분에서 이용하고 있다.
상기 콘트롤러(8)는 상기 발열부재(5)를 제어하여 온도 및 시간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콘트롤러(8)는 전원을 ON/OFF시키는 전원스위치(8a),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의해 온도를 올리고 내리는 두 개의 온도스위치(8b), 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 스위치(8c), 및 설정된 온도 및 시간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창(8d)을 포함한다.
이러한 콘트롤러(8)는 일반적인 가전제품에 널리 사용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열전달판(7) 및 맥반석(6)은 프레임(2)의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프레임(2)의 공간에 수용된 지지대(9)상에 놓여지도록 하여 열전달판(7) 및 맥반석(6)을 안정되게 지지토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지지대(9)는 목재로 구성되는 좋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의 공간 내측벽 둘레를 따라 밀접하게 설치되고, 그 내부에 상기 발열부재(5) 및 단열재(4)를 수용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열전달판(7) 및 맥반석(6)을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돌침대(1)는 프레임(2)과 그 내부에 설치된 맥반석(6)과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때 이 유격을 제거할 수 있도록 유격을 형성하는 공간부에 채움부재(10)가 충진된다. 상기 채움부재(10)에 충진되는 소재는 가죽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돌침대(1)는 도 2와 같이 사각 모서리 하부에는 다리(11)가 형성되어 통상적인 침대의 높이와 같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발열부재(5)의 플러그를 전원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발열부재(5)의 씨줄(50a) 및 날줄(50b) 또는 전선(51b)에서 열이 발생하여 열전단판(7)에 전달하게 되므로 열전달판(7) 상부에 밀접하게 놓여진 맥반석(6)은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전달판(7)에 의해 가열된 맥반석(6)은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방출하게 되므로 이를 이용한 사용자는 맥반석(6)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어 피로가 빨리 회복되고, 숙면을 취한 다음에 몸이 개운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발열부재의 카본에서 발생된 음이온이 바닥부재의 통기공을 통해 배출되므로 사용자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최하부에 설치되고 통기공이 관통되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 상부에 놓여지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 상부에 놓여지고, 전원공급에 의해 열을 발생하며, 액상실리콘고무와 도전성 카본블랙이 질량비 기준 100 : 1∼15로 혼합된 도전성 조성물을 씨줄과 날줄로 직조되어 메시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씨줄 또는 날줄의 양단부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로 사용하기 위한 단자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자부는 전도성이 우수한 주석도금동선, 은선 중 선택되는 발열부재;
    상기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발열부재 상부에 배치되는 맥반석;
    상기 발열부재와 맥반석 사이에 놓여지고, 발열부재에서 발생된 열을 맥반석에 전달하는 열전달판; 및
    상기 발열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열부재의 발열 온도 및 시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50100112A 2005-10-24 2005-10-24 돌침대 KR100691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112A KR100691163B1 (ko) 2005-10-24 2005-10-24 돌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112A KR100691163B1 (ko) 2005-10-24 2005-10-24 돌침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251U Division KR200405728Y1 (ko) 2005-10-25 2005-10-25 돌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1163B1 true KR100691163B1 (ko) 2007-03-16

Family

ID=4162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112A KR100691163B1 (ko) 2005-10-24 2005-10-24 돌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116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727B1 (ko) 탄소발열체를 이용한 발열의자
US20100319125A1 (en) Heat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for Bed Mattress
HK1107535A1 (en) Radiant therapeutic heating apparatus
KR200405728Y1 (ko) 돌침대
KR101567526B1 (ko) 온열매트
KR100691163B1 (ko) 돌침대
KR101599721B1 (ko) 원적외선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온돌판넬
CN207369320U (zh) 一种石墨烯发热铺地材料
KR200400461Y1 (ko) 조립식 온열패널
CN110144068A (zh) Cnt复合型材料发热体及其制造方法和应用
KR101977618B1 (ko) 암염 침대
KR20100035776A (ko) 스프링 침대용 황토-숯 온돌장치
JP3149754U (ja) 遠赤外線発生板を組み込んだ冷暖房付きペット用ベッド
CN201772541U (zh) 安全节能箱式控温取暖器
KR101171470B1 (ko) 저전압 면상 발열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면상 발열 시트
CN210813546U (zh) 一种金字塔结构的养生房
KR200444440Y1 (ko) 도자기 온열 침대 보료
KR200353361Y1 (ko) 전기온열을 구비한 블럭 바닥재
US6575379B1 (en) Frame structure with far infrared heating function
KR20020096835A (ko) 유해 전자파 흡수 중화용 원단
KR102080560B1 (ko) 발열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CN204629666U (zh) 用于电暖桌的保温装置及电暖桌
KR20030068840A (ko) 건강 옥부인
CN208425793U (zh) 一种床用石墨烯加热幔帐结构
KR200226596Y1 (ko) 원적외선 방사 매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