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811B1 -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811B1
KR100690811B1 KR1020050058545A KR20050058545A KR100690811B1 KR 100690811 B1 KR100690811 B1 KR 100690811B1 KR 1020050058545 A KR1020050058545 A KR 1020050058545A KR 20050058545 A KR20050058545 A KR 20050058545A KR 100690811 B1 KR100690811 B1 KR 100690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older
draw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2854A (ko
Inventor
유시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8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811B1/ko
Publication of KR20070002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 및 본체부와; 상기 폴더부 및 본체부 중 어느 하나에 회동축선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카메라수용부와; 상기 카메라수용부의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인출형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카메라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촬영 품질을 제고시킬 수 있는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TRACTABLE CAMERA}
도 1은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인출형카메라의 수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인출형카메라영역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인출형카메라영역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인출형카메라의 수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의 인출형카메라영역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인출형카메라의 수납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폴더부 121 : 힌지결합부
123 : 로드수용부 130 : 본체부
141 : 인출형카메라 143 : 하우징
147 : 회전축 151 : 힌지부
155 : 카메라수용부 161 : 카메라구동부
163 : 암나사부 165 : 카메라지지부재
166 : 수나사부 168 : 로드부
169 : 축공
본 발명은,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촬영 품질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11) 및 본체부(21)와, 폴더부(11) 및 본체부(21)중 어느 하나에 촬영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31)를 구비하고 있다.
폴더부(11)의 내면에는 시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3)가 설치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3)의 일측에는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리시버(15)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부(21)의 전면에는 신호 및 음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의 키(23) 및 마이크(25)가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27)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본체부(21)의 일측에는 폴더부(11)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힌지부(29)가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부(29)의 축선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카메라(3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카메라(31)는, 일측에 내부로 광이 입사할 수 있도록 투시창(34)을 구비하여 힌지부(29)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33)과, 렌즈부(미도시)를 구비하여 하우징(33)의 내부에 렌즈부가 투시창(34)에 대응되게 수납 설치되는 카메라모듈(미도시)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는, 하우징(33)에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투시창(34) 또는 렌즈부는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투시창(34) 또는 렌즈부의 표면에 먼지 및 오염 등 이물질이 부착되기 쉽고, 부착된 이물질은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거가 쉽지 않고 촬영 품질을 저해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촬영 품질을 제고시킬 수 있는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 및 본체 부와; 상기 폴더부 및 본체부 중 어느 하나에 회동축선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카메라수용부와; 상기 카메라수용부의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인출형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폴더부의 회동 시 상기 인출형카메라가 상기 카메라수용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동시키는 카메라구동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구동부는, 상기 카메라수용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폴더부의 회동 시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일측에 상기 카메라가 결합되는 카메라지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카메라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지지부에는 회전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편심되고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된 로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폴더부에는 상기 로드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로드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출형카메라는 회동축선에 가로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카메라구동부는, 상기 카메라수용부를 관통하여 상기 카메라수용부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연장형성되는 캠프로파일과, 상기 카메라수용부의 내부에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인출형카메라를 지지하는 카메라지지부와, 상기 카 메라지지부의 일측에 상기 캠프로파일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작용돌기와, 상기 폴더부 및 상기 본체부중 다른 하나에 상기 작용돌기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되고 작용돌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돌기수용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수용부는 상기 폴더부에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인출형카메라는 