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055B1 - Automatic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cooling of billets - Google Patents

Automatic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cooling of bille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055B1
KR100690055B1 KR1020060030425A KR20060030425A KR100690055B1 KR 100690055 B1 KR100690055 B1 KR 100690055B1 KR 1020060030425 A KR1020060030425 A KR 1020060030425A KR 20060030425 A KR20060030425 A KR 20060030425A KR 100690055 B1 KR100690055 B1 KR 100690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illet
rail
cool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4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규
Original Assignee
제일산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산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산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0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0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0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 B65B35/18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50Stacking one article, or group of articles, upon another befor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folding or winding articles, e.g. gloves or stoc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oling and transferring billets is provided to enable flaws to be detected early by automatically performing a process of promptly cooling produced billets and improve productivity by promptly injecting the cooled billets into a wire rod-heating furnace and allowing a wire rod to be produced continuously and automatically from a wire rod production process to a subsequent process without controlling a product production flow.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oling and transferring billets comprises: a cooling tank(10) into which heated billets(5) laterally oriented are injected from a front side, which has a transfer space transferred perpendicularly to a length direction of the billets, and in which a cooling medium is contained; transfer rails(20) of which bottom surfaces(22) are gradually inclined downward as it goes from a front end to a rear end of the cooling tank, and which are located in an upper part of the cooling tank; transfer hooks(30) of which an upper end has rotatable wheel parts(32) contacted with bottom surfaces of the transfer rails, and of which a lower end enables the billets to be immersed into the cooling medium of the cooling tank when the wheel parts are transferred on the transfer rails; return rails(40) of which bottom surfaces(42) are gradually inclined downward as it goes from the rear end to a front end of the cooling tank, and which are located at a higher elevation than the transfer hooks in an upper part of the cooling tank; a front transfer part(50) for loading transfer hooks loaded with billets on a front part of the transfer rails in a billet loading part(55), and transferring empty transfer hooks returned to a rear part of the transfer rails by the return rails to the billet loading part; and a rear transfer part(60) for unloading the billet loaded transfer hooks transferred to a rear part of the transfer rails by the transfer rails in a billet unloading part(65), and loading empty transfer hooks from which billets are unloaded in the billet unloading part on a front part of the return rails.

Description

빌렛의 자동 냉각 이송장치{AUTOMATIC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COOLING OF BILLETS}AUTOMATIC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COOLING OF BILLETS}

도 1은 종래의 빌렛 냉각장치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for a conventional billet cooling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의 빌렛의 자동 냉각 이송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system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oling transfer device of the bi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빌렛의 자동 냉각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송장치의 후단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oling transfer device of the bi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 cross section seen from the rear of the feeder.)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 : 빌렛 10 : 냉각조5: billet 10: cooling tank

12 :공급단 14 : 배출단12: supply stage 14: discharge stage

16 : 드레인 라인 20 : 전송레일16: drain line 20: transmission rail

22 : 전송레일 바닥면 30 : 이송후크22: bottom of transmission rail 30: transfer hook

32 : 바퀴부 40 : 회송레일32: wheel 40: return rail

42 : 회송레일 바닥면 50 : 전단이송부42: bottom surface of the return rail 50: shear transfer unit

51 : 전단이송부 유압실린더51: shear cylinder hydraulic cylinder

55 : 빌렛 적재부 60 : 후단이송부55: billet loading portion 60: rear end transfer portion

61 : 후단이송부 유압실린더61: rear stage hydraulic cylinder

65 : 빌렛 하역부 70 : 발렛 이송 실린더65 billet unloading part 70: ballet transfer cylinder

본 발명은 빌렛의 자동 냉각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된 빌렛(BILLET)의 빠른 냉각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흠탐상이 조기에 가능하도록 하며, 이후 선재 가열로에 빠르게 투입되도록 하고, 선재 생산에 있어서 제품 생산의 흐름을 단속시키지 않고 다음 공정까지 일괄적으로 연속, 자동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빌렛의 자동 냉각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ooling transfer device for billets, and more particularly, to allow the fast cooling process of the produced billet (BILLET) to be made automatically so that flaw detection can be made early, and then to be quickly introduced into the wire furna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old transfer device for billets for improving productivity by enabling continuous and automatic production in a batch until the next process without interrupting the flow of product production in wire rod production.

