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995B1 - 반도체 메모리의 셀프 테스트 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의 셀프 테스트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995B1
KR100690995B1 KR1020000050491A KR20000050491A KR100690995B1 KR 100690995 B1 KR100690995 B1 KR 100690995B1 KR 1020000050491 A KR1020000050491 A KR 1020000050491A KR 20000050491 A KR20000050491 A KR 20000050491A KR 100690995 B1 KR100690995 B1 KR 100690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witch
memory
register
fl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7278A (ko
Inventor
이종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00050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995B1/ko
Publication of KR2002001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38Response verification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10Aspects relating to interfaces of memory device to external buses
    • G11C2207/105Aspects related to pads, pins or terminals

Landscapes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의 셀프 테스트 회로에 관한 것으로, 시스템 파워 업 시 자동으로 셀프 테스트를 수행하고, 이후 사용자가 요구할 때마다 테스트 결과를 출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은, 모니터 회로와 플래그 레지스터, 제 1 내지 제 3 스위치, 사용자 레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니터 회로는 파워 온 시 메모리가 초기화된 다음 메모리의 초기화 상태를 검사한다. 플래그 레지스터는 모니터 회로의 검사 결과를 논리 1 또는 논리 0의 플래그 비트로서 저장한다. 제 1 스위치는 파워 업 신호 또는 사용자 입력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 된다. 사용자 레지스터는 제 1 스위치를 통해 플래그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플래그 비트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제 2 스위치는 사용자 출력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 된다. 제 3 스위치는 사용자 출력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 되고, 제 2 스위치와 메모리의 입출력 단자와 연결되며, 제 2 스위치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 레지스터의 플래그 비트와 메모리의 출력 신호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패드에 전달한다.
반도체 메모리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의 셀프 테스트 회로{Self test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셀프 테스트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반도체 메모리의 셀프 테스트 회로의 동작 특성을 나타낸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 : 메모리
104 : 모니터 회로
106 : 플래그 레지스터
108 : 제 1 스위치
110 : 사용자 레지스터
112 : 제 2 스위치
114 : 제 3 스위치
116 : 패드
118 : 오어 게이트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의 셀프 테스트 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의 테스트는 목적에 따라 크게 제품 테스트와 프로브 테스트(probe test)로 구분된다. 제품 테스트는 웨이퍼 프로세스 공정이나 조립(assembly) 공정 등의 제조 과정에서의 결함을 발견해 내어 불량품을 제거해서 양품만을 골라내는 것이 목적이다.
프로브 테스트는 반도체 메모리의 기능이나 성능이 설계 사양(specification)과 일치하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 테스트는 출하(제고) 공정에서 다량으로 실시하며 높은 생산성(through-put)이 요구된다. 프로브 테스트는 연구 개발 시에 세심하게 실시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개발 기간을 단축시키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이러한 테스트를 통해 제조상의 결함이나 설계와 기능의 불일치가 발견되면 그 정확한 원인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 분석 또는 불량분석이며 특히 반도체 메모리 내부의 불량 발생 장소를 확실히 규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의 테스트 방법은 소정의 테스트 벡터를 각각의 메모리 셀에 저장하였다가 이를 다시 인출해 보고, 입력 데이터와 인출 데이터가 동일한지를 비교함으로써 메모리에 결함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메모리를 테스트할 때, 테스트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테스트하고자 하는 메모리에 구비된 입출력 패드에 모두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고 구비된 입출력 패드 가운데 일부에만 테스트용 데이터를 입력하여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의 테스트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소정의 테스트 벡터를 메모리에 입력하는 과정과 이를 인출하여 비교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 테스트 결과를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테스트 즉시 그 결과를 확인하지 않으면 안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셀프 테스트 회로는, 시스템 파워 업 시 자동으로 셀프 테스트를 수행하고, 이후 사용자가 요구할 때마다 테스트 결과를 출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은, 모니터 회로와 플래그 레지스터, 제 1 내지 제 3 스위치, 사용자 레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니터 회로는 파워 온 시 메모리가 초기화된 다음 메모리의 상태를 검사한다. 플래그 레지스터는 모니터 회로의 검사 결과를 논리 1 또는 논리 0의 플래그 비트로서 저장한다. 제 1 스위치는 파워 업 신호 또는 사용자 입력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 된다. 사용자 레지스터는 제 1 스위치를 통해 플래그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플래그 비트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제 2 스위치는 사용자 출력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 된다. 제 3 스위치는 사용자 출력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 되고, 제 2 스위치와 메모리의 입출력 단자와 연결되며, 제 2 스위치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 레지스터의 플래그 비트와 메모리의 출력 신호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패드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셀프 테스트 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셀프 테스트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 회로(104)는 메모리(102)의 주요 구성 요소의 상태를 모니터 한다. 예를 들면, 메모리(102)를 구성하는 래치(latch)의 출력 신호의 초기 값이나, 전원 회로(power generator)에서 출력되는 전원전압의 레벨 등을 모니터 하여 정상적인 경우 해당 플래그의 비트 값을 논리 0으로 기록하고,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해당 플래그의 비트 값을 논리 1로 기록한다. 모니터 회로(104)에 의한 메모리(102)의 모니터 작업은 파워 업 신호(PWR_UP) 발생 시에 자동으로 수행된다.