상기 폴더부의 회동축선에 가로로 광이 입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출형카메라는 상기 폴더부의 회동축선을 따라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인출형카메라의 수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인출형카메라영역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인출형카메라영역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110) 및 본체부(130)와, 폴더부(110) 및 본체부(130) 중 어느 하나에 회동축선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카메라수용부(155)와, 카메라수용부(155)의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인출형카메라(14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폴더부(110)의 외면 및 내면에는 소정의 시각정보를 각각 출력할 수 있도록 외부디스플레이부(113) 및 내부디스플레이부(115)가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디스플레이부(115)의 일측에는 리시버(117)가 마련되어 있다. 폴더부(110)의 일측에는 본체부(130)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힌지결합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30)의 전면에는 복수의 키(131)와 마이크(133)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배터리(135)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체부(130)의 일측에는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안테나(13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인출형카메라(141)는, 둘레면에 내부로 광이 입사할 수 있도록 투시창(145)이 형성된 하우징(143)과, 하우징(143)의 내부에 투시창(145)을 통해 촬상가능하게 수납설치되는 카메라모듈(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43)의 일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회전축(147)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147)의 단부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확장된 플랜지부(148)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30)의 일측에는 폴더부(1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힌지부(151)가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부(151)의 축선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힌지결합부(121)를 지지함과 아울러 인출형카메라(141)를 인출가능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축선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개방되게 카메라수용부(155)가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수용부(155)에는 폴더부(110)의 회동과 연동하여 인출형카메라(141)가 인출 및 수납되도록 하는 카메라구동부(161)가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구동부(161)는, 카메라수용부(155)의 내부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63)와, 카메라수용부(155)의 내부에 나사결합되어 인출형카메라(141)를 지지하는 카메라지지부재(165)와, 카메라지지부재(165)의 인출형카메라(141)의 대향측 단부에 카메라지지부재(165)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되고 축선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된 로드부(168)와, 힌지결합부(121)에 로드부(168)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로드수용부(123)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지지부재(165)는 원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외경면에는 암나사부(163)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수나사부(166)가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지지부재(165)의 일측 단부에는 인출형카메라(141)의 회전축(147)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축공(169)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체부(130)에 폴더부(110)가 중첩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형카메라(141)는 카메라수용부(155)의 내부에 수납됨으로써, 하우징(143)의 투시창(145)의 표면에 먼지 등 이물질과 오염, 지문 등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인출형카메라(141)로 사진을 촬영하고자 할 때는, 폴더부(110)를 본체부(130)에 대해 회동 전개시키면 로드수용부(123)가 회동되고, 이 때 로드수용부(123)에 수용된 로드부(168)가 회동되면서 카메라지지부재(165)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지지부재(165)는 암나사부(163)의 나사면을 따라 회전 및 이동되고, 인출형카메라(14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수용부(155)의 외부로 돌출된다. 인출형카메라(141)가 외부로 돌출되면 인출형카메라(141)의 투시창 (145)이 피사체를 향하도록 카메라지지부재(165)에 대해 상대회전시킨 후 촬영을 실시하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인출형카메라의 수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7의 인출형카메라영역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인출형카메라의 수납상태의 단면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일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110) 및 본체부(130)와, 폴더부(110) 및 본체부(130) 중 어느 하나에 회동축선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카메라수용부(155)와, 카메라수용부(155)의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인출형카메라(14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폴더부(11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힌지결합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130)의 일측에는 폴더부(1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부(121)의 형상에 대응되게 힌지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힌지부(151)의 일측에는 힌지결합부(1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고 내부에 인출형카메라(141)가 인출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축선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개방되게 카메라수용부(155)가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수용부(155)에는 폴더부(110)의 회동과 연동하여 인출형카메라(141)가 외부로 돌출 및 철회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구동부(171)가 마련되어 있다.