종래의 선재 제조를 위한 조업방식은 강편가열로에서 가열된 블룸(Bloom)을 압연하여 생산된 빌렛(BILLET)을 냉각대에서 냉각하고, 이러한 냉각이 이루어진 후의 온도가 약450℃~380℃로서 이후의 후속공정에서 흠탐상을 위한 요구온도인 50℃이하로 냉각하기 위해서 공랭으로 약 2 일간이라는 장시간이 소요되는 실정이며, 이러한 냉각은 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거치대에 빌렛을 보관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냉각기간동안에는 빌렛의 선재화를 위한 재가열 및 압연이 불가능하므로 선재 제조가 일관된 연속작업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단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장시간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 rod is to cool the billet produced by rolling the heated bloom in the steel piece heating furnace in the cooling zone, and the temperature after such cooling is about 450 ~ 380 ℃ In the subsequent process of the situation, it takes a long time of about two days with air cooling in order to cool below 50 ° C, which is a required temperature for flaw detection, and such cooling is mainly performed by storing a billet in a cradle as shown in FIG. Therefore, during such a cooling period, reheating and rolling are not possible for the billet's wire reincarnation, and thus, the wire rod is not intermittently made, but is intermittently made.

또한 상기와 같은 자연 공랭에 따른 공정지연으로 인하여 납기를 적기에 맞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의 해결을 위하여 자동으로 이송되고 연속공정으 로 진행이 가능한 별도의 고냉각 능력을 갖는 냉각장치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due to the delay of the process due to the natural air cooling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meet the timely delivery of time, the development of a cooling device having a separate high cooling capacity that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proceed to the continuous process is urgently required There is a situation.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생산된 빌렛(BILLET)의 빠른 냉각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흠탐상이 조기에 가능하도록 하며, 이후 선재 가열로에 빠르게 투입되도록 하고, 선재 생산에 있어서 제품 생산의 흐름을 단속시키지 않고 다음 공정까지 일괄적으로 연속, 자동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빌렛의 자동 냉각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ast cooling process of the produced billet (BILLET) is automatically made so that the flaw detection is possible early, after which the wire rod is quickly put into the furnace, the wire ro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cooling feeder for billets that enables continuous and automatic production in a batch to the next process without interrupting the flow of product production in production to achieve productivity improve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가열된 빌렛이 가로로 배향하여 전단으로부터 인입되고 침지되어 상기 빌렛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공간을 가지며 내부에 냉각매체가 담겨진 냉각조;A cooling tank in which a heated billet is oriented horizontally, drawn in from a front end, immersed, and transpo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length direction of the billet, and containing a cooling medium therein;

레일 바닥면이 냉각조의 후단으로 갈수록 아래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냉각조의 상부에 위치하는 전송레일;A transmission rail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end of the cooling tank, and is located above the cooling tank;

상단은 상기 전송레일의 레일 바닥면에 접촉하여 회전 가능한 바퀴부를 가지고, 하단은 상기 전송레일의 레일 바닥면에 상기 바퀴부가 접촉되어 전송레일 상에서 이송시에 상기 냉각조의 냉각매체에 잠기도록 하는 갈고리 형상의 이송후크; The upper end has a wheel portion rotatable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rail of the transmission rail, the lower end of the hook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ail of the transmission rail to be immersed in the cooling medium of the cooling tank when transported on the transmission rail Feed hook;

레일 바닥면이 냉각조의 전단으로 갈수록 아래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냉각조의 상부에 적어도 상기 이송후크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회송레일;A return rail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a front end of the cooling tank, and is located at least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transfer hook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oling tank;

빌렛 적재부에서 빌렛이 적재된 이송후크를 상기 전송레일의 전단에 적재하고, 상기 회송레일에 의해 그 후단으로 회송된 빈 이송후크를 상기 빌렛 적재부에 이송하는 전단이송부; 및, A shear transfer unit which loads the transfer hook loaded with the billet at the billet stacking unit at the front end of the transfer rail, and transfers the empty transfer hook returned to the rear end by the return rail at the billet stacking unit; And,

