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736B1 -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736B1
KR100689736B1 KR1020050083706A KR20050083706A KR100689736B1 KR 100689736 B1 KR100689736 B1 KR 100689736B1 KR 1020050083706 A KR1020050083706 A KR 1020050083706A KR 20050083706 A KR20050083706 A KR 20050083706A KR 100689736 B1 KR100689736 B1 KR 100689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network
base station
processing
wireless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6039A (ko
Inventor
김수창
최성구
박순기
백승권
송재수
송평중
남상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60066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6Processing of subscriber group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04W8/28Number portability ; Network address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의 무선 가입자망 환경에서 망간의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망 중개 장치는 상기 무선 가입자망 또는 상기 기지국내의 처리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수신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수신 메시지를 처리하여 처리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처리 메시지의 송신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처리 메시지를 무선 가입자망이나 상기 기지국내의 해당 처리 장치로 송신한다. 이 경우 상기 처리 메시지를 통합형 기지국이 처리 가능한 제1 포맷 형태로 재구성하여 기지국내 처리 장치로 송신하거나, 상기 처리 메시지를 소정 무선 가입자망에서 처리 가능한 제2 포맷 형태로 재구성하여 무선 가입자망으로 송신한다.
따라서 이종 무선 가입자망간의 통합이 가능하고, 서로 다른 다양한 무선 가입자 망과 신호 프로토콜에 대해서 개방적이면서 독립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이종무선 가입자망, 통합형 기지국, 캔 브로커

Description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BROKER OF CONVERGED-ACCESS NETWORK IN HETEROGENEOUS WIRELESS ACCESS NETWORKS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무선 가입자망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망 중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다른 무선 전송 기술을 가지는 이종(異種)의 무선 가입자망 환경에서 이들 망간에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가입자망 기술은 무선 및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단말기 및 핵심망과 함께 발전해왔으며, 1세대의 아날로그 가입자 망, 2세대의 디지털 가입자 망, 3세대의 회선 및 패킷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지털 복합망, 및 3세대 이후의 패킷 전 송망을 기반으로 하여 기존 망들의 통합과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IP 기반의 개방형 멀티미디어 가입자 망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단말기와 가입자 망, 그리고 핵심망이 각각 그들의 영역 내에서 패킷 데이터 전송에 적절한 인터넷 기반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가장 먼저 핵심망이 패킷 데이터 전송에 적절하도록 진화가 시도되었다.
이에 따라 1998년부터 All-IP 네트워크라는 이름으로 일차적으로 3세대와 그 이전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을 대상으로 사용자가 느끼지 못하는 상황에서 핵심망 자체의 진화를 시도하였다.
그 후, 1999년에는 MWIF(Mobile Wireless Internet Forum)를 중심으로 이동통신 가입자 망(Radio Access Network, RAN)에도 IP 기술을 도입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작되었고, 이어서 3세대 이동통신의 사실상 표준화 단체인 3GPP와 3GPP2에서 IP 기반 가입자 망 기술에 관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구축 기본계획에 따라 단계별로 유무선 가입자망의 진화가 이루어질 계획이지만, 유무선 가입자망은 주로 BcN 전달망을 중심으로 통합이 이루어지고 있고 가입자 망에서의 통합은 거의 논의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향후 지금보다 다양한 가입자망이 출현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들 가입자망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이종 가입자망간의 서비스 이동성, 사용자 이동성, 단말기 이동성, 망 이동성과 함께 핸드오버를 통한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될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망은 음성을 위해 설계된 망에서 제한된 형태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현재 핵심망에서의 다양한 가입자망을 통합하여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 중이지만, 사실상 가입자망에서의 완전한 통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가입자망에 대한 통합 처리를 위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주파수 및 전송 규약을 가지는 무선 가입자망이 적어도 하나 이상인 이종 무선 가입자망 환경에서, 다양한 무선 가입자망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종 무선 가입자망에서, 다양한 무선 가입자망의 신호들에 대해 정합 기능을 갖는 망 중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가입자망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무선 