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063B1 - 이온수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온수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063B1
KR100690063B1 KR1020050098022A KR20050098022A KR100690063B1 KR 100690063 B1 KR100690063 B1 KR 100690063B1 KR 1020050098022 A KR1020050098022 A KR 1020050098022A KR 20050098022 A KR20050098022 A KR 20050098022A KR 100690063 B1 KR100690063 B1 KR 100690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cell
ionizer
installation information
installa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5Volt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설치정보에 따른 전해조 제어값이 저장된 제어부를 구비하여, 전해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지역에 따른 수질에 따라 이온수의 pH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수질, 데이터베이스

Description

이온수기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ion purifi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수기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수기 제어방법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필터 20 : 전해조
30 : 출수부 40 : 제어부
50 : 입력부
본 발명은 이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설치정보에 따른 전해조 제어값이 저장된 제어부를 구비하여, 전해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지역에 따른 수질에 따라 이온수의 pH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발전에 따른 수질, 대기, 토양등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오염의 문제로 인해,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등에서는 좀더 깨끗한 식수를 제공받기위한 수단으로 필터에 의해 물을 정화하고, 이와같이 정화된 물을 선택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 하여 냉, 온수로 공급되도록 한 냉,온 이온정수기가 널리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온정수기로서,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4-0110319호에 제시된 것과 같은 것이 있다.
종래의 이온정수기는,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 된 정수를 전해조를 통해 이온화 시킨 후에 이를 출수시킨다.
이러한 종래 이온정수기 전해조 초기 제어방법은, 설치기사가 간이로 수질을 측정한 뒤 수질별 전압공급표를 참조하여 설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설치기사의 교육수준, 장비의 정확성, 수질분석항목의 빈약성 등으로 정확한 설치조건을 판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지하수 사용일 경우, 경도를 측정하고 전압공급표의 표준점을 선택한 뒤 알칼리 성능검사를 실시하여 적정pH 생산이 이루어지는지를 판정하여 pH생산이 잘 되지 않을 경우, 전압공급표에서 다른값을 선택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적정값을 찾으므로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는 다른 방법으로는, 제품에 pH, ORP 측정용 센서를 부착하여 전기분해된 pH와 ORP를 측정하여 기준에 맞지 않을 경우 자동적으로 전압값을 보정하는 방식을 이온수기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센서장착으로 인해 제품의 재료비가 상승하고, 센서의 경우 유지관리가 번잡하며, 유지관리가 잘되지 않을 경우에는 에러범위가 넓어져서 실제 제품수의 pH품질이 유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비용대비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제품에 수질측정용 센서를 부착하여 전기분해되기 전의 원료수의 수질을 측정하여 전기분해 전압을 입력된 자료 또는 수식에 의해 결정하 고 운전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운전방법은 수질측정 센서는 고가의 장비이므로 적정재료비 유지가 어렵고, 유지관리를 정확히 하지 못할 경우, 센서의 오차범위가 넓어지므로 공급전압의 오차가 커져 제품수의 pH품질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설치정보에 따른 전해조 제어값이 저장된 제어부를 구비하여, 전해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지역에 따른 수질에 따라 이온수의 pH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온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온수기는 원수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필터링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를 생성하는 전해조와, 이온수기의 설치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와, 입력된 설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전해조 제어값이 저장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해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지역에 따른 수질에 따라 이온수의 pH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온수기 제어방법은, 이온수기의 설치정보에 대응되는 전해조 전압값이 저장된 이온수기에 그 설치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단계와, 입력된 상기 설치정보에 대응되는 전해조 전압값을 추출하는 추출단계와, 추출된 상기 전해조 전압값을 전해조에 인가하는 인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이온수기 제어방법은, 이온수기의 설치정보에 대응되는 전해조 전압값이 저장된 이온수기에 그 설치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단계, 입력된 상기 설치정보에 대응되는 전해조 전압값을 추출하는 추출단계와, 추출된 상기 전해조 전압값을 전해조에 인가하는 인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수기 간략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이온수기 제어방법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온수기는, 원수를 필터링하는 필터(10)와, 필터링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를 생성하는 전해조(20)와, 이온수기의 설치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50)와, 입력된 설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전해조 제어값이 저장된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필터(10)는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원수가 유입되어 필터링 된다.
전해조(20)는 상기 필터(10)를 통과한 정수가 유입되어 전기분해를 통해 알칼리수와 산성수를 생성한다.
입력부(50)는 이온수기의 설치정보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입력하면 이를 제어부(40)로 전송한다.
제어부(40)는 입력된 설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전해조 제어값이 테이블로 저장되어 있다.
상기 설치정보는 이온수기가 설치되는 소비자의 주소와 같은 설치위치정보가 되고, 상기 전해조 제어값은 전해조(20)에 인가하는 전압공급값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어부(40)에 지역별(상수도 공급지역별) 수질자료(먹는물 수질검사항목에 따른 자료)가 워터맵으로 데이터 베이스화 되어 저장된다. 또한, 상기 수질자료에 대응되는 전해조 전압공급값이 전압공급표로 테이블화 되어 상기 제어부(40)에 저장된다.
상기 전압공급표는 수질별 전기분해 실험을 통해 적정 전기분해 전압을 결정하여 작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사용자가 입력부(50)를 통해 설치위치를 입력하면, 제어부(40)는 입력된 설치위치를 워터맵에 대입하여 수질정보를 결정하고 이에 따른 전압공급표상의 일정값을 결정하여 전해조(20)를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상기 설치정보는, 이온수기로 유입되는 원수의 수원정보(상수도 또는 지하수), 또는 이온수기가 설치되는 계절과 같은 설치일자가 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조정된 전해조(20)를 통과한 이온수는 적정 pH를 유지하며 출수부(30)를 통해 출수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 이온수기 제어방법은, 이온수기의 설치정보에 대응되는 전해조 전압값이 저장된 이온수기에 그 설치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단계와(s1), 입력된 상기 설 치정보에 대응되는 전해조 전압값을 추출하는 추출단계와(s3), 추출된 상기 전해조 전압값을 전해조(20)에 인가하는 인가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부(50)를 통해 이온수기의 설치정보를 입력받는다.(s1)
입력받은 설치정보는 이온수기의 설치위치, 수원정보, 설치일정 등과 같이 이온수기에 유입되는 원수의 수질을 결정할 수 있는 모든 정보가 될 수 있다.
입력된 상기 설치정보에 대응되는 수질자료를 제어부(40)에 저장된 워터맵을 통해 추출하고, 상기 수질자료에 대응되는 전해조 인가전압값을 제어부(40)에 저장된 전압공급표에서 추출한다.(s3)
추출된 상기 전해조 전압값을 전해조(20)에 인가한다.(s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온수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입력부를 통해 전해조 제어값을 직접 입력하므로, 센서 등의 측정으로 인한 오차를 없앨 수 있으며, 그 비용 또한 저렴해지는 이점이 있다.
입력된 설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전해조 제어값이 저장된 제어부를 포함하 여, 전해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온수기는 적절한 전기분해 전압을 이온수기에 공급하여 지역별에 따른 수질에 따라 알칼리 이온수기의 pH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이온수기에 설치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단계;
    입력된 상기 설치정보에 대응되는 전해조 제어값을 추출하는 추출단계;
    추출된 상기 전해조 제어값을 전해조에 인가하는 인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입력단계에서 이온수기에는 이온수기의 설치정보에 대응되는 전해조 제어값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기 제어방법.
  2. 이온수기에 설치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단계;
    입력된 상기 설치정보에 대응되는 전해조 전압값을 추출하는 추출단계;
    추출된 상기 전해조 전압값을 전해조에 인가하는 인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입력단계에서 이온수기에는 이온수기의 설치정보에 대응되는 전해조 전압값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기 제어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정보는 이온수기의 설치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기 제어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정보는 이온수기의 수원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기 제어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정보는 이온수기의 설치일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기 제어방법.
  6. 삭제
KR1020050098022A 2005-10-18 2005-10-18 이온수기 제어방법 KR100690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022A KR100690063B1 (ko) 2005-10-18 2005-10-18 이온수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022A KR100690063B1 (ko) 2005-10-18 2005-10-18 이온수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063B1 true KR100690063B1 (ko) 2007-03-08