상기 전송레일에 의해 그 후단으로 전송된 빌렛이 적재된 이송후크를 빌렛 하역부에 내려놓고, 빌렛 하역부에서 빌렛이 하역된 빈 이송후크를 상기 회송레일의 전단에 적재하는 후단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렛의 자동 냉각 이송장치를 제공한다.And a rear transfer unit for lowering the transfer hook loaded with the billet transferred to the rear end by the transfer rail and loading the empty transfer hook loaded with the billet at the front end of the return rail. It provides an automatic cooling transfer device for billets.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빌렛의 자동 냉각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열된 빌렛(5)이 가로로 배향하여 전단으로부터 인입되고 침지되어 상기 빌렛(5)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공간을 가지며 내부에 냉각매체가 담겨진 냉각조(10), 레일 바닥면(22)이 냉각조(10)의 후단으로 갈수록 아래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냉각조(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전송레일(20), 상단은 상기 전송레일(20)의 레일 바닥면(22)에 접촉하여 회전 가능한 바퀴부(32)를 가지고, 하단은 상기 전송레일(20)의 레일 바닥면(22)에 상기 바퀴부가 접촉되어 전송레일(20) 상에서 이송시에 상기 냉각조의 냉각매체에 잠기도록 하는 갈고리 형상의 이송후크(30), 레일 바닥면(32)이 냉각조(10)의 전단으로 갈수록 아래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냉각조(10)의 상부에 적어도 상기 이송후크(30)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회송레일(40), 빌렛 적재부(55)에서 빌렛(5)이 적재된 이송후크(30)를 상기 전송레일(20)의 전단에 적재 하고, 상기 회송레일(40)에 의해 그 후단으로 회송된 빈 이송후크(30)를 상기 빌렛 적재부(55)에 이송하는 전단이송부(50) 및, 상기 전송레일(20)에 의해 그 후단으로 전송된 빌렛(5)이 적재된 이송후크(30)를 빌렛 하역부(65)에 내려놓고, 빌렛 하역부(65)에서 빌렛(5)이 하역된 빈 이송후크(30)를 상기 회송레일(40)의 전단에 적재하는 후단이송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ooling transfer device for billets, wherein the heated billets (5) are oriented horizontally, drawn from the front end, immersed, and transpo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illets (5). Cooling tank 10, the cooling tank 10, the rail bottom surface 22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end of the cooling tank 10, the transmission rail 20 located above the cooling tank 10, An upper end has a wheel part 32 rotatable in contact with the rail bottom surface 22 of the transmission rail 20, and a lower end is transmitted by contacting the wheel part with the rail bottom surface 22 of the transmission rail 20. The hook-shaped feed hook 30 and the rail bottom surface 32, which are immersed in the cooling medium of the cooling tank at the time of transport on the rail 20, ar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end of the cooling tank 10, At least the transfer hook 30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oling tank (10) The conveying rail 40 and the conveying hook 30 in which the billet 5 is loaded in the billet stacking part 55 are placed higher than the height in front of the conveying rail 20, and the conveying rail 40 is placed on the conveying rail 40. The front conveying part 50 which conveys the empty conveyance hook 30 returned to the rear end by the said billet loading part 55, and the billet 5 transmitted to the rear end by the said transfer rail 20 are loaded. Lower transfer section for laying down the transfer hook 30 to the billet unloading portion 65, and loading the empty transfer hook 30, the billet (5) unloaded from the billet unloading portion 65 to the front end of the return rail (40) It consists of 60.

본 발명의 빌렛의 자동 냉각 이송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Specific embodiments of the automatic cooling transfer device of the bi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s.

즉, 도 2는 본 발명의 빌렛의 수중이송 냉각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개략도로서 본 발명은 상기 공랭에 따른 냉각시간의 지연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정진행에 따른 가열이후의 고온의 빌렛을 냉각매체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이를 이송후크(30)상에 적재하여 냉각조에서 냉각매체에 담긴 채로 전송레일의 경사각에 따라 중력에 의한 자동이송으로 냉각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같은 전송을 완료한 이송후크가 다시 중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원래 위치로 돌아가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냉각조(10)를 구비한다. 상기 냉각조는 빌렛이 인입되어 냉각매체, 구체적으로는 물 또는 오일에 담겨져 냉각되면서 연속적으로 이송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도 2에 도시한 가열된 빌렛(5)이 가로로 배향하여 전단으로부터 인입되고 침지되어 상기 빌렛(5)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공간을 가지며 내부에 가지는 충분한 크기의 수조 또는 오일조가 이에 해당한다. 상기 냉각조에 담겨지는 냉각매체는 물, 오일 등이 이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물 또는 오일은 열처리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일정한 온 도로 가열 또는 냉각된 상태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That is, Figure 2 is a system schematic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billet underwater transport coo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 temperature after heating according to the process in order to solve the delay of the cooling time according to the air cooling In order to transfer the billet of cooling to the cooling medium, it is loaded on the transfer hook 30 so as to be cooled by automatic transfer by gravity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ransmission rail while being contained in the cooling medium in the cooling tank, and completes the transmission. One transfer hook is automatically brought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by gravity and has a cooling tank 10 for this purpose. The cooling tank is billet is drawn into the cooling medium, in particular water or oil, so that the cooling must be carried out continuously while being transferred to the heated billet (5) shown in FIG. This corresponds to a water tank or oil tank of sufficient size having a conveying space to be convey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5). The cooling medium contained in the cooling tank may be water, oil, or the like, and the water or oil may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heat treatment conditions, and may be used in a state of being heated or cooled to a constant temperature.