가입자망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다수의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가입자망으로부터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종류별로 분류하는 메시지 처리부; 상기 송수신된 메시지가 세션 관련된 메시지인 경우, 상기 기지국의 소정 처리 장치를 통한 세션 처리의 중개를 수행하는 세션처리 부; 상기 송수신된 메시지가 그룹 이동성 관련 메시지인 경우, 상기 기지국의 소정 처리 장치를 통한 해당 그룹 멤버들의 이동성 제어를 중개하는 그룹 이동성 처리부; 상기 송수신된 메시지가 인증 관련 메시지인 경우, 상기 기지국의 소정 처리 장치를 통한 사용자 인증 처리를 중개하는 인증 처리부; 및 상기 메시지 처리부를 통해 수신 메시지의 존재가 확인되면, 상기 메시지 처리부의 수신 메시지 분류 결과를 토대로 상기 메시지가 해당 처리부에서 처리되도록 상기 메시지 처리부와 각 처리부 사이의 메시지 흐름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방법은,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가입자망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무선 가입자망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다수의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무선 가입자망 또는 상기 기지국내의 처리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수신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수신 메시지를 처리하여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처리 메시지의 송신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처리 메시지를 상기 무선 가입자망이나 상기 기지국내의 해당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처리 메시지를 통합형 기지국이 처리 가능한 제1 포맷 형태로 재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 메시지를 소정 무선 가입자망에서 처리 가능한 제2 포맷 형태로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 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4세대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Data), WiBro, 초고속 WLAN 등 향후에 출현할 무선 가입자망은 다양한 서비스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고속 광대역의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다양한 망간의 통합을 위해 핵심망에서의 통합은 물론 가입자망에서의 통합도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기존의 무선 가입자망은 단일 망 환경에서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향후 사용자들의 복잡한 요구사항을 지원하고 또한 다양한 가입자망과의 통합, 핸드오버, QoS 지원 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무선 가입자망에서 개방형 구조를 지향해야 하고, 지능적으로 가입자 요구에 대처해야 하며, 또한 망간의 확장성을 반드시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무선 가입자망의 향후 추세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서로 다른 무선 전송 기술과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다양한 무선 가입자망이 혼재되어 있는 이종 무선 가입자망 환경에서, 단말기가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형 기지국이 이종 무선 가입자망을 통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이를 위하여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가 이종 무선 가입자망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의 메시지들을 통합 처리하여 기지국의 소정 장치로 전달한다.
먼저, 이동 무선 가입자망에 대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형 기지국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형 기지국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형 기지국(100, "기지국"이라고도 명명함)은 이종 무선 가입자망(200)을 통하여 단말기(300)에 연결되어 있으며, 핵심망(400)에 연결되어 단말기(300)로 소정 서비스를 제어한다. 만약 단말기가 통합형 기지국에 등록되어 있고, 기지국만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 로컬 호일 경우에, 기지국(100)은 핵심망의 지원 없이 독자적인 서비스를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종 무선 가입자망(200)은 서로 다른 무선 전송 기술과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하는 다수의 가입자망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HMm(High-speed Mobile Multimedia) 무선 국(Radio Station), HPi(High-speed Portable internet) AP(Access Point), WLAN AP, HSDPA 무선 접근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등으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이종 무선 가입자망(200)을 통하여 통합형 기지국(100)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300)는 다중모드 단말기(Multimode Terminal; MT, 설명의 편의상 "단말기"라고도 명명함)이며, 통합형 기지국(100)과의 연결을 통해 MMoIP 또는 VoIP, 및 데이터 서비스 등을 제공받는다.
이종 무선 가입자망(200)을 통합 관리하여 단말기(300)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형 기지국(100)은 도 1에서와 같이, 다양한 무선 가 입자망을 스위칭 네트워크로 묶은 상태에서, 캔 브로커(10), 리소스 매니저(20), 세션 매니저(30), RFID 매니저(40), 재구성 서버(50), 그룹 이동성 에이전트(60), 이동성 매니저(70), 다양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부(D), 호서버(80), 미디어 게이트웨이(9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러한 기지국의 구성 요소들(20∼90)을 "처리 장치"라고도 명명한다.