파워 업 신호(PWR_UP)는 시스템의 파워 온 시에 전원 전압(VDD)이 충분한 레벨(full VDD)까지 도달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발생하는 신호이다. 즉, 파워 업 신호(PWR_UP)는 전원 전압(VDD)이 충분한 레벨까지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신호이며, 시스템은 이 파워 업 신호(PWR_UP)가 발생함으로써 비로소 초기화된다.
즉, 모니터 회로(104)는 파워 업 신호(PWR_UP)가 발생하여 시스템이 초기화된 상태에서 메모리(102)의 상태를 테스트하는 것이다.
플래그 레지스터(106)는 메모리(102)의 주요 구성 요소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각의 플래그를 저장하기 위한 레지스터들로 구성되고, 각각의 레지스터에는 모니터 회로(104)의 모니터 결과가 저장된다.
제 1 스위치(108)는 파워 업 신호(PWR_UP) 또는 사용자 입력 제어 신호(USER_IN)에 의해 스위칭 되며, 플래그 레지스터(106)에 저장되어 있는 플래그 비트들을 사용자 레지스터(110)에 전달하여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제 1 스위치(108)는 오어 게이트(118)의 출력 신호에 의해 스위칭 되는데, 오어 게이트(118)의 입력은 파워 업 신호(PWR_UP)와 사용자 입력 제어 신호(USER_IN)이다. 따라서 파워 업 신호(PWR_UP)와 사용자 입력 제어 신호(USER_IN)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하이 레벨로 활성화되면 논리 1의 출력을 발생시켜서 제 1 스위치(108)를 턴 온 시킨다.
사용자 레지스터(110)는 플래그 레지스터(106)로부터 제 1 스위치(108)를 통해 전달되는 플래그 비트들을 저장한다. 사용자 레지스터(110)에 저장된 플래그 비트들은 이후 사용자가 요청할 경우 사용자 출력 제어 신호(USER_OUT)에 의해 패드(116)로 출력된다.
제 2 스위치(112)는 사용자 출력 제어 신호(USER_OUT)에 의해 스위칭 되며, 사용자 레지스터(110)에서 출력되는 플래그 비트들을 제 3 스위치(114)로 전달한다.
제 3 스위치(114)는 사용자 출력 제어 신호(USER_OUT)에 의해 스위칭 되며, 제 2 스위치(112)와 메모리(102)의 입출력 단자(I/O) 가운데 하나를 선택적으로 패드(116)와 연결한다. 만약 제 3 스위치(114)가 제 2 스위치(112)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레지스터(110)의 플래그 비트들이 패드(116)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3 스위치(114)가 메모리(102)의 입출력 단자(I/O)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메모리(102)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가 패드(116)를 통해 출력되거나, 패드(116)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가 메모리(102)에 전달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셀프 테스트 회로의 동작 특성을 나타낸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전압(VDD)이 상승하여 충분한 레벨에 도달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Δt)이 경과하면 파워 업 신호(PWR_UP)가 하이 레벨로 활성화된다. 이 파워 업 신호(PWR_UP)에 의해 사용자 레지스터(110)에 제 1 데이터(DATA#1)가 저장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 제어 신호(USER_IN)에 의해 사용자 레지스터((110)에 제 2 데이터(DATA#2)가 저장되기도 한다.