또한 상기 냉각조(10)는 바람직하게는 냉각조의 후단 하부에 냉각매체 공급단(12)을 가지고, 전단 상부에 냉각매체 배출단(14)을 가지며, 바닥부에 드레인 라인(16)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하여 냉각조의 급수는 빌렛의 이송전진방향 끝단인 냉각조 후단의 저부에 냉각수 급수 라인이 설치되어 급수가 이루어지고, 뜨거워진 냉각수의 배수는 급수 반대측의 상부인 냉각조 전단 상부의 냉각수 배수라인을 통해 Over Flow시켜 냉각수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40℃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급배수량의 조절을 통하여 자동으로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정 온도의 냉각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바닥에 침전된 스케일(SCALE)은 상기 드레인 라인을 통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스케일의 배출을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이 드레일 라인 쪽으로 낮아지도록 기울어진 형태를 가지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cooling tank 10 preferably has a cooling medium supply end 12 at the lower end of the cooling tank, a cooling medium discharge end 14 at the upper end, and a drain line 16 at the bottom. good. Through this, the cooling water is supplied to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 at the bottom of the rear end of the cooling tank, the forward end of billet transfer direction, and the water is supplied.The drainage of the heated cooling water is connected to the cooling water drain line at the upper end of the cooling tank. Through the flow through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supply and drainage to maintain a constant 40 ℃ preferabl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the cooling water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the scale (SCALE) deposited on the bottom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line. In order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scale, it is preferable to have a shape inclin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lowered toward the rail line as shown.

상기 냉각조(10)의 상부에는 전송레일(20)이 구비되는데 상기 전송레일(20)은 냉각조(10)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후크(30)가 중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무동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송레일(20)의 레일 바닥면(22)은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조의 후단으로 갈수록 아래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레일은 공지의 다양한 레일이 이에 해당하며,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란한 2개의 전송레일로 구성하는 것이 구성의 단순함 및 이송의 안정성, 구조의 안정성 측면에서 좋다. 다만 이와 같은 레일의 구조는 상기 바람직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외에도 하나의 레일에 이의 양측으로 바퀴가 결합하는 구조나, 3개 이상의 레일을 조합하여 이를 구성할 수도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cooling tank 10 is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rail 20, the transmission rail 20 is transferred to the rear end from the front end of the cooling tank 10 so that the transfer hook 30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by gravity, without a force It plays a role. To this end, the rail bottom surface 22 of the transmission rail 20 has a shap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end of the cooling tank as shown. The rail corresponds to various known rails, and preferably, two rails are arranged side by side as shown in FIG. 3 in terms of simplicity, stability of transport, and stability of the structure. However, the structure of such a rail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xample,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that the wheel is coupled to both sides of one rail, or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three or more rails.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송레일(20)은 그 양끝단의 레일 바닥면이 상부로 꺾여져 이송후크(30)가 주행만으로 레일끝단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은 바퀴가 접촉하는 바닥면(22) 뿐만 아니라 상부에 가이드 레일 부분을 더 포함하여 이송후크(30)가 전송도중에 레일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그 끝단에서는 이송후크가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 부분이 개방되어져야 함은 물론이다.Also preferably, as shown in FIG. 2, the transmission rail 20 may be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the bottom surfaces of the rails at both ends are bent upward so that the transfer hook 30 does not leave the rail ends only by traveling. .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2 to 3, the rail further includes a guide rail portion at the top as well as a bottom surface 22 to which the wheels contact, so that the transfer hook 30 may be configured so as not to be released from the rail during transmission. At the end thereof, the guide rail portion should be opened so that the transfer hook can be pulled out.

상기 기울어진 레일 바닥면(22)을 가지는 전송레일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후크가 연결된다. 상기 이송후크(30)는 상단에는 상기 전송레일(20)의 레일 바닥면(22)에 접촉하여 회전이 가능한 바퀴부(32)를 가지는데, 상기 바퀴부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의 바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송후크의 형상은 갈고리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빌렛의 고른 냉각 및 안정된 전송을 위하여 후크 내부의 바닥면이 도시한 바와 같이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의 개구부가 전송방향의 반대편으로 도시되어져 있으나 반드시 이와 같을 필요는 없고 이의 반대방향으로 개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transfer hook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rail having the inclined rail bottom surface 22 as shown. The transfer hook 30 has a wheel part 32 rotatable in contact with the rail bottom surface 22 of the transmission rail 20 at the top, the wheel part may have a variety of well-known wheels. . The transfer hook has a hook shape. Preferably, the bottom surface of the hook has a flat shape, as shown, for even cooling and stable transmission of the billet. In addition, although the opening of the hook is shown as the opposite side of the transmission direction as shown, it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the same, but may be ope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후크(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갈고리 형상의 후크를 옆으로 나란하게 배열하고 이를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퀴부는 이에 나란하게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하여 후크의 중량을 줄이면서도 빌렛의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게 하고, 후크의 중량감소에 따라 이 송부의 용량 및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ransfer hook 30 is formed by arranging at least two hook-shaped hooks side by side and connecting them, as shown in FIG. 3, and the wheel parts may be paired side by side. This enables stable transfer of the billet while reducing the weight of the hook, and can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by reducing the capacity and size of the transfer unit according to the weight reduction of the hook.