Family

ID=3810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022A KR100690063B1 (ko) 2005-10-18 2005-10-18 이온수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0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464B1 (ko) * 2011-02-23 2014-02-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이온정수기의 전해 제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223A (ko) * 2002-12-09 2004-06-1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이온수 생성기의 제어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223A (ko) * 2002-12-09 2004-06-1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이온수 생성기의 제어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5022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464B1 (ko) * 2011-02-23 2014-02-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이온정수기의 전해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ndels et al. Techno-economic assessment of seawater reverse osmosis (SWRO) brine treatment with air gap membrane distillation (AGMD)
ATE423341T1 (de) System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und visualisierung der ausgabe eines produktionsprozesses
CN102829525A (zh) 空调控制装置以及方法
RU2385448C2 (ru) Магнитно-индукционный расходомер (варианты)
KR100690063B1 (ko) 이온수기 제어방법
CN105764856A (zh) 水处理设备的控制方法、控制程序以及水处理系统
KR20200128714A (ko) 수처리 관리장치 및 수질 감시 방법
Guillot E-noses: Actual limitations and perspectives for environmental odour analysis
KR101369466B1 (ko) 이온수기 제어방법
TW2011262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process and/or a technical installation
JP6256143B2 (ja) イオン交換装置の遠隔管理制御システム
Judd et al. Low-pressure membrane technology for potable water filtration: true costs
KR20170120620A (ko) 전해수 생성장치 및 전해수
DE60332041D1 (de) Verfahren zur optimierung der genexpression unter verwendung synonymer codonoptimierung
KR101872109B1 (ko) 막오염 예측방법
ATE397241T1 (de) Verfahren und system zur qualitätüberwachung von industriellen prozessen
CN102276022A (zh) 电解水生成装置
DK1592948T3 (da) Fremgangsmåde til parameterisering af en varmeomkostningsfordeler
JP2019175409A (ja) 水処理施設の運転制御装置及び運転制御方法
EP3842999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wastewater
JP2011189285A (ja) 排水処理プロセス知識蓄積および制御支援装置
Kolluri et al. Evaluation of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es for monitoring and prediction of processes in an seawater reverse osmosis desalination plant
AU2002325951A1 (en) Interaction detection on several probe arrays
JP2019010615A (ja) 水処理施設における運転支援装置
CN111796560A (zh) 工厂运转支持系统和工厂运转支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