캔 브로커(10)는 스위칭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종 무선 가입자망(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메시지들을 통합 처리하며, 구체적으로 신호 메시지가 어떠한 무선 가입자망을 통하여 제공된 것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메시지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중개한다.
리소스 매니저(20)는 HMm, HPi, WLAN, HSDAP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가입자망을 통합하기 위해 무선 가입자망에 대한 공통의 자원 관리를 수행하고, 세션 매니저(30)는 무선 가입자망들 사이의 세션을 통합하여 관리한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매니저(40)는 센서 망(도시하지 않음)과의 연동을 위해 RFID를 인식하고 관리하기 위한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RFID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는 기지국(100)에 있지 않고 핵심망(400)에 위치하며, 기지국(100)의 RFID 매니저(40)는 핵심망(400)의 RFID DB(도시하지 않음)와 연동하여 수신된 신호의 RFID를 식별하고 무선 가입자망에서 실어 나르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재구성 서버(50)는 기지국이 새로운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거나 단말기(300)가 다른 무선 가입자망에 접속하려고 할 때, 단말기(300)가 가지고 있지 않은 소프 트웨어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룹 이동성 에이전트(16)는 IETF(Institute For The Future)에서 작업중인 망 이동성(Network Mobility; NEMO)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단말의 이동성과 달리 단말의 그룹이 이동할 경우에 그룹 이동성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D)는 기지국(100) 내에서 기지국 시스템 초기화 정보, 가입자 인증, 위치관리, 사용자 프로파일 관리 등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동성 매니저(70)는 다양한 무선 가입자망들에 대해 페이징, 단말 위치 등록/해제, 위치 갱신 등의 위치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경우에 따라 인증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호 서버(80)는 VoIP 서비스 제공을 위해 기지국내에서 호를 생성, 유지, 해제하도록 하며, 특히 프록시로 동작한다. 이러한 호서버(80)는 핵심망(400)의 호서버(도시하지 않음)와 서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구조를 가지며, 동일한 기지국내의 가입자간 VoIP를 서비스하는 경우에 핵심망(400)에 위치한 호서버의 지원 없이도 독자적으로 동작한다. 즉, 호처리를 위해서는 가입자의 프로파일 및 인증 정보가 요구되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형 기지국에서는 호 서버(80)를 포함하고 있고, 또한 데이터베이스부(D)에 가입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한 기지국내의 가입자간 통화 시도가 있을 경우 핵심망의 호서버와 연계하지 않고 상기 호서버(80)가 데이터베이스부(D)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 경우 호 설정에 필요한 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핵심망에 가해지는 부하 분산이 가능해지고, 처리속도를 높일 수 있다.
미디어 게이트웨이(90)는 동일한 기지국 내에서 VoIP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호서버(80)와 함께 VoIP 호를 제공하며, 다양한 무선 가입자망들 사이의 서로 다른 코덱(Codec)을 통합하여 관리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무선 가입자망들을 통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형 기지국(100)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캔 브로커 즉, 망 중개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메시지 처리부(11), 제2 메시지 처리부(12), 메인 제어부(13), 초기화부(14), 세션 처리부(15), 그룹이동성 처리부(16), 인증 처리부(17)를 포함한다.