이와 같이 상기 전송레일(20)을 따라 빌렛을 냉각매체 속으로 이송하여 빌렛의 냉각 및 이송을 완료한 이송후크는 빌렛 하역부(65)에서 냉각 및 이송이 이루어진 빌렛을 내려놓고 빈 이송후크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빈 이송후크는 다시 새로운 빌렛의 적재를 위하여 빌렛 적재부(55)로 이송되어져 하는데 이를 위하여 회송레일(40)이 요구된다.In this way, the transfer hook which transfers the billet into the cooling medium along the transfer rail 20 and completes the cooling and transferring of the billet is put down the billet which has been cooled and transferred at the billet unloading part 65 and becomes an empty transfer hook. Therefore, such an empty transfer hook is to be transferred to the billet stacking unit 55 for the loading of a new billet for this purpose, the return rail 40 is required.

상기 회송레일(40)은 상기 전송레일(20)과 대칭으로 레일 바닥면(42)이 냉각조의 전단으로 갈수록 아래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이 경우에 상기 경사도는 전송레일의 경사도보다 낮을 수 있다. - 냉각매체의 저항이 없으므로), 회송시의 이송후크가 냉각매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이송에 유리하므로 이를 위하여 상기 냉각조(10)의 상부에 적어도 상기 이송후크(30)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게 된다.The return rail 4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s the rail bottom 42 symmetrically with the transmission rail 20 toward the front end of the cooling tank,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may be lower than the inclination of the transmission rail). -Since there is no resistance of the cooling medium, it is advantageous for the conveying hook not to contact the cooling medium at the time of return, for this purpose, the upper part of the cooling tank 10 is higher than at least the height of the conveying hook 30. Will be located.

상기 레일은 공지의 다양한 레일이 이에 해당하며,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란한 2개의 회송레일로 구성하는 것이 구성의 단순함 및 이송의 안정성, 구조의 안정성 측면에서 좋다. 다만 이와 같은 레일의 구조는 상기 바람직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외에도 하나의 레일에 이의 양측으로 바퀴가 결합하는 구조나, 3개 이상의 레일을 조합하여 이를 구성할 수도 있다.The rail corresponds to various known rails, and preferably, two rails are arranged side by side as shown in FIG. 3 in terms of simplicity of configuration, stability of transport, and stability of structure. However, the structure of such a rail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xample,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that the wheel is coupled to both sides of one rail, or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three or more rails.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송레일(40)은 그 양끝단의 레일 바닥면이 상부로 꺾여져 이송후크(30)가 주행만으로 레일끝단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 이 상기 레일은 바퀴가 접촉하는 바닥면(42) 뿐만 아니라 상부에 가이드 레일 부분을 더 포함하여 이송후크가 회송도중에 레일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그 끝단에서는 이송후크가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 부분이 개방되어져야 함은 물론이다.Also preferably, as shown in FIG. 2, the return rail 40 may be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the bottom surfaces of the rails at both ends are bent upward so that the transport hooks 30 do not leave the rail ends only by traveling. .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2 to 3, the rail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ail portion at the top as well as a bottom surface 42 to which the wheels contact, and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transfer hook does not deviate from the rail during the rotation. At the end thereof, the guide rail portion should be opened so that the transfer hook can be pulled out.

상기 전송레일(20)과 회송레일(40)은 별도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송레일(40)은 상기 전송레일(20)의 직상부에 적어도 상기 이송후크(30)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2층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하여 이송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어 이송장치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rail 20 and the return rail 40 may be configur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Preferably, as shown in FIG. 3, the return rail 40 is at least above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mission rail 20. It is preferable to have a two-layer structure locat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transfer hook (30). Through this, the area occupied by the conveying device can be reduced, so that the conveying device can be configured more compactly.

이와 같은 구성요소와 함께 상기 이송후크(30)의 순환을 위해서는 빌렛 적재부(55)에서 빌렛(5)이 적재된 이송후크(30)를 상기 전송레일(20)의 전단에 적재하고, 상기 회송레일(40)에 의해 그 후단으로 회송된 빈 이송후크(30)를 상기 빌렛 적재부(55)에 이송하는 전단이송부(50) 및, 상기 전송레일(20)에 의해 그 후단으로 전송된 빌렛(5)이 적재된 이송후크(30)를 빌렛 하역부(65)에 내려놓고, 빌렛 하역부(65)에서 빌렛(5)이 하역된 빈 이송후크(30)를 상기 회송레일(40)의 전단에 적재하는 후단이송부(60)가 요구되어진다.In order to circulate the transfer hook 30 together with the above components, the transfer hook 30 on which the billet 5 is loaded in the billet stacking unit 55 is loaded on the front end of the transfer rail 20, and the return The front end conveyance part 50 which conveys the empty conveyance hook 30 returned to the rear end by the rail 40 to the said billet loading part 55, and the billet transmitted to the rear end by the said transfer rail 20. Lower the transfer hook 30 loaded with (5) to the billet unloading portion 65, and the empty transfer hook 30 to which the billet 5 is unloaded from the billet unloading portion 65 to the front end of the return rail (40). The rear end transfer part 60 to load is required.