카메라구동부(171)는, 카메라수용부(155)를 관통하여 카메라수용부(155)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연장형성되는 캠프로파일(173)과, 카메라수용부(155)의 내부에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인출형카메라(141)를 지지하는 카메라지지부재(175)와, 카메라지지부재(175)의 둘레면 일측에 캠프로파일(173)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작용돌기(177)와, 폴더부(110)의 단부에 작용돌기(177)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되고 작용돌기(177)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돌기수용부(17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지지부재(175)는 원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면 일측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작용돌기(17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지지부재(175)의 축선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에는 인출형카메라(141)의 회전축(147)이 회전가능하게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축공(176)이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수용부(155)의 둘레에는 작용돌기(177)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나선형의 캠프로파일(173)이 형성되어 있으며, 캠프로파일(173)은 작용돌기(177)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부(121)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폴더부(110)가 본체부(130)상에 중첩된 상태에는 인출형카메라(14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수용부(155)의 내부로 수용됨으로써 하우징(143)의 투시창(145)에 먼지 및 오염 등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한편, 인출형카메라(141)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할 때는, 폴더부(110)를 본체부(130)에 대해 회동시키면, 돌기수용부(179)의 내부에 선단부가 수용 되어 있는 작용돌기(177)는 폴더부(110)의 회전력에 의해 가압되어 캠프로파일(173)을 따라 선회하면서 이동되고, 이에 의해 카메라지지부재(175)는 회전됨과 아울러 카메라수용부(155)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고 인출형카메라(141)는 카메라수용부(155)의 외부로 돌출된다. 인출형카메라(141)가 외부로 돌출되면 카메라지지부재(175)에 대해 상대회전시키면서 투시창(145)이 피사체를 향하도록 조절한 후 촬영을 실시하면 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카메라수용부가 모두 본체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카메라수용부가 폴더부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의 둘레면에 광이 입사할 수 있도록 투명의 투시창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하우징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카메라모듈의 렌즈부가 관통공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 및 본체부와; 상기 폴더부 및 본체부 중 어느 하나에 회동축선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카메라수용부와; 상기 카메라수용부의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인출형카메라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촬영 품질을 제고시킬 수 있는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Claims (9)

  1.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 및 본체부와;
    상기 폴더부 및 본체부 중 어느 하나에 회동축선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카메라수용부와;
    상기 카메라수용부의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인출형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수용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폴더부와 본체부의 개폐 작동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인출형카메라가 상기 카메라수용부로부터 인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카메라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구동부는, 상기 카메라수용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폴더부의 회동 시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일측에 상기 카메라가 결합되며 다른 일 측에는 로드부가 결합되는 카메라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지지부가 장착되는 카메라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지지부에 결합되는 로드부는 회전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편심되어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폴더부는 상기 로드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로드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지지부는 단부에 결합되는 인출형카메라가 광이 회동축선에 대하여 직교하여 입사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구동부는, 상기 카메라수용부를 관통하여 상기 카메라수용부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연장형성되는 캠프로파일과, 상기 카메라수용부의 내부에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인출형카메라를 지지하는 카메라지지부와, 상기 카메라지지부의 일측에 상기 캠프로파일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작용돌기와, 상기 폴더부 및 상기 본체부중 다른 하나에 상기 작용돌기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되고 작용돌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돌기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수용부는 상기 폴더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 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형카메라는 상기 폴더부의 회동축선에 가로로 광이 입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9.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형카메라는 상기 폴더부의 회동축선을 따라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58545A 2005-06-30 2005-06-30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0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545A KR100690811B1 (ko) 2005-06-30 2005-06-30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545A KR100690811B1 (ko) 2005-06-30 2005-06-30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854A KR20070002854A (ko) 2007-01-05
KR100690811B1 true KR100690811B1 (ko) 2007-03-09

Family

ID=37869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545A KR100690811B1 (ko) 2005-06-30 2005-06-30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8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8063A1 (en) * 2018-09-26 2020-04-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capturing assembli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024A (ko) * 2002-10-31 2004-05-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외부로 인출되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024A (ko) * 2002-10-31 2004-05-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외부로 인출되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3802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854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2071B2 (en) Rotary module with digital camera module
US763202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able camera
CN110233950B (zh) 摄像组件及电子装置
US805437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368808B2 (en) Camera module having a rotatable imaging uni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WO2004080039A1 (ja) 携帯端末
CN111866229A (zh) 一种电子设备
KR100690811B1 (ko) 인출형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JP2013044780A (ja) 電子機器
CN101676756A (zh) 照相模组
EP1429531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with camera
CN110233910B (zh) 壳体、摄像组件及电子装置
KR20040038024A (ko) 외부로 인출되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KR100473502B1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101054614B1 (ko) 카메라를 가지고 있는 휴대형 통신 장치
CN214281501U (zh) 摄像模组和电子设备
JP4284230B2 (ja) 電子機器
KR100539807B1 (ko)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JP2007079206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CN1952724A (zh) 外接式变焦镜头模块
KR100447628B1 (ko) 카메라 장착 휴대폰
KR2005003503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고정장치
JP2004129151A (ja) 携帯端末装置の接写用補助レンズ取り付け構造
KR100690744B1 (ko) 접사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4157B1 (ko) 회동가능한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