사용자 레지스터(110)에 제 1 데이터(DATA#1) 또는 제 2 데이터(DATA#2)가 저장된 상태에서, 역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출력 제어 신호(USER_OUT)가 발생하면, 그 시점에서 사용자 레지스터(11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DATA#1 또는 DATA#2)가 패드(116)를 통해 출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셀프 테스트 회로는, 시스템 파워 업 시 자동으로 셀프 테스트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가 요구할 때마다 테스트 결과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사용자가 반도체 메모리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2)

  1. 파워 온 시 메모리가 초기화된 다음 메모리의 초기화 상태를 검사하는 모니터 회로와;
    상기 모니터 회로의 모니터 결과를 논리 1 또는 논리 0의 플래그 비트로서 저장하는 플래그 레지스터와;
    파워 업 신호 또는 사용자 입력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 되는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1 스위치를 통해 상기 플래그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플래그 비트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사용자 레지스터와;
    사용자 출력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 되는 제 2 스위치와;
    사용자 출력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 되고, 상기 제 2 스위치와 상기 메모리의 입출력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스위치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사용자 레지스터의 플래그 비트와 상기 메모리의 출력 신호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패드에 전달하는 제 3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도체 메모리의 셀프 테스트 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워 업 신호는,
    전원전압이 소정 레벨에 도달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때 펄스 신호 형태로 발생하여 상기 메모리를 초기화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메모리의 셀프 테스트 회로.
KR1020000050491A 2000-08-29 2000-08-29 반도체 메모리의 셀프 테스트 회로 KR100690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491A KR100690995B1 (ko) 2000-08-29 2000-08-29 반도체 메모리의 셀프 테스트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491A KR100690995B1 (ko) 2000-08-29 2000-08-29 반도체 메모리의 셀프 테스트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278A KR20020017278A (ko) 2002-03-07
KR100690995B1 true KR100690995B1 (ko) 2007-03-08

Family

ID=19685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491A KR100690995B1 (ko) 2000-08-29 2000-08-29 반도체 메모리의 셀프 테스트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9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013B1 (ko) * 2006-09-28 2008-04-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패키지 레벨의 명령 테스트를 위한 반도체 장치
KR100791838B1 (ko) 2006-10-18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카드 및 스마트 카드의 테스트 방법
KR20160069230A (ko) 2014-12-08 2016-06-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278A (ko) 200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7283B2 (en) Semiconductor test system and method
US4460999A (en) Memory tester having memory repair analysis under pattern generator control
US89355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scan test
US7877657B1 (en) Look-ahead built-in self tests
JP4298960B2 (ja) アルゴリズム的にプログラム可能なメモリテスタにおけるトリガ信号生成方法
US20030098457A1 (en) Scan test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WI389129B (zh) 積體電路裝置
US5455517A (en) Data output impedance control
US6934884B1 (en) One-chip microcompu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s well as an IC card having such a one-chip microcomputer
US5999466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voltage screening of integrated circuits
KR100690995B1 (ko) 반도체 메모리의 셀프 테스트 회로
US6546510B1 (en) Burn-in mode detect circuit for semiconductor device
US6744271B2 (en) Internal generation of reference voltage
US20030237036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with built-in self-test function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US6539507B1 (en) Integrated circuit with alternately selectable state evaluation provisions
JPH11283397A (ja) 半導体記憶装置とその試験方法
TWI760673B (zh) 電子裝置
JPH10334698A (ja) 半導体記憶装置、試験装置、および試験方法
KR100247173B1 (ko) 검사기판에 장착된 소자의 임의 선택이 가능한 검사 시스템
US200302048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observability of signals internal to VLSI chips
JPH06265604A (ja) 集積回路
JP2004303271A (ja) 1チップ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icカード
JP2003057315A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試験方法
JPH0351105B2 (ko)
JPS62272622A (ja) Pla 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