즉, 도시한 바와 같이 빈 이송후크가 안착되고 여기에 가열되어진 빌렛을 쌓아 올리는 빌렛 적재부가 냉각조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전단이송부는 이러한 빌렛 적재부에서 빌렛이 적재된 이송후크를 상기 전송레일의 전단에 적재하여 전송되게 하고, 상기 회송레일에 의해 그 후단으로 회송된 빈 이송후크를 상기 빌렛 적재부 에 이송하여 안착 내지 고정시키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the empty transfer hook is seated, and a billet stacker for stacking the heated billets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cooling tank, and the shear transfer unit transfers the transfer hook loaded with the billet from the billet stacker. It is loaded on the front end of the transfer and the empty transfer hook returned to the rear end by the return rail is transferred to the billet loading portion to be seated or fixed.

이와 같은 전단이송부(50)는 상기 이송후크를 일정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기구가 이에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바와 같은 크레인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신뢰성 측면에서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51)로 권상 및 권하(상하이동을 위한)가 이루어지고, 전동모터로 전후방향(예를 들어 2층 구조의 레일을 가지는 경우에) 또는 전후좌우방향(예를 들어 나란히 배치되는 전송레일 및 회송레일을 구비한 경우에) 주행이 이루어지는 크레인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The shear transfer unit 50 serves to transfer the transfer hook from one point to another point, and various mechanisms for performing such a function may be applied thereto, and preferably, a crane method as shown in FIG. It is better in terms of reliability, and more preferably, as shown in the figure, the lifting and lowering (for up and down movement) is made by the hydraulic cylinder 51, and the electric motor has a rail having a front and rear direction (for example, a two-layer structur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use a crane system that travels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example, when the transmission rail and the return rail are arranged side by side).

또한 후단이송부(6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이 완료된 빌렛을 담은 이송후크가 안착되고 여기에 냉각되어진 빌렛을 내려놓은 빌렛 하역부가 냉각조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후단이송부는 이러한 빌렛 하역부에서 상기 전송레일에 의해 그 후단으로 전송된 빌렛을 담은 이송후크를 상기 빌렛 하역부에 이송하여 안착 내지 고정시키고, 빌렛이 하역된 빈 이송후크를 상기 회송레일의 전단에 적재하여 회송되도록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ar end conveying unit 60 is provided with a billing unloading portion is placed on the rear end of the cooling tank, the transfer hook containing the cooled billet is seated and the cooled down billet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billet unloading portion as shown The transfer hook containing the billet transferred to the rear end by the transfer rail is transported to the billet unloading unit to be seated or fixed, and the empty transfer hook loaded with the billet is loaded on the front end of the return rail to be returned.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후단 이송부도 상기 이송후크를 일정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기구가 이에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바와 같은 크레인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신뢰성 측면에서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61)로 권상 및 권하가 이루어지고, 전동모터로 전후방향(예를 들어 2층 구조의 레일을 가지는 경우에) 또는 전후좌우방향(예를 들어 나란히 배치되는 전송레일 및 회송레일을 구비한 경우에) 주행이 이루어지는 크레인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As described above, the rear end transfer part also serves to transfer the transfer hook from one point to another point, and various mechanisms for performing such a function may be applied thereto. The application is good in terms of reliability, and more preferably, as shown in the figure, the lifting and lowering is made by the hydraulic cylinder 61, and the electric motor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for example, in the case of having a two-layer rail) or before and after It is preferable to use a crane system which trave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example, when the transmission rails and the return rails are arranged side by sid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전단 이송부와 후단 이송부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기 전단이송부 및 후단이송부는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왕복 주행하는 하나의 크레인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전단 및 후단의 이송을 모두 담당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설비제작비를 감축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end conveyance part and the rear end conveyance part perform the same function, and the front end conveyance part and the rear end conveyance part are constituted by one crane reciprocating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by the driving of the electric motor. Thereby, it can also be configured in the form responsible for both the front end and the transfer of the rear end. This can reduce equipment manufacturing costs.