제1 메시지처리부(11)는 다양한 이종 무선 가입자망을 통하여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수신하여 분류하고, 각 분류된 수신 메시지를 해당 처리부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제1 메시지 처리부(11)는 HMm 무선국, HPi AP, WLAN AP, HSDPA 무선 접근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가입자망으로부터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구별하기 위하여 포트(Port) 번호를 사용한다. 이때, 제1 메시지 처리부(11)는 IP망을 기반으로 하는 TCP/UDP/SCTP 통신을 토대로 IANA에서 정의한 포트 번호 할당 규칙에 따라 49152 ~ 65535 사이의 임의의 값을 사용하는데, 송신시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에서 포트번호를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하 고, 수신시에는 소정 규칙에 의하여 정해지는 값을 포트 번호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제1 메시지 처리부(11)는 HMm 무선국과의 신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시 포트번호를 50000, HPi AP와의 통신시 포트번호를 50001, WLAN AP와의 통신시 포트번호를 50002, HSDPA RAN과의 통신시 포트번호를 50003으로 선택하고, 이후 추가되는 새로운 무선 가입자망에 대해서는 50004~65535 사이에서 하나씩 선택하여 추가 할당한다.
이와 같이 제1 메시지 처리부(11)는 각 무선 가입자망으로부터 메시지를 송수신하며, 상기 송수신된 포트 번호를 토대로 송수신된 메시지가 어떠한 망으로부터 송수신된 것인지를 구별한다. 또한 어떤 종류의 메시지인지를 구별한 다음, 구별 결과와 함께 상기 메시지를 해당 처리부로 전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메시지 처리부(11)는 다양한 무선 가입자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메시지들을 해당 무선 가입자망에 따라 분류하면서, 메시지들이 종류별로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메시지 처리부(12)는 기지국의 소정 처리 장치(20∼90)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들을 수신 및 분류하고, 분류된 수신 메시지를 해당하는 처리부로 전송한다.
메인 제어부(13)는 제1 및 제2 메시지 처리부(11, 12)를 통해 수신 메시지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제1 및 제2 메시지 처리부(11, 12)의 메시지 분류 결과를 토대로, 제1 및 제2 메시지 처리부(11, 12)와 각 부(14∼17) 사이의 메시지 흐름을 제어한다.
초기화부(14)는 기지국의 초기 시동시나 기지국이 새로운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도록 기지국 소프트웨어를 재구성하는 재구성 요청시에 기지국(100)이 초기화 되도록 한다. 세션 처리부(15)는 제1 및 제2 메시지 처리부(11, 12)를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가 세션의 생성, 유지, 관리, 해제에 필요한 메시지이면 이들 메시지의 재구성을 수행하여 세션 관련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룹 이동성 처리부(16)는 제1 및 제2 메시지 처리부(11, 12)를 통해 송신된 메시지가 그룹 이동성에 관련된 메시지이면 이들 메시지의 재구성을 수행하여 해당 그룹에 속하는 단말기들의 이동성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인증 처리부(17)는 제1 및 제2 메시지 처리부(11, 13)를 통해 송신된 메시지가 인증에 관련 메시지이면 해당 메시지의 처리 및 재구성을 수행하여 가입자 인증이 처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망 중개 장치(10)의 각 구성 요소는 4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인 HMm은 물론 HPi, WLAN 그리고 HDSPA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가입망을 통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이들 다양한 무선 가입자망들로부터 제공되는 포맷과 내용이 상이한 수많은 메시지들을 통합형 기지국내의 메시지로 재구성한다. 즉, 서로 다른 무선 가입자망에 대하여 공통으로 제공되는 기능을 통합형 기지국 내부에서 처리하기 위하여, 무선 가입자망으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통합형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설정 포맷(제1 포맷)의 메시지로 재구성한다. 또한 통합형 기지국 내부에서 전달되어 소정 무선 가입자망으로 메시지가 전달되는 경우, 통합형 기지국의 설정 포맷으로 이루어진 상기 메시지를 해당 무선 가입자망의 포맷(제2 포맷)에 맞는 메시지로 재구성한다. 이와 같이 망 중개 장치(10)의 각 처리부(14∼17)는 메시지의 종류별로 해당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메시지의 송신처와 수신 처 사이에서 메시지 처리의 중개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메인 제어부(13)는 메시지 처리부(11,12)의 수신 메시지를 해석하여 상기 수신 메시지가 초기화 메시지, 세션 관련 메시지, 그룹 이동성 관련 메시지, 인증 관련 메시지 중 어느 메시지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메시지를 해당 부로 전달하며, 수신 메시지가 위의 메시지들 중에서 어디에도 속하지 않으면 오류처리를 수행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제어부(13)는 시스템 기능이 시작되면 초기화부(14)를 동작시켜 시스템 초기화를 수행하고(S1),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메시지 처리부들(11, 12)을 통해 수신 메시지가 있는지를 확인한다(S2).