또한 상기 빌렛 적재부(55) 및 빌렛 하역부(65)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실린더와 팔렛트(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로 세워진 다수의 나란히 배열된 평판으로 이루어져 이송 후크의 각각의 갈고리가 상기 팔레트 평판 사이로 삽입되어 들어가 팔렛트 높이보다 낮아지게 되어 빌렛의 적재 및 하역과 빈 이송후크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로 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 공지의 다양한 방법이 이에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illet stacking portion 55 and the billet unloading portion 65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ylinders and pallets (a plurality of side-by-side arranged flat plate vertically as shown, each hook of the transfer hook is the pallet plate) It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than the pallet height to facilitate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billet and the transfer of the empty transfer hook.), And in addition, various known methods can be applied thereto.

본 발명의 빌렛의 자동 냉각 이송장치에 따르면, 선재생산과정에서 가열된 빌렛(BILLET)의 빠른 냉각공정이 자동으로 연속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이후의 흠탐상 공정이 조기에 가능하도록 하며, 이후 선재 가열로에 빠르게 투입되도록 하고, 선재 생산에 있어서 제품 생산의 흐름을 단속시키지 않고 다음 공정까지 일괄적으로 연속, 자동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는 효과 가 있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cooling transfer device of the bi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pid cooling process of the heated billet (BILLET) in the wire rod production process is automatically performed in a continuous process, so that the subsequent flaw detection process is possible early, and then the wire rod It is possible to achieve rapid productivity by enabling rapid input to the furnace and enabling continuous and automatic production in batches until the next process without interrupting the flow of product production in wire rod produ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Change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8)

가열된 빌렛이 가로로 배향하여 전단으로부터 인입되고 침지되어 상기 빌렛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공간을 가지며 내부에 냉각매체가 담겨진 냉각조;A cooling tank in which a heated billet is oriented horizontally, drawn in from a front end, immersed, and transpo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length direction of the billet, and containing a cooling medium therein; 레일 바닥면이 냉각조의 후단으로 갈수록 아래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냉각조의 상부에 위치하는 전송레일;A transmission rail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end of the cooling tank, and is located above the cooling tank; 상단은 상기 전송레일의 레일 바닥면에 접촉하여 회전 가능한 바퀴부를 가지고, 하단은 상기 전송레일의 레일 바닥면에 상기 바퀴부가 접촉되어 전송레일 상에서 이송시에 상기 냉각조의 냉각매체에 잠기도록 하는 갈고리 형상의 이송후크; The upper end has a wheel portion rotatable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rail of the transmission rail, the lower end of the hook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ail of the transmission rail to be immersed in the cooling medium of the cooling tank when transported on the transmission rail Feed hook; 레일 바닥면이 냉각조의 전단으로 갈수록 아래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냉각조의 상부에 적어도 상기 이송후크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회송레일;A return rail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a front end of the cooling tank, and is located at least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transfer hook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oling tank; 빌렛 적재부에서 빌렛이 적재된 이송후크를 상기 전송레일의 전단에 적재하고, 상기 회송레일에 의해 그 후단으로 회송된 빈 이송후크를 상기 빌렛 적재부에 이송하는 전단이송부; 및, A shear transfer unit which loads the transfer hook loaded with the billet at the billet stacking unit at the front end of the transfer rail, and transfers the empty transfer hook returned to the rear end by the return rail at the billet stacking unit; And, 상기 전송레일에 의해 그 후단으로 전송된 빌렛이 적재된 이송후크를 빌렛 하역부에 내려놓고, 빌렛 하역부에서 빌렛이 하역된 빈 이송후크를 상기 회송레일의 전단에 적재하는 후단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렛의 자동 냉각 이송장치.And a rear transfer unit for lowering the transfer hook loaded with the billet transferred to the rear end by the transfer rail and loading the empty transfer hook loaded with the billet at the front end of the return rail. Automatic cooling feeder for billet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냉각매체는 물 또는 오일이고,The cooling medium is water or oil, 상기 냉각조는 냉각조의 후단 하부에 냉각매체 공급단을 가지고, 전단 상부에 냉각매체 배출단을 가지며, 바닥부에 드레인 라인을 가지며, 상기 냉각조의 바닥은 상기 드레인 라인측으로 낮아지도록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렛의 자동 냉각 이송장치.The cooling tank has a cooling medium supply end at the lower end of the cooling tank, has a cooling medium discharge end at the upper end, has a drain line at the bottom, and the bottom of the cooling tank is inclined to be lowered toward the drain line. Automatic cold feed of billet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송레일 및 회송레일은 그 양끝단의 레일 바닥면이 상부로 꺾여져 이송후크가 주행만으로 레일끝단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렛의 자동 냉각 이송장치.The transfer rail and the return rail are bent at the bottom of the rail at both ends of the upper end of the billet automatic cold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hook does not leave the rail end by running on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송레일은 상기 전송레일의 직상부에 적어도 상기 이송후크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렛의 자동 냉각 이송장치.And said return rail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said transfer rail at least higher than the height of said feed hoo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송후크는 적어도 2개의 갈고리 형상의 후크를 옆으로 나란하게 배열하고 이를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퀴부는 이에 나란하게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렛의 자동 냉각 이송장치.The transfer hook is formed by arranging at least two hook-shaped hooks side by sid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wheel portion is automatically cooled conveying apparatus of the bil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is made in paralle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단이송부 또는 후단이송부는 크레인 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렛의 자동 냉각 이송장치.The front end conveying unit or the rear end conveying unit automatic cooling conveying apparatus of the billet characterized in that driven by the crane method.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전단이송부 또는 후단이송부는 유압실린더로 권상 및 권하가 이루어지고, 전동모터로 전후방향 또는 전후좌우방향 주행이 이루어지는 크레인 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렛의 자동 냉각 이송장치.The front conveying unit or the rear conveying unit is the lifting and lowering is made by the hydraulic cylinder, the automatic cooling transfer device of bil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n by a crane method that is driven forward and backward or forward and backward and left and right by the electric motor.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전단이송부 및 후단이송부는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왕복 주행하는 하나의 크레인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전단 및 후단의 이송을 모두 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렛의 자동 냉각 이송장치.The front end conveying part and the rear end conveying part are constituted by one crane reciprocating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by driving of the electric motor, thereby automatically cooling the bille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sponsible for both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conveyance. Conveying device.
KR1020060030425A 2006-04-04 2006-04-04 Automatic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cooling of billets KR1006900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425A KR100690055B1 (en) 2006-04-04 2006-04-04 Automatic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cooling of bill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425A KR100690055B1 (en) 2006-04-04 2006-04-04 Automatic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cooling of bille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055B1 true KR100690055B1 (en) 2007-03-08

Family

ID=38102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425A KR100690055B1 (en) 2006-04-04 2006-04-04 Automatic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cooling of bille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0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313B1 (en) 2012-12-24 2014-08-07 주식회사 포스코 Billet water-cooling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6417A (en) 1996-11-25 1998-06-16 Kobe Steel Ltd Slow cooling device for hot rolled wire
KR20040019736A (en) * 2002-08-29 2004-03-0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Apparatus for deposition-cooling the high temperature billet
KR100509914B1 (en) 2002-12-23 2005-08-26 주식회사 포스코 Cooling apparatus for hot bill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6417A (en) 1996-11-25 1998-06-16 Kobe Steel Ltd Slow cooling device for hot rolled wire
KR20040019736A (en) * 2002-08-29 2004-03-0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Apparatus for deposition-cooling the high temperature billet
KR100509914B1 (en) 2002-12-23 2005-08-26 주식회사 포스코 Cooling apparatus for hot bill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313B1 (en) 2012-12-24 2014-08-07 주식회사 포스코 Billet water-cool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26202A (en) Storage shelf for material stored in self- standing cassette
CN2418983Y (en) Sand mould casting and cooling conveying apparatus
CN207088656U (en) LVL sheet material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production lines
CN205952922U (en) A high efficiency dregs conveying system for interim switching is used
CN110697397A (en) Conveying line capable of bidirectionally transferring materials
CN103614538A (en) Dual-layer step-by-step heat treatment production line for aluminum alloy wheel hub
KR101605016B1 (en) Automatic loading of aluminum extruder device
KR100690055B1 (en) Automatic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cooling of billets
CN203602655U (en) Double-layer walking thermal treatment production line of aluminium alloy hubs
US4422495A (en) Mold handling system
CN103627875A (en) Multilayer stepping type thermal treatment furnace
CN110756777B (en) Foamed aluminum production process lin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CN209988518U (en) Feeding and conveying device suitable for cylindrical castings
JP2004211180A (en) Method of heat-treatment for aluminum foil and its apparatus
JP3503938B2 (en) Hot metal transfer equipment between converters and hot metal setting equipment used for the equipment
US64606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ast products
CN210100258U (en) Lower rotary device of mold furnace after sintering and cooling of foamed ceramic
CN203602672U (en) Multilayer walking thermal treatment furnace
CN209720782U (en) Wine brewing material is detected into cellar conveying device
KR100376515B1 (en) Apparatus for throwing ingot into zincpot for zinc galvanizing of strip
CN207258684U (en) A kind of carrying double-layer conveyer for logistics
CN105293016A (en) Formed coke blank arrangement and arraying device
JPS6131695B2 (en)
CN213444614U (en) Transfer conveying device for deformed steel hot rolling mill
US5645418A (en) Pusher furnace drop-out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