다중 모드 단말기(300)로부터 소정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 상기 메시지는 소정 무선 가입자망을 통하여 기지국(100)으로 입력되며, 이 메시지는 스위칭 네트워크를 통하여 망 중개 장치(10)의 제1 메시지 처리부(11)로 입력된다. 한편 핵심망(400)으로부터 전송된 소정 메시지는 미디어 게이트웨이(90)를 통하여 망 중개 장치(10)의 제2 메시지 처리부(12)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메시지가 입력된 경우, 메시지가 무선 가입자망으로부터 제공된 경우에는 제1 메시지 처리부(11)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시지를 해석하여 처리하 고, 상기 메시지가 기지국의 다른 처리 장치인 소정 구성 요소로부터 수신된 메시지(핵심망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도 포함됨)인 경우에는 제2 메시지 처리부(12)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시지를 해석하여 처리한다(S3, S4).
제1 메시지 처리부(11)는 해당 수신 메시지가 어떠한 무선 가입자망을 통하여 수신된 것인지를 판별하고, 소정 무선 가입지망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메시지가 어떠한 종류의 메시지 즉, 초기화 요구 메시지, 세션 관련 메시지, 그룹 이동성 관련 메시지, 인증 관련 메시지 중 어느 메시지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수신 메시지가 기지국의 다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인 경우, 제2 메시지 처리부(12)는 수신 메시지가 초기화 요구 메시지, 세션 관련 메시지, 그룹 이동성 관련 메시지, 인증 관련 메시지 중 어느 메시지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다(S5, S6, S7, S8, S9). 만일, 수신 메시지가 위의 메시지들 중에서 어디에도 속하지 않으면, 메인 제어부(13)는 상위 계층으로 오류 발생을 보고한다(S10).
메인 제어부(13)는 제1 또는 제2 메시지 처리부(11 또는 12)의 메시지 해석 결과를 토대로, 수신 메시지를 해당 처리를 담당하는 각 처리부(14, 15, 16, 17)로 송신한다(S11). 이 경우, 상기 수신 메시지가 어떠한 무선 가입자망으로터 전달된 것인지를 나타내는 판별 결과를 상기 메시지와 함께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판별 결과를 토대로 각 처리부들은 소정 무선 가입자망에 따른 포맷의 수신 메시지를 통합형 기지국의 포맷에 따른 메시지로 재구성한다.
각 처리부들(14, 15, 16, 17)은 수신 메시지에 의해 기능 처리에 필요한 내부 함수들을 사용하여 처리 메시지를 생성한다(S12). 구체적으로 수신 메시지가 초 기화 메시지인 경우, 초기화부(14)는 초기 시동 또는 재구성 수행을 위한 처리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를 기지국(100)의 재구성 서버(50)에 제공하여, 기지국의 초기화, 또는 새로운 기지국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딩하는 등의 재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수신 메시지가 세션 관련 메시지인 경우, 세션 처리부(15)가 세션 관련 처리를 위하여, 상기 메시지가 세션의 생성, 유지, 관리, 해제 중 어느 하나에 필요한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도록 재구성하여 해당하는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기지국(100)의 세션 매니저(30)로 제공하여 세션의 생성, 유지, 관리, 해제 등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수신 메시지가 그룹 이동성 관련 메시지인 경우, 그룹 이동성 처리부(16)는 이동성 처리를 위하여 메시지를 재구성하여 해당하는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기지국(100)의 그룹 이동성 에이전트(60)로 제공하여 해당 그룹에 속하는 멤버들의 이동성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수신 메시지가 인증 관련 메시지인 경우, 인증 처리부(17)는 인증 처리를 위하여 상기 메시지를 재구성하여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기지국(100)의 미디어 게이트웨이(90)를 통하여 이동성 매니저(70)로 전달하여,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300)에 대한 가입자 인증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각 처리부(14∼17)는 처리 메시지가 생성되면 이 처리 메시지의 송신처가 무선 가입자망 또는 기지국내 처리 장치인지를 확인하고(S13, S14, S15). 확인 결과에 따라 처리 메시지가 무선 가입자망으로 송신할 메시지이면, 처리 메시지 를 해당 무선 가입자망에 해당하는 포맷으로 재구성한 후 스위칭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무선 가입자망으로 송신하고(S14), 기지국내 다른 구성 요소 즉, 처리 장치로 송신할 메시지이면 기지국내 해당 처리 장치로 전달한다(S16). 이때, 처리 메시지가 무선 가입자망이나 기지국내 소정 처리 장치로 송신할 메시지가 아니면 각 처리부(14∼17) 또는 메인 제어부(13)가 상기 메시지를 오류로 처리한다(S17).
이와 같이 각 처리부(14∼17)는 소정 종류의 수신된 메시지가 해당 처리를 수행하도록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메시지를 기지국의 소정 처리 장치로 전달하여, 세션 처리, 그룹 멤버들의 이동성 제어 처리, 인증 처리, 기지국 초기화 처리 등이 이루어지도록 중개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CDMA 1x EV-DO, W-CDMA, WLAN 등과 같이 별개로 서비스되고 있는 독립적인 망 환경에서의 무선통신 서비스가 아니라, 4세대 무선 가입자망인 HMm 망, HPi, HSDPA망, 무선랜(WLAN) 등과 HSDPA, WiBro, 초고속 WLAN 등 향후에 출현할 무선 가입자망 같은 다양한 이종 무선 가입자망 환경에서, 가입자들에게 끊김 없는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전송 기술과 전송 프로토콜을 가지는 무선 가입자망이 다수 존재하는 이종 가입자망 환경에서, 다양한 무선 가입자망의 신호들에 대해 개방적이면서 독립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어떤 형태의 무선 가입자망이 연결되더라도 통합된 형태의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이종의 무선 가입자망에 대한 통합 처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Claims (7)

  1.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에서,
    상기 망 중개 장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가입자망에 스위칭 네트워크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무선 가입자망을 통합 관리하며,
    스위칭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무선 가입자망으로부터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종류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무선 가입자망에 서로 다른 포트 번호를 할당하며, 소정 무선 가입자망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메시지가 수신된 포트 번호를 토대로 상기 메시지를 송신한 무선 가입자망을 판별하는 메시지 처리부;
    상기 송수신된 메시지가 세션 관련된 메시지인 경우, 상기 기지국의 소정 처리 장치를 통한 세션 처리의 중개를 수행하는 세션처리부;
    상기 송수신된 메시지가 그룹 이동성 관련 메시지인 경우, 상기 기지국의 소정 처리 장치를 통한 해당 그룹 멤버들의 이동성 제어를 중개하는 그룹 이동성 처리부;
    상기 송수신된 메시지가 인증 관련 메시지인 경우, 상기 기지국의 소정 처리 장치를 통한 사용자 인증 처리를 중개하는 인증 처리부; 및
    상기 메시지 처리부를 통해 수신 메시지의 존재가 확인되면, 상기 메시지 처리부의 수신 메시지 분류 결과를 토대로 상기 메시지가 해당 처리부에서 처리되도록 상기 메시지 처리부와 각 처리부 사이의 메시지 흐름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판별된 무선 가입자망에 따른 포맷의 메시지를 통합형 기지국의 포맷으로 재구성하여 처리하는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부는,
    상기 무선 가입자망으로부터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분류하여 해당 처리부로 전달하는 제1 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기지국의 소정 처리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분류하여 해당 처리부로 전달하는 제2 메시지 처리부
    를 포함하는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 중개 장치의 초기 구동시 또는 기지국의 소프트웨어 재구성에 대한 요구시에,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대한 초기화를 수행하는 초기화부를 더 포함하는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
  4. 삭제
  5.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기지국은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가입자망에 스위칭 네트워크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무선 가입자망을 통합 관리하며, 스위칭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무선 가입자망으로부터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종류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무선 가입자망에 서로 다른 포트 번호를 할당하며,
    상기 망 중개 방법은,
    a) 상기 무선 가입자망 또는 상기 기지국내의 소정 처리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메시지가 수신된 포트 번호를 토대로 상기 메시지를 송신한 무선 가입자망을 판별하고, 상기 수신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수신 메시지를 처리하여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처리 메시지의 송신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처리 메시지를 상기 무선 가입자망이나 상기 기지국내의 해당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처리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이 처리 가능한 제1 포맷 형태로 재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 메시지를 소정 무선 가입자망에서 처리 가능한 제2 포맷 형태로 재구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신 메시지가 초기화 메시지인 경우, 상기 기지국의 초기화를 위한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신 메시지가 세션 관련 메시지인 경우, 상기 메시지가 세션의 생성, 유지, 관리, 해제 중 어느 하나에 필요한 이동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도록 처리하여 해당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신 메시지가 그룹 이동성 관련 메시지이면, 해당 그룹 멤버들의 이동성 제어를 위한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메시지가 인증 관련 메시지이면, 가입자 인증을 위한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방법.
  7. 삭제
KR1020050083706A 2004-12-11 2005-09-08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 및 그 방법 KR100689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04620 2004-12-11
KR1020040104620 2004-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039A KR20060066039A (ko) 2006-06-15
KR100689736B1 true KR100689736B1 (ko) 2007-03-08

Family

ID=37161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706A KR100689736B1 (ko) 2004-12-11 2005-09-08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7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7090A (ko) * 1995-10-26 1999-08-16 에블린 골드파인 공존하는 통신 시스템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7090A (ko) * 1995-10-26 1999-08-16 에블린 골드파인 공존하는 통신 시스템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6709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039A (ko)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5135B (fi) Järjestelmä ja menetelmä puhelun välittämiseksi sekä matkaviestin
EP1410573B1 (en) Methods,apparatus,and systems for accessing mobile and voice over ip telephone networks with a mobile handset
CN1947401B (zh) 用于同移动终端建立会话发起协议通信会话的系统和方法
EP1695573B1 (en) Control decis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785255B2 (en) Architecture and protoco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scalable web services to mobile access devices
US200401105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shaking between wireless devices and servers
EP1595353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utilization of core based nodes for state transfer
CN102215154A (zh) 网络业务的访问控制方法及终端
US200800267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voice over ip client connection
EP408737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ype in edge computing system
CN101026824A (zh) 用于解决在移动通信设备和无线网络之间要求数据连接的应用之中相互竞争的系统和方法
CN101401068A (zh) 通过卡应用工具包互通的方法、移动终端和计算机程序产品
CN102308661A (zh) 对于重新路由连接的接入改变
CN114080054A (zh) 一种pdu会话建立方法、终端设备和芯片系统
US7043246B2 (en) Routing of call made to subscriber
EP2330840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958414B1 (en) Apparatus, method,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amless session transfer
KR100643707B1 (ko) 통합형 기지국의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689736B1 (ko) 통합형 기지국의 망 중개 장치 및 그 방법
EP3930376A1 (en) Multi-connectivity restriction for services demanding single-path or single access
Prehofer et al. An architecture supporting adaptation and evolution in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Munro Mobile middleware for the reconfigurable software radio
EP4131894B1 (en) Operation of a user equipment within or as part of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ing a control plane functionality
Dou et al. An agent-based architecture for dynamic service provisioning in 3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KR20050072749A (ko) 이동 통신 장치에서 인증 보고를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